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미국 국외입양 논전에 나타난 아동의 소외

        박정준 ( Park Jeongjun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2

        20세기 후반 국외로 아동송출을 시작한 러시아는 오늘날 주요 입양송출 국이 되었다. 아동보육시설에서 거의 방치된 러시아의 아동복지 실태는 일부 미국인들의 동정심을 자극하여 러시아 아동 입양 열풍을 부추겼지만, 곧 일부 러시아 입양아의 적응 문제가 불거진다. 언론은 러시아 입양아의 신경정신질환이 러시아에서 겪은 상처 때문으로 단정하며, 이상적 보육환경을 갖춘 미국과 러시아의 아동복지 상황을 대조시킨다. 하지만 “죽어가는 아동”을 살려내겠다는 입양이 파양이나 학대로 귀결되는 사건을 통해 국외입양 원칙의 현실적 한계가 드러난다. 한편, 미국에 입양된 자국 아동들의 학대사건과 파양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러시아 측에도 문제가 나타났다. 러시아 입양아의 인권유린 금지를 위해 입안된 관련법 제정과정에서, 미국으로의 입양을 초래하는 러시아의 문제가 충분히 숙고되지 않았다. 또한, 자국아동들이 러시아에서만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다는 자세와 달리, 러시아의 아동학대 상황은 심각했다. 이후 서구의 대(對)러시아 제재가 강화되자, 러시아는 아동보호라는 명분으로 추가법률을 제정하며 아동보호에 적극적 의지를 보였으나, 그 법률들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의 입양논쟁은 외교전으로 비화하여, 결과적으로 러시아 입양아의 인권문제는 희석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problems suffered by Russian children due to the effects of U.S. Russia Relations, as Russia became a major sending country of adoptees to the USA. Adoption from Russia began in the 1990s when thousands of Americans went to Russia and adopted much `social orphans` raised in orphanages. Rescuing Russian orphans and adopting white children are the main reasons why American adopters have adopted more than 46,113 Russian children since 1999, but that number has slowed to a trickle in recent years as tensions over ado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ncrease. The American adoptive parents fear that adoptees from Russia experience pre-adoption adversities such as birth mothers` alcohol and substance use during pregnancy. Some Americans send back adopted Russian children with `behavioural problems`. The true nature of transnational adoption came to light in this respect. Deaths of about 20 adopted Russian adoptees in the USA spark outrage in Russia. Russia`s adoption ban was passed in retaliation for the United States` passage of the Magnitsky Act, a human rights bill targeting Russian officials. However while it is designed to protect Russian children, Russia did not talk about child abuse in their country. Laws designed to protect Russian children isolate the most vulnerable Russian children that find the assistance they need it.

      • KCI등재

        Political Exiles as Colonial Agents(식민 활동가로서의 정치적 유형수: 1860-1890년대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지리학 협회의 활동과 정치범 출신 탐사자들의 역할)

