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삼국의 문화와 문물 교류 과정

        이도학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4 新羅文化 Vol.24 No.-

        삼국간의 문물 교류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문물 교류의 과정은 경제 행위인 교역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겠지만, 파급 효과가 가장 큰 전쟁과 같은 수단을 통해 속도감 있게 전래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국가간의 외교 관계를 통해 상층 문물이 전래되었고, 불교의 전래와 주민의 이동 등을 통해서 삼국간의 문화적 동질성이 서서히 조성되었다. 또 그로 인해 삼국시대 말기에는 중국으로부터 651년에 당고종이 백제 의자왕에게 보낸 국서에서 ‘海東三國’이라고 일컬어졌을 정도로 삼국은 문화 공동체로서의 동질성을 확립했던 것 같다.이러한 문물 전래의 劃期를 굳이 지목한다면 고구려가 신라 영역에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왕위 계승과 같은 사안에 간여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400년에서부터 5세기 중반까지를 지목할 수 있다. 그리고 신라와 백제간의 나제동맹이 체결된 100여년에 걸쳐 양국간 주민의 내왕과 문물 교류가 활기를 띠었을 것임은 자명하다.고구려와 신라, 신라와 백제간 문물 교류의 큰 劃期는 이와 같이 설정할 수 있지만, 同源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에도 시종 대립 관계가 基調를 이루었던 고구려와 백제간의 문물 교류는 다른 차원에서 검토해 보아야 할 사안인 것 같다.

      • KCI등재

        新羅의 國家形成

        金壽泰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新羅文化 Vol.21 No.-

        1990년대에 들어와서 신라의 국가형성에 대한 논의는 그 이전과 다른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신라의 국가형태를 왕국의 형성과 관련해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고고학적으로는 토기의 형성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때 신라의 국가형성시기는 매우 늦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논의는 여전히 국가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지 않았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른바 고대국가의 그것과도 잘 구별되지 않는다. 국가의 개념을 너무 좁게 잡은데에서 연유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따라서 신라의 국가형성 시기는 보다 소급해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신라의 국가형성을 다룰 때 사로국과 신라의 관계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전기론과 전사론, 건국설화의 의미, 사로 6촌설과 진한 6촌설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그러나 전사론보다, 전기론의 입장에서 문제점을 극복해 나가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한다. 한편 건국설화의 이해 역시 설화의 형성 이후 새롭게 반영되는 모습보다, 원초적인 모습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또한 건국설화에서 언급되는 촌이란 역시 촌락 혹은 읍락과 관련해서, 사로국 내부의 변화과정 속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로국의 형성에서 신라의 출발을 설정하고, 신라의 국가형성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성읍국가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관심이 또한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This study reviews issues regarding the state formation of Silla with focus placed on how shortcomings associated with 'walled-town (or Seongeup) state' theory were overcome. Many works conducted in 1990s have paid attention to forms of state and attempted to understand state formation focusing on 'kingdom.' In order words, the time when the kingdom of Silla emerged was regarded as the time of Silla state formation, which was largely viewed as achieved during the reign of King (Maribgan) Naemul. The formation process of other states. Baekje, Goguryeo and Ko(Old)Choson is also considered in the same context. The state formation hypotheses formulated on the basis of archaeological works in 1990s can be traced back to similar works conducted by Lee Byeongdo, Kim Won-Yong and Yun Mubyeong. However, few points were made on definition and use of the concept of state itself. If we take the formation of kingdom for the criterion, there may be a conceptual confusion. Most works seems co be based on the neo-evolutionist concept of state as presented by M. Fried and others, which is closer to the aristocratic state than the kingdom in Korea. We do not need to rake such narrow perspective of notion of state, though. Recent works tend to date the formation of Silla state much later than previous works. Although most works are rooted in the neo-evolutionist perspective, a strict application of the notion may need to redate the time of state formation even later. But, if we understand the state formation in terms of confederated kingdom, we could set much earlier date. In this case, we have to focus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walled town.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confederated kingdom hypothesis is the identif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aro and Silla. Scholars have taken various positions resulting in very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Silla history as well as its state formation. The so-called 'Proto-Moory' theory, or Jeonsa-ron, of Silla State formation need to be reexamined with great care, since the discussion of nature of guk which appears in Sanguozhi and other written records has been reserved or not conducted properly. We also have a problem in accepting modified chronology suggested by early records of Samguk Sagi. Thus, it is more desirable to approach the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Period theory', or Jeonki-ron. which views the formation of Saro as the beginning of Silla.. New interpretations have been made on the mythical narratives of Silla foundation, and in many studies it is viewed as that of confederated kingdom of Silla, not of walled towns; This interpretation, however, could hardly be acceptable. since it is based on modified, not original. forms of the narrative. We could examine the meaning of foundation tale considering the process of its origin and change through rim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six villages mentioned in the narrative were Saro or Jinhan six kuks, a very complicated issue. However, I believe that we could not regard them as Jinban six guks, since it is hard to assume that such large territorial polities were formed at that time. Instead, the tale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situation when Sara was formed, which is also supported by recent work on ancient towns, or .Euprak. We should undetsrand the process from the growth of Saro to formation of Silla state. We also need to reevaluate the validity of the walled-town state' theory, presented some 25 years ago. The main criticism against the hypothesis was the lack of empirical record, walled-town itself. Bur rece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have provided positive evidence of villages surrounded by either the moat or wood walls or earthen constructions. Thus, we should not disregard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earthen wall and its role in Silla state formation deserves reconsideration. Finally, we need a new approach to the process of state formation, in which every issue is to be dealt systematically and carefully. This could be accomplished when we examine the archaeological record in terms of various aspects of time and society.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울산의 사찰과 특성

