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은 혼』에 나타난 고골의 경제관에 대한 성서적 반성 : 근대적인 경제 모델에 대한 대안 모색

        이경완(Kyong, Wan-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성서적 기독교에 따른 경제윤리에 근거하여 『죽은 혼』의 제1권과 제2권에 나타난 19세기 전반기 러시아의 농업 경제와 근대 경제주의에 대한 고골의 사회적, 심리적, 종교적 성찰을 조명하고 그가 제시한 대안적 모델을 반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성서적 경제윤리는 신-인간-자연 간의 선물주기 gift-giving의원칙을 따르며, 그 원형은 성삼위일체인 성부-성자-성령의 일치와 유기적인 조화이다. 성서적 윤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이 정한 원칙에 따라 신-인간, 인간-인간 사이의 계약을 충실히 지키면 선물주기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어 인간의 경제활동이 지속적인 부의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인간이 그 계약을 어기면 선물주기가 왜곡된 방식으로 작용하여 물질적 부도 감소하고 자연도 피폐해진다. 『죽은 혼』의 제1권과 2권에서 고골은 19세기 전반기와 중반기에 러시아의 농촌 현실이 피폐해지는 과정을 그로테스크한 방식으로 생생하게 재현하고, 제2권에서 기독교 경제윤리를 제시한다. 고골은 제1권, 2권에서 러시아의 억압적인 조세 제도, 지배층을 중심으로 서구의 경제주의와 소비주의의 맹목적인 추종, 허술한 농지 관리 등이 러시아 농촌의 위기를 가중시킨 것으로 그리고 있다. 고골은 특히 치치코프의 신흥경제범죄에 서구의 경제사상과 공리주의가 미친 부정적인 영향을 심리적, 종교적으로 조명하고, 인간의 이성과 욕망에 대한 근대인들의 낙관주의를 비판한다. 고골은 제2권에서 러시아 농촌의 문제를 유형화하고 서구 경제모델에 대한 기독교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그 모델은 인간의 영적인 변형과 구원의 우선성, 지주의 모범적이고 헌신적인 농민 관리자로서의 책임, 농업 중심의 자연친화적인 제조업과 산업의 발달 등을 골자로 하며, 이는 성서적인 경제윤리와 상당히 부합한다. 그러나 그의 시각은 구약 중심의 역사관과 사회관, 현세적인 유토피아주의, 러시아성에 대한 이상화, 농노제와 전제정의 절대화 등, 신약중심의 성서적인 경제윤리와 일치하지 않는 사상들도 포함한다. 그럼에도 고골이 제안하는 농업경제 모델은 오늘날 러시아 경제위기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재조명,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Gogol's reflections on contemporary agricultural economy and modern economism in Russia, and his Orthodoxy-based alternative to them in the 1st and 2nd volumes of Dead Souls from the viewpoint of biblical economic ethics. It is based on the covenant of mutual love and commitment between God and humans, activating the virtuous gift-giving circle, with Jesus Christ as a mediator. In the two volumes, Gogol depicted the crisis of Russian rural villages, where serfs were exploited through severe taxation by corrupt officials and landlords. Gogol deplored the cultural and economic depravation of all Russians from landlords to serfs under the ruinous influence of the modern economism, based on Enlightenment and Utilitarianism, which was responsible considerably for the distortion of human sublime desires given from God to egoistic desires in modernized Russian society. He searched for a way to transform the depraved Russian society to Christian state, where spirituality will be acknowledged as superior to physical desires, where patrimonial monarchy and serfdom will be implemented in ideal way, and where Christian masters will discipline themselves and their peasants, implementing an environment-friendly and resource-recycling industrial development based on agriculture, etc. From the biblical viewpoint, Gogol's alternatives includes biblical and non-biblical elements. The latter include the Old Testament-based worldview, worldly utopianism, idealization of Russian Soul, Czar, Russian Orthodoxy, etc. Gogol's alternative models are worthy of reflection on and transformation into a more biblical version.

