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 동기 및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

        최호성 ( Hoh Sung Cho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3 외국어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세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알아보고, 미국 대학의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포 학생들과는 달리 한국어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으며, 대학에 와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었다. 자료는 한 학기 동안 다섯 번의 개 별 면담을 통해 수집 되있고 내러티브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전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때문이 있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경험했던 한국 문화가 한국어 강좌 수강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이들은 한국어의 효용가치가 적고 배우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를 기피한다고 말하였다. 한국어를 배워도 사용할 기회가 제공 되지 않아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지나친 문법 암기와 독해 위주 의 교육도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이었으며,교포 학생위주의 교과 과정도 이들을 한국어 수업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e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an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wo research questions guide this study: (1)What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And (2) what barriers do they face learning Korean in a US tertiary context? The participants were sophomores who enrolled in a second-year Korean class in a Midwestern university, and they were the only KFL learners in the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narrative interviews over a semester.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interests in Korean culture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that is, their encounters with Korean culture before college led them to take Korean classes. They reported that Korean is difficult to learn but of little use in the US, which they believed explains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Korean classes. They said that the lack of a Korean speaking community demotivated them to use Korean. Grammar/reading-based instruction also made them lose interest in learning Korea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mainly on heritage learners was another reason for KEL learners to avoid enroll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러시아 중등 한국어교육과정 분석과 과제 탐색

        김호정 ( Kim Hojung ),골로바노브키릴 ( Golovanov Kirill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러시아 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설계의 제도적이고 정치적인 상황·맥락을 살피고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과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헌법, 교육법, 언어법, 연방국가교육기준, 외국어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연구 보고서, 논저 등의 문헌을 검토하고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러시아에서는 ‘다원주의’를 외국어교육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외국어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이 미진하고 교사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다원주의’ 가치 실현을 어렵게 하는 상황적 요인이 존재한다. 러시아 외국어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에서는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 학습자의 자아실현 및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설정하며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의 A1+∼B1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0년 중학교 연방국가교육기준이 개정되면서 중학교 정규과목에 제2외국어가 추가되었고,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제2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의사소통능력 즉, 담화능력, 언어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보상전략 능력의 발전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0∼350시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A1+ 수준 도달을 목표로 5∼9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의사소통 활동 과제, 언어 지식 등의 교육 내용 체계와 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과정이 러시아 내 중등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고등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고등학교 간 연계를 위한 후속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교재-교수·학습-평가를 통한 환류 및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in Russia, and to discuss the follow-up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the Russian Constitution, Education Act, Language Act,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es are reviewed, and th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are analyzed while surveying four curriculum-related experts in Russia. In Russia, 'pluralism' is a great princip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value of 'pluralism', such a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and difficulties in supplying teachers.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ims to reach CEFR level A1+~B1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lf-actualization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s a communication tool. As the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0, a second foreign language was added to the regular middle school subject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discourse competence, language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trategic competence as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350 hours per year. To this end,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A1+ level,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elements such as topics, tasks, and language knowledge to be covered in grades 5-9 are presented in detai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of Russ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llow-up curriculum to link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eedback through curriculum-textbooks-teaching·learning-evaluation.

      • KCI등재

        TI`NH TRA.NG NGHIE^N CU´U HA`N QUO^´C TA.I VIE^.T NAM VA` MO^.T VA`I D E^.NGHI.

        Kim, Ki Tae,Vie^.t, Khoa tie^.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998 東南亞硏究 Vol.- No.7

