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collagen 합성에 미치는 영향

        Min Hee Jeon(전민희),Young Kyoung Kim(김영경),Yong Soo Park(박용수),Hyun Jung Hwang(황현정),Sung Gu Kim(김성구),Sang-Hyeon Lee(이상현),In Soon Choi(최인순),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4

        솔잎은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ouse calvaria 유래의 MC3T3-El osteoblastic cell은 골세포의 세포 활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3T3-E1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용매별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ALP 활성 및 조골세포의 골 형성을 위한 필수 인자인 콜라겐 합성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농도(1, 10 50, 100 ㎍/㎖)에 따른 조골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proanthocyanidin의 경우 50 ㎍/㎖ 이상 첨가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급격한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식률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적송잎 헥산 추출물 처리군에 있어서는 10 ㎍/㎖ 농도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세포증식이 촉진되었다. 적송잎 추출물이 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ALP의 활성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적송잎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보다 헥산 추출물에서 조골세포의 ALP 활성이 증가하여 적송잎의 ALP 활성에 영향을 주는 성분은 수용성 성분보다 지용성 성분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실험결과에서 헥산 추출물뿐만 아니라 열수 추출물에서도 높은 콜라겐 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단일성분에 의한 것보다 복합적 성분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이 촉진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ALP 활성 및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골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작 연구를 위하여 향후 분자생물학적인 차원에서의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involving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and an increased risk of fractures. The MC3T3-E1 pre-osteoblastic cell line is a well-accepted model of osteogenesis in vitro.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In this study, MTT assay,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collagen synthesis of osteoblast cell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ine needl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hexane, ethanol and water.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extract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of commercial agents, such as proanthocyanidin. The MOT3-E1 cells exposed to proanthocyanidin showed increased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cells exposed to the hexane extract showed a similar increase in proliferation to that observed with proanthocyanidin. The 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ALP activity. Moreover, a supplement of pine needle extracts induced collagen synthesis in MC3T3-E1 cells. The pine needle extract produced the highest level of collagen synthesis at concentrations of 10~50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ne needle extracts have an anabolic effect on bone by promot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ay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

      • KCI등재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Min-Hee Jeon(전민희),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톳은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mouse calvaria 유래의 MC3T3-E1 세포는 골세포의 세포 활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3T3-E1 세포를 이용하여 톳 분획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ALP 활성, 조골세포의 골 형성을 위한 필수 인자인 collagen 합성 및 조골세포의 표식인자인 골 석회화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각 분획물의 수율은 aqueous 분획물이 47.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butanol 분획물, methanol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hexane 분획물이 4.7%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어 극성 성분의 함유량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톳 분획물의 농도(1, 10 50, 100 ㎍/ml)에 따른 조골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120% 정도의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행연구자에 의한 대두 에탄올 추출물 실험 결과인 최고 117%의 세포 증식률과 비슷한 조골세포 증식유도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톳 분획물이 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톳 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ALP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butanol 분획물은 120% 이상의 ALP 활성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 되었다.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collagen 합성에 미치는 실험결과에서 모든 분획물에서 유의적인 collagen 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골세포의 골 석회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methanol 분획물을 제외한 다른 분획물에서 유의적인 형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butanol 분획물을 100 ㎍/ml 첨가하였을 때는 281.25%, aqueous 분획물을 100 ㎍/ml 첨가하였을 때는 240.46%로 높은 골 석회화 형성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ALP 활성, collagen 합성 및 골 석회화 형성을 촉진하여 골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인 기작 연구와 in vivo 연구가 병행된다면 골다공증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의 천연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involving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and increased risk of fractures. Osteoblast and osteoclast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bone formation.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is a well-accepted model of osteogellsis in vitro. Hijikia fusiforme is a kind of edible brown seaweed that grows mainly in the Northwest Pacific region, including the countries of Korea, Japan and China, and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cinal and health food in Korea. In this study, by using osteoblasts, the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proliferation,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llagen synthesis and mineralization of cells were investigated. Hijikia fusiforme were subjected to fractionation by using hexane, methanol, butanol and aqueous. Proliferation of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Hijikia fusiforme fraction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0%. Regarding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ALP activity, 1 ㎍/ml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he synthesis of collag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Hijikia fusiforme fract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hexane fraction. Moreover, mineralization in the MC3T3-E1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100 ㎍/ml butanol fraction increased by 281%. Also, when 100 ㎍/ml aqueous fraction was added, mineralization increased by 24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jikia fusiforme fractions have anabolic effect on bone through the promo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suggesting that it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

