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징병제의 여성참여 - 이스라엘과 스웨덴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권인숙(Insook Kwon)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여성연구 Vol.74 No.-

          As a thorough male centered institution, conscription has been a foundation for forming masculinized citizenship and has grown providing basic components of civility around the world. Women have not been vocal on the issue of conscription, while conscription has made huge impact on women"s lives. It has related to women"s working rights, social equality as we can see in the controversy over the additional points system to post-conscripts in South Korea. Also it has been the crucial institution legitimizing women"s dependency by emphasizing the binary concepts: men-protector and women-protected.<B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conscripti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Israel and Sweden, and tries to look at issues we need to consider in South Korea.<BR>  Female conscription has been sustained around 60 years in Israel. Participation and roles of women in the compulsory military service in Israel is going to be expanded and enhanced. It is not easy and simple to measure the impact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military since Israel is famous for collectivism, state-centered nationalism and strong religion However, it is not imaginable how women sustain civil membership without participating in conscription in such as a nationalistic and militaristic country.<BR>  In Sweden, where gender equality has reached to a high-level, there is not such a concept that men are more qualified manpower than women in the military. Even though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agree with the ideological necessity of female conscription, the decreasing size of military troops since the end of cold war demeans its effectiveness. The two countries" cases leave important points for consideration. First, the expansion of women"s participation and roles in the military is now in trend. Second, conscription can be changed in the matter of how to manage, how to aim and how to implement. Third, whether it is female conscription or women’s participation in conscription, that we need to put in priority and discuss.   징병제는 철저히 남성 중심적인 제도로서 기능해왔고, 세계 여러 곳에서 남성적인 시민권의 성장의 토대로서 국가가 기대하는 시민의 기본 기질을 공급하면서 성장해왔다. 여성은 징병제에 대체로 침묵해왔으나 징병제는 여성의 삶의 여러면을 규정짓는다. 군가산점제에서 단적으로 드러나지만 여성의 취업권, 사회평등권이 침해받고 근본적으로 여성의 의존성을 당연하게 여기면서 남성이 여성을 보호한다는 기본관념을 결정한다. 특히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의 맥락에서 여성의 역할과 기질에 대한 한계를 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BR>  이 연구는 징병제를 중심에 놓고 여성과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정리하고 분석하여 징병제에 대한 기본정보를 확보하고 우리사회의 현재의 시사점은 무엇일까를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징병제와 여성의 관계를 논하고 다른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서 여성의 징병제의 참여에 대한 경험분석을 하였다.<BR>  이스라엘의 경우는 오랫동안 여성 징병제를 실시하고 앞으로 더욱 여성참여와 역할을 늘리려 할 뿐만 아니라 전투에 참여하는 여성도 늘어날 예정이다. 집단주의, 국가주의, 종교적 이념성이 강한 사회에서 여성의 징병제참여가 가지는 역할을 단순화시키기는 힘들다. 국가 중심적이고 집단주의적 정서가 강할 뿐만 아니라 군대가 차지하는 사회적 위상이 높은 이스라엘에서 여성의 참여는 남성과 동등한 의미의 시민권의 획득을 가져오지는 못했다.<BR>  스웨덴의 경우는 양성평등의 사회적 이념이 발달해있고, 군대가 남성에 더 적합하고 남성이 더 우수한 군인이라는 일반적 고정관념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정부나 정당 등에서 평등을 위한 여성 징병제의 도입의 기본 취지는 동의하고 있으나 냉전 이후 군인에 대한 수요가 격감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효율성, 비용의 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다.<BR>  이 두 나라의 사례는 몇 가지 고려해야할 중요한 지점을 남긴다. 첫째는 징병제를 통해서든 아니든 군에서의 여성수의 증가와 역할의 확대는 당연한 경향성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정책의 방향으로 인정되고 있다. 두 번째, 징병제의 운용방식과 징병제를 어떤 것으로 생각할 것인가에 따라 그 사회에서 징병제가 차지하는 위치가 사뭇 다르다는 것이다. 세 번째, 여성 징병제든, 징병제의 여성참여든 여성이 징병제에 대한 고민을 더 많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성폭력 두려움과 사회통제

