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 수준 및 결정요인: 펀드투자 관련 자기결정성과 투자권유 서비스의 질을 중심으로

        강지영 ( Kang¸ Jiyoung ),최현자 ( Choe¸ Hyuncha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15년~2019년 펀드투자자조사를 활용하여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의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투자권유의 질과 자기결정성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융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투자 결과의 63.11%만이 본인의 책임이고 나머지는 판매직원 등 금융회사의 책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별과 결혼 여부는 유의한 요인이 아니었으나, 연령, 학력, 금융자산의 규모, 펀드투자의 자발성 여부, 위험감수성향은 자기책임 인식에 모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고, 특히, 펀드이해력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결정성의 하위 항목인 자율성과 유능감의 경우, 자기책임 인식의 유의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고, 투자권유의 질의 하위 항목인 펀드상담만족도 및 설명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영향이 있었으나 적합성 원칙 준수도는 그렇지 않았다. 투자권유의 질은 직접 경로 외에 자기결정성을 통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도 자기책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현재 법시스템이 추구하는 금융투자자의 자기책임 수준과 투자자의 인식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권유 서비스의 개선 등 투자자의 자기책임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정책의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 accountability and factors affecting it, using the 2015-2019 fund investor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Financial Consumers Protection Foundation. As a result, financial investors recognized that only 63.11% of the investment results were their accountability. While gender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ignificant age, education, and financial asset size, willingness of fund investment, and financial risk tolerance and fund literac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ccountability awareness. Autonomy and competence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also appeared as significant antecedent variables for accountability awareness and consultation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except for the compliance with suitability rule which are sub-items of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mply that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gap between the self awareness level of financial investors accountability pursued by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 recognition of investors, and to seek appropriate policies to reduce the gap,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investment recommendation services.

      • KCI등재

        Kopulakonstruktion : Sein oder nicht sein. Das ist die Frage

        Choe, Jiyoung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독일어의 sein을 비롯한 인도유럽어의 계사는 전통문법에서부터 생성문법에 이르기까지 어휘범주인 동사로 간주되어왔다. 따라서 서술적 용법의 명사와 형용사를 수반하는 서술부 구조는 계사를 핵으로 하는 동사구로 분석되어, 문장의 술부는 보편적으로 동사구로 구성되어 있다는 획일적인 결론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계사의 기능과 형태적 실현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관찰은 이러한 가정에 의문을 제기한다. 위 논문에서는 독일어의 sein에 상응하는 기능을 가진 계사가 한국어와 일본어를 위시한 다른 언어들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실현되는지를 살피고 이에 덧붙여 어휘적 의미가 배제된 순수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사 sein을 어휘범주인 동사가 아닌 기능범주 ‘FPra¨d’의 어휘적 실현으로 볼 것을 제안한다. FPra¨d는 ‘Pra¨dikation’ 즉, 서술적 문장성분기능 자체를 대표자질로 하고 있고, 각 언어가 보어로 등장하는 어휘범주에 따라 그 실현양상과 수반자질에 몇 가지 제한적인 변이가 존재한다. 실제로 FPra¨d를 도입하여 문장을 분석하면, FPra¨d는 생성문법 내에서 핵심적인 문장구성범주의 역할을 했던 Infl이나 Agr 범주를 대치하고 포괄하여 한국어에 이러한 범주가 적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종래의 논란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FPra¨d는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술부구조의 핵으로서 기능하며 동사구, 명사구, 혹은 형용사구를 보어로 취하는 공통적인 술부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가정은 또한 술부구조를 획일적으로 동사구로 분석하는 기존의 견해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예를 들어 독일어에서 서술부에 등장하는 어휘범주에 따라 술부구조 자체가 달라진다든지, 또는 한국어에서 서술적으로 쓰인 형용사는 “Adjektiv”가 아닌 “Verb”의 범주로 분류된다든지 등의 보편성을 결여하는 임의적 가정들을 지양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 KCI등재

        지배복합어를 둘러싼 논의

        최지영 한국독어독문학회 2002 獨逸文學 Vol.83 No.1

        Die Ansa¨tze, die sich mit Rektionskomposita bescha¨ftigen, unterscheiden sich voneinander nicht nur in ihrer Entscheidung zwischen der Kompositions- und Derivationsanalyse, sondern auch in dem zugrundeliegenden theoretischen Rahmen, je nach dem, ob sie die lexikalistische oder die syntaktische Worbildungstheorie vertreten. Trotz der unterschiedlichen Vorgehensweisen, die der jeweilige Ansatz aufweist, la¨sst sich feststellen, dass sie ein Problem gemeinsam habe: Bei der Anwendung von grammatischen Relationen wie θKriterium, Kasuszuweisung und Realiserung der funktionalen Kategorie D(et) und ihrer Merkmale, die miteinander zusammenha¨ngen, wurde nicht der Unterschied von Phrasen- und Wortstruktur beru¨cksichtigt. Dies hat zur Folge, dass diese Ansa¨tze bei der Beschreibung der wortspezifischen Struktur der Rektionskomposita manche Lu¨cken zeigen mu¨ssen.

