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drastically reduced potential risks in clinical trial conduct

        Lee, Howard,Lee, Heechan,Baik, Jungmi,Kim, Hyunjung,Kim, Rachel Dove Medical Press 2017 Drug design, development and therapy Vol.11 No.-

        <P><B>Background</B></P><P>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risk management tool to proactively identify and assess the causes and effects of potential failures in a system, thereby preventing them from happe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FMEA applied to an academic clinical trial center in a tertiary care setting.</P><P><B>Methods</B></P><P>A multidisciplinary FMEA focus group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Trials Center selected 6 core clinical trial processes, for which potential failure modes were identified and their risk priority number (RPN) was assessed. Remedial action plans for high-risk failure modes (RPN >160) were devised and a follow-up RPN scoring was conducted a year later.</P><P><B>Results</B></P><P>A total of 114 failure modes were identified with an RPN score ranging 3–378, which was mainly driven by the severity score. Fourteen failure modes were of high risk, 11 of which were addressed by remedial actions. Rescoring showed a dramatic improvement attributed to reduction in the occurrence and detection scores by >3 and >2 points, respectively.</P><P><B>Conclusions</B></P><P>FMEA is a powerful tool to improve quality in clinical trial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Trials Center is expanding its FMEA capability to other core clinical trial processes.</P>

      • Inkjet printing-based β-secretase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assay for screening of potential β-secretase inhibitors of Alzheimer's disease

        Lee, Jungmi,Samson, Annie Agnes Suganya,Song, Joon Myong Elsevier 2018 Analytica chimica acta Vol.1022 No.-

        <P><B>Abstract</B></P> <P>Amyloid-β (Aβ) is generated by proteolytic processing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by beta-secretase (BACE-1) and gamma-secretase. Amyloid-β is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senile plaques in Alzheimer's disease (AD). Consequently, inhibition of β-secretase (BACE-1),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production of Aβ, constitutes an attractive therapeutic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AD. This paper reports an inkjet printing-based fluorescence assay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β-secretase inhibitors achieved by employing a BACE-1 FRET substrate (Rh-Glu-Val-Asn-Leu-Asp-Ala-Glu-Phe-Lys-Quencher). This peptide substrate is known to be a readily available and suitable substrate for proteolytic activity, and it has high affinity to BACE-1. The BACE-1 peptide substrate printed on parchment paper was effectively cleaved by BACE-1, which was printed on the same spot. The amount of enzyme and substrate required for this inkjet printing-based BACE-1 assay can be less than 1.4ⅹ10<SUP>3</SUP>, permitting the evaluation of inhibitor activity with femtomolar potency. The inkjet-printing-based BACE-1 inhibitory assay revealed inhibitory effects of inhibitor IV and STA on BACE-1 with an IM<SUB>50</SUB> of 1.00 × 10<SUP>−15</SUP> mol and 1.01 × 10<SUP>−14</SUP> mol, respectively. These data confirm that both BACE-1 inhibitors (inhibitor IV and STA) actively inhibited the BACE-1 proteolysis of BACE-1 substrate on parchment paper. It important to note that the number of mole of BACE-1-substrate and enzyme utilized in the printing-based enzymatic assay are 1.4ⅹ10<SUP>3</SUP> smaller than the amount used in the conventional well-plate assay. The inkjet printing-based inhibitory assay constitutes a versatile high throughput technique and the IM<SUB>50</SUB> values of the inhibitors were obtained with satisfactory reproducibility, suggesting that this inkjet-printing BACE-1 inhibitory assay could be quite suitable for the screening of new potential BACE-1 inhibitors for AD.</P> <P><B>Highlights</B></P> <P> <UL> <LI> An inkjet printing-based fluorescence assay was developed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β-secretase inhibitors using FRET peptide substrate. </LI> <LI> The BACE-1 peptide substrate printed on parchment paper was effectively cleaved by BACE-1 which printed on the same spot. </LI> <LI> The inkjet-printing-based BACE-1 inhibitory assay revealed inhibitory effects of inhibitor IV and STA on BACE-1. </LI> <LI> The inkjet printing-BACE-1 inhibitory assay revealed that the consumed amount of the sample was reduced by 1.4 × 10<SUP>3</SUP> times. </LI> <LI> The inkjet printing-based inhibitory assay enabled in a high throughput format, and it is a reliable for BACE-1 inhibitor screening.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SCISCIESCOPUS
      • KCI등재후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이정미 ( Jungmi Le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7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이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경로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S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은 행동적, 정서적, 언어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 시설유형, 학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 간의 경로에서 정서지능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의 질을 높여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he data collected from 210 child care teacher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SPSSWIS and AMOS 18.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actions among the child car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type of facility, and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hir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between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nd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job stress and raising the quality of young children-teacher interaction.