        Lynda Yoon-Sun Park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3 러시아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19세기 후반 제정 러시아에서 시베리아에 유배된 정치범들이 이 지역의 탐사에 동원되면서 결과적으로 식민 활동가의 역할을 하게 되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정치범들이 시베리아 탐사에 동원된 것은 러시아 제국 지리학 협회(RGS) 시베리아 지부 - 1878년부터는 동(東)시베리아 지부 - 의 주선에 따른 것이다. 이 협회의 본부는 원래 자유주의적 성향의 인물들이 주도하였으나, 시베리아 지부는 제국주의적인 경향을 좀더 강하게 띠고 있었다. 즉 이 단체는 시베리아 전역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권을 확립하는데 기여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오지·미개척지에 대한 탐사가 불가결하였는데, 이 목적을 위한 최적의 인력으로 선택된 것이 시베리아에 유배된 정치범들이었다. 정치범들은 1)탐사에 필요한 학문적·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를 활용할 기회를 가지기를 바라고 있었고 2)유형수라는 지위에서 비롯되는 법적 제약 때문에 시베리아를 벗어나지 못할 뿐 아니라 정부의 통제 자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처지였으며 3) 그들의 궁핍한 경제적 상황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절실하게 원하고 있었다. 러시아 제국 지리학 협회의 시베리아 지부는 이들의 이러한 처지를 이용하여 이들을 시베리아 각지의 탐사에 동원하였다. 이에 따라 1860-70년대에는 역사학자인 쉬차포프, 폴란드 정치범인 체카노프스키, 크센조폴스키, 체르스키, 두보프스키 등이 시베리아 지역에 대한 인류학적, 동식물학적, 지질학적 탐사를 수행하였다. 1880-90년대에는 시베리아 지역주의자(oblastniki)에 속하는 정치범들이 비슷한 성격의 탐사를 계속하였다. 시베리아 현지 출신 러시아 지식인들로 이루어진 시베리아 지역주의자들은 러시아인들의 착취에 대항하기 위해 시베리아 현지인들을 교육·계몽할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이를 위해 역시 제국 지리학 협회의 동(東)시베리아 지부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 일대에 대한 인류학적·지리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타닌, 야드린체프, 클레멘츠 등이 그 대표적 인물들이다. 현지인들을 해방하기 위한 교육· 계몽 목적의 탐사에는 페카르스키, 보고라스 등 인민주의자 출신의 정치범들도 참여하였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시베리아의 주민·지리·식생·자원에 대한 광범한 지식이 축적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식은 제정 러시아 말기, 소비에트 정권 초기에 유럽지역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 지역을 효과적으로 지배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정치범 출신 탐사자들 가운데 일부는 자신들의 ‘문명화’ 사명을 확신한 나머지, 소비에트 초기에 이르러서는 시베리아에 대한 유럽 러시아인들의 계몽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으며, 이로써 이 지역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통제권이 강화되는 데 앞장서기도 하였다. 제정 러시아의 지배체제에 저항하여 유배된 인물들인 정치범들이 자신들의 원래의 의도와는 별도로, 결과적으로 시베리아 지역에서 러시아의 지배권이 확장되는데 일조하게 된 것은 역설적이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 정교 비평가들의 고골의 「무서운 복수」 연구에 대한 성서적 고찰 - 고골의 종말론 연구를 중심으로 -

