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의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

        임영상(Yim Young-Sang) 백산학회 2012 白山學報 Vol.- No.94

        21세기 조선족사회가 살아남는 길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가는 길밖에 없으며, 새로운 조선족문화의 창출은 조선민족교육을 전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은 민족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기관이다.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에 한국사회, 지자체와 문화재단 등이 지역을 나누어 아래의 연수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지역별 조선족학교를 활용한 여름 민족문화예술캠프이다. 조선족문화관이 있는 곳은 문화관을 동참시켜야 한다. ② 전현직 교사, 은퇴한 문화계인사들의 주도 아래 학교와 지역의 역사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다. 조선족이 개척하고 살았던 마을과 학교자리를 찾아 GPS좌표점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고 마을어른과 학교졸업생들을 만나 자료(사진, 문서 등)를 수집하고 증언을 받는 것이다. 조사인력의 양성은 전현직교사, 문화계인사들을 대상으로 구술사방법론과 자료의 디지털화 연수를 해마다 반복하면서 추진해야 할 것이다.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creation of new cultures are the only ways to allow the Korean Chinese Community to survive in the 21st century. In this context, "creation of new cultures" is inevitably based on ethnic education.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Schools and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s for Ethnic Culture are the institutions capable of offering education of ethnic arts and cul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Korea's society, local governments and cultural foundations will be able to support the following trai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Chinese community's education of ethnic arts and culture, with each of the institutions helping different regions. ① A summer camp of ethnic arts and culture could be held for each region's Korean Chinese community's schools. As for the regions that have Korean Chinese community's centers, the centers will have to participate as well. ② Former and current teachers as well as those who retired from cultural activities could take the lead in collecting historical data of schools and regions. For example, they could find and confirm the GPS coordinates of the places of villages and schools that were previously established and used by the Korean Chinese. They would also be able to take pictures of the places and meet with the persons still living in these areas and school alumni to collect data (pictures and documents) and listen to them. This survey work will require training former and current teachers and those who used to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each year, they will need to learn the methodology of oral history documenting and digitization of documents.