      • KCI등재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의 문제점과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이길재(Lee, Giljae),김왕준(Kim, Wangjun),이정미(Lee, Jungm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각 교육청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12개 시도·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의 배부기준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교 지원비 교부 시기, 개교 지원비 항목, 신설학교에 대한 특별 지원비, 개교 지원비의 산정 방식, 개교 지원비의 규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어, C 지역에서 신설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초·중 통합학교, 중·고 통합학교, 특수학교 등 총 6개 학교의 신설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개교 지원비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교 시 학교가 구비해야 할 교구와 설비 중 필수/권장 항목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각 시도교육청의 교구설비기준 자료, 최근 5개년 이내에 개교한 신설학교들의 구입품목 자료 등을 토대로 C 지역의 『각급학교 교구설비 기준』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수립하였다. 지원기준 수립의 절차는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범위 결정→학교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설비 및 교구·교재 관련 품목 교체→학교급별 영역별 품목 및 수량, 단가표 산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배분실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1) 필수 개교 지원비 품목의 누락 및 예산 부족, 2) 학교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개교 지원비 지원, 3) 개교시 예상치 못한 지출에 대한 예산 미편성 4) 신설학교 교직원의 부적절한 배치 시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시 고려 사항은 1) 2015 교육과정에 부합하도록 개정 고시된 교구·설비에 대한 단가 산출 필요, 2) 학교별 교육과정 운영 특성을 고려한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마련 필요, 3) 학교급, 학교 유형 등에 따라 차별화 및 현실화된 단가 마련 필요, 4) 필수개교 지원비 품목에 누락된 품목포함 필요 등이다. 이상의 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 산출의 고려사항을 토대로 C 지역의 학교급별신설학교 개교 지원비 지원기준을 산출하고, 결론적으로 개교 지원비의 효율적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to establish distribution criteria for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in 12 school districts was examined. FGI was conducted for those in charge of newly-established schools in the C region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opening expenses. The problems of the 『Criteria for teaching tools and facility』a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of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ies and the purchase items of new schools open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And the criteria for supporting the opening of new schools were established. The problems on the distribution of the opening expenses for new schools are as follows. 1) Missing items for essential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and expenses, 2) Distributing opening expenses without considering school characteristics, 3) Unscheduled budget for unexpected expenses, and 4) Inadequate placement of new school staff.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considerations for calculating the new school s opening expense criteria are as follows. 1) Need to calculate the unit price for the teaching tools and facility that has been revised to conform with the 2015 curriculum. 2) Need to prepare the distribution criteria of opening expenses considering school curriculum characteristics 3) Differentiated unit prices are need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school type, and 4) Need to include missing essential items in opening expenses of new schools.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support criteria for new school opening in C region were calculated.

