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2) - 중학교 1학년용을 중심으로

        송지언,오현아,김효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국어교육연구 Vol.23 No.-

        Cyber Home Learning system currently available at the homepage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s to be renovated, beginning with the contents for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2010. For this,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in charge of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subject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2009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contents development, the current research first examined the direction of 2007 Korean curriculum revision.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ctual discourses most, and calls for a languag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discourse. As a result,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actual discourses in the control of contexts constitutes accomplish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curriculum expands media rela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of language in use and its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bove, the current research confirmed accomplishment criteria and content elements of Korean subject and established development direction of contents for Korean subject accordingly, plann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with storytelling method and narrativ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emphasis on context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its general language educational viewpoint. Through this, learners will be able to discover and inquire problems in the everyday language of theirs. In additio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ill be implemented so as to aim at integration among each area while focusing on unique learning contents of six subordinate areas of Korean subject. From the coming year, authorized textbooks in stead of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will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Currently, 23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have passed authorization.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btained five among them and analyzed their learning goals by chapter and content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curriculum. The five textbooks all distinguished in terms of format, material, area, accomplishment criteria and the order of contents. Learners and teachers are likely to bear more burdens of confusion from various contents of Korean subject and increase in purchase of reference books. Accordingly, Cyber Home Learning System of Korean subject will function as supplementing side effects of appearance of various textbook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uthorized textbooks and abstracting essential contents on the basis of accomplishment criteria of the revised curriculum. 현재 전국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중인 사이버가정학습이 2010년부터는 7차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중학교 1학년용 콘텐츠부터 새로운 내용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는 2009년 사이버가정학습 국어과 중학교 1학년용 콘텐츠 내용 개발을 담당한다. 콘텐츠 내용 개발을 위해 우선 2007년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개정 교육과정은 실제적인 담화를 중시하며, 이와 관련하여 담화의 맥락 속에서의 언어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그 결과 맥락의 제어를 받는 실제적인 담화의 수용과 생산 활동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이루고 있다. 한편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개정 교육과정은 매체 관련 내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내용 요소를 확인하여 이에 따라 국어과 콘텐츠 내용 개발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즉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실제 언어 사용의 맥락 강조와 이것이 터하고 있는 총체적 언어교육관에 근거하여 스토리텔링 기법과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 방법을 구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현실의 언어생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이버 가정학습 콘텐츠는 국어과의 6개의 하위 영역들의 고유한 학습 내용을 부각시키면서도, 각 영역 간 통합 학습을 지향하도록 구현될 것이다. 내년부터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국정 교과서가 아닌 검인정 교과서가 교육현장에 투입된다. 그런데 현재 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총 23정이 검인정을 통과한 상태이다.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는 이 가운데 5종을 수합하여 단원별 학습목표와 개정교육과정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5종의 교과서는 교과서 체재와 제재, 영역 및 성취기준 조합, 교육내용의 출현 순서 면에서 모두 달랐다. 이에 학습자와 일선 교사들은 다양한 국어과 학습내용에서 오는 혼란과 참고서 구입비용의 상승과 같은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에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검인정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의 핵심이 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교과서의 출현이 가져오는 부작용을 보완하는 중요한 교재의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 정립에 관한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남지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9 국어교육연구 Vol.43 No.-

        This study’s purpose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First,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problem’s consciousness . This demonstrated the ambiguity surrounding both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choosing textbooks’ contents. To ameliorate these problems, we explo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ight of linguistic typology . Through these efforts, we pres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hich focus on 1) language universals 2) implicative universals; and 3) educational views aiming to interpret the essence of language. Based on the ‘self-similarity’ between the general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explicit education about it, it was discuss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guarantee a total grammar experience by itself. And we specified the potential for grammar-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어의 특성’ 개념과 교육 내용 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유형론적 관점 특히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탐색한 결과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함축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해석을 지향하는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총체적 앎과 ‘국어의 특성’에 대한 앎의 ‘자기 유사성’을 기반으로 명시적 교육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성’ 교육은 명제적 지식 교육이 아니라 그 자체가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총체적 문법경험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하게 될 문법교육적 경험의 가능태를 구체화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 국어를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 형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어 문화에 대한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 교육 연구