        김재홍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8 新羅文化 Vol.52 No.-

        이 글은 울산의 사찰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신라 도성인 경주의 사찰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울산의 불교 문화는 신라 도성의 그것과 궤를 같이하면서 발전하였다. 6세기 전반에 사찰이 건립되기 이전에 불교 문화가 지역사회에 들어와 불교 의식을 통하여 촌락사회를 종교적으로 결속시키고 있었다. 울산의 대표적인 사찰인 영축사지에서는 신라 통일기의 전형적인 쌍탑일금당식의 가람 배치가 확인되었다. 이는 8세기 사천왕사지에서부터 시작된 사찰 구조로서 신라 도성인 경주지역의 사찰구조와 일치하고 있다. 울산지역의사찰은 구릉을 깎거나 낮은 지대를 메워 축조되었는데, 이는 제언의 축조와 관련을 가지고있었다. 울산의 불교문화가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울산이라는 항구적인 입지와 도성의 주변이라는 특수성에 비롯되었다. 항구에 입지하여 새로운 문화가 일찍 들어오고, 도성의 주변에 위치하여 도성의 선진 문화가 울산의 고대문화를 풍부하게 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아랍․페르시아와 신라의 교류 - 무슬림 집단의 신라 내 거주 가능성에 대한 문헌적 검토 -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0 No.-

        이 글은 이슬람권 문헌자료에 기록된 신라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여 신라와 아랍․페르시아의 교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특히 신라의 풍습, 문화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쿠쉬나메』와 이슬람 세계에 유입된 신라산 물품을 기록하고 있는 『도로 및 왕국 총람』에 주목하였다.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라에 대한 지리, 물산, 문화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고, 신라를 바다 너머에 있는 이상적인 세계로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서역 물품이 유입된 신라와 일본에서 이슬람 세계에 대한 기록이 드물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아랍․페르시아인과 신라인이 당나라 내지(內地)의 번방(藩房)에 머무르며 특산품 구매를 목적으로 접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한적인 정보만이 교환되었기 때문이다. 무슬림 상인의 신라 내왕(來往)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인 『삼국유사』의 처용설화를 보더라도 그를 무슬림이라고 해석할 만한 결정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현재 남아 있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아랍․페르시아인이 신라에 방문하여 직접 교류를 시도했다거나, 당나라의 혼란을 피해 신라로 도피했다는 해석은 분명하게 밝히기 어렵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新羅 重位制의 施行과 그 性格