      • KCI등재

        신규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이정미(Lee, Jungmi),이희숙(Lee, Hees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2012학년도 1학기부터 신규로 시행된 국가장학금사업은 무상장학금사업(Ⅰ유형)과 학비지원사업(Ⅱ유형)으로 구분된다. Ⅰ유형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국가가 직접 학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나, 신규 Ⅱ유형은 대학을 경유하여 학생에게 지원하는 유형으로 명목등록금 인하효과와 함께 대학의 자구노력을 유도하기 위한 사업으로 구성되었다. 신규 Ⅱ유형 국가장학금사업에 대한 대학의 자체노력은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충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대학특성에 따라 Ⅱ유형 장학금 확보규모 및 대학내 배분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둘째, 대학특성에 따라 대학의 자체노력에 있어서 등록금 인하와 장학금 확보 중 중점을 두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 끝으로 선호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2012년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장학금 배분자료와 학생 개인별 지원자료 및 대학알리미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인 지원 인원과 지원액은 국공립대학이나, 대규모대학, 재정지원대학이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에 비해 더 큰 규모의 지원을 받았고 학생들에게도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재학생 대비 수혜율이나 저소득층 중심의 수혜구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지원 결과를 분석했을 때에는 오히려 사립대학이나 중소규모대학, 재정제한대학의 지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자체노력 선호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결과로는 국공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지방소재대학이 수도권소재대학에 비해 대학의 자체노력 방식에 있어 장학금 확충 보다 등록금 인하를 선호하는 정도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임교원비율, 신입생 충원율이 높을수록 자체노력 유형으로 장학금 확충보다는 등록금 인하를 더욱 선호했고, 학생 1인당 교육비의 경우에는 수치가 높을수록 등록금 인하보다는 장학금 확충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개선 및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구조조정 효과의 실효성, 대학 간 및 학생 간 장학금 배분의 형평성 및 우수 인재 양성의 효과성 측면에서 다각적인 검토와 개선이 요구되며, 대학 자구노력에 대한 다양한 대체방안의 탐색, 등록금 부담 경감이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지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장학금을 수혜한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Initi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12, the Governmental Financial Aids Program consists of Grant (Type I) and Grant (Type II): The former is to directly support tuition charged to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whereas the latter is to facilitate the efforts of self-reforming by colleges as well as to repress tuition increase. Newly initiated, Type II was designed to entail colleges' endeavors to lower tuition and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scholarship. Drawing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Student Aid Foundation, 2012 governmental financial aids awarded, individual student, and Academy Info Syst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1)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size of and distributing manner of the Type II scholarship by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2) Are colleges/universities differentiated by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cus of self-efforts; lowering tuition or securing scholarship money, and 3) What factors are affecting on determining the preferred typ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overall financial aids size and the number of students awarded were larger for public, bigger in size, and financial aids eligible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mid to small size,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counterparts. Considering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ch as the percentage of beneficiary and the portion of students from lower income family, however, higher performance score was given to private, mid to small, and financial aids ineligible institutions. Second, pertaining to the preferred type and determining factor of self-efforts by colleges, tuition restraint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ly used by public and local institutions than their private and metropolitan area residing peers. The same was applied to the institutions with high proportion of tenure-track faculty and high enrollment ratio whereas securing financial aids was preferred to the universities with higher per student education cost.

      • KCI등재

        대학생의 교수·학습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길재(Lee, Giljae),이정미(Lee, J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의 교육성과를 예측해주는 역량지수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대학수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강력하게 예측해주는 변수이지만, 가장 낮은 역량 점수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62개 4년제 대학생 42,660명을 대상으로 하는 2014 NASEL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수-학생 상호 작용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변수들은 대학수준의 특성이 아닌 개인특성 변수라는 점이다. 특히, 협력적 학습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핵심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 여부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점이다. 셋째, 대학의 규모와 설립유형을 나타내는 변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ACE와 교육역량강화사업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다 엄격한 분석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표준오차 과소추정이 불러올 수 있는 혼란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들이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정책 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tudent-faculty interaction’ that is a benchmark predicting the performance level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benchmark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SFI) is a strong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however, it ranks the lowest among other benchmarks to measure the academic pot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that on mind,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Drawing on the data from 62 4-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2014 NASEL dat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strong predictor of SFI was not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ut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2) One of the critical indicators of forecasting SFI is whether a student sets up a career plan or not. 3) The size and control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ave nothing to do with SFI. 4) National-level funding programs such as ACE and Fostering Educational Potent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FI. 5) Researchers analyzing nested data is required to apply a rigorous analytic strategy to not make a mistake by under-estimating standard error in estimating regression coefficients. Drawing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authors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re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