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ual Decision Feedback Equalizer를 위한 LMS 알고리즘과 변형된 Steepest Descent 알고리즘이 결합된 새로운 적응 등화 알고리즘

        공현윤,서성호 울산대학교 2001 공학연구논문집 Vol.32 No.1

        Decision Feedback Equalizer(DFE)는 심한 심볼간 간섭이 존재하는 채널을 보상하는데 있어서 선형 등화기 보다 잡음 성분의 증폭이 적으므로 현재도 통신 시스템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자기 기록 장치의 채널 등화에 사용된다. 또한 최근에 동일한 구조의 DFE 두 개를 병렬로 사용하고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Dual Decision Feedback Equalizer(DDFE)가 제안되었다. DDFE는 shift register를 사용하여 등화성능을 향상시킨 반면 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Least Mean Square(LMS) 알고리즘과 같은 적응 등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시불변 채널을 보상하는데 사용되는 DDFE가 시변 채널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등화를 할 수 있도록 DDFE에 알맞은 등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응 등화 알고리즘이 LMS 알고리즘을 적용한 DFE와 대등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The Decision Feedback Equalizer(DFE) is one of currently used equalizers in communication and magnetic recording systems such as hard-disk drive since it can compensate for channels with severe inter-symbol interference(ISI) without as much noise enhancement as the linear equalizer(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FE, Dual Decision Feedback Equalizer(DDFE), which is constructed by using parallel combination of two DFEs and its performance is superior to the DFE, was suggested. However, DDFE is a preset equalizer which is used in a known channel.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DDFE system applicable to unknown channel environment occurred in wireless communications. Because DDFE has shift registers which cause time delay. To make DDFE system applicable to unknown channel environments, we suggest proper adaptive equalization technique for the DDFE in this paper. Through computer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adaptive equalization technique for the DDFE is comparable to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LMS algorithm for DFE which doesn't have time delay.

      • 제지폐수의 공정별 오염물 발생 및 처리에 관한 연구

        공성호,김용수,이성호 漢陽大學校 環境工學硏究所 1998 環境科學論文集 Vol.19 No.-

        생산지종의 특성에 따라 주원료, 부원료 및 사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배출되는 폐수의 성상도 변하게 되므로 제지폐수를 운영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적정 약품 처리를 통해서 처리효율을 상승시키고자 한다. 그결과 1차 처리수 COD는 5%, 방류수 COD는 41.4%의 처리 효율 상승을 얻었으며 1차 처리수 SS는 8.1%, 방류수 SS는 51.9%의 처리 효율이 상승하였다. 또한 배출되는 폐수의 성상에 따른 적정한 처리방법의 적용으로 효율상승 및 원가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The nature of wastewater generated from paper manufacturing process can vary significantly. Since difficult material can be used for producing various paper products. Variety in characteristic of wastewater is a major problem for treating wastewater produced in paper manufacturing process. In this study various chemical treatments were explored to enhance wastewater efficiency. Treatment efficiency for effluent COD and SS were increased by 41.1% and 51.9%, respectively. Enhancement in treatment efficiencies also introduced reducing operating costs of wastewater treatment.

      • 국내탄을 이용한 활성탄의 제조와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공성호,김재호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2001 環境科學論文集 Vol.22 No.-

        본 연구는 국내무연탄의 비연료 활용을 위해 국내무연탄을 원료로 하여 흡착제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활성탄 원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중액선탄 방법으로 저회분 탄을 제조하였다. 파쇄탄과, 미분탄과 석탄 타르피치를 혼합하여 제조한 조립탄을 원료로 스팀과 CO_2로 활성화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활성화 전에 알칼리로 처리하여 화학적 전처리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활성탄의 흡착성능을 위해 액상으로는 페놀, 클로로포름을 중금속 시험으로는 Fe, Cr을, 그리고 기상용 실험으로는 벤젠, 사염화탄소 등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활성화 결과 파쇄원탄으로 제조된 활성탄은 표면적 650㎡/g, 조립활성탄은 920㎡/g의 활성탄이 제조되었다. 파쇄원탄을 NaOH로 강한조건에서 화학적 처리한 결과 표면적이 650㎡/g에서 840㎡/g으로 증가하였으며 온순조건에서는 기공부피와 burn-off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화학적으로 처리된 파쇄활성탄과 CO₂로 활성화된 조립활성탄은 미세기공이 발달하여 기상용에 적합하였으며 스팀으로 활성화된 조립활성탄은 기공이 다양하게 발달하여 액상용으로 적합하였다. T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activated carbons from domestic anthracite for non-fuel use. In order to obtain raw materials for activation, preparation of low ash coals by heavy media separation was conducted. Activated carbons were made with steam or CO₂ from crushed coals and granules made by mixing of pulverized coal and coal tar pitches. Treatment with alkali hydroxides was conducted prior to activat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chemical pretreatment on the activation. Test for liquid phase organic compound removal, heavy metal removal and gas phase adsorption have been performed with phenol, chloroform, Fe, Cr, and with fumes of benzene and carbon tetrachloride. Activated carbons of surface area of 650㎡/g from crushed coals and of 920㎡/g from granules were produced. Chemical pretreatment has an effect on the surface area increase from 650㎡/g to 840㎡/g for the crushed raw coals at the strong pretreatment condition, and on the increase of pore size and burn-off by mild pre-treatment con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ctivated carbons from crushed coals by chemical pretreatment and from CO₂ activation have well developed microporosity, and that the activated carbons from granules by steam activation have wide ranges of porosity that are suitable for gas phase and liquie phase adsorption respectively.