      • KCI등재

        고골의 『죽은 혼』 제1권에 나타난 삶의 비결정성에 대한 성서적 고찰

        이경완(Lee Kyong W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본고는 삶의 비결정성에 대한 고골의 종교-신화적 개념을 1836-1842년 창작되는 『죽은 혼』 제1권을 중심으로 성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성서적 시각에서 삶의 비결정성은 신의 축복이라는 긍정적인 측면과 신의 저주라는 부정적인 측면으로 구분되며, 인간의 신과의 관계에 따라 언제든지 호환가능하다. 삶의 부정적인 비결정성으로서 위기는 오히려 구원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죽은 혼』 제1권에서 고골은 신플라톤주의적인 르네상스, 바로크 문화예술, 단테의 『신곡』과 호머의 서사시, 그와 유사한 다른 문학 작품들을 접하면서 우크라이나-러시아 바로크의 염세적인 세계관에서 보다 낙관적인 세계관으로 나아간다. 소피아 형상과의 만남을 통한 신성한 변형의 가능성, 태생적으로 주어지는 숭고한 욕망, 천상으로 난 넓은 대로, 하늘로 비상하는 루시 등이 긍정적인 비결정성의 요소들이다. 그러나 인물들의 비속한 욕망과 산문적인 생활방식, 위기를 직시할 수 있는 의지의 부족으로 인해 그 요소들은 실현되지 못한다. 성서적인 시각에서, 고골의 세계관은 삶의 긍정적인 비결정성을 일상생활과 사회제도적인 차원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길을 찾지 못했으며, 그리스도중심적인 구원이 아니라 변형을 통한 신성화 등 비성서적인 이념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삶의 위기관리는 내면의 정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인식과 근대에 대한 정확한 비판은 오늘날 위기를 타개하는 데 큰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Gogol’s religio-mythical worldview on affirmative and negative indeterminacies of life(blessing and curse respectively) from the biblical viewpoint in order to activate potentials of Gogol’s worldview as risk management systems for current risk factors. From the biblical viewpoint, the two indeterminacies are interrelated and convertibl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f human beings with God. Gogol tried to reflect his idea of affirmative indeterminacy of life in the lst volume of Dead Souls written between 1836-1842, which corresponds to Inferno in Dante’s Divine Comedy. The cognitive structures which influenced Gogol’s worldviews and mindset included Ukraine-Russian Baroque, more neo-platonic Roman Baroque, Russian and German Romanticisms, biblical Christianity, etc. Generally speaking, in Gogol’s life and works, Ukraine-Russian Baroque’s eschatological worldview with cruel and hidden God as one of key ideas was temporarily replaced with Roman brighter neo-platonic Renaissance and Baroque worldview cultures between 1836-42. Gogol’s idea of affirmative indeterminacy of life in the convertible relationship with negative indeterminacy of life is reflected in the 1st volume of Dead Soul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s are Chichikov’s mysterious encounter with 16-year-old girl, who is a Sophia in neo-platonic sense; and narrator’s lyrical digression of innate sublime desire in every human being, path to heaven, mysterious song and troika of Rus’ innate, etc. However, those neo-platonic motives, which are considerably imitated in Dante’s epic, are deteriorated by banal response of heroes, who can not realize the potentials of affirmative and negative aspects. People are to face their risky situation in reality to solve risk factors and grow up spiritually. From the biblical viewpoint, it is recommendable to be open to risk factors and try to solve them according to the Bible to help transform our daily lives and social institutions.

