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평거리에 따른 요배근력과 척추기립근의 근전도 변화

        양성환,김종인,최정화,박범,갈원모 설비관리학회 2001 설비관리학회 학술논문집 Vol.7 No.-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ression force at the L5/S1 disc using back strength and IEMG(Integrated Electromyography). We divided the distance into one-half, three-fourth and full, measured the back strength.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uch among the cases. IEMG values were analyzed under the condition of fixed vertical factor, two horizontal factors, and 2 times per minute for the stoop posture, As the resul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orizontal distance 35cm and 55cm. This result showed that back strength decreased and the motor units of erector spinae muscle increased as the horizontal distance increased. Therefore, decreasing the horizontal distance to decrease compression force at L5/S1 is important on preventing a low back pain. Also. by using these data for prediction musculoskeletal disorders if we design equipment, machine and apparatus for human welfare, we can give advantage of prevention of low back pain much. We will be able to apply these data to work method or workplace lay-out.

      • 사람의 축색 반사성 및 발한의 연구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발한 기능에 대해 연구하기 위하여 아세티콜린 (acetylcholine, Ach) 이온 투과법에 의해 축색 반사성을 자극하는 정량적 축삭 반사성 발한 검사법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을 발한 반응을 검토하였다. 용적 습도계 QSART를 이용해 Ach 10% 이온 투과법 (2 mA ×5 min)을 하는 동안 직접적으로 활성화된 (directly activated, DiR)땀과 축색 반사성에 (axon reflex, AXR) 의해 땀의 양을 측정했다. 발한 시작점(onset-time)시간,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e receptor)의 직접적인 영향에 의한 땀의 양 그리고 축색 반사성에 의해 매개되는 니코틴 수용체 (nicotine receptor)에 의해 간접적으로 발생되는 (AXR(1) and AXR(2)) 발한 양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한 시작점에 있어서 왼쪽과 오른쪽에서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직접적인 니코틴 수용체의 활동의 자극으로 유도된 발한의 양에 있어서 왼쪽과 오른쪽에서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간접적인 니코틴 수용체의 활동의 자극으로 유도된 발한의 양에 있어서 왼쪽과 오른쪽에서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이 같은 실험결과로 볼 때 말초적 발한 검사에 간단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임상의 신경분야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갑상선 기능 향진증과 저하증에서의 발한 반응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갑상선의 기능 상태와 발한 반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온도가 25℃이고 상대습도가 60%인 실험실에서, 피실험자들은 43℃의 항온수조에 30분 동안 다리를 담그고 국소 발한 속도는 통풍 캡슐 방법(ventilated capsule method)으로 측정되었다. 갑상성 기능 항진증에 있어서, 정상과 비교했을 때 발한 시작점 시간은 짧아졌고 발한량은 많아졌으며, 발한에 대한 한계 핵 온도는 상향 변화되었다. 발한 반응은 만성 갑상선 기능 저하중에서 뚜렷하게 억제되었으나 단기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는 발한 반응이 다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갑상선 호르몬이 열적 발한을 증가시키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갑상성 기능 저하 상태가 발한 기작에서 어떠한 기능 장애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과 세포내 갑상선 기능이 아주 느리게 변화하고 혈청 수준이후에는 지연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유산소 체계의 훈련이 아세티콜린에 대한 말초 발한 감도에 미치는 영향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Higher sweating in trained, compared to sedentary men has been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peripheral sweating mechanisms, although such mechanisms have not been completely investigated in comparative ter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investingate the peripheral sudomotor adaptive mechanisms attributed for greater sweating in endurance-trained athletes as opposed to sedentary men. To do this, we compared sudomotor activities to acetylcholin (ACh) iontophoresed in the fore arm skins of trained versus untrained subjects. Changes in sking and body temperatures, sweating rate (sweat volume), sweat onset time, active sweat gland density (SGD), and single sweat gland output (SGO) were measured. Training-related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sweat volume, onset-time, SGD, SGO and skin temperature. It was concluded that endurance trained atholetes had higher sweat outputs due to the combinations of a higher sweat output per activated sweat gland, shorter lag phase for sweating, higher number of activated sweat glands.

      • 열대지방사람들의 땀샘의 밀도와 기능

        이정범,배준상,민영기,양훈모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Tropical inhabitants are able to tolerate heat through permanent residence in the tropics. To clarify the peripheral mechanisms of the suppressed thermal sweating in tropical natives, sweating responses to acetylcholine (ACh), a primary transmitter of the sudomotor innervation, were compared between healthy Korean and African males. ACh was iontophoretically administered on the forearm. Directly activated and axon reflex-mediated sweat responses were evaluated by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The sweating of axon reflex (nicotinic receptor) onset-time was 0.42 min shorter (P<0.01) and the sweat volumes (muscarinic receptors) were 75% (P<0.01) and the ACh sweat volumes of axon reflex (nicotinic receptor) 79% higher (P<0.01) in the Koreans than the Africans. Iodine-impregnated paper method revealed that sweat gland density was 45.1% higher (P<0.01) and sweat gland output per single gland was 18.4% larger (P<0.001) in the Koreans compared to the Africa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ressed thermal sweating in Africans is, at least in part, attributed to the suppressed glandular sensitivity to ACh through both recruitment of sweat glands and sweat output per each gland.