        최소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n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not enough now, although the aim of Korean education always includes the statement about Korean culture. It's possible to supplement some contents for cultural education, keeping the area and system of Korean education. Observations in historical changes of vocabularies are taken part in cultural education contents. Vocabularies shows us very good examples of culture, especially lexical history contains amount of excellent samples about certain cultu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lea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literacy. Therefore lexical history education can be an important part of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s described some lexical history education about very basic materials of life in Modern Korean: ‘Yang-bok’(suit), ‘Ja-jeon-geo’(bicycle), ‘Shik-sa’(meal). Modern Korean lexical histories reflect dynamic mov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such as today. It's useful that students may be aware of their own language habits and ways of thinking, and eventually they can have an effect on the culture. 본고는 국어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의 설계를 위해서 국어 문화에 관한 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방향으로는, 먼저 국어 문화를 범주화한 후 기존의 국어교육 내용을 재편하는 길과 기존 국어교육의 틀은 유지하되 국어 문화적 내용을 보강하는 길을 생각할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아직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하며 후자로도 문화적 내용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아 후자의 관점을 택하였다. 이어서 국어 문화의 교육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어휘사 교육에 주목하였다. 어휘사는 삶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역사적 실체이므로, 어휘사 교육은 국어의 발전과 문화적 문식성 함양에 기여한다. 교육 내용이 되는 어휘사는 교육 목표에 따라 다양한 범주화가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국어사의 시대 구분에 따라 범주화하고, 역사와 문화의 격변기였던 근대국어의 어휘사를 예로 들어 교육의 실제를 보였다. ‘양복’의 예에서는 성차별적 문화를, ‘자전거’의 예에서는 외래 문물 수용에 대한 문화를, ‘식사’의 예에서는 예절 문화를 중심적으로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일상생활 속 어휘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언어생활 습관이나 가치관이 언어 변화, 나아가 문화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 KCI등재

        융합시대 국어교육학의 정체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근대의 제도로서 국어교육이 시작된 것은 1895년부터이지만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의 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1980년대 후반의 일이다. 그 논의는 주로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국어교육학의 본령(本領)으로 간주하여 연구 영역의 구성과 그 구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암묵적인 절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이 인간의 향상과 사회의 유지와 발전의 본질적 요소의 하나임을 입증하는 데에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학의 연구 대상이 다른 분과학문들의 연구대상이기도 한 점에서 국어교육학은 기본적으로 학제적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국어교육이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로 획득한 언어 자질을 계발하고 인간의 사회·문화적 진화로 형성한 여러 층위의 소통체계에 적응하고 나아가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므로 국어교육학은 인문학·사회과학과 같은 성격의 학문에 속한다. 아울러 기능적·사회적·문화적 국어활동에서 정보들을 회통(會通)하고 창조해내는 능력을 기른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은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기초교육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은 학문 세계에서의 기초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이런 인식을 기반으로 향후 융합의 관점에서 학문 체제가 개편되고, 아울러 대학의 연구·교육 조직이 재편된다고 할 때 국어교육학은 다른 분과학문이나 융합학문과 생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began in 1895, it did not begin to be recognized as a discipline until the late 1980s. In the discipline formation process, the main issue in KLE has been whether the constituent research areas should be constructed exclusive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this issue is out of focus. The assumed research areas are common area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eaning that KLE as an academic discipline (KLEA) is interdisciplinary. Furthermore, KLEA must acknowledge that KLE is integral to the eleva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No disciplines thus far have clung exclusively to certain research fields. Indeed, interdisciplinary studies represent a general trend, and academic reorganization in keeping with that trend has been recommended. These academic situations pose serious challenges to KLEA, specifically demanding an identity change, as the current structure is incongruent with the current times. Such a change entails reflection on the role of language and education in human life.

      • KCI등재후보

        국어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최소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9 국어교육연구 Vol.43 No.-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함께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와 <언어와 매체>는 이전까지의 역대 교육과정과 달리 국어사가 ‘현재’의 국어에까지 미치는 ‘변화’에 주목하며 ‘역사성’을 함께 논하였다. 국어사 교육을 통하여 현재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것을 요구하며, 국어사 교육의 현재적 의의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세국어와 현대국어로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언어 변화에 단절이 생긴다는 점은 문제적이다. 교과서의 경우,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국어와의 비교 의식을 강조하는 서술 및 활동 구성이 전반적으로 부각되었다.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는 이전 성취기준에서보다 강조된 ‘자료’의 활용과 관련하여 변화된 면모를 찾기 어려웠다. 국어사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적 요구에 부응하고 교과서에 나타난 한계점을 보완하며 국어사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석적 관점의 ‘탐구’가 추구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설계 시부터 탐구를 염두에 두어 성취기준이 구성되어야 한다. 교과서에서는 언어 변화를 추적하여 가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반영하는 단계적 구성의 학습활동은 물론, 교과서의 서술 텍스트와 자료 텍스트에서도 탐구에 적절한 내용 요소 선택 및 구성을 모색해야 한다. In contrast to previous Korean language history curricula, the 2015 Revised National Ccurriculum’s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nd the Media” section, addresses the Korean language’s history. It notes changes which, over time, have led to the language’s current iteration. Howeve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to Middle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s problematic. That is, this narrow focus overlooks significant language changes. In terms of textbook review, the descriptions and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ighlighted the comparative description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n “Language and the Media”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find changes regarding the data use emphasized in achievement criteria. It is important to pursue avenues leading toward inquiry from an interpretative perspective. Doing so will help to 1) meet Korean-language history’s current educational needs; 2) supplement textbooks’ limitations; and 3) develop future Korean-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curriculum design, achievement criteria will need to be established with the goal of fostering student inquiries. Textbooks should seek to select and organize appropriate content elements for student exploration via descriptive texts and material texts.