        베트남에서의 한국연구의 현황과 제의란 제목으로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연구기관의 살펴보고 우리 나라 정부의 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는 19992년의 12월 양국간의 국교가 정상화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베트남에서 한국학연구가 시작된 것은 1993년부터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현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 문과이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내의 동방학부 내에 일본학, 중국학, 한국학 그리고 동남아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또한 남부의 국립 호찌민 종합대학 (현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에서 1994년부터 한국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베트남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내지 한국학 강좌가 정규과정으로 개설되었으나 수도 하노이에는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외국어대학 한국어과가 4년제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또한 남부의 호찌민시에서는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사립대학인 외국어 컴퓨터 대학내에 한국어과가 있다. 이들 4개 대학에서 배출하는 한국어 전공 학사는 매년 100여명 가량이다. 대학 이외에 한국학 연구 기관은 국립 사회인문과학원 내의 한국학 연구소가 일본 연구소 내에 1998년 설립되었으나, 아직 법인으로 베트남 정부에 등록되어있지 않으므로 활동이 매우 부진하다. 한국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에 한국학과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과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이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약 139,580달러를 지원하였다. 이 이외에도 삼성문화재단에서 KF에 기탁한 100만불에 대한 기금에 대한 이자로 베트남 매에 한국을 이해시키는 프로그램을 1997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또한 KF는 베트남 내의 한국학 연구자와 한국어 전공자를 한국에 초청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는 이외에 한국학에 대한 각종 서적을 1994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한편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은 ODA자금으로 1992년부터 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KOICA의 베트남 내의 한국어나 한국학 지원은 한국어 교육 봉사자 파견이나 단기 한국어교육을 위한 베트남인 국내 초청에 한정되었다. 한국어 교육 봉사자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27명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도 베트남내의 한국어 보급과 한국을 이해시키는 활동으로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공보관이 있다. 한국 문화부의 지원으로 베트남인들의 한국 이해 프로그램인 Korean essay contest, 한국 역사교재 출판과 한국 전래동화 번역 사업 등으로 매년 약 2만불 가량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베트남 투자 업체나 종교기관등 NGO에서도 베트남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의 한국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나 한국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국립 사회인문 연구소의 한국학 연구소에 대한 계속적인 재정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와 동시에 한국학연구를 위한 우리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망된다.

