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립학교 IB PYP 운영에 대한 IB 학습 공동체 구성원의 인식 분석

        최미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학교와 수업 연구 Vol.7 No.2

        Rapid social changes demand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future society, which will be different from existing education; in Korea, IB educ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an effective way to reform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roducing IB in public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IB learning community members on the operation of IB-PYP in public school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learning community members of three IB-PYP candidate schools and authorized schools as research cases to determine their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IB-PYP;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applying IB-PYP in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presented.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community members' perceptions of the IB-PYP operation was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vision and values of IB-PYP, collaboration between peers, learning attitudes, teacher's teaching expertise, change of principal's leadership,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IB-PYP, parents'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in IB-PYP, and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IB-PYP. Based on this analysis, som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IB-PYP in public schools, such as ensuring autonomy in curriculum management, changing to class-oriented system, strengthening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nnecting with parents and the community, and securing the continuity of IB program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the application of PYP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급격한 사회적 변화는 기존의 교육과 다른, 미래 사회를 대비한 공교육 혁신의 필요를 요구하는데, 최근 국내에서는 IB 교육이 이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학교에서 IB PYP 운영에 대한 학습 공동체 구성원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공교육에 IB 도입 효과를 가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B PYP 후보 및 인증학교 3개교의 학습 공동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IB PYP 운영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교육과정 내 IB PYP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B PYP 운영에 대한 학습 공동체 구성원의 인식을 IB PYP의 비전과 가치, 동료 간 협력, 학습 태도,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교장의 리더십 변화, IB PYP 실행의 어려움, IB PYP에 대한 학부모 이해 및 참여, IB PYP의 성과와 과제의 8개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보장과 수업 중심 시스템으로의 변화, 교사 주도의 학교 기반 교사 전문성 개발 기회의 확대, 학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활발한 연계, IB 프로그램의 지속성 확보를 공립학교에서 IB PYP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가 교육과정 기반 PYP 적용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 실행력 강화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윤경,김재근,김지훈,유소현,이주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학교와 수업 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해력이 발현되는 양상과 그 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학 전공 교수와 현장 전문가인 초등교사 간의 협력적 방식의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집필시작→집필세목 작성→교과서 원고 작성)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해력은 두 가지의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석적 읽기’로, 이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용어의 의미와 변화 맥락을 분석적으로 읽으며 나타난 문해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념 풀어쓰기’로, 이는 사회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용어를 본문, 삽화, 활동 사례로 변환하면서 나타난 문해력의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초등교사의 문해력 발현은 내용(사회과), 형식(검정 교과서), 상호작용(공동집필)이라는 특수한 맥락에 기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 문해력 제고에 있어 서로 다른 전문가 집단과의 상호작용의 중요성,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의 교육과정 문해력 발현 양상의 차이 및 사회과 교과 특수적 문해력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s aim was to deeply understand the manifestation and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cial studies curriculum literacy as they engaged in the process of writing social studies textbooks. A collaborative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as employed, which involved cooperation between professors specializing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field exper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ocial studies curriculum literacy showed two main transformation patterns throughout the textbook writing stages. The first pattern was 'analytical reading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refers to the change in th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in terms of their analytical reading of the contextual 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and the terms used. The second pattern was 'translating concepts into appropriate examples', which indicated the transformation of literacy as the teachers converted terms from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examples expressed in the form of text, illustrations, and activities. The manifest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was based on the context of content(social studies), form(authorized textbooks), and interaction(collaborative writing). Based on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s within heterogeneous groups in fostering th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the variations in curriculum literac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reconstruct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writ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pecific literacy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중학생을 위한 목재 활용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다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학교와 수업 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apply a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wood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Although maker education using wood has various educational values, i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mainly for maker education programs using 3D printers and physical computing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s using wood is required. To this end, A 6th class mak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DI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procedure. And implemented it for 110 third-year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 from November 1, 2021, to November 12, 2011. The maker education capability test tool was used to conduct a single-group pre–post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sixth maker education program of the TMSI Teaching Model enabled students to understand wood as a material, envision the product, and produce and evaluate their work in compliance with the “world of manufacturing technology” section of their curriculum. This flexible educational program could simplify various tasks of woodworking so that more students could learn and use these skills at school. Second, after implementing the maker education program for woodworking, students’ maker competency increased. Their overall maker cap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by 0.49 points, from 3.51 points to 4.00 points on average (t = −14.09, p = .000). The perception of maker educati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curiosity, spirit to overcome challenge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had all increased after the program.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 대상 해외 한국어교육 실습 프로그램 연구 -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혜,오지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학교와 수업 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C교육대학교가 2023년 하계 방학 기간에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에서 실시한 교육봉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초등 예비교사 양성 과정에서 해외 한국어교육 실습 프로그램이 지니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사례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은 타슈켄트에 있는 초․중등 통합학교 두 곳에서 현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한국어 및 타 교과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에는 C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0명과 만 6세에서 15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현지 학생 120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모든 수업에는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현지의 대학생 6명이 보조강사로 참여하여 예비교사와 현지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번 한국어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전교육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한국어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현지 실습을 준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실습 과정에서 내용 지식과 교수 및 지도, 태도 등 모든 측면에서 성장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한국어교육 실습이 끝난 후에 예비교사들은 교육적 효능감이 향상되었다고 답했으며, 한국어 교수 전문성, 학제 간 융합교육 역량, 교사로서 자기 효능감, 글로벌 역량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s as apart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training by focusing on an educational service program conducted by the C University of Education in Tashkent, Uzbekistan, during the summer in 2023. In this case, the pre­service teachers taught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other subjects to the local students in Korean at two integrat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ashkent. The program involved 20 pre­service teachers from C University of Education and 120 local students ages 6 to 15. In addition, six local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Korean participated in all the classes as assistant teacher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and the local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um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raining provided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e and prepared them for the fieldwork, and then the pre­service teachers evaluated their skills as to whether they were able to grow in all the aspects of their teachingt knowledge, teaching practices and instruction,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during the practicum. After the practicum, the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at their teaching efficacy had improved, and they recognized their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expertise, as well as interdisciplinary teaching compet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global competence.

