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사핵심역량이 학습컨설팅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릿의 매개효과

        소연희 ( So¸ Yeo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이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중등예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교사핵심역량, 그릿과 학습컨설팅역량의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두 개의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측 정변인들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측정모형과 가설모형의 적합도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그릿의 구체적인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변인들은 서로 상호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분포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측정모형은 적합하였고, 설정한 가설모형 중 중등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사핵심역량은 학습컨설팅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그릿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설모형 2가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릿은 지각된 교사핵심 역량과 학습컨설팅역량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 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등예비교사의 학습컨설팅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핵심역량을 강화하고, 학습컨설팅 역량들을 교사핵심역량에 포함하고, 그릿과 같은 내재동기변인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원 양성기관 교수·학습환경 조성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perceived teachers’ core competencies, grit, and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ies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grit. Participants were 207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the college of education. Data analysis methods us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bootstrapping analysis. Results displayed that measurement variables of perceived teachers’ core competencies, grit, and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ies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t was found that hypothesized model 2,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teachers’ core competencies on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ies were mediated by grit.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how to make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ning environ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to enhance middle school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ies.

      • KCI등재

        대학생들이 지각한 교육적 관계, 학업도전과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

        소연희(Yeonhee So)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전공계열에 따라 교수와 학생의 교육적 관계, 학업도전 및 창의적 행동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변인들 간의 상관분포와 교육적 관계와 학업도전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계열 213명, 인문·사회계열 203명, 이·공계열 20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적 관계와 학업도전에서는 이·공계열의 학생들이 사범대와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보다 낮았고, 창의적 행동은 사범대, 인문·사회계열, 이·공계열 학생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사범대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창의적 행동과 교육적 관계의 상관이 학업도전보다 높았다. 반면 이·공계열 학생들의 경우, 창의적 행동과 교육적 관계가 학업도전과의 상관분포보다 낮았다. 셋째, 중다회귀분석결과, 모든 전공의 학생들에 있어서 교육적관계가 학업도전보다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높았으며, 특히 사범대생들의 경우, 학업도전이 창의적 행동의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의 창의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across undergraduate majors of education, humanities & social studies, and science & engineering, to analyze correlations among three variables, and to investigate predications of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academic challenge on creative behavior depending on major fields. Participants were 213 education, 203 humanities & social studies, and 203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indicating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displayed lower educational relationship, academic challenge, and creative behavior, and education undergraduates revealed the highest average in creative behavior. Creative behavior showed stronger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relationship than with academic challenge in undergraduates majoring in education and humanities & social studies. Science & engineering undergraduates displayed lower positive correlations with educational relationship. For creative behavior,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the best predictor for undergraduates in all three maj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creative behavior, it is desirable to consider educational relationship of professor and undergraduates and academic challenge in college instruc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조건부관심강화가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소연희(Yeonhee S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의 주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조건부관심강화와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검사한자료들을 토대로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지, 정의, 사회적 역량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조건부관심강화, 교사의 자율성지지, 학업탄력성과의 상관이 높았고, 지각된 교사의 조건부관심강화는 정의역량과 인지역량보다 사회적 역량과의 상관계수가 낮았다. 둘째, 지각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조건부 관심강화와 인지, 정의 및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은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교사의 조건부관심강화는 사회적 역량과의 관계에서 다른 변인들 보다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초등학생들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학습환경 조성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 conditional regard, academic resilience and core competencies,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r positive conditional regard and core competencies(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respectively. The participants were 540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parents`` positive conditional regard were positively showed the high correlations with respective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Academic resilience functione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parent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or positive conditional regard and respective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It was also discussed to make learning environment for improving respective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지각된 학교조직 문화지향성과 다문화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매개효과

        소연희 ( So Yeo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지향성과 다문화 교수역량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변인들 간의 연구가설모형들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지향성과 다문화 교수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개인특성변인인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가설모형 중 학교조직문화지향성은 다문화 교수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다문화 교수역량에 영향을 주었고, 동시에 학교조직 문화지향성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이는 교직적응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종속변인인 다문화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인 수정모형이 적합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과 교직적응탄력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교조직문화의 조성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xamin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the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fficacy for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daptive resilience,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roles of teacher efficacy for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the adaptive resilience between the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participants were 22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used for this research demonstrated how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l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indirectly affect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perception of a school’s organizational culture simultaneously mediates teacher efficacy in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adaptive resilience.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in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adaptive resili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o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need to orient a school’s organization culture toward the horizontal individualism, as well as consider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better foster positive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adaptive resilience to strengthen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환경, 그릿과 핵심역량과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 So Yeo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학교조직 환경, 그릿과 초등교사의 핵심역량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살펴보고, 지각된 학교조직 환경과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230명의 자료를 가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 측정변인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또 가설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하였고, 부트스트랩핑( bootstrapping) 분석을 통해 그릿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측정변인들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분포를 나타냈다. 특히 초등교사의 핵심역량들 중에서 수업역량은 그릿의 상황적 응력과, 학생공감역량은 열정의 지속성과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학교조직 환경 중에서는 학교관리자의 지지와 교육공동체 형성 역량도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지각된 학교조직 환경은 그릿을 매개로 초등교사의 핵심역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직접적으로 핵심역량에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모형이 적절한 모형이었다. 또 그릿은 지각된 학교조직 환경과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해서는 학교조직 환경 조성과 그릿과 같은 개인 특성 모두 고려해야함을 의미한다. 이 상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핵심역량과 그릿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학교장의 지지, 자율적인 풍토, 협력관계, 창의적인 활동을 고무할 수 있는 학교환경 시스템 구축 등의 창의적 학교조직 환경 조성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main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grit, and key competencies. To als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grit between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key competencie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performed. Bootstrapping was analyzed to examine mediate effect. It was founded that with a partial mediator model,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key competencies, were mediated by grit at once as an appropriate model. Also, the mediated effect of grit,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Additionally, instruction competency, situational adaptation, empathy competency, perseverance of effort, as well as principal’s support and education community competency showed a posi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It was discussed to make school organizational environment to enhance grit and key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