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地域社會發展에 관한 硏究 : 仁川地域社會를 中心으로 Focussing on the Inchoen Community

        崔種運,沈璡求,宋種憲 仁川敎育大學校 1991 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는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仁川地域社會의 發展을 도모하려는 연구이다. 硏究의 必要性은 두가지 측면에서 찾을수 있었는데 하나는 社會的·現實的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이다. 먼저 사회적·현실적 측면으로 보면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政治·經濟·社會·文化의 각 부문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와 仁川地域社會가 안고 있는 課題解決이다. 정치적으로 民主主義 제도의 정착 경제적으로 成長과 配分의 균형유지 사회적으로 階層간의 갈등과 道德性 회복, 문화적으로 傳統文化와 外來文化의 융합 등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사회는 수도권 周邊都市로서 國際港口都市로서, 輸出産業都市로서의 三重的 性格을 갖고 있어 수도권 예속성, 외래문화 영향, 산업사회의 역기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道德觀의 混亂과 社會的 一體感 결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하여 仁川地域社會의 주체적 生活文化 향상과 주민의 共同體意識 고양은 당면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지역과제는 地方自治時代를 맞이하여 그 지역의 力量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다음으로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에서 보면 오늘날 대학은 일부 선발된 엘리트(elite)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고전적 학문의 전당으로서 秀越性을 추구하는 기능에만 머물러 있을수 없고 대학이 그 地域社會를 위하여 奉仕해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이것 또한 오늘날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실천적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구체적 目的은 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을 통한 課題를 추출하고 이 課題解決을 위한 大學敎育擴張 方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있었다. 이에 따라 硏究의 內容을 ①대학교육확장에 대한 理論的 探索 ②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模型 定立 ③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 및 課題 抽出 ④인천지역사회 과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으로 했다. 硏究方法은 文獻硏究, 調査硏究, 實踐硏究方法을 적용했으며, 문헌 연구는 대학교육확장에 관한 발전과정, 외부의 사례비교 분석을 통하여 모형적립에 이론적 기초를 확보했으며, 조사연구는 인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地域社會 課題意識調査를 통하여 지역사회 課題를 抽出했고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 및 지역주민의 社會敎育 意志 및 要求調査를 통하여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方向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또한 실천 연구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 주공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해당지역내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적용하는데 이용되었다. 硏究節次는 준비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나누어 1990년 10월부터 1991년 9월말까지 1년간 추진하였으며 준비단계는 文獻硏究, 基礎調査, 理念普及, 與件造成 등을, 실행단계에는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 평가단계는 結果評價, 報告書作成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학의 構造와 役割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대학은 定規學生들을 위한 전통적인 敎授·硏究機能 뿐만 아니라 대학밖의 成人을 위한 교육기능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주요국의 大學社會敎育 動向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국의 대학사회교육은 多樣性을 유지하면서 定規學生 敎育 構造와 成人敎育 構造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지역내의 여러 캠퍼스간에 조직망을 형성하여 조정역할을 하며,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課程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로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敎育體制 模型을 구안해 본 결과,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 部分的 擴張에서 完全擴張으로 大學外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에서 大學內의 프로그램 운영체제로 점진적 발전이 바람직하고, 대학교육 運營體制는 定規課程과 成人課程을 竝立시키면서 成人課程에는 硏修課程과 一般課程을 두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硏修課程에는 資格課程과 非資格課程, 일반과정에는 敎養·理論課程과 生活實技課程을 두되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등을 병행하여 채택하고 入學은 과정에 따라 試驗과 無試驗 전형을 택하고 講座는 短期·長期講座를 아울러 두며 敎授方法은 集團敎授, 個別敎授, 多感覺學習·多活動學習 指導法을 사용하도록 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로 인천지역사회 實態調査 結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流通, 交通, 敎育, 醫療, 文化, 餘暇生活 등에 문제가 많고 특히 公海 및 住居環境의 改善과 道德觀의 定立이 우선 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課題意識調査 結果 ①公海·安全, ②敎育 ③勞動·收入 ④消費環境 ⑤人間交流·連帶 ⑥文化·生活環境 ⑦社會保障 ⑧相談·參加 ⑨餘暇活動 순으로 