      • KCI등재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청소년의 현황과 분석

        임영상(Yim, Young 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1. 고려인 청소년들은 전문직이나 고위관리직에서 일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중앙아시아, 특히 경제상태가 좋지 않은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전공과 무관하게 한국기업에서 일하고 한국 관련 일을 하고자 한국어 공부에 적극적이었다. 종교는 개신교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한국과 미국에서 파송된 한인선교사들의 활발한 선교활동의 결과라고 생각된다. 2.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인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이 높고 가족의 수입도 평균 이상으로 인식했다. 부모의 직업도 전문직과 고위직이 많았으나 자영업과 판매업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제이행 및 중앙아시아 국가의 독립에 따라 많은 고려인 전문직 종사자들이 소규모 비즈니스로 직업을 바꾼 결과가 반영되었을 것이다. 3. 고려인 청소년 부모들은 한국사회에 호의적이며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에 열성이고 한민족끼리 결혼하기를 희망하고 한국음식을 즐겨 먹고 있으나 자녀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은 극히 소수의 비율에 그쳤다. 소비에트 시민으로 살아온 부모세대들은 이미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4. 고려인 청소년들에게 한국은 이미 역동적이며 친밀한 나라가 되었다. 한국인에 대한 평가도 높게 나왔다. 그들은 한국어를 유용한 언어로 생각하고 한국방문 및 연수에도 적극적이다. 한국영화와 드라마, 즉 한류(한국 대중문화) 열풍이 불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들 청소년들의 한국 뉴스에 대한 관심도는 높지 않았다. 5. 고려인 청소년들은 부모님과 생활하며 한민족 고유의 명절과 전통인 설, 한식, 단오, 돌, 환갑 등을 아직까지는 잘 기념하고 있다. 또한 한국어 구사능력을 상실한 그들 부모세대와 달리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적극적으로 배우고 있음이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고 쓰기 능력에 대한 설문에서 확인되었다. 6.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자긍심을 느끼고 있고 한민족의 역사, 전통, 관습 등에 대해 알려고 노력하고 있다. 높아진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고려인단체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저조한 것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고려인협회의 분열상과 자체 역량 부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7.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국과의 관계형성 및 교류를 지속적으로 원하고 있으며, 한국 청소년들과의 인터넷사이트를 통한 교류에 적극적이다. 또한 그들은 한국정부의 유학 및 취업지원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나 정보의 공유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8. 러시아 이주와 관련한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뿌리와 한민족의 최대 비극인 1937년 강제이주의 역사, 또한 그들의 선조들이 정착한 중앙아시아의 콜호즈 또한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고려인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미래와 관련, 학업을 통한 신분상승과 성공을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들의 미래에 대해서는 많은 기대를 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낙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hope to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However, in Central Asia, especially the ethnic Korean young people of Uzbekistan are aggressive in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o work in Korean companies and to get a job related to Korea without any connection to their majors. Protestantism is given more weight on religion. It is the result of vigorous missionary works of Korean missionaries dispatched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 In the case of Ethnic Korean young people in CIS, the rate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parents is high and they recognize that family's income is above average. A lot of parents work in professions or high-ranking management positions, and the rate of running their own businesses and sales business is relatively high. This status reflects that many ethnic Korean workers in professions changed their jobs into small businesses according to the shift to an open economic system and the independence of Central Asia. 3. Ethnic Korean young people's parents have favorable opinion about Korean society, passion for children's education, hope for marriage among Koreans, and favor with Korean food. However, the rate of talking with their children in Korean is low because parents who have lived as the Soviet citizens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any more. 4. To ethnic Korean young people, Korea is already considered as an active and familiar country, and Koreans are in high opinion. They think the Korean language is very useful. In this reason they are aggressive in visiting Korea and studying in Korea. The Korean Wave from Korean movies and dramas is confirmed, while they give a little attention to Korean news. 5. So far, living with their parents,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celebrating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anniversaries such as Seol(New Year's Day), Hansik(mow the grass and offer sacrificial food at the ancestral tombs), Dano(festival on May 5th), Chuseok(harvest festival), Dol(first birthday), and Hwangab(60th birthday). Unlike their parents who have no proficiency in Korean, they learn Korean eagerly as a foreign language. It is checked by the questionnaire asking about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6.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proud of being members of the Korean race, and try to know about Korean history, traditions, and customs. It has resulted from the fast growing international presence of Korea. However, the poor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ethnic Korean organizations are presumed because of the disruption of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its ability except a few regions. 7.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continuous interchanges and relations with Korea, and they are aggressive in interacting with Korean young people via internet sites. Also, they show great concerns about the support of Korean government in studying and getting a job in Korea, indicating the lack of sharing information. 8. Ethnic Korean young people are not quite sure of their roots, the history of 1937 Diaspora which is the worst Korean tragedy, and kolkhoz in Central Asia where their ancestors settled. 9. Relating to their future, ethnic Korean young people want to succeed and enhance their social standing through studying. They generally expect a lot and take an optimistic view about their fu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코리언 디아스포라와 구술사

        임영상(Yim, Young 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3 역사문화연구 Vol.19 No.-

        Based on the writer’s study in the CIS and America for the last four years, this paper is basically about how to apply the methodology of Oral History on the research of Koreans abroad. In the chapter 2, I confirmed that ‘Oral History is basically oral, dialogic, recorded, and history.’ through writing a paper, “The Korean Community in the Bloomington: An Oral History.” And then I introduced two research examples for the study of Korean American and Koryosaram(Koreans in the CIS): Grandmothers, Mothers, and Daughters: Oral Histories of Three Generations of Ethnic American Women & Village Mothers: Three Generations of Change in Russia and Tataria. In the chapter 3, I introduced some oral history articles in the Occasional Papers(by Korean American Historical Society) and the Korean and Korean American Studies Bulletin(by East Rock Institute). But as a model of ‘Oral History’ for Korean American, I introduced, in detail, Doing What Had To Be Done: The Life Narrative of Dora Yum Kim(by Soo-Young Chin). Man Suk Yum, Dora’s father, was one of the 27 Korean American pioneers shown in the 1996 exhibition, ‘ReViewing Our Past: Tracing Family Histories’ by the Korean American Museum. In the chapter 4, I introduced three Koryosaram autobiographies translated in Korean: Koryosaram, who are we? & My Love Russia & The Secret of Happiness in Kharkov. And I introduced an article on Kim Maxim Pavlovich and several reflections of Koryosaram old-timers in the Faith and Life(by the Samil Cultural Institute in Moscow). In conclusion,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ral History’ about Korean Diaspora old-timers, who could be as a role model. This chapter concludes with the following KAM’s remarks on the exhibition in 1996: “We need stories as we need to breathe and eat. We need reliable stories about our past to give us a legitimate source of strength, hope, and knowledge. Stories can provide a road map -- where we have been, where we are going. How did we get here.”