      • UHF대역 RFID 리더기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김정보,양진모 대구대학교 2006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2

        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높은 Q값으로 인해 5% 이내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단일 밴드(국내908.5~914MHz)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UHF대역의 다중밴드 RFID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가 지니는 협대역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싱(busing)을 사용하여 RFID 리더기에서 요구되는 광대역 원편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원편파 특성을 얻기 위하여 패치의 모서리를 절단하였으며 패치면에 슬릿을 삽입하여 광대역의 축비를 얻었다. Standard microstrip antennas have bandwidth of less than 5% because of high Q of microstrip antennas. 5% bandwidth is far less than needed in order to be used in UHF band RFID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bushing is used to improve narrow-band characteristics of circular-polarized microstrip antennas for multi-band RFID reader. Circular polarization with wide-band axial ratio was obtained by cutting the corners and inserting slits to the patch.일반적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는 높은 Q값으로 인해 5% 이내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이는 단일 밴드(국내908.5~914MHz)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UHF대역의 다중밴드 RFID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가 지니는 협대역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싱(busing)을 사용하여 RFID 리더기에서 요구되는 광대역 원편파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원편파 특성을 얻기 위하여 패치의 모서리를 절단하였으며 패치면에 슬릿을 삽입하여 광대역의 축비를 얻었다.

      • 아토피 환자의 축색성 발한 기능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To examine the sweating function in atopic dermatitis, we investigated the sweating response of the lesional and nonlesional skin of adul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y a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in which the axon reflex is stimulated by acetylcholine (ACh) iontophoresis. Directly activated(DIR) and axon reflex (AXR)-mediated sweating during ACh10% iontophoresis (2 mA × 5 min) were measured by capacitance hygrometer QSART. Sweat volume on the volar aspect of the orearm was measured in 23 adul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in 65 nonatopic healthy controls. In the atopic patients,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both lesional and nonlesional skin. Onset-time time, directs of muscarine receptor (DIR) sweat volume, and axon reflex-mediated indirect of nicotine receptor (AXR(1) and AXR(2)) sweat volume were the variables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onset- time of axon reflex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was significantly prolonged and AXR(1) and AXR(2)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ose in nonatopic healthy contrl subjects. The onset-time and AXR(1) and AXR(2) sweat volume of the atopic dermatitis lesional skin were signficsantly more prolonged and reduced, respectively, than shose of the nonlesional skin. Also, the DIR sweat volume of the lesional or nonlesional atopic dermatitis skin induced by direct stimulation with ACh was reduced when compared with that in nonatopic healthy controls.

      • 열 관용과 아세티콜린에 대해 발한 반응의 관계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열대 지방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열대 기후에 영구적으로 거주함으로써 열-관용 (heat -tolerance)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열대 지방의 원주민들에게서 억제된 열적 발한 의 말초 기작을 알아 보기위해서, 발한 신경지배의 주 전달체인 아세티콜린 (acetylcholine, Ach)에 대한 발한 반응을 이온투과법9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QSART, 말초 발한 반응)또는 뜨거운 물에 다리를 담그는 것 (HW test, 43C, 중앙 발한반응)을 통해 건강한 일본인 (15명0과 아프리카인 (10명) 간에 비교하였다. QSART를 실행되는 동안 직접적으로 활성화된 발한 반응과 축색 반사성 매개에 의한 발한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HW test에서의 발한 반응은 용량습도계에 의해 측정된다. 이러한 실험의 결과들은 적어도 아프리카인의 억제된 열적 발한이 땀샘과 각 땀샘당 땀의 배출량의 증가를 통해 ACh에 대한 땀샘의 민감성이 억제되는 부분에 기여하는 것으로 타나났다.

      • Lagomorpha (토끼)의 열생물학적 분류와 특성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고산지대 또는 추운 지역에서 서식하는 Pika는 높은 고도에 의한 추위에 적응되어 있다. 저 호흡, 작은 귀이개와 열이 없는 타액의 분비와 행동의 특성에 의한 고 체온, 높은 대사량과 열을 적게 잃는 능력을 가진 Pika는 땅 밑의 토굴 또는 바위 사이의 은신처에 겨우내 먹을 수 잇는 저장된 먹이와 풀이 있는 곳에서 겨울을 난다고 보고 되어져 있다. 혈액 glucose 수준은 Pika (83±5.3 mg/ml)와 rabbit 90±8.2 mg/ml)에 비하여 Rat (120±15.5 mg/ml)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게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P<0.01). 또한 Pika와 Rabbit에 있어서는 통게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ika는 생태학적으로나 자율 행동성 체온 조절학적인 것뿐만 아니라 추위에 대한 단열적인 방어 기전에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의 연구들에서 밝혀지겠지만 Pika의 연속적인 체온 주기의 소실은 주기 연구 영역에서 상당히 특이하고 흥미로운 것이다.

      • 탄도적인 손가락의 신전움직임에 있어서 신근과 굴근의 협조

        이정범,민영기,양훈모 순천향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3

        In this investigation the temporal-spatial characteristics of muscle isometric contraction of shouting in ballistic movement of the musclus biceps brachii flexion was compared between trained kendo athletes and untrained control subjects by surface electromyographic(EMG) analysis Surface EMG from the mid-point of the triceps muscle and biceps muscle, and a hand wrist flesion signal of the wrist were recorded with a personal computer through AD- conversion (1KHz of sampling frequncy). premotor tiem (PMT), motor time (MT), reaction tiem (RT), Max0tension and integrated electromyogram(I-EMG), during 500msec from the were analyxed by bio-information multi-task analyxing program (BIMUTAS Kissei comtec). In the kendo athletes,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m that of control group. The shortening of reaction time in kendo athletes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shortening of motor time. In the kendo athletes, motor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the kendo athletes, I-EMG was significantly high frequency discharge than that of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otor learning is achieved in kendo trained and the maximal is metirc contrac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eghtenning the efficiency of ballistic movement in coordination with the shou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