중요하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다섯째로 이상과 같은 課題解決을 통하여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인천지역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수 요원이 사회교육에 참여한 經驗이 있었고 大學敎育擴張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은 일반 교양교육, 자녀교육으로 반응했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한 社會敎育意志 및 要求調査를 실시한 결과 주민들의 生活時間帶에 맞는 요일, 시간을 택하여 인근 學校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다는 반응이고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敎養敎育, 趣味生活, 健康生活,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여섯째로 대학교육 확장의 방침을 1차년도에는 대학밖에서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萬壽洞 住公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인근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한 프로그램은 敎養講座 15개 프로그램, 趣味生活 14개 프로그램, 健康生活 4개 프로그램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2개 프로그램 이었으며 총 35프로그램에 參加人員數 2,367 명에 달했다. 프로그램 내용은 仁川地域社會 實態調査에서 나타난 問題點과 課題解決에 촛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회교육 이념보급, 조직 및 시설, 재정, 홍보, 유관기관 협력체제 조성 등 여건 조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곱째로 프로그램 운영결과 얻어진 효과는 大學敎育機能 擴大와 社會敎育의 必要性과 可能性을 확인하게 되었고 인천지역사회 住民들로 하여금 公海, 交通, 子女敎育, 經濟活動 등에 교양을 높여주고 다양한 취미활동, 건강활동을 통하여 餘暇生活을 보다 잘 하도록 했으며 주민의 生活文化 向上에 이바지했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은 만남을 통하여 共同體意識을 形成하게 되었고 바자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奉仕精神의 의미를 체험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期間과 經費의 制限性에도 불구하고 仁川地域社會 發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Necessity This study was to solve the actual as well as the social problem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to carry out the university role of teaching, research, and to expand service in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mmunity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search out ways of how to put into practice thd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and to solve the problems. 3. Content The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oretical review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2. Model form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university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3.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Inchoen community. 4.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in the Inchoen community. 4. Method and Procedur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field study. It's procedure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stage and conducted from Oct, 1990 to Sep. 1991(1 year) 5. Finding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day, the university must extend it's function of educating full-time students as well as adult education program. 2. Most countries university have a variety of programs and intrgrate management of full-time students and adult educational programs. 3. Formation of systemetical model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Ichoen Community will be extend from partial to an entire extension program. 4. Analyzing the actual condtions in the Incheon Community, many problems were found. They were as follow; traffic, education, medical care, culture, recreation, and in particular, pollution, the need for improviding the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formation of a value system are most important of all the problems. 5. In the finding of the need assessment of adult education, if schools manage the program for residents, they will participate in culture, education, hobby, health, and formation of community sprit programs. 6. After performence of education for residents we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therfore residents enriched their culture, enjoyed their leizure tim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their community sprit.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 KCI등재