      • KCI등재

        러시아 예술계의 고골에 대한 이해와 재구성에 대한 성서적 고찰

        이경완(Kyong Wan Lee) 한국노어노문학회 2018 노어노문학 Vol.30 No.3

        고골의 삶과 작품세계는 당대부터 러시아의 다양한 장르의 많은 예술가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재구성되어 왔다. 본고는 성서적인 관점에서의 고골에 대한 내재적인 이해와 외재적인 반성을 토대로, 19-21세기 비문학 부문 러시아 예술가들의 고골에 대한 이해와 재구성 방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고골의 동시대 화가인 이바노프는 고골과 유사한 기독교-신화적인 예술관에 따라서 대중의 영적인 각성을 유도하는 일종의 성상화를 창조하고자 하였으나, 그의 기획의 신화적인 요소와 사회문화의 근대화로 인하여 그의 기획은 실패하였다. 반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의 이동전시회파 화가들인 크람스코이, 퀸지, 레핀, 그리고 아방가르드 계열의 화가인 샤갈은 당시 지배적이었던 근대적인 관점에서 고골의 삶과 작품을 고찰하고 자신들의 이해를 사실주의, 상징주의, 혹은 모더니즘 화풍을 수용하여 창조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들은 고골의 기독교-신화적인 종말론은 이해하지 못했으나, 고골의 우크라이나 자연과 민속에 대한 낭만주의적인 묘사 그리고 근대 사회와 인간 삶 전반에 대한 풍자적이고 그로테스크한 묘사는 나름의 방식으로 탁월하게 시각화하였다. 오늘날 러시아 사회에서는 다시 러시아 정교에 토대를 둔 기독교 문화가 형성되는 가운데, 그 지류에 속하는 애니메이션 감독 노르슈테인이 고골의 “코”를 종말론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고 있다. 고골에 대한 이들의 이해와 재구성 방식을 성서적인 이중시선으로 고찰하면서 19-21세기 러시아 문화예술의 근대적인 지류와 러시아 정교에 토대를 둔 주변적인 지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작업은, 고골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이를 보다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Gogol’s life and works have been 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by many Russian artists of all genres.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tendencies of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ng Gogol`s life and works in Russian culture from the 19<SUP>th</SUP> century on from my biblical viewpoint. The biblical viewpoin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ual gaze integrating the intrinsic understanding and external reflections, which will ensure the multilateral dialogues between Gogol, other artists and the author. First, Gogol and Ivanov shared similar Christian-mythical worldviews and artistic projects, which are being inherited in creative and more universal ways by our contemporary animation artist, Yuri Norstein. He is expected to inherit the intertextuality of Gogol and Ivanov through his dual gaze on Gogol’s eschatological themes and melancholy. On the other hand, most modern Russian artists in the late 19<SUP>th</SUP> and the early 20<SUP>th</SUP> centuries shared Gogol’s socio-cultural ideas and melancholy, portrayed Gogol’s life or scenes at his works in their own artistic ways, into which were integrated contemporary realist, symbolist, and avantgard artistic movements. Kramskoi, Quinzhi, Repin and Chagall are representative. Tt is desirable to inherit Gogol’s and the above-mentioned artists’ heritage creatively through biblical dual gaz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ussian Orthodoxy-based Christian culture.

      • KCI등재

        현대 러시아 정교 비평가들의 고골의 「무서운 복수」 연구에 대한 성서적 고찰 - 고골의 종말론 연구를 중심으로 -

        이경완 ( Kyong Wan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1 슬라브연구 Vol.37 No.1

