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톤급 수직이착륙 시연체 개발

        지상연(Sangyeon Ji),이성민(Seongmin Lee),전유림(Yulim Jeon),한상두(Sangdu Han),김광원(Kwangwon Kim),유지성(Jisung Yoo),이종덕(Jongdeok Lee),이범석(Beomseok Lee),고민호(Minho Ko),이준성(Junseong Lee),김철웅(Cheulwoong Kim),임석희(Seokhee 한국추진공학회 202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5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a 1tonf-class vertical take-off and vertical landing(VTVL) demonstrator designed to verify the core technology of reusable launch vehicles. The VTVL demonstrator has a pressure-fed engine system and uses liquid oxygen and liquid methane as propellants. Major autonomous tests of its subsystems and components have been completed. Hot fire tests and tethered flight tests will be conducted on the VTVL demonstrator to verify th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 Synergistic Effects of a Multifunctional Graphene Based Interlayer on Electrochemical Behavior and Structural Stability

        Lee, Young-Woo,An, Geon-Hyoung,Kim, Byung-Sung,Hong, John,Pak, Sangyeon,Lee, Eun-Hwan,Cho, Yuljae,Lee, Juwon,Giraud, Paul,Cha, Seung Nam,Ahn, Hyo-Jin,Sohn, Jung Inn,Kim, Jong Mi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6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8 No.27

        <P>The ability to rationally design and manipulate the interfacial structure in lithium ion batteries (LIBs) is of utmost technological importance for achieving desired performance requirements as it provides synergistic effects to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cycling stability of electrode materials. However, despite considerable efforts and progress made in recent years through the interface engineering based on active electrode materials,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evoted to address the physical aspects of the interface and interfacial layer between the anode materials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Here, we propose and successfully grow unique graphene directly on a Cu current collector as an ideal interfacial layer using the 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The anode with an engineered graphene interlayer exhibits remarkably improv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such as large reversible specific capacity (921.4 mAh g(-1) at current density of 200 mA CI), excellent Coulombic efficiency (close to approximately 96%), and superior cycling capacity retention and rate properties compared to the bare Cu. These excellentelectrochemical features are discussed in terms of multiple beneficial effects of graphene on interfacial stability and adhesion between the anode and the collector, oxidation or corrosion resistance of the graphene grown Cu current collector, and electrical contact conductance during the charge/discharge process.</P>

      • Enhanced interface reactivity by a nanowrinkled functional layer for intermediate-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Lee, Jongseo,Hwang, Sangyeon,Ahn, Minwoo,Choi, Mingi,Han, Seungwoo,Byun, Doyoung,Lee, Wonyoun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Vol.7 No.37

        <P>For high-performance intermediate-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IT-SOFCs), rational design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de and electrolyte is essential, because interfacial reactivity often dominates the overall performance. In this study, a unique nanowrinkled structure of a Gd0.1Ce0.9O1.95 functional layer is fabricated by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ESD) between a porous nanostructured electrode and dense electrolyte, for extended and activated reaction sites at the interfaces. Upon the introduction of the nanowrinkled functional layer, the polarization resistance is reduced 3.3-fold, while the peak power density is increased 2.2-fold (0.034 Ω cm<SUP>2</SUP> and 1.19 W cm<SUP>−2</SUP>, respectively) at 650 °C, compared to those of the reference sample. The substantial increases in surface area and grain boundary density in the nanowrinkled functional layer reduce both polarization resistance and activation energy, providing a significant performance enhancement. Our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interface engineering with a cost-effective and simple ESD process to fully utilize the nanostructured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IT-SOFCs.</P>

      • KCI등재

        Hearing Aid Selection: Closed- versus Open-canal Fitting Hearing Aids

        Sangyeon Lee,Soo Hee Oh,Kyoungwon Lee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21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7 No.4

        To select hearing aid is an essential process for successful hearing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earing aid selection considerations between receiver in-the-canal (RIC) and custom hearing aid (CHA) in order to guide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hearing aid. This study discussed three key factors in the hearing aid selection including physical, acoustic and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and other aspects. Advantages of RIC types are comfort to wear, reduction of the occlusion effect, presence of directional microphones, on-site fit, easy onnectivity with other devices, and use of rechargeable batteries. On the other hand, the CHA types have their advantage in terms of being comfort to wear with masks, proper insertion and placement, reduction of the acoustic feedback, good approximation of frequency response curve, improvement of speech in noise perception, expanded hearing aid candidacy with varying hearing thresholds, and easy telephone use. We concluded that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hearing aid would contribute to

      • 영양교육프로그램이 용인지역 초등학생들의 식품섭취빈도와 기호도에 미치는 효과

        이인경;이동현;김상연;배인영;이현규 한양대학교 2012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the consumption frequency and preference of foo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ong-In.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6 weeks. The results show as follow. 1) The subject consisted of 11 boys and 9 girls. 55% of Mothers had job and 70% of students were participated by recommending from their parents. 2. Consumption frequency of grains and starches of the stud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nutrition education. However, consumption frequency of sausage and ham of the student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Consumption frequency of anchovy, beans, paprika and brocoli, milk, yogurt, and cheese of the stud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3. The preference of foods such as chicken, duck meat, blue fish, white fish, cheese, soybean milk, mushroom, egg apple, fruits, fruits juice, soda, and traditional beverages of the stud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However, The preference of ice-cream, fried chicken, pizza of the student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well-designed program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can help to change the consumption frequency and preference of food.