        상공인명록을 통해 본 1930년대 초 인천지역 기업 활동

        최재성(Choe, Jae-s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1931년 인천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한 〈인천상공인명록〉을 대상으로 하여 업종별 외형적 파악과 기업 활동의 내면적 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외형적 파악의 첫 단계로 인명록 정보 가운데 납부 영업세액을 살펴보았다. 고액 납세업종에 속하는 것은 금융업, 양조업, 정미업, 운수업, 무역업, 거래원업 등이었고, 50원 미만 납세 기업이 압도적 다수인데, 그만큼 규모면에서 소규모 기업이 많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업 소재지별로 보면, ‘리’ 단위 지역에서는 조선인 업체수가 일본인 업체수에 비해 5배 정도로 월등히 많다. 특히 외리와 내리가 조선인 기업의 밀집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지역에는 ‘리’보다 업체수가 월등히 많고, 또 일본인 업체가 조선인 업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세 번째로 겸업자를 민족별, 영업 종목수별로 나눠보면, 모두 일본인이 조선인 보다 많다. 그만큼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기업 활동에 적극적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인천의 대표적 기업인 무역업·정미업·양조업·성냥제조업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무역업 가운데는 미곡과 면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수이출 부문을 보면, 인천에서 이출된 조선 쌀은 일본 각지로 이송되었다. 다음으로 일본으로부터 이입 중요품 가운데 ‘수입품의 백미’인 면직물을 보면, ‘면사포·마직물류 무역’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이는 이 무역을 통해 858원의 영업세를 납부했다. 이제 제조업을 보자. 먼저 정미업을 보면, 1930년대 초 인천의 공업별 생산액 중 정미와 현미 등 정미공업의 생산액은 다른 공업에 비해 압도적 위치에 있다. 영업세액 1천원 이상을 납부한 정미 기업 3곳의 영업세액 3천 9백 원이다. 두 번째는 양조업이다. 청주·소주·약주·탁주 등 술 종류 4개의 생산액은 190여만 원이다. 여기에 장유와 미소의 백여만 원을 더하면 양조업 생산액은 약 3백만 원이다. 조일양조주식회사와 野田장유주식회사 인천공장의 영업세액은 각각 1427.95원과 398.5원이다. 세번째는 성냥 제조업인데, 그 생산액은 약 33만원이다. 성냥은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독점 생산한 것으로 이 회사의 1931년 영업세액은 537.14원이다. 이들 제조업(정미업·성냥제조업)의 기업 활동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고, 희생을 강요당한 노동자들은 저항하면서 일부는 뜻(요구조건 관철)을 이루고, 또 일부는 해고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일제식민지기 인천지역 기업 활동의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과 저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each information and analysing corporates’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list of names published in 1931 by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amount of operating tax paid ou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first step in identifying the appearance. It was the financial industry, the brewing industry, the rice industry, the transportation industry, the trade industry, the trading business, etc. Next, in terms of loc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companies in the area of "Ri(리, 里)".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Oe-Ri(외리)” and “Nae-Ri(내리)” are concentrated areas of Korean companies. There are far more Japanese companies outnumber Korean companies in the "Jeong(정, 町)" area than "Ri". Third, there are all more Japanese than Koreans in double job.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Japanese were more active in corporate activities than Koreans. The following wa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rade business, rice-cleaning business, the brewery business, and match manufacturing business, which are major companies in Incheon. Among the trade, rice and cotton goods wer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ice from the colonial Joseon, which was removed from Incheon, was transferred to various parts of Japan. Cotton fabric is the "the best of imports" that comes from Japan. Now let"s look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output of rice-cleaning busi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in Incheon in the early 1930s. The second is brewing. It is produced by four types of alcohol, namely Cheongju, Soju, Yakju, and Takju, and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e third is the manufacturing of matches, which were produced exclusively by the Chosen Match Corporation. The increase in profits of these manufacturing industries was made at the expense of Korean workers, and the workers forced to sacrifice tried to defend their rights and interests.

      • KCI등재

        「인천아리랑」의 가치와 대중화 방안

        김미향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4 No.-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background and value of “Incheon Arirang,” which was first recorded in Korea in 1894, and to explore the identity and popularization of Incheon, which appeared in the editoria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a mixture of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n that although the song has a folk song character in the rhythm of “Incheon Arirang,” the editorial reveals spirit of against Japan sentiment, showing the concrete reality of the awakening movement by the people themselves. Through the tradition of migration, which appeared in the section “I hate mountains and I don't like water, / Who do you want to come here for?” “The direction of hybridity and popularity” appears. Through the part “Even though all of Incheon's Jemulpo is good to live / I can't live with the japanese bad domineer,” “expression of spirit of Against Japan and critical spirit” was shown, confirming Incheon's identity. Also, as a way to popularize “Incheon Arirang,” the character of the editorial in “Incheon Arirang” is defined as a sentiment that can express the public's life and the actual critical tendency, followed by an editorial that conforms to the current identity and spirit of Incheon in the rhythm of “Incheon Arirang,” expanding the scope of the story into a song that can be enjoyed in modern times, a musical, a drama, a musical, and finally expressing rich cultural element. Under these popularization measures, Incheon Arirang will be the first Arirang in Korea to be recognized for its historical value and succeed in popularizing it. 본 연구는 1894년 한국 최초로 채록된 「인천아리랑」의 발생 배경과 가치를 논의하고 사설에 나타난 인천의 정체성과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연구 결과 「인천아리랑」의 가락에서 민요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사설에 반일감정이 드러나 민중 스스로에 의한 각성 운동의 구체적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통성과 근대성’ 그리고 「인천아리랑」사설의 “산도 싫고 물도 싫은데 / 누굴 바라고 여기 왔나”라는 부분에 나타난 이주의 전통을 통해 ‘혼종성과 대중성’, “인천 제물포 모두 살기 좋아도 / 왜인 위세로 난 못살겠네 흥”이라는 부분을 통해 ‘항일정신과 비판정신’ 등 인천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천아리랑」의 대중화 방안으로는 먼저, 「인천아리랑」의 사설의 성격을 현실 비판적 성향과 대중의 삶을 토로할 수 있는 정서로 규정하고, 다음으로 「인천아리랑」의 가락에 현재 인천의 정체성과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사설을 얹어서 부르기를 통해 현대에도 향유할 수 있는 노래로 전승, 저변을 확대한다. 마지막으로 풍부한 문화적 요소를 함축적으로 상징, 표현하는 영화, 연극, 뮤지컬, 드라마, 춤, 문학 등 장르의 다변화는 물론 「인천아리랑」 표준악보에 기초한 연주 개발 및 디지털 음악콘텐츠 제작으로 다양한 생활, 실용, 대중음악으로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중화 방안 아래 시민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문화 상품으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모색한다면 「인천아리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채록된 아리랑으로서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물론 대중화에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천지역 도로망 변천 연구

