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derstanding Taiwanese Adolescents’ English Learning Selves through Parental Expectations

        Hung–Tzu Huang 아시아영어교육학회 2017 The Journal of Asia TEFL Vol.14 No.2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lay of Taiwanese adolescent English learners’ motivational selves and their parents’ expectations, with a special focus the identified perceptions of both teenage leaners and their parents towards English learning as a duty and obligation. Using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L2MSS, Dörnyei, 2009), the qualitative study foregrounds the cultural and relational aspects of the self system in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Results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s suggest that parental expectations of children’s English learning exhibit a duality characterized by the hope that their children will become successful members of the globalized world and a belief that English learning is a basic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Adolescent language learners’ and their parents’ actual selves, including their identification with societal roles and social obligations, mediate between parents’ investments in their children’s English education and teenage learners’ perceived obligations to meet parental expectations.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further research on parental expect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global selves, and on the synergized effect of language learners’ actual selves and future self-guides in motivating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벨트라피오의 저자」에 나타난 삶과 예술

        조흥근 ( Hung Kuhn Cho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04 영어영문학21 Vol.17 No.2

        Life and Art in “The Author of Beltraffio” Cho, Hung-Kuhn(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 attempt is made in this paper to analyse Henry James's critique of aestheticism in “The Author of Beltraffio”(1884) in relation to his “The Art of Fiction”(1884) published two months later in the same year. Both works have been misunderstood by some critics as the writings supporting the theory of aestheticism. But James had a determined attitude against aestheticism almost throughout his life. Although James was influenced in his search for form and style by his contemporary French realists as is shown in “The Art of Fiction” and “The Author of Beltraffio,” he criticised them for their lack of serious interest in life itself. Of course it cannot be denied that James shows in these writings a certain extent of sympathy with their arduous endeavours to achieve the art of novel, but his sympathy is at an end at this very point. Mark Ambient in “The Author of Beltraffio” has been misunderstood by many critics as an aesthete, but he is evidenced as a genuine Jamesian artist in this paper. An obsessive aestheticism can be found in the narrator of this work because art precedes life in his ‘art for art' point of view. He shows almost always a Wildean attitude to life and art that can be expressed as a sentence “Life imitates art.” His cold aesthetic stance unintentionally causes the horrible death of an innocent child Dolcino. His cold world of aestheticism lacks genuine feelings and sympathy for other people, and thus destroys life itself. This is the core of the Jamesian critique of aestheticism in his writings on French realists.

      • CHO, Hung-guk

        조흥국 漢陽大學校 民族學硏究所 1993 民族과文化 Vol.1 No.-

        이 논문은 17세기 후반 남중국해에서의 태국의 중국 및 일본과의 무역관계를 그 주제로 삼는다. 여기서 17세기 후반을 연구대상으로 둔 것은 이 시기의 3국 무역관계에 대해 여러 일차문헌들, 특히 유럽문헌들로부터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7세기 후반의 태국의 대 중국·일본 무역형태는 다른 시대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치 연구를 통해 3국간의 무역에 관한 일반적인 모습이 획득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17세기 태국·중국·일본간의 무역관계는 종종 3각무역(三角貿易)이란 개념으로 이해된다. 즉, 한 태국상선이 중국으로의 항해 중 일본을 방문하거나, 일본을 목적지로 삼은 배가 우선 한 중국의 항구에 들려 무역을 했다. 혹은 거꾸로, 한 중국 항구를 출발한 정크선이 나가사끼를 거쳐 당시 태국의 수도인 아유타야(Ayutthaya)로 갔거나, 혹은 아유타야를 경유하여 나가사끼로 항해하기도 했다. 위의 3국간의 무역관계는 본 논문에서 주로 태국의, 특히 태국정부의 입장에서 고찰된다. 그 이유는 중국측의 경우 그 정부차원의 대 태국 및 일본 무역에 대한 관심이 분명히 파악되지 않으며, 일본의 경우는 심지어 당시 대 중국 및 태국 무역을 자체적으로 행하지 않았고 태국의 대 일본무역을 오직 비공식적으로 허락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반면, 위의 3각무역에서 타이정부가 대 중국·일본 무역을 얼마나 중시하고 열성적으로 추진했던가가 뚜렷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해국의 중국 및 일본과의 무역관계가 독립적으로 논의된다. 이러한 개별적인 연구를 통해 당시 타이정부가 이들 두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에 대해 갖고 있던 자세를 더욱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宗敎的 眞理의 哲學的 批判

        소흥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9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64 No.1