        김희만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3 新羅文化 Vol.42 No.-

        신라사회는 골품제라는 신분제 내에 관등제와 관직제가 운영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골품제, 관등제, 관직제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와 연관하여 중위제가 운영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는 바, 이 제도의 시행과 그 성격을 규명한다면 신라사회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중위제 연구는 각 중위가 골품제적 신분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그 범주에서 벗어나는 나마나 사찬에 대한 실체 파악에 어려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조명에 집중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 職官志의 중위제 관련 기사를 관직체계에 보이는 관직에 초점을 맞추어 신라 중위제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와 더불어 신라 관등제와 관직제의 운영을 보다 다양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삼국사기』직관지에 보이는 중위제 관련 기사를 보다 세밀하게 검토하고자 하는 바, 그 서론 부분에 보이는 기사의 의미와 무관조와 외관조에 보이는 기사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이어서 『삼국사기』 新羅本紀와 각종 金石文에 보이는 관련 자료를 보다 精緻하게 분석함으로써, 그 사료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중위제 시행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그 시행 시기에 대한 검토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를 삼국통일 전쟁과정에서 마련된 비상위의 대각간과 태대각간의 설치과정에 주목하여 그 운영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아찬과 대나마, 나마의 시행과 성격도 이와 유사한 운영시스템에 다름 아니었음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사찬의 중위도 중앙에 의한 지방지배 차원에서 촌주를 대별하여 중위제를 시행하였던 측면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 다양한 변화를 수렴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서 관직체계를 확충하고 또한 관료들의 등용문이라 할 수 있는 국학의 운영을 통해, 중위제가 급변하는 신라사회를 효율적으로 대변하는 주체로 부각하였다고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골품제적 신분과도 충돌하지 않으면서 각 관부를 통일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각 관등에 임명된 관료들도 다양한 승진체계에 합류할 수 있도록 체계화한 것이 바로 중위제라고 하겠다. 결과적으로 중위제를 통하여 신분제와 관등제 그리고 관료제라는 함수관계를 다각도에서 포괄하고, 이를 절충하여 통일 이후의 신라사회를 운영한 주체가 바로 중위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신라 관료제사회에서 중위제는 신분과 관등, 그리고 관직의 윤활유 역할을 수행한 제도라고 할 수 있겠다.

      • 7세기 통일전쟁기의 순국 인물 분석 - 『三國史記』 列傳 7에 실린 新羅 인물들을 중심으로 -

        강종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

        『삼국사기』 권47에는 삼국통일전쟁기에 활약하다가 순국한 자들의 전기가 실려 있다. 백제의 장수인 계백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라 인물들이다. 본고에서는 이들의 활약상을 정리하고, 아울러 그들을 통해 7세기의 시대적 분위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열전 7에 입전된 신라 인물들은 해론, 소나, 취도, 눌최, 설계두, 김영윤, 관창, 김흠운, 열기, 비령자, 죽죽, 필부 등 12명이며, 그들과 함께 활약한 주변 인물들로 9명이 덧붙여져 전한다. 이들은 대부분 백제와의 전쟁에서 순국한 것으로 전하는데, 이는 7세기 전반 신라의 가장 주된 전쟁 상대국이 백제였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 가운데 대다수는 출신지가 왕경이었으며, 특히 최고 신분인 진골 출신자도 상당수 확인된다. 이것은 곧 당시 신라의 지배층이 자신들의 특권에 걸맞는 희생을 감내했음을 뜻하는 것이다. 또 상당수의 지방민들도 신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는데, 신라 조정은 이들에게 신분의 상승과 같은 포상을 내린 것으로 전해진다. 7세기 신라의 순국 인물들에게서 찾아지는 특징은, 1) 국가를 모든 가치 가운데 가장 상위에 두는 강렬한 국가의식을 지니고 있었고, 2) 전쟁터에서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우려고 하는 불굴의 전투의지를 보여주었으며, 3) 자신의 희생을 통해 전체의 사기를 고양시키려는 자기희생정신을 실천하였고, 4) 가족의 순국을 본받아 스스로도 그 길을 따르려고 하는 순국의지를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애초에 삼국간의 전쟁이 신라측에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음에도 결국 신라가 최후의 승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신라인들의 강인한 순국 의지에서 힘입은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e Chapter 47 of Samguksgi are some biographies of the patriotic martyrs who died during the Korean unification war in the 7th century. They were the soldiers of Silla kingdom except one person, Gyebaek, who was a general of Baekch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ir activities and feel the atmosphere of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7th Century. First of all, Let me introduce the 12 martyrs of Silla in the Chapter 47 of Samguksagi. They are Haeron, Sona, Chuido, Nulchoi, Sulgyedu, Kim Youngyoon, Gwanchang, Kim Humun, Yolgi, Biryoungja, Jukchuk, and Pilbu. And 9 more soldiers are attatched to their biographies as the family members who died following his father or brother. Most of them are reported to have died at the war against Baekche. This means that in the 7th century, the most hostile country of Silla was Paeche. And we can find out that many martyrs' hometown was the capital city, whose current name is Gyungju. Also it is said that some martyrs were from the highest class of Silla, which was named as Jingol. This shows that the rulling class of Silla did not shirk their noblesse oblige. And many soliders from the local areas are reported to have thrown their lives for the rulling class of the capital city. The government of Silla allowed the upgrading of their social hierarchy as a reward to their sacrifice. As a result of examination, I was able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sciousness. First, they all had the very strong patriotism. They placed the nation as the highest value. Secondly, they showed indormitable courage to fight out against the enemy. In the third place, they practiced a spirit of self-sacrifice. They tried to enhance the other soldier's morale through throwing their lives. At last, they had the strong intention to follow the precedent martyrs, especially their father or brother who had showed patriotism. As many scholars have indicate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unification war was not in favour of Silla. But the last winner was Silla. I think Silla owed its victory to the very strong patriotism of the martyrs who died at the many battles in the 7th century.

