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 학생의 기초 문식성 교육에 관한 소론 - 2022 개정 특수교육 국어(청각장애)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하명진,이유정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4 국어교육연구 Vol.- No.85

        본고는 2022 개정 특수교육 국어(청각장애) 교육과정에 제시된 이중언어 농교육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청각장애 학생의 특성에 맞게 기초 문식성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2022 특수교육 국어(청각장애) 교육과정에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고자 수어 활동을 적극 도입 및 활용하고 있다. 현재 국어 교과에서 통용되는 문식성 개념은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에 기반한 것으로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청각장애 학생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이중언어 체계에서 청각장애 학생의 기초적인 언어 능력은 수어 능력이 국어 능력을 보조하며 형성 및 발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 학생들의 이중언어 능력을 밝히어 기초 문식성을 재구성하고 수어 능력을 포함한 언어 능력이 논의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학생의 기초 문식성 발달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aspec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a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hearing impairments). Based on this examination, it proposes a reconfiguration of basic literacy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 2022 special educati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hearing impairments actively introduces and utilizes sign language activities to support tailored education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The current concept of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ased o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hich is not suitable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us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In a bilingual system, the basic language ability of hearing-impaired students is developed and supported by their sign language proficiency in conjunction with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Therefore, this study reconfigures basic literacy by elucidating the bilingual abilities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It also proposes a direction for discussing the language abilitie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including sig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more proactive discussions on bilingu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literacy among hearing-impaired students.

      • KCI등재

        문화 융합 사회의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의 대응과 과제

        원진숙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a new direction of Korean literac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advent of a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characterized by ‘multiculture’ and ‘multilingual’ code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o this end, we newly restructured the concept of ‘literacy’ that is requested by the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into the concept of ‘multiple literacy’. This concept includes s ‘multicultural literacy’, which embraces minorities based on understanding and tolerance of different cultures, and ‘functional literacy’, which is a power that enables minorities to express their voice as a dignified literacy practioner. Also we reviewed the aspects of literacy education that has responded to the challenge of the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policy that has been promo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ince 2006.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Korea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cultural diversity through KS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literacy based on empowerment model. 이제까지 본고에서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다문화와 다중언어라는 코드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의 도전에 따른 국어 문식성 교육의 대응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문식성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았다. 단일 언어주의와 단일 민족국가라는 순혈주의 대신 여러 인종과 민족, 계층 등 다양한 집단의 복수의 문화가 공존하는 ‘다문화’와 여러 개의 언어가 공존하는 ‘다중언어’라는 코드를 기반으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는 이미 우리 국어 문식성 교육의 생태학적 조건이 되어 버렸다. 본고에서는 문식성이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광범위한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역동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한 David Barton(2007)의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하여 새롭게 도래한 문화 융합 사회의 ‘다문화 배경 국어 공동체’ 안에서 다수자인 일반 학생들과 소수자인 다문화 학생들 간의 언어 통합과 공존의 해법을 국어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 융합 사회가 요구하는 문식성 개념을 재구조화하고 2006년 이후 지금까지 교육부 주도하에 추진되어 온 다문화 언어 교육 정책과 연동하여 국어교육계에서 문화 융합 사회의 도전에 대응해 온 문식성 교육의 양상들을 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국어 문식성 교육이 민족어 교육으로서의 정체성을 극복하고 외연을 어떻게 확장해 왔는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방향성을 탐색해 보았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이수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esent state in basic literacy curriculum and find the convergent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ands achievement standards but reduces detailed informations about basic literac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KSL curriculum subdivides level and suggests sufficient and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it also emphasizes basic literacy’s function as learning tool. I invested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s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ed convergent method. As a result, I found three principals: First, Korean language and KSL curriculum’s convergence can rebuil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specific levels. Second, KSL and content-subjects curriculum’s convergence can grow Korean language ability as learning tool. Thir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convergence can manage indivisualiz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cording to these principals, I suggested ‘basic literacy curriculum’s convergent management model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 연구 (1) - 김형직사범대학 출간 교재를 중심으로