        오늘날 러시아 문예학계에서 러시아 민족의 종말론적 멘탈리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 정교 문화를 정통 기독교 문화로 규정하는 러시아 종교 문예학계에서는 “신학-교리적 접근”과 “민족종교-문예학적 접근”을 양 축으로 러시아 근대 문학 속의 종말론적 요소들을 새롭게 고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니콜라이 고골에 대한 종교 문예학적 연구에서도 그의 종말론적 세계관과 그의 작품 속의 종말론적 요소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에서 민족종교-문예학적 분석에 이르는 다양한 분석 방식이 발견되며, 다만 러시아 종교 문예학적 연구의 전제와 결론은 고골은 러시아정교에 토대를 둔 종말론적 작품세계를 형성한 러시아 정교 작가라는 것이다. 그런데 고골에 대한 이들의 종교 문예학적 연구가 30여년 축적된 결과 이들 연구의 학술적 전문성과 사회문화적 파급효과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시각에 거리를 두는 연구자들 역시 이들의 연구 결과를 참조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러시아 정교와 같은 신중심적 세계관에 속하는 성서적 시각에서 고골의 종말론적 작품세계에 대한 종교 문예학적 연구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필자의 연구는 러시아 종교 문예학자의 연구처럼 현대 인문학의 신학적 회귀 현상 가운데 신중심적 회귀의 지류에 속하며, 따라서 그들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 기독교 관점의 신학적 회귀 현상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자의 성서적 종말론은 그리스도중심주의와 성서주의를 원칙으로 무천년설과 과거주의적 해석을 핵심으로 하는 반면, 러시아 정교회의 원칙적인 종말론은 전천년설이지만 관례적으로는 세대주의적 종말론의 민족주의적 변형과 후천년설의 세속적인 변형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는 러시아 메시아주의를 핵심으로 한다. 그리고 17세기 구교도들에 의해서 염세주의적 종말론이 확립된 이후,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염세주의는 러시아 근대 문학에서도 거의 일관되게 나타난다. 이는 오늘날 러시아 종교 문예학자들의 러시아 정교 중심의 종말론 연구와 보다 특수하게는 고골의 1820-30년데 초의 종말론적 세계인식이 뚜렷하게 반영된 「무서운 복수」에 대한 종말론 연구에서도 확인된다. 그리고 「무서운 복수」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은 고골의 러시아 정교 신앙을 전제이자 결론으로 제시하는 환원주의적 성격을 보다 강하게 지니는 반면, 민족종교-문예학적 분석은 이 작품에 담긴 우크라이나 바로크 문화의 염세주의적 종말론의 요소와 1820-30년대 러시아 낭만주의 문화가 고골에게 미친 무의식적 영향 등을 통해 적어도 20대 초 고골의 세계관에는 양가성과 모호성이 있음을 인정하는 차이를 보인다. 다만 「무서운 복수」에는 카자크 정신의 쇠락과 소멸에 대한 고골의 낭만주의적 우수와 신의 정의로운 심판에 대한 그의 의심이 강하게 표출되어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신학적 고찰은 물론 사회문화적,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고찰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필자의 성서적 시각에서 이러한 내적 대립과 연구의 사각지대의 발생은 러시아 종교 문예학계가 성서로의 회귀가 아니라 기독교 역사 속에서 형성된 러시아 정교 문화로의 회귀를 지향하는 데서 기인한다. 그보다는 성서적 종말론에 토대를 둘 때 고골의 종말론적 주제의식과 다른 종말론적 요소들에 대한 신학-교리적 분석은 민속종교-문예학적 분석과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자연스럽게 종교학적, 사회문화적, 심리학적 분석들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my biblical viewpoint, the spectrum of adequate biblical eschatologies includes premillennialism, postmillennialism, and amillennialism, from which have been derived diverse epigonic eschatologies. The post-Soviet Russian society shows the rapid growth of Russian Orthodox researches on the apocalyptic mentality of Russian people through the theological-dogmatic approach and/or ethno-religious literary approach. Accordingly, the Russian religious literary studies on Gogol’s oeuvres achieved academic professionality, inducing other researchers to refer to their researches through systematic discernment of appropriateness. My research aims to reflect on the Russian Orthodox eschatological culture and Russian religious literary studies on Gogol’s eschatological motives in his apocalyptic tale, Terrible Vengeance, from my biblical viewpoint. Conclusively, Russian messianism and pessimistic escatological mentality exert influence on Russian Orthodox researchers who identify young Gogol as Russian Orthodox writer and force out Orthodox-ethical themes from the tale. My alternative interpretation is that eschatological motives at the tale are not in accordance with Orthodox ideas, revealing the reminiscence of genre norms, his melancholy on the dissipation of heroic cossack spirit, and latent doubts on theodicy, which requires more biblical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valid and comprehensive Christian literary studies.