      • KCI등재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자금 충분성과 영향요인

        이지영(Jiyoung Lee),최현자(Hyuncha Choe)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자들이 은퇴 후 삶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은퇴자금의 충분성을 분석하고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은퇴자금 충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은퇴소요자금의 산정을 통한 객관적 측면과 은퇴자 스스로 인식한 주관적 인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된 은퇴자금 충분성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투자자교육재단에서 50세 이상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2007년 실시한 은퇴자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은퇴자들은 재정적으로 충분히 준비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객관적 충분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거주주택을 제외한 모든 자산을 은퇴자산으로 사용할 경우 23.2%의 은퇴자만이 현재의 지출을 지속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25.7%가 본인의 은퇴자금이 은퇴 후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충분할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은퇴자금의 객관적 충분성과 주관적 충분성의 일치 정도를 비교해보면 전체의 약 1/4에 해당하는 23.8%의 은퇴자가 자신의 은퇴자금 충분성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9%의 은퇴자들은 은퇴자금이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자신의 은퇴자금이 충분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은퇴자금의 충분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계소득이나 자가 소유 여부 등과 같은 재정변수는 긍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은퇴 준비 여부 또한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은퇴자들과 예비 은퇴자 가계를 위한 은퇴대비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Korean retirees' retirement wealth adequacy with their subjective recognition and examined determinants affecting the retirement wealth adequac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2007 Korean Retiree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n Investors Education Found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alysis suggested that Korean retirees(age 50 and over) were not well prepared financially. When using their assets(except for their residence), only 23.2% had accumulated enough wealth to meet their expenses for the remainder of their life. 25.7% of retirees subjectivel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adequately covere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23.8% of retirees' subjective recognition was not in accord with the estimation results. One of the most troubling groups is the 12.9% of retirees who were in the inadequacy group even though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the adequacy group. Retirement wealth adequacy determinants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objective adequacy and subjective recognition. Household income and ownership of a residenc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tirement wealth adequacy. Also, the importance of retirement planning to retirement wealth adequacy is statistically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private retirement planning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retirees and preretired households.

      • KCI등재

        학자금 대출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Jiyoung Kang),윤정윤(Jungyoon Yoon),최현자(Hyuncha Choe),손상희(Sang-Hee Sohn)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11차년도(2014)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삶의 질에 대한 학자금 대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은 주관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개인이 느끼는 만족도로 정의하였으며, Pukeliene et al(2011)의 ‘삶의 질 측정 모델(the Model for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을 토대로 전반적인 삶의 질과 하위 영역별 삶의 질(신체적․물질적․개인발전․사회적 웰빙)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t-test 분석 결과, 학자금 대출자가 비대출자에 비해 전반적인 삶의 질(만족도)이 낮았고, 세부적으로 물질적 웰빙의 구성요소인 재정만족도, 사회적 웰빙의 구성요소인 가정생활만족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연 이러한 차이가 학자금 대출 때문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하위 영역별 삶의 질을 통제하여 OLS를 통해 전반적 삶의 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자금 대출이 전반적인 삶의 질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는 t-test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 기타 변수를 통제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일반적인 채무에 대한 인식과 달리 학자금 대출이 대학생에게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하위 영역별 삶의 질과 전반적인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웰빙의 하위 요소인 건강과 개인안전, 물질적 웰빙의 요소인 가계재무, 개인 발전 웰빙인 미래에 대한 긍정적 전망, 사회적 웰빙의 요소인 가정생활, 친목․여가 커뮤니티 참여도가 전반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소득수준에 따라 학자금 대출이 삶의 질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여 소득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학자금 대출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학자금 대출여부가 전체 분석결과와 동일하게 전반적 삶의 질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그 값도 음(-)으로 바뀜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 loan affect the quality of college life using 11th year(2014)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The quality of life is defined as personal satisfaction measured by subjective well-being approach and is divided into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nd the quality of subareal lives including physical, material, personal achievement and social wellbeing area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with student loan debt have lower quality of overall life (satisfaction level) than those with no student loan deb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erms of household financial satisfaction that stands for materi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family life that stands for social wellbeing.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is gap is created by student loan, controlling the quality of subareal l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tudent loan affects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 loan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quality of overall life. And health satisfaction and personal safety satisfaction that stand for physical wellbeing, household financial satisfaction that stands for material wellbeing, optimistic about the future that stands for personal achievement wellbeing, and leisur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at stand for social wellbeing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overall life.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xpectation that student loan have different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 this study divides students into two groups by their income level. Then, in the same manner as above, each group was analyzed by OLS method. As a results, student loan have significantly plus(+) effect on the quality of overall life in the group with high income level, but don’t have significant effect in the group with low income level. And coefficient between student loan and quality of overall life is changed to min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