      • 오존을 이용한 고도 정수처리에 관한 연구

        공성호,김용수,이만호,김호 漢陽大學校 環境工學硏究所 1998 環境科學論文集 Vol.19 No.-

        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원수중의 미량 유기물질의 성상을 변화시켜 제거시킴으로 해서 THM 전구물질이나 악취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오존은 오염물질을 분해 또는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오존처리 후에는 활성탄 흡착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오존은 살균효과가 우수하면서도 THM 등의 미량 유기염소화합물을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대체 살균제로 사용되나 전류성이 없어 대체 살균제로 사용할 경우 급수망에서의 살균을 위해 염소소독을 추가로 실시해 급수망에서 잔류염소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Ozone is a powerful oxidizing agent that can change properties of trace organic compounds in source water. It can also remove THM precursor or control odor. Although ozone has an ability to degrade contaminants, main purpose of using ozone is not complete destruction of contaminants. After ozone treatment treated water is generally treated with activated carbon absorption process. When ozone is used as a disinfectant. chlorine should be added to water to maintain residual chlorine in distribution lines because ozone disappear very rapidly.

      •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Technetium의 흡착

        공성호,김영채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5 環境科學論文集 Vol.16 No.-

        토양 미생물을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인 technetium 99(99Tc)의 흡착실험을 실시하였다. 미생물의 생장상태, 99Tc의 농도, 수용액의 pH가 99Tc의 미생물을 이용한 흡착에 미치는 영향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미생물에 흡착되는 99Tc의 양은 99Tc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1% 미만의 99Tc가 수용액으로부터 미생물에 의해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에 대한 pH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흡착은 흡착실험 실시 15분 이내에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이 일어나는 주된 원인으로서는 미생물 세포 외벽 또는 외벽 밖에 존재하는 점액물질들과 99Tc 사이의 약한 인력을 통해서 또는 세포 외벽의 점액물질속으로 99Tc가 확산되어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e influence of cell age, technetium concentration and pH on the sorption of technetium by a subsurface consortium of denitrify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Isotherms relating technetium sorbed by the biomass and technetium concentration, following a 24 hour equilibration period were constructed. Technetium association with the biomass was found to be concentration dependent and linearly related between 0.1 and 740 ㎎ 99Tc/1. Less than 1% of the technetium in solution was removed by the biomass. No difference in sorption was detected between fresh cells and starved cells or pH 6.0, 7.5 and 9.0. Seventy-five percent of the technetium sorbed by (associated with) the biomass was complete within the initial 15 minutes of a 24 hour equilibration. A remobilization curve was observed to “back down” the uptake curves. We suggest that sorption(association) is by weak surface layer attraction or the result of diffusion into the extracellular materials.

      • 소각 과정에서 배출되는 DIOXIN에 관한 연구

        공성호,김용수,김상대,이병학 한양대학교 에너지·환경기술연구소 1998 에너지·環境技術論文集 Vol.4 No.-

        최근의 도시폐기물 소각에 의해 배출되는 다이옥신은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다이옥신이란 폴리염화디벤조 파라다이옥신과 폴리염화디벤조 퓨란의 총칭으로 인류가 만들어낸 가장 강한 독성을 가진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다이옥신의 생성은 “de novo synthesis”에 의해 설명되고, 소각의 중요인자인 3T(온도, 시간, 난류)를 유지함으로서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기, 건식세정기, SCR 촉매탑등과 같은 다이옥신 제거시설을 사용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할 수 있다. Dioxins generated from waste incineration process causes a serious problem lately. Dioxin, known for the most toxic compound, is a general term of poly-chlorinated-dibenzo-p-dioxin and poly-chlorinated-dibenzo-furan. The generation of dioxin is explained by “de novo synthesis” and is reduced possibly by maintaining 3T(Temperature, Time, Turbulence) which is three important factors in incineration process. Dioxins can be also removed by us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dry scrubber o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tower, etc.