      • 新羅王京硏究와 慶州의 開發

        양정석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

        신라 왕경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전의 전통시대에도 이미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근대적 의미의 면적에 대한 인식의 한계로 인해 더 이상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신라 왕경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地籍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게 된 토지조사사업의 완료와 더불어 시작할 수밖에 없었고, 당시 조선총독부의 기사인 藤島亥治郞가 그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후 왕경에 대한 연구는 이때 만들어진 지적도 중심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계보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연구에도 한계는 있을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지적은 토지소유의 경계를 나타내는 수단일 뿐이기 때문에 경주가 왕경으로서의 역할이 폐기된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해 온 개별지역의 소유와 경영의 변화과정과 더불어 그 외곽선도 변화하였다는 점은 파악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지형의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 퇴적의 변화양상이기도 하며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한편 1970년대에 들어서 경주관광개발계획과 그에 따른 경주시 종합개발사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광개발계획을 진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그 중 하나가 尹武炳의 논문이었다. 그는 당시 관광개발계획으로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지적과 더불어 신라 왕경에 대한 새로운 복원안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이후 왕경에 대한 인식의 방향전환을 가져 왔다. 바로 統一期 신라 王京에 中國의 唐 長安城에 존재하였던 朱雀大路와 같은 南北大路가 존재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 이후 신라 왕경 연구에 본격적인 계획(plan)개념이 들어오게 된다. 그러나 이 개념 중심의 연구에는 그러한 플랜이 발굴조사 등을 통해 실제적으로 확인되어야만 증명될 수 있는 문제점도 동시에 존재하였다. 플랜중심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동일한 관광개발계획아래에서 이루어진 황룡사지에 대한 전면적인 발굴조사가 마무리될 때부터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이 조사에서 경주가 신라의 왕경이었던 시기의 도로유구가 확인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속적으로 경주 전역에서 이루어진 개별적인 개발사업에 따른 발굴조사를 통해 왕경 시기의 도로유구가 다수 확인됨으로서 이전까지 지적도와 개념으로만 이해되어 오던 왕경의 실체가 조금씩 밝혀지게 되었다. 최근 들어서 지난 10여년간 발굴 조사되어 온 신라 왕경의 한 부분에 대한 성과가 『新羅 王京』 Ⅰ이라는 이름의 보고 서로 발간되었다. 이는 앞으로 도로중심으로 이해되어 온 기존의 왕경 연구를 그 내부에서 생활하였던 사람들에 대한 연구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새롭게 시작하게 되는 ‘역사문화도시 경주만들기’ 사업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신라 왕경으로서의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기대와 걱정을 교차하게 한다. 이는 逆으로 바로 이전에 있어 왔던 다양한 개발 사업에 의해 경주지역의 유적이 어떻게 조사되고 보존되고 또는 훼손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이야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앞으로 지속적으로 있을 수밖에 없는 경주에 대한 각종 개발이 가져올 수 있는 왕경에 대한 변화, 변질, 혹은 훼손을 어느 정도라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were also continuous development plans and projects on Gyeongju,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before the current project for developing Gyeongju into a historic and cultural city. In their processes, man performed the surveys and researches of the Capital in general from a new perspective at each period. Specifically, the studies on the Capital of Shilla already began to be made in traditional eras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ose days, it was, however, difficult to continue them due to the limited recognition of area in modern sense. Accordingly, a full-scale research was forced to be made with the completion of the land surveying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by Hujisima kaijiro, an engineer at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eading to the concept of land register. Based on the cadastral map, the studies of the Capital were made after then, forming a genealogy. However, this type of research could not be free from limits. Basically, the land register is only means to mark the boundaries of land ownership. It allows to grasp general circumstances easily, but not the fact that Gyeongju has changed in its external line in the change processes of ownership and management of individual regions that have continuously changed after Gyeongju did not play a role of the Capital. Such change is also the very one that has been made in accumulation with years. This is why we should make a systematic and full-scale examination as well. Meanwhile,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was pursued, followed by the ensuing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Gyeonju, with the advent of the 1970s. In this process, a number of studies were made to pursue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One of them was written by Yun, Mu Byeong. He pointed out the problems that might be brought about by the tourism development plan, and proposed a new scheme for restoring the Capital at the same time. This resulted in the transition of recognition toward the Capital. According to Yun, there was a South-North Main street similar to the Main street(朱雀大路) in Chang an(長安), the capital of China's Tang Dynasty. His finding enabled the regular concept of plan to be introduced into the studies of the Capital. However, the studies based on the concept aroused a certain question of whether such plan had been really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survey. Such question was fully raised from the time man finished the full-scale excavation survey of Hwangnyong Temple ruins that had been made under the same tourism development plan; the survey showed the structure remains of a road that had existed during the Capital's period.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road structure remains of the same period were found at the relief steps through excavation against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throughout Gyeongju, thus making it possible to approach a little the realities of the Capital that had been understood only by means of cadastral map and concept. Such excavation results were systemized in Park, Bang Nyong's doctoral thesis. Recently, a report titled Shilla's Capital Ⅰ was published that contains the findings on a part of the Capital that has been excavated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report is expected to promote changing the existing road-oriented studies of the Capital into those of people inside the Capital. The current project of developing Gyeongju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makes one have expectation and worry over how it will change the long findings and recognitions about the Capital. Inversely, this makes it necessary to study how the remains in Gyeongju region have been examined, preserved and damaged by a variety of development projects. Such research will be able to prevent even a little any Capital's change, degeneration, or damage that may arise from various kinds of Gyeongju development projects that will never be interrupted in the future.