        오현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foreign learners,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s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In this study, we took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the mid-2010s as the theme of research to examine how North Korea's basic grammar textbooks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re structured, and to conduct a full-scale analysis of the textbooks.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structure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as analyzed, and in Chapter 3, 1) Preface, 2) Speech Sounds and Letters, 3) Individual Lessons [Introductory Conversation - Text - Let's know - Word - (Sentence type) - Grammar - Practice - (Let's read together)], 4) Supplementary practice, and 5) Browsing. Due to space limitations, ‘3) Word-Practice’ and ‘4) Supplementary practice’, ‘5) Browsing’ in ‘3) Individual Lesson’, and the changes in the textbooks of Kim Il Sung University published in 1973 and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in the mid-2010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history of Joseon language textbooks an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subsequent discussions. Through this study, I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Joseo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extbook published by Kim Hyo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revealed, and that the understanding of basic grammar textbook for Joseo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Korea can be deepened in the mid-2010s.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인 김형직사범대학의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분석하여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 현황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는 2010년대 중반에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된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기초 교재가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본격적인 교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의 구성을, 3장에서는 『조선어기초(류학생용)』 교재 분석을 위해 1) 머리말, 2) 말소리와 글자, 3) 개별 과[도입 대화-본문-알아둡시다-단어-(문장류형)-문법-련습-(함께 읽어봅시다)],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면 관계상 ‘3) 개별 과’ 구성 중 ‘단어-련습’과 ‘4) 보충련습, 5) 찾아보기’와 통시적 차원에서 1973년 출간된 김일성종합대학 교재와 2010년대 중반 출간 김형직사범대학 교재 변화 양상, 이것이 지니는 한국어 교재사, 한국어교육사적 의미는 후속 논의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김형직사범대학에서 출간한 『조선어기초(류학생용)』교재의 특성이 드러나고, 2010년대 중반 이북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기초 문법 교재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 수 있길 고대해 본다.

      • KCI등재

        고전 독서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과 시사점

        박준범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Korean research papers related to classical reading education and examine their research trends. To this end, 202 research papers related to classical reading education were selected from among ‘domestic degree papers’ and ‘academic journal published papers’ and then divided into 125 university education papers, 50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papers, and 27 classical general and other papers. Research papers related to classical reading education were divided into ‘I period(1972-2006)’, ‘II period (2007-2012)’, ‘III period(2013-2019)’, and ‘IV period(2020-2022)’ according to quantitative trends, and the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were discussed by dividing ‘university educ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to “curricular operation”, “non- curricular operation”, “reading education”, and “classical read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ap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in ‘classical general and other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고전 독서 교육과 관련한 국내의 연구 논문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연구 동향을 살피고, 이와 관련한 고전 독서 교육 연구의 의의와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중에서 고전 독서 교육과 관련한 연구 논문 202편을 선별하고, 대학 교육 125편, 초․중등 교육 50편, 고전 일반 및 기타 27편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전 독서 교육과 관련한 연구 논문을 양적 추이에 따라 ‘Ⅰ 시기(1972~2006)’, ‘Ⅱ 시기(2007~2012)’, ‘Ⅲ 시기(2013~2019)’, ‘Ⅳ 시기(2020~2022)’로 구분하여 동향을 살폈다. 그리고 연구 주제에 따라 ‘교과 및 비교과 운영’, ‘독서 교육’, ‘고전 읽기’ 등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국어』‘문법’ 영역 구현 양상

        김억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이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2018학년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전시본 9종을 대상으로 ‘문법’ 영역 단원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학교 1학년에 교과서에서는 ‘언어의 본질’, ‘품사’, ‘어휘’ 성취기준이 구현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성취기준과 교과서 단원 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개의 성취기준은 4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히 편성되어 왔다. 그 중 ‘품사’ 성취기준은 중학교 급에 지속적으로 비슷하게 배정되어 왔으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언어의 본질’ 성취기준은 언어의 특성 중에서 내용이 변하기도 했으며 ‘언어의 기능’이 부가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가장 변화를 많이 보인 것이 ‘어휘’ 성취기준인데 포괄적이던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다가 다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 내용 선정이 명확하지 않아 교과서마다 내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 단원 편성에서는 3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2개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한 개를 다른 영역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였다. 그 하나의 다른 영역이 8종의 교과서에서는 ‘듣기·말하기’ 영역이었으나 1종의 교과서에서는 ‘읽기’ 영역이었다. 3장에서는 교과서마다 구현된 3개의 성취기준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언어의 본질’은 9종의 교과서 중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언어의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의 개념을 학습자들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국어생활과 연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한 교과서도 있었다. ‘품사’ 성취기준의 내용 구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는데 ‘품사 분류 기준’을 제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어휘’ 성취기준 내용 구현 양상에서는 2장의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것처럼 교육과정의 표현에서부터 다소 불명확한 면이 있었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도 내용의 편차가 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교사들이 교과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Grammar’ area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irst- year students. To this end,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grammar area units were examined with 9 display versions of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s, achievement standards for ‘essence of language’, ‘part of speech’, and ‘vocabulary’ were implemen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xam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 unit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three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since the fourth curriculum.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part of speech’ has been consistently assigned to the middle school level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the case of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essence of language,’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cont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t changes wa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as its contents, which had been comprehensive, were modified to be more specific, and then changed again to be comprehensive. Because of such changes, the textbooks differed in content withou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textbook unit organization, two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were organized in one unit and the remaining achievement standard was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a different area into one unit. That different area was ‘listening and speaking’ in eight of the nine textbooks, while it was ‘reading’ in the remaining one textbook. Examining the contents of thre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ed in each textbook, results showed that concepts such as ‘arbitrariness, sociality, historicity, and creativity of language’ were presented in most of the textbooks in the area of ‘essence of language,’ thus connecting the standard to the lif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with various activities, although there were textbooks that did not show this aspect.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part of speech’ cont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extbooks, although slight difference was found in covering ‘classification criteria of part of speech.’ As for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content, the textbooks rather lacked clarity even in the manner of describing the curriculum, bearing similarity to content changes mentioned earlier. As a result, contents differed greatly between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valuating how the contents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implemented in textbook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in selecting Korean language textbook.