        이경완 ( Kyong Wa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1

        오늘날 러시아 문예학계에서 러시아 민족의 종말론적 멘탈리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 정교 문화를 정통 기독교 문화로 규정하는 러시아 종교 문예학계에서는 “신학-교리적 접근”과 “민족종교-문예학적 접근”을 양 축으로 러시아 근대 문학 속의 종말론적 요소들을 새롭게 고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니콜라이 고골에 대한 종교 문예학적 연구에서도 그의 종말론적 세계관과 그의 작품 속의 종말론적 요소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에서 민족종교-문예학적 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분석 방식이 발견되며, 다만 러시아 종교 문예학적 연구의 전제와 결론은 고골은 러시아정교에 토대를 둔 종말론적 작품세계를 형성한 러시아 정교 작가라는 것이다. 그런데 고골에 대한 이들의 종교 문예학적 연구가 30여년 축적된 결과 이들 연구의 학술적 전문성과 사회문화적 파급효과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시각에 거리를 두는 연구자들 역시 이들의 연구 결과를 참조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러시아 정교와 같은 신중심적 세계관에 속하는 성서적 시각에서 고골의 종말론적 작품세계에 대한 종교 문예학적 연구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필자의 연구는 러시아 종교 문예학자의 연구처럼 현대 인문학의 신학적 회귀 현상 가운데 신중심적 회귀의 지류에 속하며, 따라서 그들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 기독교 관점의 신학적 회귀 현상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의 성서적 종말론은 그리스도중심주의와 성서주의를 원칙으로 무천년설과 과거주의적 해석을 핵심으로 하는 반면, 러시아 정교회의 원칙적인 종말론은 전천년설이지만 관례적으로는 세대주의적 종말론의 민족주의적 변형과 후천년설의 세속적인 변형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는 러시아 메시아주의를 핵심으로 한다. 그리고 17세기 구교도들에 의해서 염세주의적 종말론이 확립된 이후,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염세주의는 러시아 근대 문학에서도 거의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는 오늘날 러시아 종교 문예학자들의 러시아 정교 중심의 종말론 연구와 보다 특수하게는 고골의 1820-30년데 초의 종말론적 세계인식이 뚜렷하게 반영된 「무서운 복수」에 대한 종말론 연구에서도 확인된다. 그리고 「무서운 복수」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은 고골의 러시아 정교 신앙을 전제이자 결론으로 제시하는 환원주의적 성격을 보다 강하게 지니는 반면, 민족종교-문예학적 분석은 이 작품에 담긴 우크라이나 바로크 문화의 염세주의적 종말론의 요소와 1820-30년대 러시아 낭만주의 문화가 고골에게 미친 무의식적 영향 등을 통해 적어도 20대 초 고골의 세계관에는 양가성과 모호성이 있음을 인정하는 차이를 보인다. 다만 「무서운 복수」에는 카자크 정신의 쇠락과 소멸에 대한 고골의 낭만주의적 우수와 신의 정의로운 심판에 대한 그의 의심이 강하게 표출되어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신학적 고찰은 물론 사회문화적,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고찰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필자의 성서적 시각에서 이러한 내적 대립과 연구의 사각지대의 발생은 러시아 종교 문예학계가 성서로의 회귀가 아니라 기독교 역사 속에서 형성된 러시아 정교 문화로의 회귀를 지향하는 데서 기인한다. 그보다는 성서적 종말론에 토대를 둘 때 고골의 종말론적 주제의식과 다른 종말론적 요소들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은 민속종교-문예학적 분석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자연스럽게 종교학적, 사회문화적, 심리학적 분석들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my biblical viewpoint, the spectrum of adequate biblical eschatologies includes premillennialism, post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from which have been derived diverse epigonic eschatologies. The post-Soviet Russian society shows the rapid growth of Russian Orthodox researches on the apocalyptic mentality of Russian people through the theological-dogmatic approach and/or ethno-religious literary approach. Accordingly, the Russian religious literary studies on Gogol’s oeuvres achieved academic professionality, inducing other researchers to refer to their researches through systematic discernment of appropriateness. My research aims to reflect on the Russian Orthodox eschatological culture and Russian religious literary studies on Gogol’s eschatological motives in his apocalyptic tale, Terrible Vengeance, from my biblical viewpoint. Conclusively, Russian messianism and pessimistic escatological mentality exert influence on Russian Orthodox researchers who identify young Gogol as Russian Orthodox writer and force out Orthodox-ethical themes from the tale. My alternative interpretation is that eschatological motives at the tale are not in accordance with Orthodox ideas, revealing the reminiscence of genre norms, his melancholy on the dissipation of heroic cossack spirit, and latent doubts on theodicy, which requires more biblic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valid and comprehensive Christian literary studies.

      • KCI등재

        19세기 후반 타슈켄트의 근대화 과정 -러시아식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일고찰-