      • 新羅王京에 나타난 自然現像 - 三國史記 新羅本紀 記錄을 中心으로 -

        김호상,황보은숙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6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

        본 논문에서는 『三國史記』 「新羅本紀」에 나타난 기록 중 자연현상과 재해관련된 기록을 중심으로 신라왕경 범위 내에 일어난 현상에 한정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고 정치중심으로만 해석한 나머지 선학들이 간과하였던 몇 가지 자연현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신라왕경에서 일어났던 자연현상을 『三國史記』 「新羅本紀」에 나타난 기록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앞으로 이런 방향에 관련된 연구를 할 분들이 자료를 찾는 수고로움을 조금이나 덜 수 있도록 표로 작성하였다. 한편, 신라왕경에서 나타난 자연환경에 대한 기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신라왕경에 나타난 바다에서 일어난 자연현상으로 적조현상이 그 대표적인 것이며, 이 적조현상은 3回에 불과하지만 기원후 161년 아달리니사금에서부터 기록되어 모두 음력 7월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늘날의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月과도 같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라왕경에 있어 땅에 나타난 자연현상으로는 地震 48回, 洪水 29回가 기록되어 있었으며, 오늘날과 같이 경상도지역의 지진활동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홍수는 고대사회에서 백성들에게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통치자가 가장 염려했을 뿐만 아니라 지배자들이 직접적으로 다른 재해보다 피해지방을 구제하는데 중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신라왕경에 나타난 하늘의 현상으로는 黃紗 6回, 颱風 23回, 雨雹 22回, 서리 24回, 벼락 9回, 안개 3回, 暴雪 13回, 日食 30回, 彗星ㆍ流星과 관련한 기록이 70回로 확인되었다. 특히 일식과 유성과 혜성 등의 기록 외에 황사현상과 怪雨 등의 현상이 신라왕경에서 일어났던 점을 기록하여 둔 고대인들의 천문관측의 우수성과 정밀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natural phenomenon in Silia capital based on the records of 『三國史記』 「新羅本紀」, including passing it over by other scholars. And the changes of natural phenomenon in Silia capital is made a list in tabular form for the other researchers. On all the records about natural phenomenon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these could be found: First, red tide, representative phenomenon in the sea, is only 3 times of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and all of them were occurred in July from Adalla king's days. In these days red tide also is occurred in same season compared to the past's. Second, there are 48 times of earthquake and 29 times of flood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and most of them were occurred in same province compared to these days. And flood influenced on the people heavily in ancient society, so administrator worried about it extremely and tried to relieve it from people above all things. Lastly, there are 6 times of yellow dust, 23 times of typoon, 22 times of hail, 24 times of frost, 9 times of thunder, 3 times of fog, 13 times of snow, 30 times of solar eclipse and 70 times of comet and shooting star of records in 『三國史記』 「新羅本紀」. Especially there were our ancestors' excellence and precision in records of yellow dust and flog rain in addition to records of solar eclipse, comet and shooting star.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의 공주와 공산성