      • 초등 예비교사의 교과 통합 수업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김미혜,권혁순,김남균,심승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학교와 수업 연구 Vol.1 No.1

        최근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여러 학문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융합적 소양을 갖춘 인재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초등 교사들에게는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입체적 분석을 토대로 통합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 교원 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통합 수업 역량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교육을 전공하고 예비교사들을 가르치고 있는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과 통합 수업 설계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행해 보았다. 연구자들은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교과 통합 수업을 기획했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동네 공원 개선 프로젝트'라는 주제로 교과 통합 수업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4학년들을 대상으로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우리 동네 공원 개선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해 보았다. 그 결과 (1)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교과 통합 수업 및 학습자 중심의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관심 및 효능감이 상승하였다. 또한 (2) 예비교사들은 지역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3) 실제성을 띤 과제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해 공감했으며, (4) 토의의 재미를 느끼기도 했다. 이를 통해,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교과 통합 수업을 경험하는 것이 교과 통합 수업에 대한 교육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교과 통합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민해 보고 수업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효능감을 신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 관련 준거와 교육적 함의

        구정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학교와 수업 연구 Vol.9 No.2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정치적 중립 문제 제기 가능성은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천에 두려움을 부여하며 자기검열을 하게 하는 등 교사의 자율성과 관련한 많은 문제를 낳는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사가 논쟁문제 수업에서 경험할 수 있는 정치적 중립 관련 상황에 적용할 다양한 준거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쟁문제 수업에 주는 교육적 함의를 정리하려 한다. 먼저,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서 정치적 중립과 관련하여 ‘헌법과 법률 준거’, ‘교육과정 준거’, ‘독일 보이텔스바흐 합의 준거’, ‘한국의 사회과교육학계 연구 준거’를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논쟁문제 수업에서 ‘균형적 자료 구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논쟁문제 주제 구성’, ‘가치편향적 자료를 배제하기 위한 절차적 노력’, ‘교사 공동체를 통한 수업자료 개발과 협의’, ‘강압이 아닌 동료 시민으로서 교사의 입장표명’, ‘공동체 가치를 고려한 교사의 수업 안내 역할’ 등이 정치적 중립과 관련하여 교육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더불어 여기서 제안한 관련 논의가 사회과에서 논쟁문제 수업을 제한하거나 축소하는 요인으로서가 아니라, 학생과 교사 모두의 안전을 위한 요인으로서 작동하길 기대한다. The expect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in social studies classes with controversial issues makes it difficult for the teachers to conduct their classes and raises problems related to the teachers' autonomy due to self-censorship.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olitical neutrality contexts in which social studies teachers may encounter controversial issues and present the references that are related to them. In addition, based on that, we will try to summariz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debate on those problems in class. First of all, the references related to the political neutrality when encountering controversial issues in class are deemed “constitutional”, “Beutelsbacher agreement”,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academic research.”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balanced data composition,” “selection of controversial topics through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procedural efforts to filter out value-biased data,”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through the teachers’ community discussions,” “free expression of the teachers’ positions as fellow citizens, not rulers,” and “conducting classes while considering community values” are important in relation to political neutralit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what is presented here does not constitute an attempt to limit or reduce the controversial issues discussed in class, but rather as a criterion to conduct safe classes for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교과 간 교육과정 문서 비교 연구