      • KCI등재
      • 저분자량 유기산을 이용한 Cu오염토양 복원에 관한 연구

        공성호,유혜영,김용수,강순기 한양대학교 환경공학연구소 2000 環境科學論文集 Vol.21 No.-

        Cu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하기위해 중성 pH의 Citric acid와 Oxalic acid를 사용하여 농도와 유속의 변화두어서 실험실규모의 column test를 수행하였다. 안정화 상수가 높은 Citric acid (k=5.90)가 Oxalic acid (k=4.84)보다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두 가지 유기산 모두 pH 4.5에 비해 pH 6에서 높은 제거율을 보였고 1mM에서 제거율은 상당히 낮았으며 10mM과 50mM은 처리 속도에 차이가 있었지만 최종제거율은 80.2%, 89.5%로 큰 차이가 없었다. 유속을 최저 7.34×10-3cm/min, 최고 7.34×10-2cm/min로 변화를 두었지만 10mM과 50mM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column을 통과한 용액의 speciation을 GEOCHEM을 통해 예측해본 결과 10mM과 50mM의 유기산을 사용했을 경우 대부분의 Cu가 유기산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유기산은 주로 free ion과 H+와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at have well known to form soluble complexes with Cu at near neutral pH of 5 to 7 as extracting agents. Lab scale column test was performed for optimizing operating parameter, changing pH,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organic acids. Citric Acid (k=5.90) which has high stability constant with Cu was higher removal efficiency than Oxalic Acid's (k=4.84). Both of two organic acids, removal efficiencies at pH 6 were higher than at pH 4.5. Concentration of 1mM organic acids did not provide effective removal efficiencies, bu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10mM and 50mM were significant high level. 10mM and 50mM were a little difference in removal rate but little difference in final efficiencies, respectively maximum 80.2%, 89.5%. Although we have performed column test, changing flow rate minimum 7.34×10-3cm/min to maximum 7.34×10-2cm/min,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little difference at 10mM and 50mM. Speciations of solution that passed through contaminated soil column were estimated by GEOCHEM simulation. For 10mM and 50mM organic acids, most of extracted copper existed as complexed forms with organic acids, and organic acids mostly existed as free ions and H-organic complex form.

      • 폐플라스틱의 재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진호,이주성,공성호,김영채,배성렬 한양대학교 에너지·환경기술연구소 1997 에너지·環境技術論文集 Vol.3 No.-

        세계적으로도 '92년 리우 환경회담 이후 점차적으로 환경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고, 선진국에서는 recycling과 연계되어 모든 분야의 과학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구나 최근 EC의 유럽회의에서 가까운 시기에 역내에서 사용되는 포장용기의 90%이상을 재생사용토록 의무화하는 새로운 리사이클링 규정안을 통과시켰으며 국내에서도 쓰레기 종량제가 전국적으로 실시되어 폐플라스틱의 수거, 처리 방안이 문제시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대비책으로 폐플라스틱의 수급현황, 자원화전망 그리고 개발중인 여러 가지의 처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아무리 우수한 기술이 있어도 경제성이 없으면 상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향후의 리사이클 방향은 조금씩 바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우선 플라스틱의 발생 및 사용량의 절약에서 시작하여 재생이용을 추진하고 최종적으로 소각에 의한 열이용의 순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슬러지 재자원화에 관한 연구

        이주성,공성호,서승원,배성렬,김영채,이기철 漢陽大學校 環境工學硏究所 1997 環境科學論文集 Vol.18 No.-

        이 연구는 1993년도에 우리나라의 연간 슬러지발생량이 약 3500만m³에 이르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매립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부지의 확보가 점점 어려워 지고 있으며 아울러 매립처분비용도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oil화, 퇴비화등으로 재자원화 하는 방법과 소각후의 소각회를 유효이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 개발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슬러지의 oil화는 현재 연구단계에 있으나 앞으로 슬러지의 유효이용기술로서, 가장 좋은 방법이 되리라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소각후의 소각회의 이용방법은 현재 일본등에서는 실용화 되어 건설자재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시 등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소각한 후에 소각회를 건설 자제용으로서 지자체의 공사에는 반드시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를 만든다면 유효이용방법으로 충분한 타당성이 있을 것이다. 이때 소각방법으로는 용융소각방법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With increasing sewage and wastewater sludge, it has become difficult to dispose the sludge by landfilling and ocean dumping. To solve this problem, efforts have been made to delelop sewage and wastewater sludge utilization technologies in many advanced countries. Some technologi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conversion of sludge to compost and fuel, producing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from ashes. This paper describes the technical status of sludge utilization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