      • KCI등재

        타슈켄트 주 〈북쪽등대〉 콜호즈의 김 게오르기, 문화일꾼에서 한국어 교사로

        임영상(Yim, Young-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7 No.-

        이 글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주 중치르치크 구역의 〈북쪽등대〉 콜호즈의 제65번 학교의 한국어교사인 김 게오르기의 구술생애사이다. 필자는 2009년 7월과 2010년 8월 타슈켄트 김 게오르기의 자택에서 각기 1시간씩 인터뷰를 가졌으며, 인터뷰는 김 게오르기와 그의 평생의 반려자인 박 마르타와 함께 가졌다. 또한 타슈켄트 한국교육원의 직원인 김 게오르기의 차녀인 김이리나와도 2010년 8월에 인터뷰를 가졌다. 〈김병화〉 콜호즈와 함께 타슈켄트주 중치르치크 구역의 선진 고려인 콜호즈인 〈북쪽등대〉 콜호즈에서 1943년 유복자로 태어난 김 게오르기는 타고난 음악인이었다. 그는 학생시절에 학생들에게 음악을 가르치기도 했다. 타슈켄트 사범대학 재학중에 1944년생인 박 마르타와 만난 김 게오르기는 1965년 결혼하면서 대학공부를 중단했다. 그는 학교의 음악교사, 그리고 콜호즈의 문화일꾼으로 활동했는데, 춤과 노래를 잘했던 아내 박 마르타를 포함한 공연팀을 만들어 예인으로 살아갔다. 그러나 1992년 타슈켄트에 한국교육원이 생기고 차녀 김 이리나가 가르친 콜호즈의 한국어교실을 맡으면서 한국어교사로서 제2의 인생을 살게 되었다. 1995년과 2004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한 그는, 현재 타슈켄트 주 한국어교사회 회장이다. This writing is the oral biography of KIM Georgi(Semenovich), a Korean language teacher of ‘Northern Lighthouse’ Kolkhoz located at the Middle-Chirchik District in Tashkent, Uzbekistan. The writer had an interview with Mr. KIM at his house for an hour each in July 2009 and August 2010, and his wife PARK Martha was present at the interviews. In August 2010, another interview was held with KIM Irina, Mr. Kim’s second daughter, who works for Tashkent Korean Education Center. KIM Georgi(Semenovich) was born at ‘Northern Lighthouse’ Kolkhoz, well-known as an advanced Korean Kolkhoz along with ‘Kim-Byung-Hwa’ Kolkhoz. His father had already died when he was born in 1943. As a gifted musician, he taught other students music during his school days. He took on a role as a student-teacher because there was no music teacher in his school. While he was in Tashkent College of Education, he met PARK Martha(born in 1944) and married her in 1965. After he left college halfway because of the family to support, he worked as a school music teacher and a cultural worker of Kolkhoz. He had lived an artistic life by setting up a performance team including his wife who was good at singing and dancing. Meanwhile, Tashkent Korean Education Center was founded in 1992, and he started a second life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undertak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which his daughter Irina was in charge of. KIM Georgi, who visited Korea in 1995 and 2004, is now the chairman of Tashkent Korean Language Teacher Association.