        이찬우(Lee Chan-w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인천지역의 모습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여러자료들과 지도를 활용하여 주요 도로망의 변천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 인천지역을 인천부(제물포), 원인천(구인천), 부평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개항 이후 새로이 형성된 근대 인천부 관내 시가지의 주요 도로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 도로망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인천부사』에서 언급하는 주요 도로들을 근대 인천지역의 여러 자료와 지도들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근대 인천 시가지 외곽지역의 도로망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883년 개항 이후 인천은 수도 한양(경성)과의 지리적 인접으로 인한 중요성 뿐 아니라, 수탈의 중심으로서 경제적 측면의 중요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따라서 인천항을 통한 원활한 수출입과 인천 주변 시장 확보 및 군수물자 이동을 위한 산업용 교통시설이 매우 중요하였다. 본 연구는 여러자료와 지도들을 통해 일제 강점기 인천지역의 주요 산업도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utilizes a map and multiple data to be examined whether the transition of the main road network changes how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Incheon in Japanese Occupation. For the study, this study separate modern Incheon in three regions ; City of Incheon (Jemulpo), Origin of Incheon (Old Incheon), Bupyeong. And the study investigates as follows: First, I research the main roads of the modern City of Incheon jurisdiction, which is the new downtown of Incheon. As a reference to determine the major road networks, this study reviews the reference of the main roads in “The History of Incheon City” with various maps and archives of modern Incheon. Second, I research the modern industrial roads of Incheon suburb. Since opening in 1883, Incheon is also important, as well as due to the geographical proximity of Hanyang (Gyeongsung), and areas of high importance in economic terms as the center of exploitation. Therefore, the transportation of seamless import and export through the Incheon and surrounding near markets and munitions moving wa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study evaluats various maps and archives for major industrial road of Incheon region in Japanese Occupation.

      • [논단 6]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 다블뤼의 기록과 여타 기록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 KCI등재