        박태성 ( Tae Sung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4

        본 논문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타슈켄트의 근대화 과정을 통해 러시아식 오리엔탈리즘이 얼마나 효율적이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 당시 러시아 사회에 만연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도처에 나타난다. 하지만 러시아의 경우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특이성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러시아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본 뒤, 1865~1890년대 초 타슈켄트에서 이루어진 러시아의 근대화 작업을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그 후 1892년 발생한 콜레라 폭동에 의해 도시의 경계가 허물 어지고 동서 문화의 혼재 속에 러시아 제국이 어떻게 대처했는가를 고찰해볼 것이다.러시아 정복자들은 전통적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타슈켄트를 유럽적으로 만들기 위해 식민지 공동체를 관리했다고 하겠다. 하지만 불안정한 통치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한 방법은 강압적·약탈적이 아닌 유화적·점진적 노선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종교적 간극을 극복하지 못한 러시아 지배층은 교육과 문화적 수단을 동원하여 러시아화 정책을 추구했지만,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했다. 전통적인 오리엔탈리스트였던 러시아 지배층이 콜레라 폭동사건을 맞아 겪은 정신적 충격은 그들의 오리엔탈리즘을 변모시켰다. 무시해왔던 무슬림의 전통과 기술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러시아인의 식민정책은 이율배반적임이 드러났다. 하지만 사회적 안정이 회복되자 ``타자``에 대한 인위적 이미지가 되살아나면서 정복자로서의 권위를 복구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타슈켄트에서 보여준 러시아의 오리엔탈리즘은 대체로 ``문화적``이고 ``소극적``이었다. 지식과 인간성, 보편성과 협력을 통해 제국을 건설하려 했던 오리엔탈리스트는 점진적인 방법을 선택했던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궁극적인 성공은 유럽과 아시아의 벽을 허물고 진정한 동화를 이루어야 했으나, 러시아는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도 의지도 없었다. 타슈켄트를 양분하여 다스렸던 그들의 시스템은 여전히 동방민족에 대한 멸시와 공포가 혼재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러시아의 문화적-소극적 정책은 타슈켄트의 근대화에 크게 효율적이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larifying the effectiveness of Russian Orientalism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Tashkent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Orientalism of E. W. Said -Orientalism as a Western style of dominating, restructuring, and having authority over the Orient- was prevalent in Russian society at that time, showing that the evidence is everywhere. But it must be noted that should not fall into the trap of generalization of Orientalism in the case of Russia for specificity. We first look the theories of Russian Orientalism, and then the civilizing work of the Russians in Tashkent from 1865 to the early 1890s. Finally, will be investigated what the boundaries of the city was destroyed by cholera riots that occurred in 1892, and how the Russian Empire reacted in the confusion of the East-West culture. Russian conquerors managed to Tashkent colonial community to make Europ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ditional Orientalism. But the methods for stabilizing unstable governing system were forced to take not coercive-predatory route but appeasement-gradual policy. Russian ruling class did not overcome the gap between religious conflict and pursued a policy of Russifi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means, but was not so effective. Traditional Orientalists transformed their Orientalism by the cholera riots. Because of admitting the reality of Muslims` ignored tradition and technology, the colonial policy of the Russians became contradictory. However, as soon as restoring of the social stability, artificial image for ``other`` was appeared and Russian settlers tried to recover authorities as the conqueror.Russian Orientalism shown in Tashkent was generally ``cultural`` and ``passive``. While Orientalists were trying to build an empire through knowledge and humanity, universality and cooperation, they had chosen a gradual method. Even so, the ultimate success is to knock down the walls of Europe and Asia and must assimilate truly, but Russia did not have the ability to do so. Their system ruled by bisecting Tashkent still showed Eastern nationalities with contempt and fear. Eventually, it seems that Russia`s cultural-passive policy would not be greatly effective to the modernization of Tashkent.

      • KCI등재

        EU의 탈 러시아산 천연가스 정책과 러시아의 에너지 안보: 러시아 천연가스 산업의 유럽 의존성과 취약성

        윤영민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2 러시아연구 Vol.32 No.2

        The EU is the largest and most profitable export market for Russia,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Russia’s natural gas exports. However, the EU declared in May that it would completely stop importing Russian natural gas through the REpowerEU plan. This paper analyzes whether Russia will be able to respond if EU countries completely stop importing Russian natural gas as plan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Russia does not have the favorable conditions and the ability to respond to Europe’s leaving. First, the demand for Russian natural gas in the Asia-Pacific market, which can be seen as the only alternative market to the EU, is not enough to offset the exporting volume to the EU. In order to offset the volume, the share of Russian natural gas in total natural gas imports of S.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ccount for the absolute amount of Asia-Pacific natural gas imports, should be more than double. In addition, Russia’s natural gas produc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 is specialized in exports to Europe, so giving up the European market and replacing it with the Asia-Pacific market will bring a vast amount of sunk costs, new investments, and strategic losses to Russia. Therefore, unlike what is shown in the media,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Russia can be in a weaker position than the EU on the issue of natural gas supply, and Russia will feel the necessity to make stop the EU’s policy of finishing off Russian natural gas import. EU는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에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크고 가장 수익성이 좋은 수출시장이다. 하지만 EU는 지난 5월 REpowerEU 계획을 통해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을 단계적으로 완전히 중단할 것을 선언하였다. 이 논문은 만약 EU 국가들이 그 계획과 같이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입을 완전히 중단한다면 러시아는 이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인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러시아에게는 유럽의 이탈에 대응할 수 있는 조건과 능력 모두가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먼저 유일한 유럽 대체시장으로 볼 수 있는 아태지역 시장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수요는 유럽의 이탈물량을 상쇄하기에는 부족하고, 한국, 중국, 일본 등 아태지역 천연가스 수입 수요의 절대량을 차지하는 국가들의 러시아산 수입 비중이 2배 이상 증가되어야 함을 보였다. 또한 러시아의 천연가스 생산 및 운송 시스템은 유럽으로의 수출에 특화되어 있어 유럽시장을 포기하고 이를 아태시장으로 대체하는 것은 러시아가 감당하기 어려운 정도의 매몰비용과 신규투자, 그리고 전략적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는 점을 보였다. 따라서 현재 보이는 것과 달리 천연가스공급 문제에서 장기적으로 러시아는 EU보다 불리한 위치에 처할 수 있으며, 러시아에게 EU의 탈 러시아 천연가스 정책은 반드시 저지해야 하는 대상이다.