        김수태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1 No.-

        이 글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신라의 공주지역에 대한 지배방식이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가를, 그리고 공주에 살았던 사람들의 움직임이 어떠하였는가를 다루어보았다. 통일신라는 옛 백제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를 위해서 공주를 정치적인, 사상적인 중심지로 삼았다. 이때 공산성이 지방통치의 근거지가 되었다. 이와 함께 통일신라는 왕경인이나, 지방인의 공주 이주를 통해서 옛 백제 사람들과의 융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통일신라의 공주지배는 중앙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여기에는 이주해온 신라인이 옛 백제 사람들 보다 우위의 지위를 차지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작용하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공주지역의 사회ㆍ경제적 상황이 매우 나빠지면서 나타난 농민층의 몰락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상황 전개에 대해서 신라의 중앙정부는 제대로 대처하지도, 할 수도 없었다. 이에 옛 백제 사람들의 불만을 이용한 신라인인 김헌창의 반란이 일어났으며, 마침내 공주의 옛 백제 사람들은 견훤이 세운 후백제에 가담함으로써 신라를 붕괴시켰다. 이제 옛 백제 사람들이 통일신라를 거부하면서 백제의 새로운 부흥을 시도하였던 것이다.

      • 統一新羅 八部衆像의 考察 : 慶州 南山 昌林寺址三層石塔像을 中心으로

        申龍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

        본 論文은, 昌林寺址 三層石塔 八部衆像을 통하여 韓國 八部衆像의 起源과 成立을 밝히는데 그 目的이 있다. 印度, 中國, 日本과는 달리 石塔을 많이 만들었던 우리나라는 塔婆의 基本的인 構造가 그들과는 다르다. 이 같은 材料에 있어서 塔婆의 相異性은 莊嚴的인 面에서도 나타난다. 즉 印度의 경우 塔婆를 중심으로 한 4개의 문에 화려한 浮彫像이 등장되는데 그 공간이 넓어 석가의 本生譯 등의 장황한 내용이 전개된다. 반면 中國에서는 塔 內에서 이러한 莊嚴이 이루어지는데 塔 內에 佛像과 神將像을 봉안하게 된다. 統一新羅 석탑의 경우 方形의 重層基壇을 이용하여 자연스레 생겨난 方形 平面에 성격과 대상을 구체화한 浮彫像이 등장된다. 石塔에 새겨진 浮彫像은 中國이나 日本의 塔婆에서는 발전하지 않았던 韓國的인 特徵이다. 이것은 材料에서의 相異點에서 그 발생 이유를 찾을 수 있고 결국 韓國美術史만이 갖는 독특한 신앙체계와 圖像을 만들어 냈다. 八部衆은 美術史的으로 우리에게 많은 疑問을 던져 준다. 中國에서 浮彫나 繪畵로 등장되는 八部衆은 8구의 像으로 나타나지 않고 특정적인 몇 개의 像만 나타나고 왜 圖像的으로도 불분명한가. 우리나라 八部衆像의 始原은 어디에서 시작되며 어떠한 변천 과정을 거치는가. 또 八部衆의 造像的 名稱은 어떻게 되며 石塔內에서는 어느 방위에 어떻게 어떠한 모습으로 등장하는가. 지금까지 우리는 八部衆 圖像의 始原의 問題조차 심도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韓國 八部衆의 성립을 막연히 9世紀에 두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9세기 후반 이후의 新羅는 정치적인 불안정과 地方豪族의 成長으로 中央集權化가 약화되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新羅 彫刻은 底浮彫로 풍부한 量感의 모델링에서 벗어나 圖式化되었고, 8세기 조각에서 느껴지는 당당함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昌林寺址石塔은 크기에 있어 웅대하고 比例에서는 8세기의 안정감을 보여준다. 특히 上層基壇의 八部衆은 高浮彫로 量感이 뛰어나고 전체적인 모델링은 力動的인 運動感이 풍부하여 8세기 統一新羅 全盛期의 威風 당당함이 느껴진다. 昌林寺址石塔은 2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 7세기에서 8세기로 넘어가는 新羅石塔의 樣式的 側面에서 기준작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로 인하여 上層基壇에 浮彫된 八部衆은 統一新羅 石塔浮彫像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昌林寺址石塔의 八部衆像을 통하여 韓國塔婆 浮彫像의 전개와 신앙적 獨創生을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韓國 八部衆 彫刻의 系譜를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昌林寺址石塔의 시원으로 발전한 통일신라의 팔부중은 현재 22기에 달하며 이들八部衆石塔의 지역적 특성과 시기적 변화 과정을 통하여 統一新羅 八部衆만이 갖는 美術史的 特徵과 적극적인 造營意志를 읽을 수 있게 되었다. 韓國 八部衆의 성립은 塔婆史와 彫刻史 모두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塔婆史에 있어서는 塔의 構造와 形態와도 밀접한 關聯性을 보여주고 있으며, 彫刻史的으로는 다른 神將像이나 佛ㆍ菩薩像들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독특한 衣褶의 표현과 樣式的ㆍ圖像的 특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文化가 최고 정점에 이르렀을 때 그것은 한가지 분야의 發展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統一을 이룩한 후 政治的 안정을 이룩했던 8세기 初에서 中葉까지의 新羅는 盛唐文化를 대폭 수용하면서 經濟ㆍ政治ㆍ宗敎ㆍ文化가 최고 成熟期에 접어들었다. 