      • KCI등재

        미얀마 불복종 운동 시기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지원 방안 연구

        김낭예,조현용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2 東南亞硏究 Vol.32 No.1

        A one-year state of emergency was declared in Myanmar on February 1, 2021, when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ere detained in a military coup. Massive demonstrations by the Myanmar people in protest against the military coup began across the nation, and the protests continue to this day without an active interv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same time, civil disobedience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regime is unfolding, and academic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a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at Myanmar University are currently joining the CDM, refusing to attend school or take classes. In addition, most of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fired for not cooperating with the military regim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yanmar is actually paralyzed. Based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yanmar, which is undergoing civil disobedience movement, focusing 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for the purpose of urg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looking for practical ways to help solve the local situation in Myanmar. For this purpose, written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with professors and learners attending two universities, Yango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YUFL) and Mandalay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MUFL), which hav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Myanmar. Through the interview, this study presented opinions on material support for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 Myanmar as well as support for teachers’ training.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that practical research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Myanmar-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and to provide them online. AS the university education in Myanmar has been stopped, official research cooperation through the universities was impossible and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area was not smooth.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large-scale quantitative research or precise qualitative research could not be conducted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however, is that it grasped the reality of Myanmar through the interview responses, and prepared measures to support teachers and learners by reflecting local demands. The suppor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might be used to support Korea language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 미얀마는 지난 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일으킨 쿠데타로 정부 고위 인사들이 구금되고 1년간의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 이 에 군부 쿠데타에 항의하는 미얀마 국민들의 대규모 시위가 미얀마 전역에서 시작되었고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 현재까지도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군부 정권에 대항하는 불복종 운 동이 펼쳐지고 있으며 미얀마 대학의 한국어과에서 한국어를 배우 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도 현재 불복종 운동에 참여하여 등교 및 수 업을 거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 국어 교원의 대부분은 군부 정권에 협력하지 않아 해직을 당한 상 태이다. 실제적으로 미얀마의 한국어 교육은 마비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의 현 상황에 대한 한국어 교육계의 관심을 촉구하고 미얀마 현지 상황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 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불복종 운동 중인 미얀마의 현재 한국 어 교육 현황을 한국어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얀 마에 한국어과가 설치되어 있는 두 대학, 양곤외국어대학(YUFL)과 만달레이외국어대학교(MUFL)의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미얀마의 한국어과 교수를 위한 물질적 지원 방안 과 함께 교원 연수 지원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얀마 한국어과 학생들을 위해서도 미얀마에 특화된 교육 내용을 개 발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았다. 대학 교육 자체가 중단되어 대학을 통한 공식적인 연구 협조가 불가능하고 현지와의 연락도 원활하지 않은 현 상황에서 대규모의 양적 연구나 정밀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 계이나 인터뷰 답변 내용을 통해 미얀마 현지의 실상을 파악하고 현지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 지원 대책을 마련하였다 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원 방안은 향후 유사한 상황에 처한 다른 국가의 한국어 교육 지원에도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안정민,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in Central Asia and present the case of Korean language immersion camp for Koryeoin youths.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processes,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details of the camp program were discussed in detail. In addition, four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and measu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amp program: satisfacti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tion plan for setting goals after camp, and Korean identity efficacy. Students have generally been high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Korea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In this study, two suggestions were ad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eoin youths. The systematic pre-management and follow-up management should be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Koryeoin youth should be continued. 이 논문은 한국어 사용 기회가 거의 없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와 관련한 특징을 살피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8년에 진행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 캠프’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집중캠프의 목적과 목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행된 현지 인터뷰 및간담회의 과정과 내용, 참가자 정보, 캠프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네 가지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측정했는데, 만족도 조사와 한국어 성취도 평가, 캠프 이후에 자신의 목표를 세우도록 하는 액션 플랜 세우기, 한국어와한민족 정체성 효능감 평가가 그것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에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한국어 성취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진단 평가에 비해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향상시키고 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고국에 돌아가서도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액션 플랜 세우기의 과정과 결과도 보였다. 새롭게 시도된 고려인 청소년들의 한민족 정체성 효능감에 대한 평가 도구와 내용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두 가지의 제언을 덧붙였다.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의 전과 후에 체계적인 사전 관리과 사후 관리가 지속되어야 한다는것과 고려인 청소년의 학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교육도 계속해서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소년의 현황과 분석