      • KCI등재

        코리언 아메리칸과 구술사

        임영상(Yim, Young-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2003년은 미주한인이민 100주년인 뜻 깊은 해였으며. 첫 정착지인 하와이와 한인들의 집중 거주지인 서부 지역(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과 동부 지역(뉴옥, 볼티모어-워싱턴 DC), 그리고 중서부의 시카고와 동남부의 애틀란타 등 대도시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었다. 코리언 아메리칸은 미국 내 다른 소수계 인종과 달리 미국의 전 지역에 고루 흩어져 살고 있다. 따라서 비록 한인 인구가 1만이 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도시 인구 100만 내외의 주도(Capital)와 주요 주립대학이 소재한 대학도시 등의 한인 커뮤니티 연구도 활성화되어야 한다. 인구 120만의 인디애나폴리스는 뉴욕이나 LA와 같이 소수계 인종이 다수를 차지하는 도시와는 달리 백인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는 전형적인 미국도시이다. 따라서 한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탓에 교민을 상대로 한 별도의 신문 등이 부재한 인디애나폴리스와 같은 미국도시에 살고 있는 한인커뮤니티에 대한 연구, 특히 커뮤니티의 ‘롤 모델(Role Model)’이 될 만한 원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필자는 인디애나폴리스 지역의 한인 커뮤니티를 관찰하면서 40여년 내외로 거주한 올드 타이머 가운데 백한원-장진옥 두 분은 인디애나폴리스, 나아가 인디애나 한인 커뮤니티의 롤 모델이 되기에 충분한 분임을 확인했다. 인디애나폴리스의 한인교회, 한글학교, 한인회(The Korean Society of Indiana)의 설립과 초기 운영 모두 이들 부부가 그 중심에 있었으며, 이들 부부가 각기 다민족 미국사회에서 한국문화를 알리고 또 미군과 결혼한 한국부인들의 인권옹호 등에 앞장서왔기 때문이다. 2003 was the year of great significance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Various events were held in large cities; Hawaii the first settlement, Los Angeles, San Francisco, Seattle of the West, New York, Baltimore, Washington, D.C. of the East, Chicago of the Midwest, and Atlanta of the Southeast where are the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s of the Korean-Americans. Unlike the other minority races, the Korean-Americans live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Therefore the research has to revitalize on the Korean Community of the cities which have 1 million or so as a states capital or a university city including states university, even though Korean-American population of the city is less than ten thousand. Indianapolis with a population of 1.2 million, unlike New York or Los Angeles made up by the minority races who have a majority of the city, is a typical American city made up by Caucasian who have a majority. For this reason, it's the right time to research on Korean communities which are in American cities like Indianapolis which has no any kind of newspaper for the Korean-Americans because of small population, and especially on old timers who have the quality to be a Role Model of community. From May to July, 2003, observing Korean community in Indianapolis, this researcher looked up a couple Mr. & Mrs. Paik Han Won and Chinok Chang among old timers who had lived there 40-old years and checked up they are qualified enough to be Role Models. The couple founded and managed Korean church, Korean language school, and Korean society of Indianapolis. In addition, each of them introduced Korean culture to the American multiracial society and took the lead in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Korean wiv! es married American Forces.

