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Do Nonlinear Monetary Policy Rules Outperform the Taylor Rule in Forecasting Exchange Rates?

        Sookyung Park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21 미래성장연구 Vol.7 No.1

        This study compares out-of-sample exchange rate predictability between nonlinear monetary policy rules and the linear rule. The nonlinear rules are deriv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central banks’ asymmetric preferences or a nonlinear Phillips curv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dictability of the five interest rate rule based models is related to the monetary policies operated by domestic and foreign central banks. For 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the Taylor rule provides the best performance and its significant predictability occurs especially at the one-month horizon. For non-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monetary policy rule based models have significant longer-term predictability. In addition, the monetary policy model including interaction terms, for non-inflation targeting countries, has better predictive power than the Taylor rule.

      • KCI등재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 Burden, Post-Traumatic Growth and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okyung Park(박수경),Seonwoo Lee(이선우),Jihyun Nam(남지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 부담이 탄력성 척도(RSA)의 6가지 하위 차원별을 경로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지역의 만 6세 이상 20세 미만 발달장애 (지적, 자폐성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이며, SPSS macro program PROCESS v.2.16.3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탄력성 전체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탄력성 척도의 6가지 차원별 분석 결과, 양육 부담이 자기인식, 미래인식, 사회적 자원을 경로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탄력성 증진의 방안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개인적 인식과 개인적 자원향상을 위한 강점관점 기반의 심리상담, 통합사례관리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멘토링, 자조모임 등 활성화를 통해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강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s of caregiver burden on post-traumatic growth (PTG) via paths consisting of sub-dimensions of resilience (RSA). Subjects were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ged between six and 20 years who resided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macro program PROCESS v.2.16.3.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indirect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and PT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on sub-dimensions of resilience showed that caregiver burden influenced PTG via the paths of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the future, and social resour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to improve resilie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romote PTG: a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 empowerment perspective for mothers to increase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rsonal resources, along with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systems for mothers through mentoring, self-reliance groups, and the like.

      • KCI등재

        Time-varying Cointegration Models and Exchange Rate Predictability in Korea

        PARK, SOOKYUNG,PARK, CHEOLBEOM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5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7 No.4

        We examine the validity of popular exchange rate models such as the purchasing power parity (PPP) hypothesis and the monetary model for Korean won/US dollar exchange rate. Various specification tests demonstrate that Korean data are more favorable for both models based on time-varying cointegration coefficients as compared to those based on constant cointegration coefficients. When the abilities to predict future exchange rates between those models based on time-varying cointegration coefficients are compared, an in-sample analysis shows that the time-varying PPP (monetary model) has better predictive power over horizons shorter (longer) than one year. Results from an out-of-sample analysis indicate that the time-varying PPP outperforms models based on constant cointegration coefficients when predicting future exchange rate changes in the long run.

      • KCI등재

        Clinical considerations in the use of forced-air warming blankets during orthognathic surgery to avoid postanesthetic shivering

        Park, Fiona Daye,Park, Sookyung,Chi, Seong-In,Kim, Hyun Jeong,Seo, Kwang-Suk,Kim, Hye-Jung,Han, Jin-Hee,Han, Hee-Jeong,Lee, Eun-Hee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siology 2015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5 No.4

        Background: During head and neck surgery including orthognathic surgery, mild intraoperative hypothermia occurs frequently. Hypothermia is associated with postanesthetic shivering,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o improve intraoperative thermoregulation, devices such as forced-air warming blankets can be applie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forced-air warming blankets in preventing postanesthetic shivering.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13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between March and September 2015. According to the active warming method utilized during surger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W (n = 55), circulating-water mattress; and Group F (n = 58), circulating-water mattress and forced-air warming blanket. Surgical notes and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records were evaluated. Results: Initial axillary temperatur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Group $W=35.9{\pm}0.7^{\circ}C$, Group $F=35.8{\pm}0.6^{\circ}C$). However, at the end of surgery, the temperatures in Group W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Group F ($35.2{\pm}0.5^{\circ}C$ and $36.2{\pm}0.5^{\circ}C$, respectively, P = 0.04). The average body temperatures in Groups W and F were, respectively, $35.9{\pm}0.5^{\circ}C$ and $36.2{\pm}0.5^{\circ}C$ (P = 0.0001). In Group W, 24 patients (43.6%) experienced postanesthetic shivering, while in Group F, only 12 (20.7%) patients required treatment for postanesthetic shivering (P = 0.009, odds ratio = 0.333, 95% confidence interval: 0.147-0.772). Conclusions: Additional use of forced-air warming blankets in orthognathic surgery was superior in maintaining normothermia and reduced the incidence of postanesthetic shivering.