      • KCI등재

        러시아 방송산업 현황과 전망: 방송 디지털화와 TV 시청 방식 변화를 중심으로

        송정수,김세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19 슬라브연구 Vol.35 No.1

        The modernization of the Russian broadcasting network and the infrastructure in preparation for the digital broadcast transmission was initiated by the action of the Federal Special Program called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in the Russian Federation: 2009~2018”.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Digital TV Research’, in 2017 the Global Pay TV market’s revenues amounted to $ 254 billion. In the same year, revenues in the Russia Pay TV market amounted to $ 1,285.6 million, which increased 8.8% from the previous year. Currently, there are 42.7 million subscribers to Pay TV in Russia, and the service penetration rate exceeds 75%. In view of the population and audience situation of Russia, which can be switched to viewers at any time, the Russian broadcasting market is evaluated as more likely to grow than decline. In Russia,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TV screen viewers are getting more and more older, and the younger generation is showing a tendency to prefer a “second screen”. This is a driver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Russian broadcasting market and the construction of new infrastructures. In this article, we will outline the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the Russian broadcasting market since 2010, when the modernization of Russian broadcasting started in real earnest. At the same time, we will rough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ssian broadcasting market and future directions of its development and will suggest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enter the Russian market. 디지털 방송 송출에 따른 러시아 방송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조의 현대화는 ‘러시아연방 내 방송 발전: 2009~2018’이라는 연방 특별프로그램의 조치로 본격화되었다. ‘Digital TV Research’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전 세계 유료 TV 시장 수익은 2540억 달러에 달하며, 당해연도 러시아 유료 TV 시장 수익은 약 12억 586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8.8%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다. 현재 러시아 내 유료 TV 구독자 수는 4270만 명이며, 서비스 보급률은 75%를 넘어선 상태이다. 시청자로 상시 전환이 가능한 러시아의 인구수와 시청률 상황을 감안해 볼 때, 러시아 방송시장은 쇠퇴보다는 성장 가능성이 더 많은 쪽으로 평가된다. 한편 러시아 내에서 전통적인 TV 스크린 시청자는 점점 더 고령층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젊은 세대는 ‘세컨드 스크린’을 선호하는 TV 시청방식의 변화가 감지된다. 이는 러시아 방송시장 내 구조 개편의 필요성과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대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러시아 방송의 현대화 작업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러시아 방송시장의 형성과정 및 현주소를 개괄해보고자 한다. 이와 동시에 러시아 방송시장의 특성과 향후 발전 방향을 대략적으로 가늠해봄으로써, 추후 우리나라 방송기업이 러시아 시장에 진출할 때 고려할 사항들을 제언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중 경제협력: 극동지역의 성과를 중심으로