      • KCI등재

        카자흐스탄의 카스피해 광구 개발 기업들의 CSR 고찰: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위기관리를 중심으로

        이경완 ( Kyong Wan Lee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러시아연구 Vol.21 No.2

        This paper aims to diagnose interaction of energy projects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the northern part of Caspian Sea in Kazakhstan and reflect on CSR implemented by two international consortiums, NCOC and TCO at Kashagan and Tengiz respectively, additionally referring to Chevron`s CSR in the world and BP`s CSR in Azerbaijan. Then it intends to reflect on governmental policies to tackle environmental risk factors in energy sector and suggest ideas for better risk management at energy blocks in Kazakhstan. Continental climate and geological conditions of offshore Kashagan and onshore Tengiz blocks in the Northern part of Caspian Sea are too severe for NCOP and TCO to overcome, and the conditions will be aggravated by intensifying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s. The international consortiums of the two super-mega projects have not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their negative impact on ecosystem and local communities adjacent to the projects such as emission of sour gas and other toxic gases like mercaptan, GHG emission, water pollution and lack in water, etc. Consequently diverse climate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may in turn threaten the environmental security of the energy projects. NCOC and TCO have been punished by Kazakhstan government for their chronic violat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since 2007. The resource nationalism policy taken by Kazakhstan government may reflect partially the government`s intensifying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in energy industry. Even if energy companies in Kazakhstan have published considerably rational and viable CSR reports since 2008, containing risk management system to gas flaring, sour gas emission, water pollution, still their CSRs and Chevron`s and BP`s CSRs do not make big difference in reality. The reason may lie in the companies` opportunistic and dual practices of CSR strategies, based on economist principle, which result in the companies` highly vulnerability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geopolitical and economic risk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degradation, national government`s resource nationalist policy and prevalent corruption in local societies. Their economy-centered and Western-centric CSRs should be transformed into alternative CSR models both universal and tailored to local conditions, especially to fulfil local people`s basic need. Kazakhstan government, as a national government with the biggest potential to play the role of leader in risky society, is required to guide energy companies and the whole nation to the way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establishing joint project with governmental, corporate and civil stakeholder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 risk management and sustainable energy development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고골의 「코」에 나타난 기독교-신화적 세계관: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이경완 ( Kyong Wan Lee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러시아연구 Vol.24 No.1

        「코」(1836)에서 고골은 자신의 기독교-신화적인 관점에서 동시대 페테르부르크의 서구에 대한 비속한 모방욕망과 러시아 민족적 정체성의 상실 문제를 생생하게 부각시킨다. 그는 기존의 문화예술 텍스트들을 창조적으로 모방하면서 러시아인들의 서구 사교계의 에티켓과 관료제에 대한 비속한 모방을 아이러니컬하게 풍자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8등 문관이자 자칭 소령인 코발료프는 환유적인 대상인식과 서구에 대한 기계적인 모방 면에서 이반 야코블레비치와 분신관계를 이룬다. 더불어 코발료프는 관료주의를 악용하여 더 높은 관등을 얻고자 하는 출세주의자이기도 하다. 그런 그에게 코의 상실은 자신의 정체성의 상실이자 삶의 모든 욕망의 좌절을 의미한다. 고골은 코가 자신을 5등관이자 주체라고 참칭하는 것을 통하여 관료주의를 악용하는 코발료프의 참칭성과 자신을 주체로 인식하는 근대인들의 참칭성을 동시에 문제화 한다. 성서적 관점에서 고골의 페테르부르크 비판은 기독교적 요소와 신화적 요소를 동시에 내포한다. 고골은 근대 사회에서 삶의 초논리성이 부인되면서 부조리가 만연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표출하는데, 이것은 기독교적 시각에 속한다. 그의 신화적인 인식은 자기 자신, 러시아, 인간 사회 자체의 근본적인 양가성, 모순성, 가변성, 비결정성을 이념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자신과 러시아에게 과도한 메시아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데서 드러난다. 이런 양가적 세계관에는 그가 유년 시절에 접한 우크라이나-러시아 바로크 문화의 종말론적인 염세주의와 10대에 접한 낭만주의적 마성주의, 정교와 낭만주의의 예술가 숭배 사상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Nose (1836), Gogol, from his Christian-mythical viewpoint, represented contemporary Russians` banal mimetic desires to be enlightened moderns in the western style, imitating Western aristocratic etiquettes and bureaucracy. For this goal, Gogol integrated in the text his linguistic ingenuity, comicality, satiric and fantastical expressive power, and imitative creativity referring to other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s. In the story, Kovalev, an 8th ranking civil servant and self-claimed major, is a double of the barber, Ivan Yakovlevich, barber since they share metonymic conception of reality and mimetic desires to be an enlightened citizen by abiding the Western aristocratic etiquettes. Additionally, Kovalev, typical banal status-sneaker, is obsessed with the mimetic desire to look decent and occupy higher positions in the Russian bureaucracy. Thus, he identifies his lost nose as himself and makes desperate efforts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lace, relying on rational social institutions. His and other characters` common absurd responses to the fantastic accident imply Gogol`s criticism of contemporary Russians who forgot their sublime national identity because of their banal mimetic desires to become Western moderns. From the biblical angle, Gogol`s Christian-mythic viewpoint is ambiguous. His Christian understanding of evil desires in human beings is combined with mythical ideas: apocalyptic pessimism about modern Petersburg; romantic binary opposition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epochs; and messianic self-identification as an epic poet creating a verbal ic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스토옙스키의 최종적인 정치사상의 양가성에 대한 복음주의적 고찰: 동-서 관계를 중심으로