      • KCI등재

        적송잎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파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전민희(Min Hee Jeon),박미라(Mi-Ra Park),박용수(Yong Soo Park),황현정(Hyun Jung Hwang),김성구(Sung Gu Kim),이상현(Sang-Hyeon Lee),김미향(Mihy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4

        아시아 지역 널리 자생하고 있는 소나무는 항암,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에 따른 파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송잎 추출물별 항산화 활성과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TRAP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140.5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은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열수헥산 추출물, 헥산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을 검색한 결과, 열수, 에탄올 및 열수에탄올 추출물이 proanthocyanidin의 47.31%보다 높은 SOD 유사활성을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파골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 경우 1 μg/mL의 농도에서 54.04%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적송잎 헥산 추출물 또한 70%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각 추출물 간의 생존 비율에 차이는 있으나 모든 적송잎 추출물에 있어 파골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적송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RAP staining 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TRAP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 μg/mL의 낮은 농도에서 각각 67.8 및 66.3%로 파골세포 분화를 감소시켰으나, 헥산추출물은 약 80%의 분화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100 μg/mL의 고농도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에탄올 추출물의 파골세포분화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 저농도에서의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적송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억제하여 골흡수 억제에 효과를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인 기작 연구와 in vivo 연구가 병행된다면 노화 및 골다공증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천연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roliferation of osteoclastic RAW 264.7 cells. Pine needle extracts were examined using hot water, ethanol, hexane, hot water-ethanol, and hot water-hexane.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extract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at of a commercial agents, proanthocyanidin. Analysis of each extract indicated that hot water-ethanol and ethanol extracts contain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centrations. The hot water-ethanol and ethanol extracts also showed relatively the highest SOD-like activity. The proliferation of osteoclastic RAW 264.7 cells treated with pine needle extracts was decreased by lower than 70%. In addition,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positive (TRAP<SUP>+</SUP>) multinucleated cells from osteoclatic RAW 264.7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ne needle extracts had an anabolic effect on bone through the promo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suggesting that they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

      • KCI등재

        곰피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액 유동성 및 혈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Young Kyoung Kim(김영경),Min Hee Jeon(전민희),Yong Soo Park(박용수),Hyun Jung Hwang(황현정),Sang-Hyeon Lee(이상현),Sung Gu Kim(김성구),Yuck Young Kim(김육용),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2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estrogen의 감소로 인한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로써 흰쥐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갈조류인 곰피 추출물의 영향을 혈중지질 농도, 혈소판 응집력 및 혈액 유동성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갱년기유도로 인하여 증가된 혈청 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곰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저하되었으며, 특히 곰피 추출물 200 ㎎/㎏ bw/day 투여는 중성지방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AI) 및 심혈관위험지수(CRF) 또한 곰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저하되었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난소절제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곰피 추출물을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다. 혈액의 유동성에 곰피 추출물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난소 절제에 의해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유동성이 저하되었으나, 곰피 추출물 투여로 인해 유동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난소 절제에 의해 혈소판 응집능이 증가하였으나, 곰피 추출물 투여로 인해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갱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혈중 지질 변화에 대하여 곰피 추출물이 지질 및 혈행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곰피 추출물 200 ㎎/㎏ bw/day 투여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내어 곰피가 심혈관 관련성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Estrogen deficiency in peri- and postmenopausal women results in variety of neurovegetative, psychic and somatic symptoms, and may contribute to severe diseases within the aged female population. Ecklonia stolonifera (ES) is an edible brown algae traditionally used in fishery towns in Far East Asi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 extracts on blood flow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in ovariectomized rats. Weight-matched female Sprague-Dawley strain rats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Three groups were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The fourth group was sham operated.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s (OVX-CON),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ES extract at 50 ㎎/㎏ bw/day (OVX-ES50)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ES extract at 200 ㎎/㎏ bw/day (OVX-ES200).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decreased in the sham group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Six weeks feeding of ES extract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lowering of serum triglyceride and a lowering tendency of total cholesterol level. The level of Hdl-cholesterol in serum increased by supplementation of ES extracts at 50 ㎎/㎏ and 200 ㎎/㎏ bw/day (p<0.05). Blood passage time of the ES extracts-supplemented group was higher than the OVX-CON group. The ability of platelet aggregation of groups treated with ES extracts was less than that of the OVX-C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ES extract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on the metabolic syndrome of menopausal women.