      • KCI등재

        The Trans-National Ties of Koryeoins in Russia to Korea

        임영상(Young-Sang Y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고려인과 한국의 초국적 연계를 한인종교단체(제2장)와 NGO(제3장)와의 협력을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내 많은 종교단체들이 CIS 선교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여왔다. 필자는 종교단체의 경우, 3가지 종교집단을 살펴보았다: 1985년에 설립된 초교파적인 러시아(소련)선교회, 문화선교로 러시아 및 고려인사회에 기여해온 모스크바 삼일문화원, 그리고 원불교가 세운 모스크바 원광한국학교. 현재 구소련 14개 지역에 38명의 선교사를 파송하고 있는 소련선교회(1984년 설립)는, ①노어성경 보급 및 문서선교, ②러시아어 강좌 및 선교사명자 훈련, ③선교사 파송 및 후원관리, ④선교사대회 개최 후원, ⑤CIS교회 지도자 초청훈련, 및 ⑥국내 체류 외국인 선교 등을 중요사역으로 시행하고 있다. 기독교 선교사로 목회활동과 함께 문화선교를 통해 고려인을 섬겨온 사례로 1995년 8월 15일 설립된 모스크바 삼일문화원이 있다. 그는 무료대여 도서관을 운영하면서 한국문화에 관심을 가진 러시아인과 고려인들과 부단하게 만나는 한편, 『베라 이 지즈니(믿음과 삶)』 잡지를 한국어와 러시아어판으로 간행했다. 그는 한국학 전문가인 러시아인 학자들과 또 고려인 학자들에게 투고 기회를 제공하면서 친구관계를 맺어왔다. 이형근 원장은 이를 기반으로 이기백 교수의 『한국사신론』의 러시아판 등 한국을 알릴 수 있는 학술서와 문학작품을 출판하고, 각종 기념일을 맞아 국제학술행사를 개최해왔다. 모스크바에서 한인선교사들의 개신교회 못지않게 고려인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이 원불교이다. 이는 1991년 12월에 활동을 시작한 원불교가 1993년 1월에 주말한글학교로 세운 원광한국학교 때문이다. 1993년 개교한 원광학교는 총 6학기 3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학기 시험을 거쳐 다음 학기로 진급시키고 있다. 원광학교가 모스크바의 명물이 된 것은 연중 특별행사 때문이다: 한민족민속큰잔치(1994년 이래 개최), 한민족민속큰잔치, 어버이날 행사. 현재 러시아에는 고려인사회를 돕는 수많은 한인 NGO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필자는 학술단체이면서도 고려인사회를 위한 많은 실천적인 활동을 전개해온 (사)해외한민족연구소와 최근 연해주고려인사회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사)동북아평화연대의 활동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사)해외한민족연구소는(1979년 창립) 1993년부터 학술지 『韓民族共同體』(처음에는 韓民族共榮體)를 연1회 발간했고 학술행사도 연1~2회 개최해왔다. 해외한민족연구소 이윤기 소장은 2009년 외교통상부장관 표창을 받았는데, 1910년 국권상실 이후 해외독립운동기지였던 연변의 용정과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의 해외한인사회가 한민족의 동포애를 영원히 기억할 수 있게 한 역사적인업적을 남겼기 때문이다. 1994년 해외한민족연구소는 용정에서 구 대성중학교와 윤동주생가와 명동교회를 복원했으며, 1999년에는 신한촌 망명정부 수립 80돌을 맞아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과거의 신한촌 자리에 신한촌기념탑을 건립한 것이다. (사)동북아평화연대는 1996년에 설립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내 재외동포사업국이 시행한 1997년 고려인 강제이주 70주년을 맞아 “회상의 열차” 사업에서 출발했다. (사)동북아평화연대는 2002년 10월5-6일 제2회 고려인문화의날 행사를 개최, 후원하고는 10월15-28일 연해주 고려인 아리랑가무단을 한국에 초청하여 전국 12개 도시의 순회공연을 통해 연해주 고려인과 한국사회의 만남을 주선했다. (사)동북아평화연대가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과 한국사회를 연대시 킨 활동 가운데 최대 성과는 러시아 한인이주 140주년기념관의 개관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가 전 세계에 흩어져 사는 해외동포들을 위해 지원한 어떤 문화센터보다도 큰 규모인 〈고려인문화센터〉로 명명된 기념관은 동북아평화연대와 재외동포재단이 총 40억 원을 들여 1만㎡ 부지에 지상 2층, 연면적 4천㎡ 규모로 발해시대부터 현재까지 한인들의 연해주 이주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전시관을 비롯해 한국어와 컴퓨터를 배울 수 있는 교육문화센터, 치과. 내과. 한방. 외과 등을 갖춘 병원, 다목적 공연장, 고려인단체 사무실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Koryeoins in Russia have been developing the trans-national ties to Korea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ligious associations (chapter Ⅱ) and NGOs (chapter Ⅲ) since perestroika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Over the past 20 years, many Korean religious Associations have greatly been interested in spreading the Gospel in CIS countries. I wrote three religious Associations: the Soviet Missionary Association, a group transcending Christian religious bo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85, the Moscow Samil Cultural Center which has contributed to Russia and the Koryeoins’ commutniy and the Moscow Wonkwang Korean School founded by Won Buddhism. The Soviet Missionary Association(founded in 1984) currently has 38 missionaries in 14 former Soviet regions. The Association’s principal missions are: first, sending Russian bibles and spreading the Gospel through documents, second, giving Russian language classes and training missionaries, third, sending and supporting missionaries, fourth, organizing and sponsoring missionaries’ reunion, fifth, inviting and training CIS church leaders, sixth, evangelizing foreigners living in Korea. The Moscow Samil Cultural Center is another example of serving Koryeoins. The Center was founded on August 15, 1995 and its Christian missionaries have spread the Gospel through cultural activities. He went to Moscow with about 2,000 books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He opened a library which enabled him to meet Russians and Koryeoins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Moreover, he published a magazine entitled Faith and Life in Korean and Russian. He encouraged Russian and Koryeoin scholars specializing in Korean studies to write articles for the magazine, thus enhancing friendship with them. In this context, Mr. Lee also published academic books and literary works on Korea such as a Russian version of New Introduction to Korean History written by Professor Lee Gi-baek. He has also organized international academic events on occasions of a variety of anniversaries. Another religion who is as influential as Protestantism spread by Korean missionaries is Won Buddhism. Won Buddhism started its activities in this region in December 1991 and it established the Moscow Wonkwang Korean School, a weekend school teaching hangeul, the Korean alphabet. The Wonkwang Korean School which was opened in 1993 offers a six-semester (three-year) program. The Wonkwang Korean School’s special annual events have contributed to the School’s fame: the Korean People’s Folk Festival(since 1994), the Study Presentation, the Parents’ Event. A large number of Korean NGOs are engaging in a variety of activities designed to help Koryeoins in Russia. I would like to elaborated on the activities of the Institute of Overseas Korean Affairs and the Northeast Asia Peace Movement as examples of such NGOs. The Institute of Overseas Korean Affairs (founded in 1979) has published its academic periodical entitled The Community of Korean People once a year since in 1993 and it has also organized academic events once or twice a year. In 2009, Mr. Lee Yun-gi, director of the Institute received the prize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especially for historical achievement of helping overseas Korean communities (those in Longjing, Yanbian and Vladivostok, Maritime Province). In 1994, the Institute restored Daeseong Middle School, Yun Dong-ju’s house and Myeongdong Church in Longjing. For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government in exile, the Institute built in 1999 the New Korean Village monument at the former New Korean Village in Vladivostok which had disappeared. The Northeast Asia Peace Movement was born with the project called the “Train of Memory” which was launched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Koryeoins’ forced emigration in 1997.