      • KCI등재

        한국 초·중등학교와 대학의 국어교육의 동질성과 차별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o as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e need to consider following particulars. 1.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needs to be recognized again. Both aim at educating men of culture,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that it uses Korean academically. 2.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aim to develope language ability required to well-educated class. Concerning developing language ability for academic research, college education should undertake the role. 3. Assignment division is necessar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Level of language ability to be attained in each should be agreed to avoid duplication in instruction and achieve excellence in education quality. 4. Overburdened contents in national curriculum for should be controlled. College education needs to apparently concentrate on specific fields such as essay writing and discussion speech. 5. To en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relevant policies should be examined critically and modified properly. 지난 60여년 간 한국의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의 연계와 그 구체적 실천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없었던 결과 각 단계의 교육이 그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이 동질성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이 실천되어야 한다. 1.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두 교육 모두 교양인의 형성을 지향하되, 대학의 경우 한국어를 학문의 언어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2.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반복과 심화의 과정을 통해 교양인의 국어능력을 기르며, 학문 활동과 관련한 국어 능력을 대학에서 확장․심화한다. 3.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역할 분담을 해야 하며, 중등학교에서 달성해야 할 국어능력과 대학 교육이 추구해야 할 국어 능력에 대해 상호 합의하여 중복 교육을 피하고 질적 수월성을 달성해야 한다. 4. 초․중등 국어교육은 실현할 수 없는 과도한 교육 내용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정하게 조절해야 한다. 대학의 국어교육은 국어교육의 영역들 중에서 명시적으로 선택과 집중 교육을 하되, 다른 영역들은 잠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해야 한다. 예컨대 논술 중심의 작문 교육과 토론 중심의 화법 교육을 명시적으로 하되 듣기 교육, 읽기 교육 등은 대학 교육 전반에서 행해지도록 해야 한다. 5.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연계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재수립해야 한다.

      • KCI등재

        대만의 언어 정책과 국어교육 현황

        센슈민,TSENG TIEN FU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본문은 네 단락으로 나누어 대만의 언어 정책과 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첫 번째 머리말에서는 대만 언어 정책과 국어교육의 특수성과 그 원인을 소개하였고, 두 번째 단락은 1945년부터 현재까지 모두 4개 단계로 나누어 언어 정책의 추이와 각 단계별 초점을 소개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기본적으로 국어(mandarin)의 독존적 지위를 파기하고 다족군의 다언어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 단락은 국어교육의 현황으로 이 부분은 초중등학교를 포함하는 9년일관(초등학교1학년-중학교3학년)과정과 고등학교로 나누어 고찰했다. 9년일관과정의 본국어문교육은 이전의 지나친 암기위주, 생활경험과의 이탈, 점수위주의 평가방식 등에 대한 반성과 비판을 통해 학생들의 부담을 덜고 인성의 전면적인 발전과 시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내용을 위주로 하는 교과과정이다. 고등학교 국문교육은 기본적으로 초중등학교의 교과과정을 통괄하는 원칙인 9년일관과정과 대학의 교양교육과의 원활한 연계를 목적으로 채택한 95과정에 기초한 것인데, 어문교육이 바로 인문교육이라는 이념에 의거하여 국문기본능력 외 사회와 접촉하며 일상생활에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마지막 단락에서는 대만의 언어 정책의 연혁과 현황, 그리고 초중등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누어 살펴 본 대만의 국어교육 현황에 기초하여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을 정리하고 현재 진행중인 교육개혁안에 대해 소개하였다.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four paragraphs to introduce Taiwan's language policy and national language education status. In the first part of the introduc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aiwan since the modern timesand the composition of Taiwanese society are introduced to aid in understanding. Second paragraph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language policy which divides it into 4 stages from 1945 upto today, and the progress of language policy and the focus per-stage are introduced. The third paragraph deals with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is divided into the 9-year program including elementary/middle schools (1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3rdgrade in middle school) and the high school program. In the final paragraphs, based on the timeline and current status of the language policy of Taiwan, and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of Taiwan as examined in elementary/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troversial issues are organized to introduce the educational reform bill currently in progres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을 중심으로 -