      • 온실 내부 미기상 계측을 위한 센서의 적정 위치 분석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연중 안정적인 고품질의 농산물 생산과 수요에 대한 증가로 인하여 원예시설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너지 효율 사업과 ICT 적용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시설원예의 현대화 사업이 정책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ICT 기술이 적용된 자동화 온실에는 환경 계측(풍속, 일사, 온도, 습도 등)을 통한 액츄에이터(온풍기, 순환팬 등)이 가동되어 작물의 생육에 적절한 환경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온실 내 환경 제어를 위한 센서의 위치는 농장주 및 온실 시공업체의 경험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대다수의 농장주는 경제적인 이유로 센서를 제한적으로 설치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형 온실의 경우 내부환경을 균일하고 적절하게 조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정 위치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온실 전체 환경을 대표하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또한 온실에 따른 적정 센서 대수 및 위치를 선정과 관련된 연구 및 농장주 및 시공업자가 참고할 수 있는 정량적 설치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정확한 계측과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온실 내 적절한 위치에서 계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ICT 적용 온실의 환경 제어를 위하여 센서 대수별 최적 위치를 선정하고자 한다. 대상 온실은 애플망고를 재배하고 있는 8연동 플라스틱 온실(W: 32 m, L: 24 m, H: 5.7 m)이고, 총 9지점에 대한 미기상(온도, 습도, 광, 이산화탄소 등)이 10초 간격으로 계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온도 센서에 대한 최적 센서 위치 및 대수 선정을 위하여 오차 및 정보엔트로피 이론을 적용하였다. 오차 기반 방법은 센서가 모두 설치되었을 경우를 대표값으로 가정하여 센서들의 조합에 따라 대표값에 가장 가까운 센서의 조합을 찾는 방법이다. 온실의 전체적인 환경조절을 위해서는 적절하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및 이상 상황 감지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엔트로피 기반 방법은 특정 지점에서 발생하는 정보량(정보엔트로피)을 이용하고, 센서 조합간의 중복되는 정보량을 최소화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오차 기반 방법론의 경우 총 9개 센서 중 4대 이상의 센서를 설치할 경우 8개의 센서를 설치하였을 때와 유사한 계측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정보엔트로피 기반 방법을 통하여 온실 내부에서 센서 대수별 온도에 대하여 변동성이 큰 지점에 대하여 도출을 하였다. 본 결과는 정밀 환경 및 이상 상황 감지를 위한 농장주 및 시공업자의 총 센서 설치 대수 선정 및 위치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Surface functionalization-induced photoresponse characteristics of monolayer MoS<sub>2</sub> for fast flexible photodetectors

        Pak, Sangyeon,Jang, A-Rang,Lee, Juwon,Hong, John,Giraud, Paul,Lee, Sanghyo,Cho, Yuljae,An, Geon-Hyoung,Lee, Young-Woo,Shin, Hyeon Suk,Morris, Stephen M.,Cha, SeungNam,Sohn, Jung Inn,Kim, Jong Min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 Nanoscale Vol.11 No.11

        <P>Monolayered, semiconducting molybdenum disulfide (MoS2) is of considerable interest for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next-generation flexible, wearable, and transparent photodetectors because it has outstanding physical properties coupled with unique atomically thin dimension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in terms of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photoresponse dynamic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appropriate device design strategy for achieving a fast photoresponse time in MoS2 photodetect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surface functionalization on controlling the charge carrier densities in a MoS2 monolayer and in turn the corresponding behavior of the photoresponse in relation to the position of the Fermi-level and the energy band structure. We find that the p-doping and n-doping, which is achieved through the surface functionalization of the MoS2 monolayer, leads to devices with different photoresponse behavior. Specifically, the MoS2 devices with surface functional groups contributing to p-doping exhibited a faster response time as well as higher sensitivity compared to that observed for the MoS2 devices with surface functional groups contributing to n-doping. We attribute this difference to the degree of bending in the energy bands at the metal-semiconductor junction as a result of shifting in the Fermi-level position, which influences the optoelectronic transport properties as well as the recombination dynamics leading to a low dark and thus high detectivity and fast decay time. Based upon these findings, we have also demonstrated the broad applicability of surface functionalization by fabricating a flexible MoS2 photodetector that shows an outstanding decay time of 0.7 s, which is the fastest response time observed in flexible MoS2 detectors ever reported.</P>