      • 한국 속의 러시아

        임영상(Yim, Young-sang),정막래(Jeong, Mak-lae)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동서인문학 Vol.0 No.52

        본 논문은 한국 속의 러시아의 모습을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글이다. 안산, 부산, 동해, 광주 등은 한국 속의 러시아라고 부를 수 있는 도시들이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 있는 고려인들의 집거지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안산고려인마을과 광주고려인마을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에 거주하는 고려인들에 관한 이해를 돕게 될 것이다. 안산은 거의 최초로 고려인의 가장 큰 집거지로 알려진 도시이고, 광주는 고려인을 지원할 수 있는 시 조례까지 제정하면서 고려인사회를 지원하고 있다. 고려인들이 성공적으로 집거지를 형성한 성공적인 사례로 국내는 물론 국외에까지 알려지고 있다. 고려인은 기근으로 인해 이른바 먹고 살기 위해서 러시아로 향했던 사람들이다. 이들은 스탈린의 강제이주로 중앙아시아로 떠나가 집단농장에서 살게 된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된 이후에 수많은 고려인이 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등지의 중앙아시아에서도 민족주의와 종교의 이중부활이 일어났다. 이 가운데 제일 많은 수의 고려인이 살고 있는 우즈베키스탄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해지면서 현지 고려인들의 한국으로의 이주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살기 위해’ 역사적인 고국인 한국행을 택한 고려인들이 하나 둘 모여 한국 속에 또 하나의 러시아를 형성하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of Russia in Korea with a focus on Soviet Korean towns. Ansan, Busan, Donghae, Gwangju are cities that can be called “Russia in Korea”. Among them, we will look at the image of Ansan Soviet Korean town and Gwangju Soviet Korean town that are known to be the largest Soviet Korean towns in Korea. These two places are famous as cases where Soviet Koreans have successfully settled down not only in Korea but also abroad. Soviet Koreans are who left for Russia to find food. They are forcefully relocated in Central Asia by Stanlin. After the USSR collapsed in 1991, there was a double revival of nationalism and religion in Central Asia as well as elsewhere. As the economic situation deteriorates in Uzbekistan, a country with the largest number of Soviet Koreans, more and more Soviet Koreans are moving to Korea, their historical homeland. They have formed another Russia in Korea. Since Soviet Koreans have come to Korea looking for jobs, they have formed towns in cities with industrial complexes nearby. We will take a look at Ansan Soviet Korean town and Gwangju Soviet Korean town, the largest ones among those towns, as successful cases of settlement of Soviet Koreans. We will look into NGOs and NPOs that provide Soviet Koreans with substantive help in these two towns, including “Neomeo”, the Soviet Korean Support Center in Ansan, and the “Soviet Korean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in Gwangju. By introducing successful cases of Soviet Korean towns, we aim to suggest that Soviet Korean towns can be a good example of multicultural Korea as well as a good settlement model of compatriot society in Korea.