이때에 新羅의 藝術은 단지 中國의 것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獨創的인 創作의욕이 최정점에 달했던 시기이다. 八部衆像의 成立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origin and existence of the Korean statues of the Eight Devas through the ag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Changlim-sa Temple site(昌林寺址). Since a pagoda symbolizes Buddha, various decorations were made on it. The decorations can be classified into religious decoration and craftwork. In religious decoration, faith and protection of the surroundings were emphasized. Therefore, Guardian Devas, keeping the laws of Buddhism, appeared on the surface of a pagoda. Among these sculptures, Eight Devas are very unique. In various S?rras, Eight Devas are understood to be the audience gathered at Buddha's preaching places or a place for Nirv?na(涅槃). That is, they always appear as Buddha's dependents. As for the Chinese Eight Devas, the number was not fixed at eight, and notable several were drawn. They were not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iconography. In Korea, these Eight Devas emerged as relief statues on stone pagodas and they have great significance. As for the structure of a Korean pagoda, only at the roof of the upper layer of a pagoda, relief could be sculptured and all Eight Devas had to be portrayed on the four-sides of the stone pagoda. To do so, a sculptor had to pursue iconographic perfection for each statue. From this fact, we learn that unique materials that can only be found in a Korean pagoda, and the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of a Korean scone pagoda, completed the iconography of the Eight Devas. The Eight Devas that were iconographically completed in this way in Korea were produced mainly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Since Goryeo Dynasty, they had not been produced as a sculpture except in some cases.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Eight Devas appeared as the audience almost without exception, which seems to have been possible due to the Eight Devas iconography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Eight Devas in the Buddhist paintings were not prevalent in China or Japan. As the result of these studies, I could establish the lineage of 22 Eight Devas on stone pagodas remaining in Korea based on my findings. Throug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eriodic changing process of the Eight Devas, I could read the historic art characteristics of the Eight Devas and the active construction that was represented only in Korean Eight Devas reliefs. The existence of the Korean Eight Devas is of important significance concerning the history of pagodas and sculp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pagodas, the Eight Deva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s and types of pagodas. In terms of the history of sculpture, unique expression of costume custom, stylish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found in other Guardian Devas, or the statues of Buddha and Bodhisattva, are shown in the Eight Dev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