        1940년대 초 인천지역 화교사회의 동향

        배성수(Bae S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4 No.-

        1937년 시작된 중일전쟁이 1941년 세계대전으로 확대되면서 일본 본토는 물론 조선 전역이 전시체제에 돌입하였고, 식민지 조선은 전쟁 수행에 희생을 강요당했다. 일제는 물자의 수급을 조절하기 위해 엄격한 통제 정책을 시행하였는데 특히 경제 분야에 대한 통제는 조선인뿐 아니라 조선에 거주하고 있던 화교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 지원을 위해 시작된 일제의 경제통제 정책은 모든 물자 유통의 통제로 이어졌고, 화교들의 주식이라 할 수 있는 소맥분에 대한 가격과 배급통제도 실시되었다. 인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은 인천화상상회에서 주관하였으며, 사전에 수요를 파악하여 세대별로 할당량을 정하는 보다 강력한 배급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화상상회가 사전 조사를 통해 세대별 배급량을 정하고 각 세대에 배급증을 교부하면, 화교 세대는 그에 따라 지정된 판매업자로부터 소맥분을 구입할 수 있었다. 엄격한 배급통제 구조속에서도 일부 화교세대는 배급증을 이중으로 교부받아 소맥분을 부당하게 취득하는 사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당시 화교사회의 소맥분 배급이 원활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글에서는 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4월 생산된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와 이보다 4~5개월 뒤에 작성된 「仁川華僑世代別名簿」자료를 분석하여 1940년대 초 인천 화교들의 생활상을 살펴보았다. 두 자료를 통해 파악한 1942년 인천 화교사회의 모습은 그간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산동성 출신의 화교가 93%를 차지하고 있었고, 가족단위로 구성된 세대가 많아 정주성이 강한 인천화교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천의 화교상권은 업종에 따라 지역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잡화상, 금포상 등은 번화가에 위치한 반면, 음식점은 인천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당시 화교인구의 절반가량이 무직으로 파악되었는데 아동과 여성이 주를 이루고 있어 가족으로 구성된 세대가 많은 인천 화교의 특징을 재차 확인해 준다. 두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항은 1935년 당시 450명이 넘는 직업분포를 보이던 화교 농업세대가 누락되어 있다는 점이다. 두 자료 모두 인천화교 전체인구의 65~75% 정도만을 기재하고 있는데 여기에 華農 세대를 포함한다면 당시 인천 화교사회의 완전한 모습을 복원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로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이 글에서는 인천광역시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화교자료를 학계에 소개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Following the Sino-Japanese war that broke out in 1937, for which the Joseon dynasty as a whole was mobilized into the state of war, it was proliferated into the World War in 1941 that forced then-colonized Joseon to sacrifice for the warfare. The imperialist Japan implemented a strict control policy especially for economic sectors in order to control supply and demand of commodities that widely affected lives of the Chinese expats in Joseon. This thesis examined the life style of the Chinese expats living in Incheon in the early 1940s through analysis of 「華僑領取小麥粉詳細表」 published in April, 1942 in the midst of the war and 「仁川華僑世代別名簿」published 4 to 5 month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former. Above all, analysis of these two materials haven’t identified much difference from what had been revealed through prior researches over the life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in 1942. The Chinese from Shandong province accounted for 93% and it showed its unique sedentary characteristic as most of the Chinese residents formed family units. The Chinese commercial districts tended to be concentrated in certain regions depending on their business types. While general merchandisers and silk fabric vendors were populated in downtown, restaurants were located relatively widely across the whole areas of Incheon. At that time, almost half of the Chinese expats in Incheon were identified as being out of job but most of them consisted of women and children, reconfirm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o are formed as family units. What was found in common from the two materials was that more than 450 Chinese expats who had job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n 1935 weren"t counted into the total population. Both of the materials reflect only 65~75% of the total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It is regretful that the chinese expat community in Incheon at that time could have been restored in such a complete format if those Chinese agricultural households were to be included. Besides, this thesis aims to introduce materials related to the Chinese population in Incheon which is now archiv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useum to the academic circle although they have certain properties lacking in many ways.

      • KCI등재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방법 연구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0 No.-