      • KCI등재

        적송잎 열수 추출물이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Yong Soo Park(박용수),Mi-Ra Park(박미라),Min Hee Jeon(전민희),Hyun Jung Hwang(황현정),Min Suk Kang(강민숙),Bo kyung Kim(김보경),Sung Gu Kim(김성구),Sang-Hyeon Lee(이상현),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4

        최근 천연 항산화제로 phenolic compound를 함유한 솔잎 추출물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사전연구[20]에 의해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가 확인된 적송잎 열수 추출물의 in vivo차원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송잎 열수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흰 쥐에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간독성을 유발시킨 후 생체 내에 미치는 영향을 혈청 중의 효소활성으로 관찰하였고, 간 조직의 SOD, GPX 및 catalase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하였다. 혈청 중의 GOT 및 GPT 활성은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적송잎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인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수치는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투여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 중의 항산화 효소 실험에서 SOD 활성은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적송잎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atalase 활성은 사염화탄소 투여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적송잎 열수 추출물의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GPx 효소 활성은 사염화탄소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활성이 증가되었고, 적송잎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도한 흰 쥐의 항산화 효소활성에 적송잎 열수 추출물의 투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송잎 열수 추출물이 체내 항산화능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ine (pinus densiflora) needles have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the hepatic antioxidant system in the damaged liver of carbon tetrachloride (CCl₄)-treated rats. Nine-week-old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group (NOR), CCl₄-treated group (CCL), pine needle hot water extract and CCl₄-treated group (CCL-P), and Vitamin C and CCl₄-treated group (CCL-V). The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pine needle hot water extracts were investigated at the levels of liver homogenates and serum of rats intoxicated with CCl₄. Serum GOT and GPT activities by CCl₄ treatment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 group. However, they tended to decrease in the hot water extract-administered group. Liver SOD activity in the CC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R group (p<0.05). However, they increased in the CCL-P group compared to the CCL group. Further, the CAT and GPx activities of serum treated with CCl₄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the NOR group but lower in the CCL-P group compared to CC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ne needle hot water extract increases antioxidant activities.

      • 종격동 기종의 감별 : CT 소견

        박준동,전민희,김성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0 忠北醫大學術誌 Vol.20 No.1

        연구목적: 종격동기종의 원인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CT 소견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종격동기종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CT 촬영은 얇은 절편의 CT 영상이 포함되었고, 증상이 있거나 시술을 시행한 후 24시간 이내에 시행되었다. 종격동기종은 그원인에 따라 외상성(n=16), 의인성(n=10), 자발성(n=13)으로 분류하였다. 기관지혈관속은 기관용골(tracheal carina)부터 제2기관용골(second carina) 기시부까지를 main, 제2기관용골부터 엽기관지의 원위부까지를 lobar, lobar보다 변연부를 segmental 분류하였다. CT 영상에서 기관지 혈관속을 따라 존재하는 선상 또는 환상의 관외 공기음영을 분석하였다. 결과: Lobar 와 segmental 수준에서 자발성(각각 100%, 84.6%)과 외상성(각각 31.3%, 37.5%)에서는 관외 공기음영이 관찰된 반면, 의인성에서는 모든 예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양측 모두에서 관찰되었던 경우는 Lobar 와 segmental 수준 모두 자발성(각각 61.5%, 45.5%)으로 외상성(각각 40%, 16.7%)보다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 결론: 종격동기종의 감별에 도움을 주는 Macklin 효과의 존재여부는 제2기관용골 이하 lobar 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 CT findings for differentiation of the causes of pneumomediastinum. Materials and Methods: Thirty-nine patients with pneumomediastinum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CT scans included thin section CT, and were obtained within 24 hours after presentation of symptom or procedure. We classified the causes of pneumomediastinum as traumatic (n=16), idiopathic(n=13), and iatrogenic (n=10). Also, we classified the level of the bronchovascular bundle as main (from carina to second carina), lobar (from second carina to the distal portion of lobar bronchi) and segmental (below the level of lobar bronchi). On CT scans, linear or round extra-luminal air densities along the bronchovascular bundles were evaluated. Results: At the level of lobar and segmental, extra-luminal air density was seen in idiopathic (100%, 84.6%) and traumatic (31.3%, 37.5%), however, was not seen in iatrogenic in all cases. Extra-luminal air density in both lungs at the level of lobar and segmental was more common in idopathic (61.5%, 45.5%) than in traumatic (40%, 16.7%), however, i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Macklin effect that is helpful in the differentiation of pneumomediastinum should be evaluated at the lobar level below the second carina.