      • KCI등재

        러시아 정교회와 사계절 축일 문화

        임영상(Yim, Young-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1 역사문화연구 Vol.1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eason's Festivals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in the context of interweaving of Christian and pre-Christian elements. Winter festivals are examined through Sviatki being continued for 2 weeks from Christmas to Epiphany. It was shaped from the traditional winter solstice festival. Koliada interwoved with Christian elements. Therefore the pre-Christian elements remain in Sviatki. Spring festivals begins from the 'Welcoming of Spring, ' Masien itsa, which was counterpart of carnival in the West. It was originally occured near the spring equinox, but was moved near winter in order to avoid Lent before Easter. Spring festivals are composed around Easter: festivals of the time of Lent(the Annunciation, the Willow Sunday) , Easter Week, the Ascension, Trinity (Semik) , Pentecost. Spring festivals are also interwoved with pre-Christian elements. The paganic Semik , the 7th thurthday after Easter , was ce lebrated with the Trinity Week. Ivan KupaJa, which is the pivot of Summer festivals, was shaped from the union of the birthday of Saint John the baptist and Kupalo's Day. Kupalo's Day occurred when the day was at its longest and vegetation was at its peak. In Ivan KupaJa was showed the Russian peculiarties of the nature worship . As a Summer festival. Saint Ilia's Day also vividly shows t he double characters of the Russian religious festivals It was folded with worship of Perun, the supreme god of the ancient slavs . The main Fall festivals are Transfiguration, the Pokov ('Protection' or ' Intercession') of Mary, and Mary of the Kazan . The Pokov Day, which was originated in Byzantium , developed into the characters of the Russian religious festivals connected with the elemente of everyday life, marriage. Mary of the Kazan, which was shaped in 1552, developed as a patron of Russian army.

      • KCI등재

        코리아타운과 한류, 한국문화원

        임영상(Yim, Young-s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8 No.-

        이 글은 ‘한류의 확산, 발전에서 재외 한국문화원이 코리아타운, 즉 재외동포 사회와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풀어가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오사카와 뉴욕의 코리아타운이 한류의 확산에 적극적으로 기여했다는 현지 연구자의 주장을 소개한 후,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가 간행한 『재외 한국문화원 현황』에 나오는 뉴욕과 오사카 한국문화원의 2012년 주요사업실적과 2013년 사업계획내용을 현지 문화원장과의 인터뷰, 필자의 경험과 현지 언론자료 등을 활용하여 한류 확산의 중심기관인 한국문화원이 한인사회, 즉 코리아타운과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문화원이 코리아타운의 축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타운 내에서 한국문화(음식, 공연과 강좌 등)를 발신하는 공간인 한식당 <금강산>(뉴욕)과 <반가식공방>과 <달맞이>(오사카)의 사례를 소개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that Korean Cultural Centers need to establish active partnership with Korean Diasporic communities overseas for the purpose of further promoting Hallyu. To this end, I first introduce how researchers from Osaka and New York Korea Towns each perceive the role Korea Towns have played in spreading Hallyu. Then, I highlight report of main business projects conducted by Korean Cultural Service NY and Osaka Korean Cultural Center in 2012 as well as their plans for 2013 referencing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Current State of Affairs published in 2013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n,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Cultural Center directors, personal experience, and content analysis of report from local media I propose ways for Korean Cultural Centers to collaborate with Korean communities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Hallyu. I suggests Korean Cultural Cent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Korean Festivals Korean communities host; I also provide exemplar cases of Geumgangsan (Korean restaurant) in New York and Bangasiggongbang and Dalmaji (Korean restaurants) in Osaka that hold Korean cultural activities (cooking, performance, lecture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