        Truth in religion is to be accepted by faith. Acceptance of truth by faith is almost a requirement. It is a forced option. But this kind of truth by faith raises some philosophical problems. Philosophy may ask about the nature of truth in religion. It may also ask about the epistemic nature of belief that is the foundation of religious commitment. Religion by itself does not raise epistemic questions regarding the faith. The question of belief in religion is not like the epistemic question raised in philosophy. Religious faith is required for the salvation of soul. Salvation is the objective. Faith is the initial condition. You believe in order to know the truth, the knowing the truth will lead you to salvation, that is the freedom of your soul. This is a kind of consequentialism, a sort of pragmatism. Philosophy, however, cannot settle with this kind of pragmatic truth. Whereas religion asks us to accept by faith its ontological presupposition, philosophy raises ontological issues regarding the very presuppositions. The ontological issue that seems important for us to raise with regard to the dominant religious of our society and history is the problem of historicism and naturalism, Buddhism and Taoism, as well as Confucianism, are naturalistic, while Christianity represents transcendentalism and historicism. Naturalism of course is a type of immanentism. And naturalism of Buddhism and Taoism is understood to be ahistorical, that is to say, without an idea of history. Philosophically speaking, that is a problem situation. It is a state of ontological conflict or contradiction which demands a philosophical endeavor for a synthesis of the contradictories or contraries. It is not an attempt to unify the religions, which is an impossible task because of the different cultural settings that those religions carry with them. But the ontological presuppositions of these religions could be reexamined and synthesized, if possible. And such an ontological synthesis is important for the cultural identity of our time and society, and for the role of religion to enhance this cultural objective.

      • 韓國神話 속의 女性文化

        趙興胤 한양대학교 민족학연구소 2000 民族과文化 Vol.9 No.-

        대표적인 한국신화 넷을 통해 여성문화를 살펴본 바 한국여성은 버림과 죽음과 재생의 내림굿을 겪고 첫 무당으로 태어난다. 그 버림은, 원앙부인이 잘 보여주듯 스스로 몸을 종의 신분에까지 낮추어 죽음을 맞는 것이다. 이들은 지모이다. 지모로서 저승 상상계 꽃밭 본향을 알고 있다. 그들의 부모와 남편ㆍ자식이 꽃에 의해 재생되어 본향 꽃밭으로 회귀하도록 한국 여성은 그들은 안내한다. 한마디로 그들은 본향을 지키는 이들이다. 그리하여 한국여성은 시련과 봉사, 기도와 정성을 생리로 삼는 문화를 일구어 온다. 그것은 한국인의 심성과 한국문화 및 종교의 성격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한국문화의 심오한 성격과 한국종교의 왕성한 기도와 체험 등은 모두 거기서 유래한다. 한국역사의 흐름 속에서 그러한 여성문화는 그러나 크게 발양ㆍ전개되지 못한다. 조선조에 들어와 한국巫는 천대ㆍ억압되고 무당은 천민으로 규정되어 사회로부터 격리된다. 巫 억압ㆍ천대의 상황은 일제시대를 거쳐 오늘날에도 지속되고 있다. 체제신화가 강화되고 영웅신화가 부각되면서 샤머니즘은 사라져버리고 지모의 신격이 왜곡되어온 지구촌 샤머니즘의 보편적 역사를 헤아리자면 한국巫의 그런 역사와 상황은 피치 못할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사회문화적 지형으로 보건대 한국巫는 조선조 이래 사회의 변두리 내지 밑바닥에서 명맥을 유지해 온다. 조선조 이래 여성문화가 제대로 일어서지 못한 채 그늘에서 지낼 수밖에 없었던 것을 유교의 가부장제적 체제의 탓으로만 돌릴 수 없다. 그것은 신화적으로 한국巫의 위상 변화와 결부하여 보다 근원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오랜 역사동안 사회적 천대와 억압을 받아오면서 한국巫에 적잖은 변화가 일었다. 많은 무당들이 돈벌이에 혈안이 되어 있는가 하면 체제에 접근하여 이름을 떨치려 하면서 꽃밭 본향에 대한 기도와 정성이 심히 약화되어 온다. 한국 여성의 기도와 정성도 크게 떨어졌다. 본향 꽃밭 상상계는 그에 따라 점차 메말라 간다. 그 위기상황에 나는 결코 실망하지 않는다. 巫가 우리 사회의 변두리에 굳건히 자리하여 있기 때문이다. 상상계란 그렇게 쉽게 죽거나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의 이름을 불러줄 때 그것은 내게로 와 꽃이 된다는 김춘수 시인의 노래처럼, 우리의 기도와 정성, 특히 한국여성의 그것이 되살아날 때 본향의 꽃밭은 다시 활활히 살아날 것이다. 얼마 전 나는 전거(典據)를 알 수 없는 희한한 불교설화 하나를 들었다. 본향을 지키는 한국 여성의 이야기가 불교의 윤색을 입은 채 변두리에서 전해 내려온데 대하여 나는 표현할 길 없는 감사를 느낀다. 이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글을 마무리 짓는다. 강원도 어느 산골에 한 가족이 살았다. 금강산 어느 절에 가면 며칠 뒤 일어날 세계종말을 피하여 극락왕생 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그 절로 향한다. 절을 저만큼 두고 갑자기 비가 내리자 어머니는 집을 나설 때 뚜껑을 열어놓은 장독이 걱정되었다. 극락정토행을 목전에 두고 장이 문제냐고 나무라는 남편과 자식들의 비난과 눈총을 뒤로 한 채 어머니는 장독뚜껑을 닫으러 집으로 향한다. 극락정토에 간 남편과 자식들은 뒤에 불보살의 높은 자리에 앉아 있는 어머니를 거기서 만났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