      • KCI등재

        Circadian variation of IV PCA use in patients after orthognathic surgery -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Park, Sookyung,Chi, Seong In,Seo, Kwang-Suk,Kim, Hyun Jeong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siology 2015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5 No.3

        Background: An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postoperative pain is essential for optimal analgesic dosing strategies.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infusion pattern analysis, an anesthesiologist can estimate when and how severely patients suffer from pain. Several reports have been published about circadian changes in the pain threshold. Postoperative pain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in 250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A total of 250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of recovery from anesthesia. Patients in the early group (group E) recovered from anesthesia before 06:00 p.m. Patients in the late group (group L) recovered from anesthesia after 06:00 p.m. All patients received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 PCA) at the end of the operation. The VAS score of pain intensity was measured. Self-administration of bolus analgesic from the IV PCA device was also analyzed according to actual time and elapsed time. Results: VAS scor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36 hours after recovery from anesthesia. On POD1, there were two peaks for self-administration of bolus analgesics in group L and one peak in the morning for group E. Two peaks each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were shown in both groups on POD2. Conclusions: Diurnal variance in pain should be considered for effective dosing strategies.

      • KCI등재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Prevention of Worker’s Mental Health -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in South Korea -

        Sookyung Park(박수경)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1 노동법논총 Vol.51 No.-

        본 연구는 근로자의 정신건강 보호와 예방과 관련하여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주요 쟁점과 과제에 대하여 분석한 후 개선사항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의 변화, 디지털 기술의 발달, 예기치 못했던 코로나 19 등에 따라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계속 다양해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보호가 다소 미흡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감정근로자의 보호를 시작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변화하고 있는 산업형태에 따라 업무중/작업중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보호 및 예방하는 관점에서 산업안전보건법상에 (ⅰ) 직무스트레스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며, (ⅱ) 정신건강의 저해요인을 위험성평가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ⅲ) 근로자 정신건강의 어려움으로 인한 작업중지권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ⅵ) 안전배려의무의 관점에서 사업주의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ⅴ) 근로자에 대한 상시적인 정신건강 관리체계가 정비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ⅵ) 안전보건교육의 내실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발현은 더 이상 개인적 치료로 극복해야 하는 문제가 아니다. 무엇보다 선제적 예방의 관점에서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법제도와 정책의 정비가 선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예방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의 의무와 역할도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상에서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는, 사후적 차원으로 산업재해보상 등의 보상인정기준에 근로자의 심리적 부하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가 업무관련성에서 넓게 산재로 인정될 수 있는 근거로도 작용할 수 있다. 그동안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로 치부되어 적극적으로 논의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관련 법제도의 정비를 통하여 근로자의 정신건강 보호방안을 마련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권과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를 보장하고, 양호한 직장환경의 정비 방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visions made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SHA) that relate to the protection of workers’ mental health and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their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significant industrial change,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and the unexpected COVID-19 pandemic,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mental health continue to diversify. South Korea’s current OSHA lacks solid provision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mental health, although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towards protecting those whose work involves emotional labor. Nevertheless, further improvements are required to protect workers from the various workplace factors that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mental health; this study explores several areas of OSHA that need such improvement, and these include: (i) specifying the employment factors that may negatively affect mental health such as job stress; (ii) conducting risk assessments of these elements; (iii) clarifying the worker’s right to suspend work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iv) strengthening business owners’ responsibilities to implement such considerations; (v) overhauling mental health management systems for workers; and (vi) ensuring the substantiality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oor mental health among workers is no longer a problem that can only be overcome by personal treatment, and amending existing legislation that prevents mental health problems should be prioritized. Although mental health problems may not always be actively and openly discussed, establishing official measures to protect mental health in the workplace by improving the relevant legal systems can guarantee the worker’s right to health and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비혼출산에 대한 생명윤리적 쟁점과 책임