        임영상(Yim, Young 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1. 고려인 청소년들은 전문직이나 고위관리직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특히 경제상태가 좋지 않은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전공과 무관하게 한국기업에서 일하고 한국 관련 일을 하고자 한국어 공부에 적극적이었다. 종교는 개신교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과 미국에서 파송된 한인선교사들의 활발한 선교활동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2.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인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이 높고 가족의 수입도 평균 이상으로 인식했다. 부모의 직업도 전문직과 고위직이 많았으나 자영업과 판매업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제이행 및 중앙아시아 국가의 독립에 따라 많은 고려인 전문직 종사자들이 소규모 비즈니스로 직업을 바꾼 결과가 반영되었을 것이다. 3. 고려인 청소년 부모들은 한국사회에 호의적이며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열성이고 한민족끼리 결혼하기를 희망하고 한국음식을 즐겨 먹고 있으나 자녀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은 극히 소수의 비율에 그쳤다. 소비에트 시민으로 살아온 부모세대들은 이미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4. 고려인 청소년들에게 한국은 이미 역동적이며 친밀한 나라가 되었다. 한국인에 대한 평가도 높게 나왔다. 그들은 한국어를 유용한 언어로 생각하고 한국방문 및 연수에도 적극적이다. 한국영화와 드라마, 즉 한류(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불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청소년들의 한국 뉴스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 않았다. 5. 고려인 청소년들은 부모님과 생활하며 한민족 고유의 명절과 전통인 설, 한식, 단오, 돌, 환갑 등을 아직까지는 잘 기념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한 그들 부모세대와 달리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음이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고 쓰기 능력에 대한 설문에서 확인되었다. 6.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자긍심을 느끼고 있고 한민족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대해 알려고 노력하고 있다. 높아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고려인단체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저조한 것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고려인협회의 분열상과 자체 역량 부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7.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국과의 관계형성 및 교류를 지속적으로 원하고 있으며, 한국 청소년들과의 인터넷사이트를 통한 교류에 적극적이다. 또한 그들은 한국정부의 유학 및 취업지원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정보의 공유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8. 러시아 이주와 관련한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뿌리와 한민족의 최대 비극인 1937년 강제이주의 역사, 또한 그들의 선조들이 정착한 중앙아시아의 콜호즈 또한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미래와 관련, 학업을 통한 신분상승과 성공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들의 미래에 대해서는 많은 기대를 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hope to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However, in Central Asia, especially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of Uzbekistan are aggressive i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o work in Korean companies and to get a job related to Korea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ir majors. Protestantism is given more weight on religion. It is the result of vigorous missionary works of Korean missionaries dispatched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 In the case of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the rate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 is high and they recognize that family's income is above average. A lot of parents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and the rate of running their own businesses and sales business is relatively high. This status reflects that many ethnic Korean workers in professions changed their jobs into small businesses according to the shift to an open economic system and the independence of Central Asia. 3. Ethnic Korean young people's parents have favorable opinion about Korean society, passion for children's education, hope for marriage among Koreans, and favor with Korean food. However, the rate of talking with their children in Korean is low because parents who have lived as the Soviet citizens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any more. 4. To ethnic Korean young people, Korea is already considered as an active and familiar country, and Koreans are in high opinion. They think the Korean language is very useful. In this reason they are aggressive in visiting Korea and studying in Korea. The Korean Wave from Korean movies and dramas is confirmed, while they give a little attention to Korean news. 5. So far, living with their parents,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celebrating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anniversaries such as Seol(New Year's Day), Hansik(mow the grass and offer sacrificial food at the ancestral tombs), Dano(festival on May 5th), Chuseok(harvest festival), Dol(first birthday), and Hwangab(60th birthday). Unlike their parents who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they learn Korean eagerly as a foreign language. It is checked by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6.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proud of being members of the Korean race, and try to know about Korean history, traditions, and customs. It has resulted from the fast growing international presence of Korea. However, the poo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thnic Korean organizations are presumed because of the disruption of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its ability except a few regions. 7.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continuous interchanges and relations with Korea, and they are aggressive in interacting with Korean young people via internet sites. Also, they show great concerns about th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in studying and getting a job in Korea, indicating the lack of sharing information. 8.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not quite sure of their roots, the history of 1937 Diaspora which is the worst Korean tragedy, and kolkhoz in Central Asia where their ancestors settled. 9. Relating to their future,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to succeed and enhance their social standing through studying. They generally expect a lot and take an optimistic view about their future.

      • KCI등재

        이민자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내용 분석 연구

        문정원,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3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in Korea and find out how composition factors of health literacy a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to improve immigrants’ health literacy. Immigrants in Korea often have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 live a healthy daily life and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revealed the need for health literacy research for immigra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inly dealt with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and not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basis for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factors of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s were explored, focusing on functions. Based on this, it appeared that the Korean education contents were particularly focused on specific composition factor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hen examined by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level. It is positive to suggest the use of hospitals and pharmacies from the beginner’s level, but there is a limit to developing practical health literacy.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writing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when using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is not mentioned in the textbooks. To improve immigrants' health literacy,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should be presented in a balanced way with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본 연구는 건강문해력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살펴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이민자를 위한 건강문해력 연구가 한국어교육에서도 본격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지금까지 건강문해력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국내 이민자들은 한국에서 거주하면서 의료 기관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먼저 현재 국내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서 건강문해력의 구성 요인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분석 준거로 건강문해력 측정 도구들의 구인을 살펴보았다. 그다음에 국내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내 건강문해력 관련 한국어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구인들을 기반으로 이민자 대상 교재를 분석한 결과, 교육 내용이 특정 구인에 특히 집중되어 있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각 구인을 한국어 수준별로 살폈을 때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문해력 관련 내용이 더 빈번하게 제시되지만 다양성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 약국 등 의료 기관에서 필요한 의사소통과 관련한 구인들에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초급 단계에서 병원, 약국 이용 등이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이나,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이 낮아 제시되어 있는 내용이 제한적이었으며, 실제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더불어 보건·의료 기관을 이용 시 접할 수 있는 각종 자료 및 서식 등을 이용할 때 자신의 문해 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은 한국어교육 내용으로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민자들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한국어교육과정 내에서 건강문해력 구인들이 균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건강문해력에 대한 첫 연구로, 이 논문을 기초로 이민자들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한국어교육 내용과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우크라이나의 한국학자료와 고려인