        권인숙(Kwon, Insook),이화연(Lee, Hwa-ye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아동 성폭력 살해 사건 중 최근에 가장 관심을 많이 모았던 김길태 사건에 대한 신문과 TV 등의 보도기사를 분석하여 언론의 아동 성폭력 사건 대응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에서 아동 성폭력 사건보도는 2008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그 중 김길태 사건은 그 어떤 사건과도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김길태 사건에 대한 보도는 아동 성폭력에 대한 심층적 보도는 거의 없이 김길태 개인에만 초점이 맞추어졌다. 아동 성폭력에 대한 대책도 극단적인 소수 범죄자 방지에만 맞추어져 효과나 비용소모에서 문제점을 남겼다. 아동 성폭력과 같은 범죄에 대한 언론의 집중포화가 야기하는 또 다른 문제는 성폭력의 두려움이 더욱 커지는 것이다. 아동과 부모들의 공포만 커지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여성이나 성인여성의 성폭력에 대한 공포도 커질 수밖에 없다. 성폭력의 공포는 수동적이고 의존적이며 스스로에게 검열이 심해야 방정한 여성이 된다는 자기 억압적인 여성성의 형성과정과 깊게 연관되어 있다. 김길태 사건보도나 정부의 대처는 아동 성폭력 사건이 정치에서 무관한 가치중립적인 사건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인권에 대한 기본 규정, 사회불안요소에 대한 방향 호도가 이루어지고, 부모의 역할, 특히 어머니의 역할도 이런 흐름에 엮여 있음을 알게 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media"s treatment of child sexual violence cases by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reports on the recently publicized Kim Giltae case. Coverage of child sexual violence cases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drastically since 2008. Among these cases, the Kim Giltae case received by far the most media attention. Reports on the Kim Giltae case focused solely on the individual Kim Giltae, almost without any in depth analysis of child sexual violence itself. Measures against child sexual violence were consequently centered on prevention of extreme criminals, which caused efficiency and cost problems. Another problem that excessive media coverage of child sexual violence causes is an increase in fear of sexual violence. This concerns not only children and their parents, but also teenage girls and women. Fear of sexual violence is deeply linked to the formation of a self-oppressive femininity, which requires that one should be passive and behave prudently in order to become a respectable woman. The media coverage and the government reaction regarding the Kim Giltae case shows that child sexual violence cases are not of a neutral and unpolitical nature. How to perceive human rights and factors of social conflicts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discussion of such cases; the role of parents, and especially mothers is linked to this change.

      • KCI등재

        초등남학생 엄마의 남아성폭력 관련 불안 (두려움)의 젠더적 특성에 대한 연구

        권인숙 ( Kwon Insook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여아에 대한 아동성폭력 불안이 강화되고 있는 한국의 최근 상황에서 초등학생 남아를 둔 엄마들의 성폭력 피해나 가해에 대한 불안이 대체로 부재한 이유와 그 문제점을 분석해보려고 했다. 언론은 여아를 중심으로 성폭력 피해보도를 하고 있고 초등학생 남아 엄마들은 남아 성폭력 피해의 가능성을 현실의 문제로 인식하지 않고 있다. 가해에 대한 불안도 부재한데, 원인으로는 남아를 성적 존재로 보지 않고 있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여아가 남녀 간의 여러 관계에서 강자로 자리 잡은 특성들이 구체적으로 피해나 가해의 불안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 남아의 엄마들은 최대한 아이가 성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싶어 한다. 성교육, 혹은 성폭력 예방교육이 성적인 자극이 될 거라는 염려에 사춘기가 본격화되기 전까지 성에 관한 교육을 지연하고 그 이후에는 아빠가 담당해줄 것을 기대한다.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 성폭력예방의 필요성을 부모들이 별로 공감하지 못하고 여아에만 집중된 불안은 기존의 여아의 옷차림 책임론, 남아성충동론을 더 강화시키고 있다.이런 불안의 젠더화의 부정적인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여아에게 집중된 아동성폭력 보도방식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성폭력예방교육과 관련해서 초등학교 고학년 남아 여아의 관계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할 수 있는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남아의 성과 관련해서 아빠의 역할이 크고 기대가 높아 이에 적합한 성폭력 통념 변화를 위한 예방교육이 절실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son why, in spite of Korea’s current hype concerning sexual violence against girls, mothers with sons in elementary school have for the most part very little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that their child may be the victim or aggressor of sexual violence, and why this tendency may be problematic. The media’s reports on sexual violence cases are centered on girl victims, and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boys do not recognize the possibility of sexual violence as their reality. Fear that their child may become an aggressor is also absent: this appears to be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ir child to be sexual, and because the fact that girls take the leading role in boy-girl relationships during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akes it difficult for parents be specifically anxious of their son becoming a sexual violence aggressor or victim. Overall, parents to not fully sympathize with the need to teach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bout sexual subjects, and the fact that sexual violence fear is exclusively focused on girls is strengthening the tendency to blame girls for their attire and the myth of boys’ unstoppable sexual urges.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피해통념의 2차 피해적 영향 연구