        박수경 ( Park Sookyung ) 한국윤리학회 2021 윤리학 Vol.10 No.1

        이 논문은 비(非)배우자간 보조생식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능해진 새로운 재생산 형태인 비혼출산의 생명윤리적 쟁점을 고찰한다. 최근 이슈가 된 비혼출산에 대하여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면서 대한산부인과학회는 2021년 1월 사실혼부부에게도 인공수정 등의 보조생식술이 가능하도록 윤리지침을 개정하였고 정부는 법적 체계의 정비와 공공복지의 지원에 관한 사항을 사회적 공론화를 통해 보완하겠다고 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정자공여시술은 원칙적으로 법률적 혼인관계에 있는 부부만을 대상으로 시행하기로 한 것이 변경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명윤리적 쟁점의 특징이 다원주의 사회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물음으로 그 ‘허용가능성(permissibility)’에 대한 담론이고 다양한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 간의 ‘이성적 불일치(reasonable disagreement)’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문제들이다. 해당 이슈는 우선 전통적으로 기존의 부부와 가족 관계에 대한 혼란을 야기한다. 그리고 기존의 몸을 통한 성관계를 통한 임신이 아닌 보조생식술을 활용한 임신이기에 성관계를 통해 경험할 수 있는 몸을 내어주는 상대와의 인격적 교감이 결여되고 정자를 선택할 때 피상적인 조건만을 보기 쉬우며 임신·출산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해악을 홀로 감당해야 한다. 한편, 그렇다고 해서 비혼출산을 선택하는 여성의 행위가 자율성을 행사하는 것으로 자유로운 개인의 선택인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재생산 형태를 선택하는 과정에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청년빈곤으로 인한 만혼이라는 문화와 가부장적 가족제도에 대한 불만, 개인주의,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와 같은 다양한 사회구조적 영향이 크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비혼출산은 정자를 기증한 생물학적 ‘부’의 지위를 어떻게 인정해야 하며 출생아가 자신의 생물학적 ‘부’를 알 권리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킨다. 마지막으로 비혼출산의 결과이고, 이 모든 행위자 중 가장 약자라고 생각되는 출생아의 복지에 관하여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비혼출산의 현상을, 부정의함을 내포한 복잡한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 현상으로 진단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리스 매리언 영(Iris Marion Young)의 “사회연결모델(social connection model)”에 근거하여 어떤 행위자라도 그 위치에서 부정의한(injustice) 구조적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면 그 부정의에 책임이 있으며, 책임을 공유하는 다른 행위자와 함께 행위로 나타난 결과를 현재보다 정의롭게 만드는 방향으로 사회구조를 변형시킬 의무를 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행위자에는 비혼출산을 선택한 여성, 정자기증자, 보조생식술을 행하는 전문직업인, 정부 등이 있으며 이 모든 과정에서 가장 약자인 출생아의 복지를 위해 모든 행위자를 비롯한 시민연대를 통해 협력적 책임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비혼출산이 합리적이고 안전한 방향으로 논의되기 위해서는 생명윤리담론에서 사회적 참여와 협력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ioethics issue of unmarried births, a new form of reproduction made possible by the development of non-spouse-to-spouse assisted reproduction. As social discussions on unmarried births have recently become an issue, the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Association revised its ethics guidelines in January 2021 to allow artificial insemination and support for public welfare. As a result, the existing sperm donation procedure was changed to be implemented only for couples who are legally married in principle.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of bioethics are ethical questions raised in pluralist societies, which are discourse on “permissibility,” and which clearly represents “reasonable disagreement” among people with diverse world views. The issue traditionally creates confusion about existing marital and family relationships. In addition, since it is a pregnancy using auxiliary reproductive techniques rather than pregnancy through existing bodies, it is easy to see only superficial conditions when choosing sperm, and must deal with the risks and harm that can occur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alone. However, it is true that women's choice of unmarried birth is a free individual's choice to exercise autonomy, but the process of choosing this type of reproduction has a wide range of social structural effects, such as late marriage. Moreover, unmarried births arouse various discussions on how to recognize the status of biological "father" who donated sperm and how the birthright should view their biological "father." Finally, we noted the question of how individuals and society should intervene in relation to the welfare of births, which is the result of unmarried births and is considered the weakest of all these actors. In conclusion, this paper diagnoses the phenomenon of unmarried births as caused by social structural factors such as youth poverty due to neo-liberalism, patriarchy, individualism, and the impact of broken family structures of older generations. Therefore, based on Iris Marion Young's 'social connection model', any actor at that location is responsible for the negation and, together with other actors who share the responsibility, should be obliged to modify the social structure in a more just way. These actors include women who chose unmarried births, sperm donors, professionals who perform assisted reproductive procedures, and governments. They believe that cooperative responsibility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ivic solidarity, including all actors, for the welfare of the underprivileged. In conclusion,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n bioethics discourse in order for unmarried births to be discussed in a reasonable and safe direction.