        최승진(Choi, Seung-Jin),김석원(Kim, Suck-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4 역사문화연구 Vol.20 No.-

        CIS여러 지역의 한국학 관련 자료 및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우크라이나 지역의 한국학 자료를 조사하고 한국어 교육 실태에 관하여 조사연구 하였다. 조사 기관은 국립중앙도서관 ,키예프국립대학교 도서관, 우크 라이나 국회도서관, 우크라이나 국립문서 보관소와 역사문서 보관소로 한정하였다. 시기 구분은 1917년 혁명 이전 그리고 1917년 부터 1945년, 1945-1950년대 말, 1960년대부터-1980년대 중반 고르바쵸프의 뻬레스트로이카 그리고 그후 2000년대까지 설정하였다. 1917년 이전에는 신문이나 잡지 또는 정부 공공문서에 소수의 자료가 있었다. 1917년부터 1945년까지는 사회주의 혁명의 전파와 사상고양을 목적으로 한국학 연구가 진행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1945년부터 1950년대 말까지는 사회주의 블록 확장과 한국전쟁이라는 세계사적 사건 속에서 조소 동맹에 근거한 북한과의 밀접한 관계와 북한에 편향된 연구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는 첨예한 냉전 이데올로기 속에서 우크라이나에도 나름대로 한국학의 뿌리를 내리는 시기라 파악되며 문학 역사 등의 전문 서적이나 번역서가 출간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죠브티스(Жовтіс.О)는 고려가요부터 김소월의 진달래꽃까지 번역하였다. 그후 1980년 대 중반부터 오늘날 까지는 과거 북한 편향의 연구에서 한국편향의 연구로 전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역사학자 샤브쉬나(Шабшина.Ф.И) 조선의 천리마 운동이나 사회주의 조선 등에 관하여 저술하였지만 1990년대 이후에는 친한국적인 모습을 보인다. 우크라이나의 한국한 자료는 타 CIS 지역과 중복되는 경우도 있었으며 카탈로 그를 찾아 제목 및 목차 확인에 만족해야했다. 이후 1차적인 자료를 분석하고 좀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리라 생각한다. 우크라이나의 한국어 교육 기관은 키예프에 키예프 외국어 대학교, 키예프국립대학교, 키예프 국제 언어법 대학 등 세 곳의 대학 기관이 있었으며 슈콜라(12년제 초중고 교육기관) 2곳, 우크라이나 제2 도시인 하리코프에 1곳의 슈콜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전역에 퍼져있는 10여명의 선교사들은 예배 후초보적인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교재 및 사전 이 부족했으며 우크라이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한국정부나 민간단체의 교사 지원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During the 2003 winter field trip, 2003 years, the text treatment of a related subject matter was written on the basis of the visit and inquiry of public institutions, libraries and educational bodies. When it inquires into Korean studies in Ukraine, it could presume that situation was not enlivened as compared with Moscow, St. Petersburg, the Russian Far East and Central Asia before CIS period. This reflects that Ukraine had showed more interest in the Near-Middle east and it is suggests that its access relatively took superficial views of the Far East. Data of state organization divided generally into 5 stages by substances and properties(Imperial rule, 1917-1945, 1945-1950s, 1960- the middle of 1980s, on and after that time-). This classification represents things as Soviet republics other than what the Ukraine is. Corresponding articles to the initial stage gave a summarized account of the Orient, Korea. Those filled the role of a guide to exoticism. Before or after World War II, publications showed a marked trend toward ideological conflict. It especially started to be witnessed a phenomenon, rendering Russian books to Ukrainians at this time. Research of Korea in 1960-1980s became abundant in quality on the base of accumulative results until now. It is very timely that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n, KAPF circle, socio-titer from North Korea were introduced and their works made out. Political change of the 1990s have brought about a large reform in this type of research The established point of view broke away from the inclination of pro-north Korea, and expanding of interchange and cooperation contributed to gradually make conditions better. With the exception of such a common trend, a report included characteristic aspects of documents written in the vernacular. Ukrainian scholar’s(Г. Скалозуб, О. Жовтіс, Л. Еременко, В. Иванова...) articles in various fields, translations(Те Ги Чен , Лі Гі Эн, Хан Сер Я )and research papers(ПакІн Ро, Чон Да Сан...)were trotted out in the text. It simply added materials operation, custody and figures of pertinent institutions for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education of Korean, several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in Kiev with the south and eastern parts of Ukraine, Kharkiv were mentioned and made comment on Koreans residing in Ukraine.