        박윤경,김미혜,김동원,장지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components of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compa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document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subjec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From the results of primary analysis, in examining formats of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whole construction system, domain division, content system and accomplishment criterion, the degree of ‘formal 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found to ge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spite of similarities in document construction methods, however, it was found that a sound understanding of internal logics of curriculum pedagogy should be required in order for elementary teachers to clearly analyze internal meaning of the curriculum owing to ‘substantial inconsistency in curriculum docum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that curriculum literacy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uch as subject general literacy, subject particular literacy and subject integrated literacy.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related with elevation and explo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 호주의 도덕교육 분석을 통한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방향 탐색

        김영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학교와 수업 연구 Vol.4 No.2

        Australia is a federal state of six states and two brigades. Prior to 2008, the Australian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ethod of operation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of the Office of Education. Each school reorganized its programs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provide education. After 2008, Australia tries to solve existing education problems by setting national-level curriculum goals in earnest, based on the Melbourne Declaration. A typical feature of the Australian national curriculum is its capacity-oriented curriculum. Through the national curriculum, seven general competences are evenly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s of all the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not only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but also the capabilities and functions that are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By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of Australia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state and school, this paper analyzed how Australia's moral education was organized and operated. Australia's curriculum does not have a "moral" curriculum, but it is characterized by allowing students to acquire general skills that moral values while learning other subjects. Australia's moral education is run through a wide variety of methods of project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in a wide variety of contexts. In addition, Australia's moral educ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looking at various types of moral education, such as programs reflecting pos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 through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By doing so, the paper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in Korean moral education.

      • 문학 토론 수업의 교육적 토대 규칙을 위한 기초 연구

        심영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1

        교육적 토대 규칙이란 교실 담화가 전개되는 ‘맥락의 제어 양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 토론 수업 맥락의 제언 양상을 수립하고 개선하는 데 있다. 이 작업은 문학 토론 수업의 본질과 수업 설계, 그리고 수업 실행 및 반성을 탐색하고, 문학 토론 수업의 주제와 쟁점을 탐구하면서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활동 규칙은 다음과 같다. 문학 토론 수업은 인간다움을 발견해야 한다. 문학 수업 설계와 실행, 그리고 성찰은 문학 작품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은 토론 쟁점과 논제에 대한 것이어야 한다. 주장과 논박은 문학 작품의 인물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교육적 맥락과 통제는 학습자가 자신의 일상적인 삶과 문학 텍스트를 연결하는 데, 자료와 토론 정보를 획득하는 데, 문학 작품의 감상과 이해를 하는 데, 문학 작품의 의미를 일반화하는 데, 그리고 문학 토론 수업의 성찰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성 우수 사례 교사가 갖는 교육과정 문해력의 특성 연구

        박윤경,김미혜,장지은,김동원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학교와 수업 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by excavating exemplary case teacher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literacy.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based on the materials from the literature. In details, this study selected a book related with curriculum reconstruction written by two teachers who conducted a leading role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e field and analyzed reconstruction cases that were introduced to the book.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from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case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in two teachers' cases the common points as follows. First, the two teachers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by setting up an objective of education for a year beyond reconstructing textbooks to prepare classes by the session unit and positively interpreting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two teachers showed the recognition that ‘learning’ should be placed in the center of every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an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and operated with the cooperation of every member of education community. Third, the two teachers emphasized on integrative recognition about the subjects other than the subject professionalism.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te and flexibl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t a textbook level were shown to the two teachers. In conclusion, the two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was found to be extended to a level of ‘writing’ and ‘constructing (exceeding reconstruction)’, that is, beyond the levels of national curriculum and/or ‘reading’ and ‘implementation’ about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