      • KCI등재

        ‘실용 국어’ 교육과정 내 구어 의사소통 역량의 교과서 구현 양상 분석

        백정이,김승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Practical Korean is one of the new career elective subjects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Practical Korean curriculum was implemented as a textbook centered on oral communication competency. All three Practical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2019 were analyzed. We showed how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 to each unit of those textbooks. Then six criteria of concept, method, term or vocabulary, learning situation, activity and evaluation were derived inductively, and textbooks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o confirm validity. Revised criteria with sub criteria used for main analysis are as follows: concept and terms(explicity, hierarchy, consistency), method and procedures(specificity, detail, diversity), essential learning situation(connectivity, practicality), learning activity and evaluation (diversity, integrability, applic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for each category of analysis, and based on these, the following are presented as a direction for the Practical Korean textbook: learner relevance vs. job relevance; deductive composition vs. inductive composition; diversity vs. concentration of discourse type and situation; segmentation vs. integration of learning elements and activities.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진로 선택 교과목의 하나인 ‘실용 국어’의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구어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2015년에 발행된 실용 국어 교과서 3종 전체를 대상으로 먼저 성취기준이 교과서 각 단원에 어떻게 대응되는지 살펴보고, 연구자 간 교차 검증을 통해 분석 기준을 확정하였다. 분석 시 첫째, 개념․어휘 범주에서 명시성, 위계성, 일치성, 둘째, 방법 및 절차 범주에서 구체성, 상세화, 다양성, 셋째, 주요 학습 상황 범주에서 연계성, 실제성, 넷째, 학습 활동 및 평가 범주에서 다양성, 통합성, 전이성을 세부 기준으로 삼았다. 학습 요소 가운데 의사소통 역량과 관련한 것을 정보의 해석과 조직, 설득과 협력적 문제해결, 대인 관계와 의사소통 영역에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각 범주에서 교과서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첫째, 학습자 관련성 대 직무 관련성, 둘째, 연역적 구성 대 귀납적 구성, 셋째, 담화 유형 및 상황의 다양성 대 집중성, 넷째, 학습 요소 및 학습 활동의 통합성 대 분절성을 추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서설(序說)