      • KCI우수등재

        세월호 참사 이후 지역 커뮤니티에 형성된 치유의 공간에 대한 지리적 고찰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시의 고잔동과 와동을 중심으로 나타난 대안적 치유의 공간의 지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월호 참사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치유 대상의 스펙트럼이 넓게 퍼져있어 개별 치유의 공간이 지향하고 있는 치유의 목표는 그 주체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현재 세월호 참사 관련치유의 공간은 약 7개 내외로 추산되며, 민간에서 주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가장 많 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등학교 주변이되 시선에서 약간 빗겨간 곳에 위치해 있고, 특별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깨어진 일상을 다시 원래의 자리로 회복시키기 위한 단순하며, 반복적인 일, 예를 들어, 식사, 뜨개질, 학습 등을 주요 치유의 활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유의 대상이 개별 치유의 공간을 장소로 점점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제3자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치유의 주체들이 스스로 끌어가거나, 기억하며, 심지어 앞으로의 방향까지 설계하고 있어 마치 그들만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월호 참사는 직접적인 피해자뿐만 아니라 희생자의 부모, 형제, 친척, 친구, 지역주민 등까지 넓은 범위의 집단에게 트라우마를 지운 사건이었던 만큼 치유의 공간이 지원하는 대상은 폭넓지만, 개별 치유의 공간을 활용하는 대상은 겹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지역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집단 트라우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를 조밀하게 유지하고 상시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셋째, 참사와 같은 트라우마 극복에 있어 사건의 지속적인 기억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지적되는데, 세월호 참사의 경우에는 지역주민들의 피로감 혹은 갈등, 노후화된 안산시를 떠나는 이들, 시간이 지나감에 따른 퇴색되는 분위기 등이 기억의 유지에 위험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치유의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회복, 다양한 이벤트 기획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안산시 외의 다른 단체와도 유기적으로 연결해 세월호 참사의 기억이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spaces where have been appeared in Wa-dong and Gojan-dong, Ansan-si after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As looking into the inside, the aim of the therapeutic spaces, which cover each target group (victims) individually, is various and different because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generated various direct and indirect victims requiring healing. The therapeutic spaces are estimated at about 10 organizations and are leaded by private agents predominantly. Furthermore, the therapeutic spaces are located near, but are aside from Danwon high school where many students are reported killed and injured in the incident. And the therapeutic spaces provide simple and repetitive diversions, for example, having a meal, knitting and studying, rather than special programs to restore a broken daily life to the original state. On the basis of such a backgrou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rapeutic spaces related to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arget groups accept the therapeutic spaces as the concept of place gradually. Even though most of the therapeutic spaces were suggested by third parties at first, target groups are involved in the management and recollection of their own therapeutic spaces as well as the plan for a future direction now; and consider the therapeutic spaces as exclusive properties. Second,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have embedded collective trauma to not only direct victims, but extensive groups such a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as noted earlier. Therefore, the therapeutic spaces support comprehensive target groups; but each therapeutic space is not overlapped each other. However, to solve collective trauma in a local community effectively, the therapeutic spaces are networked closely and build a regular cooperative system. Third, a continuous memory is mentioned as an important point to overcome collective trauma, but some phenomena such as fatigue and conflict with neighbors, out-migrants and a faded atmosphere as time passes act as risk factors in Ansan-si. To keep a continuous memory, the therapeutic spaces attempt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and devise various events, for example, cultural performances; furthermore, are closely connect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정신건강증진 측면에서 바라 본 고령자재일한국인을 위한 도라지회의 지리학적 의의 : R. D. Laing의 난리법석공간 개념을 중심으로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R. D. Laing의 난리법석공간 개념을 차용해 일본 카와사키시의 고령자재일한국인 모임인 도라지회가 정신건강증진 측면에서 어떠한 지리학적 의의를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의료공간의 탈조직화 혹은 지역의료간호라는 접근에서 봤을 때 도라지회는 불안한 노후생활에서 오는 다양한 문제점인 연금의 부재, 언어장벽으로 인한 사회제도에서의 배제, 한국문화의 몰이해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 등을 해결하는 곳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고령자재일한국인이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충분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조력하는 일과 관련된다. 둘째, 도라지회에서 활동하는 봉사자 조직은 정부의 힘을 대체해 미시적 공간 속에서 그들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그들은 도라지회에서 조력자 혹은 치유자, 감시자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들의 다양한 모습 중 일본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도록 하는 매개자로서의 기능은 도라지회를 온전한 돌봄의 공간으로 만드는 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체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도라지회에서는 한국인의 특징 중 하나인 연대감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을 통해 정신건강증진에 일조한다고 할 수 있고, 이러한 내용은 일본이라는 배제와 차별의 환경에서 구성원들이 살아갈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atter as to what the Doraji club for old Korean residents in Japan has a geographical significance of mental health care from a perspective of R. D. Laing’ idea, the Rumpus Sp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oraji club in terms of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based care helps in solving multi-dimensional problems that result from the unstable declining years of the members such as absence of pension, exclusion of social system because of a language barrier, psychological conflict coming from lack of understanding about Korean culture, etc. These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the provision that they can settle down in their community thoroughly. Second, the volunteer members for the Doraji club substitute for the government and show their capability in microgeographies; also, they take a role as a supporter, healer and a monitor. Furthermore, one of the their roles as a mediator, who stimulates the members to recognize the awareness of Japanese again, can be understood as the making of the Doraji club for the whole space of care. Third, the programs for the Doraji club based on the solidarity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mote mental health care consider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additionally, these activities become the power that the members adapt themselves in Japan as an exclusionary and discriminativ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