        이경완 ( Lee Kyong Wan )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23 러시아연구 Vol.33 No.1

        본고는 자기부인과 자기희생을 원칙으로 하는 복음주의적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관점에서 도스토옙스키의 최종 사상인 ‘러시아 메시아주의에 입각한 코스모폴리타니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그는 『작가의 일기』에 게재한 펠리에톤 장르의 시평들에서 유럽-대타자에 대한 애증으로, 1877-1878년에는 동방문제에 대한 범슬라브주의적 해결을 주장하고, 1880-1881년에는 ‘러시아인은 아리아인’이라는 인종론과 서구-러시아-아시아 삼중 오리엔탈리즘을 제기한다. 그러나 그의 사상의 기저에는 기독교 휴머니즘에 입각한 전 인류의 연합과 형제애라는 기독교 코스모폴리타니즘이 항시 작용한다. 그의 기독교 정치사상의 양가성은 『카라마조프가 형제들』에서 다성악 구조를 통하여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코스모폴리탄주의가 보다 유기적으로 통합됨으로써 완화되고, 상충하는 이념들의 유기적 통합의 가능성이 열린다. 다만 그의 사망뿐 아니라 우월한 보편적 관점의 결여로 인하여, 그는 현대 러시아 지식인의 집단 무의식, 즉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기독교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길항관계를 극복하지 못한 결과, 이 주요 이념들의 유기적 통합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stoevsky’s final thought, ‘cosmopolitanism based on Russian mess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s evangelical cosmopolitanism based on the principles of self-denial and self-sacrifice. In the feuielleton-styled reviews in Writer's Diary, motivated by his love-hatred for Europe-the Other, Dostoevsky advocates Pan-Slavic solutions to the Eastern question in 1877-1878, while raising both the racial theory of ‘Russians-Aryans’ and the triple Orientalism of West-Russia-Asia in 1880-1881. However, his underlying idea is the Christian cosmopolitanism: the unity and brotherhood of all mankind based on Christian humanism. The ambivalence of his Christian political thoughts is mitigated by a more organic integration of Russian messianism and cosmopolitanism in the polyphonic structure in The Brothers Karamazov. On account of the lack in the superior universal viewpoint as well as his death, he could not achieve the organic integration of the main ideas, overcom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 of contemporary Russian intellectuals: the antagonism of Russian messianism and Christian cosmopolit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