        박윤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본 연구는 문학의 본질에 천착한 문학교육 평가의 거시적인 틀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간의 문학교육 평가 연구들이 지엽적이거나 개인적인 아이디어 차원의 제안에 그쳤고, 문학의 본질에서 가장 크게 어긋나 있으면서 문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평가라는 생각에서 연구를 출발하였다. 먼저, 평가 및 인지 패러다임의 변화를 철학과 심리학, 교육학 등을 포함하는 학제적 접근을 통해 점검하고 문학교육 평가를 위한 평가관과 지식관을 정립하였다. 평가는 ‘수업 결과의 평가’와 ‘목표 성취를 위한 평가’를 넘어,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평가’로 재개념화하고, ‘교육 목적 실현을 위한 전방위(全方位) 설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앎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을 통해 ‘교육’에 대해 재고해 봄으로써 문학교육 평가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작품을 통해 삶과 자아에 대한’ 교육과 평가로 변화되어야 할 당위를 문화심리학의 인지 패러다임에서 찾고, 문학의 본질적 양식이자 인간의 기본적인 사고 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를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는 문학교육의 대상이자 현상, 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문학교육 평가는 내러티브에 기반할 때 문학과 교육의 가치를 회복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 문학교육 평가’란 내러티브의 의미 층위가 문학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등 평가의 전 과정에 관여함을 의미한다. 이에 문학의 속성이자 내러티브의 자원이 되는 삶과 경험, 상상력이 내러티브적 교섭을 통해 내면화(internalization), 외면화(externalization)되는 과정을 전제하고,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경험과 상상력, 내면화와 외면화의 기제 및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추출한 얼개를 바탕으로 거칠지만 이론적 차원에서 내러티브에 기반한 문학교육 평가의 틀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suggest a broad frame of evalu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literatur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was incomprehensive or it just represented personal ideas. Although evalu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literature education, it deviated from the nature of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I started to conduct this research. First, I examined the changes of evaluation and cognition paradigm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including philosophy, psychology, and pedagogy. Then, I established the view of evaluation and knowledge for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Evaluation should be more than ‘evaluation of the result of class’ and ‘evaluation for goal achievement’, which made me reconceptualize ‘evaluatio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and propose ‘an omnidirectional plan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Furthermore, I intended to create the basi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y reconsidering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earning. Hence I found the necessity for current evaluation to be changed into education and evaluation ‘of life and identity through works’ in a cognitive paradigm of cultural psychology, and offered narrative as an essential frame of literature and human basic thoughts. Narrative has significant meanings as the object, phenomenon and principl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an restore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when based on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means that the layers of meanings of narrative involve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such as th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content and methods. Thus, I examined experience, imagination, the mechanism and aspect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n the premises of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life, experience, imagination as the properties of literature and the source o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connection. I proposed a general, theoretical frame of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based on narrative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his.

      • KCI등재

        남북한 언어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한 연구 - ‘관용 표현’ 교육을 중심으로

        박소은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3 국어교육연구 Vol.- No.8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 as part of integrated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so-called unification era in which learners of the two Koreas will rece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gether. “Idiomatic Expression” is a common educational content in the two Koreas. Both the two Koreas emphasize “knowledge” and “performance” together in that they deal with learning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knowledge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related to idiomatic expressions and use in real life. Meanwhi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as a means of enhancing ideologicality in North Korea. However, the content of idiomatic espression education as an integrated education content to be used in the era of unification needs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heterogeneity of the two Koreas and further restoring and strengthening homogeneity. In order to restore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Idiomatic espression’ should be ‘related to the values that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the lives of Koreans, reflect the unique discourse customs of the Korean people, and be familiar to the Korean people.’. It was also suggested that it is desirable to 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for inquiry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heterogeneity. 이 논문의 목적은 남북한의 학습자가 함께 국어교육을 받게 될 이른바 통일 시대를 대비한 통합 교육 내용의 일환으로 ‘관용 표현’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고 그 의의를 검토하여 남북한의 언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관용 표현은 남북한에서 공통으로 다루는 교육 내용이다. 남북한 모두 관용 표현과 관련된 지식 습득 및 이해, 실생활에서의 사용까지 고려한 학습 활동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앎’과 ‘수행’을 함께 강조하고 있음이 공통된다. 한편 북한에서는 사상성을 드높이기 위한 수단으로도 관용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렇지만 통일 시대에 활용하게 될 통합 교육 내용으로서의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은 남북한의 언어적 이질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동질성을 회복하고 강화하기 위한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남북한의 동질성 회복 차원에서는 ‘관용 표현’과 관련된 교육 내용이 ‘한국인의 삶에서 중요하게 여겨져 온 가치와 관련이 있을 것, 한민족이라는 언어 공동체의 고유한 담화 관습을 반영할 것, 한민족에게 친숙한 내용일 것’임을, 이질성 이해 차원에서는 탐구 활동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교재화에 대한 통계적 양상

        류수열,최인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8

        이 연구는 2015 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들이 교과서에 반영된 통계 적 양상을 학년(군)별, 영역별, 범주별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는 몇 가지 쟁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집필된 교과서는 문학 및 읽기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월등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영역 간 편차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해 학년(군) 간 차이와 범주 간 차이는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쟁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다른 영역에 대해 문학 및 읽기 영역이 가지는 비중의 편차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이다. 이에 대해서는 성취기준의 개수는 영역별로 같게 유지하되, 교과서에서 편차가 일어나는 현상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수긍할 수도 있고, 문학 영역 성취기준의 수준과 범위를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학년(군)별로 하위 영역의 비중을 달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 교육 과정이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무관하게 모든 학년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영역별 성취기준의 기계적 균형을 추구한 것에서 도출된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지식-기능-태도’라는 세 범주에 기계적으로 대응시키 는 관례를 해체해 볼 수도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이는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해당 범주들 사이의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넷째, 매크로 개념(macro concept)의 적극적 도입을 통해, 영역 통합적 교수․학습을 모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