        구영산,백경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1 No.-

        From July 9–13, 2012,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bout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difficulty of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rts (KLA). The results of this survey lead us to make four policy recommendations related to KLA: (1) We need to emphasize basic and essential reading/writing skills. (2) We need to make current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KLAC) easier especially with regard to grammar and its application, developing ideas for speaking and writing, positioning and reasoning. (3) The writing section in KLAC is currently too difficult. We should adjust the level of 1st-grade curriculum in KLA, especially the writing section, in response to students’ ability. (4) The Nuri (K-level) and 1st-grade leve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by people coordinat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Nuri and 1st-grade curricula.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2012년 7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5일 동안 인터넷웹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국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 855명과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2,470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수립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 초등학교 입학 전 대다수의 유치원에서 문자 언어 지도가 이루어지나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초’ 읽기 능력과 ‘기초’ 쓰기 능력 함양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재의 국어과 교육과정 전반이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문법 지식 및 적용’, ‘쓰기 및 말하기 과정에서의 내용 생성’, ‘의견과 까닭 생각하기’ 등을 가장 어려운 학습 내용으로 인식하였다.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모두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이 다른 영역에 비해 학생 수준 대비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 수준을 좀 더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4)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교육과정 개발 주체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정전과 미학교육 - 대만문학교육과 정전편제연구

        鄭文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8 국어교육연구 Vol.22 No.-

        문학 심미 교육을 중요한 영역으로 삼고 있는 중학교 국어 과목은 학생들의 언어/문학 능력을 신장하고 인문학적 소양과 도덕적 품성을 고양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교과목이다. 또한 학습자의 생활의 질을 고양시키고 삶의 차원을 한층 더 높여주며 그들로 하여금 문화적 전통을 계승하고 추진하게 하는데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다. 대만에서는 다년간 교과과정 성취 기준, 교과서 편찬, 교수 방법, 평가 문항 출제 방향이 국어 교육의 활성화와 추진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교과과정에서 각 과목의 과정 목표, 교육 시간 분배, 강의 개요 및 시행 방법, 강의 평가 등은 수업이나 교재 편찬에서 가장 중요한 지도 원칙이라고 볼 수 있다. 국어 교과서는 교과과정 및 편집자의 이념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는 국어 교사가 수업을 할 때 주요 매개물로서 문학교육의 전체적인 교육 방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교사와 학습자로 하여금 미적 감수성을 가지고 사물을 바라보게 하는 것, 문학 교과서의 다양한 미적 요소와 의미를 개발하고 추출하게 하는 것, 지성과 이성을 겸비하게 하는 것, 지식을 전수하는 것, 감정과 의미를 결합하여 미적 감각 체험을 가지게 하는 것, 학생으로 하여금 참신하고 다원적인 문학 시야를 갖게 하고 인문학적 소양을 고양시키는 것, 문화적 뿌리를 든든히 하여 학생의 총체적인 발전을 촉발하는 것, 자족적인 생명의 경지를 추구하게 하는 것이 문학 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교과과정 요강과 국어 교재, 문학 정전과 미학 교육, 의식 형태 및 정전 구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대만 중학교의 문학 교육과 정전 편제를 논하려 한다. 정치, 사회, 문화의 흥망성쇠는 필연적으로 문학 정전의 재해석과 재선택을 불러일으킨다. 문학 정전 자체도 끊임없는 인정과 부정의 과정을 거쳐 온, 언어 권력과 의식형태의 갈등의 장이다. 그러므로 문학 정전을 구성하는 작업은 새로운 문학 건설에의 꿈을 개척하는 일이면서도, 새로운 해석이 정당성을 가졌을 경우, 거기에 어느 정도의 문화 폭력이 잠재하게 되는 것이다. 끊임없는 독서와 문화적 작용을 통하여 텍스트가 체계화되고 역사의 인정을 받는 과정에서, 경제/문화 체제와 주류적인 의식 형태 속에서 정전 작품을 비판하고 반성함으로써 정전을 해체하고 재구성하고 정전의 다양성을 촉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