        권인숙(Kwon, Insook),이건정(Lee, Gunjeong),김선영(Kim, Sunyo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이 연구는 성폭력통념과 관련된 연구나 교육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성폭력피해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보다 적극적으로 극복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성폭력 피해 통념극복이 성폭력 피해자들의 보호나 치유, 피해자 지지적인 사회의식형성 뿐만 아니라 성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문화형성에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2014년 235명의 성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하였고, 조사처리는 기술통계분석, 집단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강간통념척도에 포함되지 않았던 피해통념항목을 만들어 피해유형별 차이와 피해자들의 원망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피해자들은 기존의 강간통념뿐만 아니라 피해통념 경험을 지각한 경우가 대체로 높았다. 피해통념경험이 높은 경우 주변사람이나 기관에 대한 원망경험도 높았다. 또한 강간통념의 주요내용을 구성하는 삽입경험은 피해자들이 경험하는 통념경험에 차이를 만들지 못하여 강간통념이란 용어사용이나 척도 구성에 새로운 고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형성케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overcoming sexual victimization myths when protecting and heal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eating victim-supportive social awareness and forming a culture that is conducive to sexual violence prevention. I conducted a survey with 235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2014.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aims, a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along with a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exual violence victims experienced high victimization myths as well as rape myth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victimization myths and the negative blame to family, relatives and community institutes was significant. Also, penetration, the major factor in rape myths, occurred or not, did not make much difference in experiencing rape myths or victimization myth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new persepctives on rape myths.

      • KCI등재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병역의무

        권인숙(Kwon Insook)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이 연구는 목적은 주한 미군에 배속되어 병역의무를 하지만 한국육군에 소속되어 있는 카투사(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 의 남성성을 분석하여 한국남성의 병역의무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중요요소로서의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피는 것이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특정의 남성성이 방향성을 이끌고 그에 못미치는 남성성을 차별하거나 주변화 시켜 지향성을 강화하고 특권구조를 강화해나가는 것이다. 예비 엘리트로 구성되는 카투사들은 이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영향력 하에서 자신의 선택을 비하하고, 군인적 정체성에 자신감을 잃는다. 또한 미군과의 접촉과 차별의 경험 속에서 형성된 약소국의식과 반미의식은 국민적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여 미군과 분리된 남성성을 형성하려는 집단적 노력을 낳는다. 이는 카투사들의 집단문화를 한국군적인 형태로 유지하고 국가에 대한 희생의 질과 양을 중심으로 서열화하는 구조에 동의하고 실천하는 동력이 된다. 병역의무를 중심으로 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개개인의 정체성과 집단문화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여성의 국민으로서의 자격을 부정하게 만드는 젠더구조를 강화한다.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how male conscription as a main factor of hegemonic masculinities function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 case study of the masculinity of KATUSA (Korean Augmentation to the United States Army). Hegemonic masculinity leads masculinities to a certain direction and enforce its power and privilege by discriminating and marginalizing different masculinities. Under the influence of hegemonic masculinity, KATUSA soldiers comprised by future elites are shamed of their choice to join to KATUSA known for easier soldiering works and life styles and are not confident of their identities as a good Korean soldier. To compensate for the shame and nonconfidence, they try to keep strict hierarchies and tough morales among soldiers and implant military culture of ordinary Korean armies into theirs. Also, their anti-Americanism acquired through discriminatory experience in the US army, makes KATUSA cultivate different masculinities from those of American soldiers. KATUSAs do not challenge male culture that ridicules KATUSA soldiers with the categorization of conscripts by the degree of sacrifice to the state. It informs us that how hegemonic masculinity sustains and reproduces its privilege and power when conscription has crucial power in determining eligibilities of good citizenship and good men.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