        조정원 ( Cho Jungwon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8 러시아연구 Vol.28 No.1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에 반대하는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제 제재는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 증대와 러시아로의 해외 투자 유입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로 인해 러시아는, 중앙정부와 기업들의 보유 자금이 풍부하고 매년 평균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에너지 수요가 늘고 있는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극동 지역은 중국의 동북 지역과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러시아 연방정부는 극동 지역에서 중국과의 경제협력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다. 극동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협력은 러시아가 원하는 원재료의 수출 시장 확대, 중국이 필요로 하는 공산품의 수출 증대와 해외 투자 활성화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선도개발구역과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이 만들어지면서 중국 기업들이 극동 러시아의 산업 기반 구축과 주택, 호텔 건설에 투자하면서 투자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대 극동 러시아 투자는 러시아 현지인들에 대한 제조업 인력 양성과 고용 증대에 있어서는 아직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는 극동 러시아에서 성실하고 숙련된 현지인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중국과 극동 러시아의 경제 협력의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생산 현장에서 중국과 북한 및 중앙아시아 근로자들의 활용, 장기적으로는 극동 러시아 제조업 발전에 필요한 현지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연 국제협력이 필요하다. Economic sanctions imposed on Russia b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in response to Russian occupation of the Crimean Peninsula have hampered the growth of Russian energy exports and inflow of foreign investment into the country. For this reason, Russia reinforced its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which has high energy demand and the world’s largest foreign reserves. Since then, far eastern Russian raw materials and Chinese industrial products have maintained a complementary trade structure. However, given weak Russian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there has been negligible trade of intermediary goods between far eastern Russia and China. In terms of investment, Chinese companies expanded their investments from energy to agriculture, lumber business, construction of manufacture, hotels, and casinos. In contrast, Russian companies did not make significant capital investments in far eastern Russia. Moreover, western economic sanctions imposed on Russia limit financing of local major companies and banks in the country. In future, China and far eastern Russia will reinforce their economic collaboration under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industrial and energy cooperation, which presents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However, lack of diligent and skillful Russian workforce impedes the development of this economic cooperation. Given western economic sanctions,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in far eastern Russia requires massive investment from China. As such, federal and municipal governments in far eastern Russia should provide laws and regulations to attract further direct investment from China. In the short term, municipal governments in far eastern Russia and Chinese companies would need to employ Chinese, North Korean, and Central Asian workforce. Meanwhile, in the long term, the Chinese central and Russian federal governments should implement concrete plans to develop high skilled Russian manpower to build the manufacturing sector in far eastern Russia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nd universities/research institutes from Russia and China.

      • KCI등재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동 러시아의 에너지, 물류 투자의 현황과 계획

        조정원 ( Jungwon Cho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러시아연구 Vol.26 No.1

        2008년 금융위기 이전의 극동 러시아의 에너지 관련 투자는 구미 자본과 일본기업들이 주도하였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극동 러시아의 경제, 사회 개발 과정에서 추진되는 에너지, 물류 분야의 투자는 자국의 자원 수입 루트를 다변화하고자 하는 중국과 천연 자원이 부족한 일본이 러시아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주도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 모두 원유와 천연가스, 석탄 수입을 위한 물류 인프라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일본은 극동 지역의 액화수소 운송과 풍력 발전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가 바라는 극동 지역의 에너지, 물류 인프라 확충과 자유항 정책이 성과를 내려면 외국 자본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최근 러시아가 루블화 가치폭락, 국제 유가의 하락으로 인하여 연방정부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대형 투자 프로젝트를 추진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고 러시아의 동북아시아로의 에너지 수출을 늘리고자 하는 과정에서 극동 러시아에서는 대규모 투자가 가능한 중국 자본과 일본 자본에 대한 의존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남북 관계의 경색으로 인하여 러시아와 북한을 연결하는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과 마찬가지로 선박을 이용한 자원 수입을 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의 대규모 투자가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러시아의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입하려면 중국, 일본이 투자하여 극동 러시아에 건설하는 에너지 물류 투자 계획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고 편승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fore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n 2008, energy investment in Far Eastern Russia was originated from Western oil majors and Japanese capital. However, after 2008, energy and logistic investment came from China and Japan. Furthermore, economic sanction to Russia due to the Ukraine problem, prevents Occident fund’s investment in Russia. It made Russia depend on Chinese national companies and Japanese fund. Among the investment donor countries, China and Japan aimed to construct energy and logistics networks between their homelands and Far East Russia to import more useful resources. The Russian federal government has also propelled the construction of a free port in Vladivostok and a new port in Zarubino in association with China, in addition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coal exports port in Severny, Primorsky Kray, through partial investment from the Chinese National Development Bank. Bold investments to develop the energy industry and logistics in Far East Russia are also desired. However, Russia faces a difficulty in investing abundant funds due to the plunging value of the ruble and the decreasing international oil price. For this reason, she will continue to attract more funds from China and Japan. Korean central government and companies should research the energy and logistic investment in Far Eastern Russia between China, Japan and Russia, find appropriate plans to import Russian energy.