        한국의 근현대 시대상을 반영하던 인천 지역에는 역사기록물을 포함한 각종 형태의 근현대 문화유산이 산재되 어 있다. 그에 따라 인천의 지역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근현대 문화유산이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은 기관별로 수집하여 관리, 보존하며 기관의 설립목적에만??부합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문화유산 범주 내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위하여 문화기관??협력을 통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엄청난 분량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근현대 역사기록물을 재가공하여 반영구적 보관이 가 능하게 하는 것을 넘어 인천의 근현대 역사와 문화에 대한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지역 시민의 정체성 함양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천의 근현대 역사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의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한다. 먼저 초기단계로서 기록화의 목적과 범주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전문적 실무팀과 자 문위원 구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어 실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 파악을 위하여 인천광역시립박물관과 인천 광역시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의 소장현황과 관리 실태를 논의한다. 이어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디 지털화와 표준화를 위해서 문화재청에서 문화유산 관련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기록화 사업의 표준화를??위해 제시한 가이드를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인천 근현대 역사기록물의 메타데이터??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메타데이터를 기능에 따라 비교, 분석 후 매핑하는 방식을 취하여 참조테이블을 작성한 다. 하지만 이와 같은 내용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정책, 기술, 예산 인력 등의 협의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할 것이 며, 그러한 기반은 인천시청과 같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의 기록 보존과 시민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필요한??것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가능한 일 것이다. 본고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밑그림을 제시하고, 그 필요성에 대 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한 연구이다. Various types of modern cultural heritage including archives are spread in Incheon which reflected the??phases of the modern times. Along with this, it is needless to say that modern cultural heritage has an??important value in order to establish the locality and identity of Incheon. Presently modern historical??archives in Incheon have been collected, managed and preserved by each institute and used in accordance??with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the method of Digital Archive??construction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cultural institute for modern archives in Incheon in the range of??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es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regional citizens' identity cultivation by utilizing it as the??field of education on modern history and culture of Incheon surpassing the purpose of enabling semi- permanent storage of modern archives through reprocessing them which have a huge quantity and various??types. This thesis suggests the model of modern archives' digital archive in Incheon, and to do so, suggests the??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First, it concretely defines the purpose and the range of documentation as??the initial stage, and discusses the composition of professional practical work group and consultant group.??Also, in order to grasp actual modern archives in Incheon, it discusses current status of possession and??manag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Museum and Incheon Hwadojin Library rural·port opening cultural??material center. And in order for modern archives to be digitalized and standardized, it applies the guide??which was suggest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documentation project which is progressed individually by??the institute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o Incheon modern historical??archives. Lastly, a crosswalk is composed by taking the method of mapping after comparing and analysing??the existing meta data along with the function for metadata design of Incheon modern archives. However, in order for such contents are materialized, the establishment of discussion on the policy,??technology, budget, manpower, etc. should be prepared, which establishment can be possible when the??local government as Incheon acknowledges that it is necessary for regional record preservation and??citizens' identity establishment. This thesis suggests a sketch for digital archive establishment, and intends??to give an awareness of its necessity.

      • KCI등재

        한국 현대 서사문학에 나타나는 인천

        오양호(Oh, Yang-Ho),양승모(Yang, Seung-M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황해』의 주인공 및 주요 인물 역시 인천의 인근도서 · 인천에서 태어나 인천에서 자라고 인천에서 학교를 다녔다. 해방 전후기 인천 지역에서 일어난 사상적 대립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인천의 정체성 탐색’을 위한 텍스트로 선정될 수 있었다. 이 소설에 나타난 인물을 인천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주인공 서준혁은 그 인간상이 사회주의 이념의 화신으로 나타났다. 덕적도 아랫개 마을 사공촌에서 태어난 이 빈민 출신은 중학시절부터 선주와 사공의 이익분배가 잘못된 것을 지적했고, 학교 졸업 후에는 대학진학을 포기하고 인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건설하려는 사회주의 운동에 뛰어든다. 그 후 이승엽, 조봉암, 김원봉 등과 만나면서 철저한 사회주의자가 되어 인천지역 노동자를 선동하여 파업을 주도하고, 자본가의 노동자 착취를 선동한다. 사공들을 규합하여 사공들 짓잽이를 늘이는 운동을 벌려 좌익 세력을 키우면서 사회를 전복시킬 기회를 만들기 위해 줄기차게 활동한다. 그러나 6·25 전쟁에서 인천이 함락되자 국군에 붙잡혀 처형된다. 주인공의 이런 일생은 선재도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북한에서 인민위원회 멤버까지 된 인천 출신의 신화적 맑시스트의 이승엽을 연상시킨다. 『황해』에는 두 사람의 전형적 계몽주의자가 창조되어 있다. 첫째 인물은 한관호이다. 이 인물은 원래 지주 출신 지식인으로 인천상업중학에서 교편을 잡는다. 동경 유학까지 했지만 철저한 민족주의자로 서준혁의 사회주의사상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준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중도적 위치에서 교육하고 계몽한다. 둘째 인물은 유두희이다. 이 인물은 인천의 무산청년동맹을 이끄는 좌파민족주의자이다. 동경유학시절부터 맑시스트가 되어 지하 활동을 통해 사회운동을 전개해 왔다. 이런 형태는 일제 강점기 무산대중을 등에 업고 민족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신명을 바치던 전형적 좌파 지식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황해』에는 해방기 인천에 실재했던 우파자본가, 친일파 · 변신 · 권력과 결탁하는 기회주의자, 이데올로기의 틈새에 희생되는 인간상들이 다양하게 창조되어 있다. 선주 유치규, 사장 강용만이 우파자본가의 전형이라 한다면, 김무길은 친일주구, 민족 반역자 기회주의자의 전형이고, 서달호와 그의 처는 무지한 탓에 이데올로기로 불행해지는 인물들이다. 강문구와 서준혁을 사랑한 한정임, 유동식 등은 본질적으로는 극히 양질의 인간인데 시대와 사상 탓에 희생당하고 고난을 겪은 현대 한국인의 비극적 초상이다. This thesis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study and literary geography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studying of Incheon appearing in Korean modern novel the 『HwangHae』. The conclusion are as belows. Firstly, The Hero Su Jun-Heouk is an incarnation of an ideology. He is born poor. After graduation to participate in the socialist movement. Secondary, the 『HwangHae』 create two enlightenmentist of ideolgy. One is nationalist Han Gwan-Ho who is the ethos in education and enlightenment centrist position. The other one is Left-Wing nationalist Yu Du-Hee. As a Marxist, is typical of Left-Wing intellectuals. Thirdly, 『HwangHae』create diversity character who are capitalist, pro-Japanese, opportunist, ideologist. They are all being sacrificed suffering due to age and ideology.