      • CFD기법을 통한 온실 환기시스템 및 덕트 난방시스템의 평가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온실은 재배작물의 적정생육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에너지비용이 필요하다. 가온온실의 경우 평균적으로 총 운영비 중 41%를 난방비로 소비하며 주로 유류를 사용한다. 이에 화석연료를 대체할만한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를 농업시설에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에너지 이용 효율성 분석의 선행되어야 한다. 온실 내부의 환경 조절을 위해 다양한 공조시스템이 활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절기에는 자연환기를 대상으로, 동절기에는 덕트 난방 시스템을 대상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성의 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환기 운영 및 덕트 난방 시스템의 적정 설계방안을 도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기법(CFD)을 이용하여 여름철 대상 온실의 자연환기량을 분석하였고 겨울철 덕트 난방 시스템의 설계 방안에 따른 작물군에서의 유속 및 온도 균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온실은 보령화력발전소에 위치한 8연동 플라스틱온실로 현장실험을 통하여 온실의 CFD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 및 검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작물을 다공성매체로 가정하여 설계하기 위하여 공기저항 측정 실험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CFD모델은 작물특성, 온실형상, 구조적특징 등을 반영하였으며 격자크기, 난류모델에 따라 온실 내부 15개 지점에서의 기온 및 공기유속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산된 값과 현장 실측치의 비교 결과, 온도 및 유속 분포의 결정계수 (R<sup>2</sup>)가 0.92~0.96으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CFD 시뮬레이션 모델이 온실 내부 공기유동 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적정 격자 크기와 난류모델은 0.5 m와 RNG k-ε 모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검증된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외부 풍환경에 따라 하절기의 자연환기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하절기 외부 풍속이 작아 자연환기를 통해 온실 내부에 환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순환팬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약 0.3 min<sup>-1</sup> 만큼 환기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겨울철 온실 내부의 열환경 및 풍환경의 균일성을 고려한 덕트 난방 시스템의 적정 천공 간격을 도출하였다.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대상 온실에 설치된 덕트 난방 시스템의 경우 천공 간격의 감소비율을 1.2로 설계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본 연구의 대상 온실뿐만 아니라 다른 온실의 공조 설계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돈사 내 열환경 데이터를 통한 공기연령 산정

        이상연 ( Sangyeon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축산업은 농업분야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축산 시설의 대형화, 현대화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축산 시설의 현대화 및 대형화와 함께 시설 내부의 균일성, 안정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생육환경 조절 실패로 생산성 저하, 각종 질병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 시설 내부의 주요 환경 인자의 종합적 조절 인자로서 환기의 중요성 증가하고 있으며 축산 시설 내부의 균일성,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필요가 있다. 축산 시설 내부의 환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유출입 평가 방법과 유동 추적 방법이 있다. 유출입 평가 방법은 유출입구에서의 압력, 수분, 이산화탄소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여 간단한 수치 모델이나 현장 실험을 통하여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유출입 평가 방법은 시설 전체의 환기량 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환기량을 예측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유동 추적법은 유동을 추적하여 시설 전체 환기량과 지역적 환기량을 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유동 추적법은 현장 실험 시 추적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험성, 비효율성, 고비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동 추적법의 하나인 공기 연령 이론법을 바탕으로 추적 가스가 아닌 열환경 분포를 통하여 돈사 내 환기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추적 가스와 열환경 분포의 공기 연령 이론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기 연령 이론법을 통한 환기량 지표인 LMA (Local Mean Age, 국소 평균 연령)를 이용하였다. 먼저 돈사 내에서 현장 실험을 통하여 외부 기상 및 내부 환경 조건, 온도 (열환경 분포), 유속 분포, 이산화탄소 (추적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다. 현장 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적 가스 농도 감쇠를 통한 LMA와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검증 모델을 설계하고 현장 실험으로부터 도출한 결과와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 결과와 시설 내부의 유동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추적가스 농도 감쇠를 통한 LMA와 열환경 분포 감쇠를 통한 LMA 값의 오차는 약 0.9 s (0.6%), RMSE는 5.34 s로 도출되어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LMA 값을 도출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해서 충분한 단열을 확보한다면 온도를 이용한 LMA 값을 도출하는 것도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CFD 모델의 검증 결과 적정 격자크기는 0.1 m, 적정 난류모델은 Standatd k-ω 모델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CFD 모델 결과와 현장실험 결과의 오차는 5.8 s, RMSE는 7.5 s로 매우 작게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모델은 돈사 내 환기량을 평가하기 위한 모델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