      • KCI등재

        러시아성의 안과 밖: 세계문학론과 러시아문학

        변현태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9 러시아연구 Vol.29 No.1

        이 논문은 러시아성(русскость)의 문제를 그 ‘안과 밖’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19세기 서구주의자 vs. 슬라브주의자 논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러시아성의 문제는 ‘옥시덴탈리즘적으로’ 재구성되는 서구라는 타자, 오리엔탈리즘의 주체이자 객체로 설정되는 이중적 지위, 이 모든 정황과 관련되는 러시아적 주체라는 복잡한 문제를 제출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러시아성의 문제를 세계문학론과 러시아문학의 관계를 통해 다루고 있다. 이 논문은 세계문학론에서 러시아문학이 어떻게 포함되고 배제되는지를 살핀다. 세계문학론자 모레티(F. Moretti)의 러시아문학과 관련된 논의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면서, 이 논문은 러시아성이 민족주의적 혹은 오리엔탈리즘적으로 소비되어 온 측면이 있다고 주장한다. 세계문학이라는 관념이 궁극적으로는 근대성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는 판단 하에서 이 논문은 러시아의 근대성의 문제가 근대의 왜곡된 형태가 아니라 실은 근대 그 자체가 가진 전도의 폭발이라는 관점을 제출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세계문학과 러시아문학의 바람직한 관계의 모색을 통해 세계문학을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 KCI등재

        러시아의 지역격차와 지역정책: 극동지역을 중심으로

        김영진 ( Young Jin Kim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러시아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러시아의 지역격차 현황과 지역정책에 대한 검토를 기초로 최근에 이르기까지 러시아 극동지역과 러시아 전체와의 경제적 격차의 변화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러시아 정부의 지역정책과 지역개발에 대한 관심은 재정투자를 통해 반영되므로, 연방예산투자와 지방예산투자의 규모와 그 추이를 연방관구별로 검토하고 특히 극동지역에 대한 재정투자의 추이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2000년대에 들어와 러시아 극동지역과 러시아의 여타 지역과의 격차가 축소되어 왔다는 것을 보이고 그 문제점을 살펴 본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본문에서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고 극동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점검한다. 2000년대 들어 러시아의 전체 고정자본투자에서 러시아 극동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러시아의 전체 GRP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어느 정도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극동지역과 러시아의 다른 지역과의 경제성장 속도의 격차 문제는 1990년대만큼 심각하지는 않게 되었으며, 2010년 이후 극동지역의 경제성장은 전체 러시아에 비해 확실히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2012년에 들어 고정자본투자가 크게 감소하는 등 2000년대 후반 극동 지역의 높은 성장률을 지탱해 온 양대 요소, 즉 고정자본투자와 순수출이 약화되는 징후가 나타났다. 한편, 2000년 이후 극동지역에서 이루어진 고정 자본투자의 대부분은 외국자본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외국인 투자의 약 90%는 사할린과 사하 공화국의 천연자원 채취와 관련된 부문에 투자된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changes in regional gap between the Russian Far East region and the other ones, based on the review of current status of regional disparities and regional policies in Russia. Regional policies and standpoint on regional development of the Russian government are reflected by its financial investments, so we examine the scale and trends of investments of the federal and regional budgets to the federal districts, particularly the financial investment toward the Far East. By doing this, we want to show that the regional gap between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other areas has been reduced in the 2000s and identify the limits and problems. In the 2000s, the total weight of the Russian Far East out of the overall Russia began to be enlarged in terms of the total fixed capital investment. In addition, the Far East`s GRP percentage out of the total Russian GDP was extended to some degree. As a result, the gap between Russian Far East and the rest part of Russia in terms of the economic growth rate was not so serious as it was in 1990s. And the Far East`s economic growth started to show prominently for sure since 2010, compared to that of the entire Russian region. However, the two main factors, the fixed capital investment and net exports which had sustained high growth rate of the Far East region in the late 2000s, showed signs of weakening in 2012. To be more specific, the fixed capital investm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2012.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fixed capital investments towards the Far East since 2000 was made by foreign capital. About 90% of those foreign investments were made for natural resource extraction in Sakhalin Oblast and the Sakha Re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