      • KCI등재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의 한국 인식-러시아 대학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정세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This articles attempts an historical percep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examining particularly Russian university textbooks. This paper aims to overview Russia's historical cognition in the times the President Kim Dae Jung and No Mu Hyun. Russia's historical awareness in Russia's university textbooks is Russia's ordinary's narrative about Korea's politics, economy, international relation. Chapter II examines Russia's recognition about South Korea's democracy and political system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Discussing Korea's democracy and politics, the authors regard them positive in the textbooks. Chapter III review historical perceptions in the area of South-North Korea's relation. Chapter IV analyze South Korea's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s Russia's total understanding about Kore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ussia. 본고는 한러수교 이후의 러시아의 한국 인식에 관한 내용을 한국 역사를 기술하는 러시아 대학교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러시아의 대학 교재에 서술되는 역사 인식은 전반적으로 한국에 대한 러시아의 정치, 사회, 그리고 경제 분야의 러시아의 대 한국 담론이다. 본 논고의 역사 인식의 대상은 한국의 최현대사이다. 기본적으로 4강 외교의 핵심국인 러시아의 대 한국 인식에 대한 담론은 한국의 미래적 발전 전망에도 일정한 유익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러수교 20년의 시점에서 러시아 대학생들을 위한 교재에 수록되어있는 한국사에 대한 인식은 러시아의 국익이라는 큰 범주 속에서 그 내용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러시아의 한국 인식이 표출되고 있다. 즉 한러수교 이후의 러시아 교과서에 대한 분석은 어떤 측면에서는 한러 외교사, 한국의 국내정치와 대북관계, 한국경제와 국제관계를 바라보는 러시아의 일반적 인식을 이해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한혜민,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revious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and topic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Brown(2007) mentioned that anxiety is the most significant affective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t is known that the language anxiety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bout 705 studies on foreign language anxiety have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s as well as dissertation.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66 studies after reviewing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opics. The types are sorted by year, dissertations and academic articles, and research target. The topics are categorized as language fun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factors and language anxiety, and oth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distribute to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about foreign language anxie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에 대해 다룬 논문을 살펴, 외국어 불안감 연구의 동향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 논문이다. Brown(2007)이 밝힌 바와 같이 불안감은 제2언어 습득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적 요인 중 하나이고,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외국어 불안감을 연구 주제로 다루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고, 그 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망라하여 살펴본 연구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어 불안감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66편을 살펴 연도별, 유형별, 연구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중 주제별 분석은 언어 기능별 외국어 불안 연구와 외국어 불안과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