      • 크론병의 다검출기전산하단층촬영

        박길선,배일헌,조범상,이승영,전민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0 忠北醫大學術誌 Vol.20 No.1

        연구목적: 크론병 환자에 대한 64채널 MDCT의 경험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서 크론병으로 확진된 13명의 64채널 MDCT 소견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병변이 있는 소장과 대장의 장벽 두께, 주위 림프절 중 가장 큰 림프절의 최대단경과 충수의 최대창경을 측정하였고, 주변 장간막의 선상침윤, 협착, 농양, 기복과 누공의 유무 및 병변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크론병은 임상, 병리, 내시경과 영상학 소견으로 진단하였다. 결과: 말단회장 장벽의 비후는 12예에서 있었고, 그 최대 두께의 평균은 11.8(범위: 7.8-19.2)mm이었다. 대장 장벽의 비후는 7예에서 있었고, 그 최대 두께의 평균은 11.7(범위:9.2-15.0)mm이었다. 주위 림프절은 12예에서 보였고, 그 최대단경의 평균은 10.3(범위: 7.4-13.5)mm이었다. 충수는 10예에서 보였고, 그 최대장경의 평균은 7.3(범위: 5.0-9.5)mm이었다. 주변 장간막의 선상침윤이 13예(100%), 농양이 2예(15.4%), 협착, 기복과 누공이 각각 1예(7.7%)에서 있었다. 12예(92.3%)에서 침범부위 사이에 정상부위가 있는 다발성으로 분포하였다. 결론: 크론병에서 64채널 MDCT의 횡단면과 관상면 영상은 장벽, 림프절과 충수의 크기를 측정하고, 장간막의 변화와 침범부위의 분포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였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xperiences of 64 channel MDCT in patients with Crohn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13 patients with Crohn disease who were diagnosed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6 to December 2009. The findings of 64 channel MDCT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maximum wall thickness(wall thickness) of involved small and large bowel, the largest short diameter of adjacent lymph node(LNdiameter), the largest diameter of appendix(appendix diameter), strandings in adjacent mesentery, abscess, stricture, pneumoperitoneum, fistula and distribution of involved bowel. A diagnosis of CD was determined for all of these 13 patients on the basis of pathologic, clinical, endoscopic and radiologic findings. Results: Among 13 patients with Crohn disease, 12 had the thickening of terminal ileum and the mean wall thickness of these was 11.8 mm (range, 7.8-19.2 mm). 7 had the thickening of colon and the mean wall thickness was 11.7 mm (range, 9.2-15.0 mm). The adjacent lymph nodes were seen in 12 cases and the mean LN diameter of thses was 10.3 mm (range 7.4-13.5 mm). The appendices were seen in 10 cases and the mean appendix diameter of thses was 7.3 mm (range, 5.0-9.5 mm). The strandings in adjacent mesentery, abscsess, stricture, pneumoperitoneum and fistula were present in 13(100%), 2(15.4%), 1(7.7%), 1(7.7%) and 1(7.7%) respectively. In 12(92.3%) cases, multiple segments of bowel were affected with skip lesions. Conclusion: The axial and coronal image of 64channel MDCT in Crohn disease were useful in measuring the bowel wall thickness and the appendix diameter and evaluating the change of mesentery and the distribution of involved segment of bow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