      • KCI등재

        인천지역 설화를 통해 본 인천의 지역성 탐색

        남동걸(Nam, Dong-Geol)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6 인천학연구 Vol.25 No.-

        설화는 민중들이 향유하던 구전문학으로 당대인의 생활상이나 풍습이 잘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인천지역 설화는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채록된 인천의 설화들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확인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고에서는 인천 설화를 ‘개국 및 성씨 시조 설화’, ‘풍수 설화’, ‘산 이동 설화’, ‘아기장수 설화’, ‘민속 관련 인물 설화’ 등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국 및 성씨 시조 설화’에서는 비류의 미추홀 개국설화와 강화 하음봉씨 시조설화를 예로 들었다. 비류의 미추홀 개국신화는 주인공의 영웅적 행위가 빠진 불완전한 신화로 이는 실패한 건국이라는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았다. 이런 까닭에 비류와 관련된 설화의 전승이 전무하지만 한 나라의 수도였다는 자긍심만은 문학산의 안관당 설화 등을 통해서 남아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하음 봉씨 설화는 성씨 시조 설화이지만 신화적인 모티프가 있어 인천의 신화로 자리메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인천의 ‘풍수 설화’에는 묫자리와 관련된 음택 설화와 수도를 정하는 정도(定都) 설화, 혈맥을 끊는 단혈설화 등이 있었다. 이들은 모두 인천의 지세가 풍수지리적으로 명당이었음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설화였다. 인천의 ‘산 이동 설화’는 단순구조형도 있었으나 대부분 건도(建都)와 관련한 산 이동 설화였다. 건도와 관련하여 먼 바다에서 떠내려 오던 산들이 인천에 멈춘 것은 ‘건도참여 좌절형’이기보다는 인천이 한양과 견줄만한 곳이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인천의 ‘아기장수 설화’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아기장수 설화의 특성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생존형 아기장수 설화는 도성과 먼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지만, 도성과 가까운 인천에서도 생존형 아기장수 설화가 나타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천의 생존형 아기장수 설화는 생존한 아기장수가 불구로 삶을 마감한 실패형이었다. 이는 도서지역이 많은 인천이지만 도성과 가깝다는 지역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았다. 끝으로 ‘민속 관련 인물설화’에는 손돌 설화와 임경업 장군 설화가 있었다. 손돌 설화는 손돌 추위라는 자연 재앙은 하층민의 반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이는 지배층의 진정한 참회와 반성에 의해서만 해결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리고 임경업 장군 설화는 연평도를 중심으로 한 도서지역민들의 주신(主神)으로 섬기고 있었을 정도인데 이는 억울하게 죽은 임경업의 모습이 투영되었다기보다는 백성을 돕고 지켜주는 지혜로운 은인으로 형상화되었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