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문제음주자 개입 전 사정틀 개발 및 사례적용 : 4개 사례연구 Four Case Studies

        김혜련,최윤정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가족복지학 Vol.- No.12

        여성 문제음주자들은 남성 문제음주자들과는 매우 다른 심리사회적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여 성과 남성은 심리사회적으로 문제음주에 있어서 성차가 많다. 기존의 표준화된 개입 프로그램은 대부분 남성 문제음주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개입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문제음주를 둘러싼 여성의 심리사회적 특성들에 민감해야 한다. 이 논문은 여성의 특성을 반영한 사정 내용으로 구성된 개입 전 사정틀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혹은 가족들은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개입전 사정틀의 적용과정에 함께 참여하였다. 4사례연구 요약이 제시되었고, 이는 다시 8가지 범주로 좁혀졌다. 추천된 개입계획으로는 여성만으로 된 집단 프로그램, 예방 프로그램, 동기화 강화, 자기 주장 훈련, 부모역할 훈련, 재발예방 그리고 아웃리치 등이다. 효과성 평가 기준 등도 또한 제시되었다. 연구자는 전문가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문지기 들이 사정결과를 근거로 한 성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훈련 프로그램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There are many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problem drinking. Standard treatment program are based on male process of problem drinking. The treatment program to be effective, they must be sensitive to women'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urrounding the problem drinking. This article sets forth the pretreatment assessment framework which consists of women centered assessment contents. The social worker and clients(or family) work together in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etreatment assessment framework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Four case study summaries are illustrated and the eight categories are emerged out of the data. Recommended intervention planning includes women- only therapy groups, prevention program, motivational interviewing, assertion training, parenting, relapse prevention, and outreach etc. The evaluation outcomes are also Illustrated. The author suggested that the professionals as well as community gatekeepers need training program to provide services appropriate to gender difference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

      • SCIESCOPUSKCI등재

        Dual Bias Modulator for Envelope Tracking and Average Power Tracking Modes for CMOS Power Amplifier

        Junghyun Ham,Haeryun Jung,Jongsuk Bae,Wonseob Lim,Keum Cheol Hwang,Kang-Yoon Lee,Cheon-Seok Park,Youngoo Yang 대한전자공학회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6

        This paper presents a dual-mode bias modulator (BM) fo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power amplifiers (PAs). The BM includes a hybrid buck converter and a normal buck converter for an envelope tracking (ET) mode for high output power and for an average power tracking (APT) mode for low output power, respectively. The dual-mode BM and CMOS PA are designed using a 0.18-㎜ CMOS process for the 1.75 ㎓ band. For the 16-QAM LTE signal with a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7.3 ㏈ and a bandwidth of 5 ㎒, the PA with the ET mode exhibited a poweradded efficiency (PAE) of 39.2%, an EVM of 4.8%, a gain of 19.0 ㏈, and an 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ratio of -30 ㏈c at an average output power of 22 ㏈m, while the stand-alone PA has a PAE of 8% lower at the same condition. The PA with APT mode has a PAE of 21.3%, which is an improvement of 13.4% from that of the stand-alone PA at an output power of 13 ㏈m.

      • SCIESCOPUSKCI등재

        A CMOS Envelope Tracking Power Amplifier for LTE Mobile Applications

        Junghyun Ham,Haeryun Jung,Hyungchul Kim,Wonseob Lim,Deukhyoun Heo,Youngoo Yang 대한전자공학회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2

        This paper presents an envelope tracking power amplifier using a standard CMOS process for the 3GPP long-term evolution transmitters. An efficiency of the CMOS power amplifier for the modulated signals can be improved using a highly efficient and wideband CMOS bias modulator. The CMOS PA is based on a two-stage differential common-source structure for high gain and large voltage swing. The bias modulator is based on a hybrid buck converter which consists of a linear stage and a switching stage. The dynamic load condition according to the envelope signal level is taken into account for the bias modulator design. By applying the bias modulator to the power amplifier, an overall efficiency of 41.7 % was achieved at an output power of 24 dBm using the 16-QAM uplink LTE signal. It is 5.3 % points higher than that of the power amplifier alone at the same output power and linearity.

      • SCIESCOPUSKCI등재

        A CMOS Envelope Tracking Power Amplifier for LTE Mobile Applications

        Ham, Junghyun,Jung, Haeryun,Kim, Hyungchul,Lim, Wonseob,Heo, Deukhyoun,Yang, Youngoo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2

        This paper presents an envelope tracking power amplifier using a standard CMOS process for the 3GPP long-term evolution transmitters. An efficiency of the CMOS power amplifier for the modulated signals can be improved using a highly efficient and wideband CMOS bias modulator. The CMOS PA is based on a two-stage differential common-source structure for high gain and large voltage swing. The bias modulator is based on a hybrid buck converter which consists of a linear stage and a switching stage. The dynamic load condition according to the envelope signal level is taken into account for the bias modulator design. By applying the bias modulator to the power amplifier, an overall efficiency of 41.7 % was achieved at an output power of 24 dBm using the 16-QAM uplink LTE signal. It is 5.3 % points higher than that of the power amplifier alone at the same output power and linearity.

      • SCIESCOPUSKCI등재

        Dual Bias Modulator for Envelope Tracking and Average Power Tracking Modes for CMOS Power Amplifier

        Ham, Junghyun,Jung, Haeryun,Bae, Jongsuk,Lim, Wonseob,Hwang, Keum Cheol,Lee, Kang-Yoon,Park, Cheon-Seok,Yang, Youngoo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6

        This paper presents a dual-mode bias modulator (BM) for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power amplifiers (PAs). The BM includes a hybrid buck converter and a normal buck converter for an envelope tracking (ET) mode for high output power and for an average power tracking (APT) mode for low output power, respectively. The dual-mode BM and CMOS PA are designed using a $0.18-{\mu}m$ CMOS process for the 1.75 GHz band. For the 16-QAM LTE signal with a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7.3 dB and a bandwidth of 5 MHz, the PA with the ET mode exhibited a poweradded efficiency (PAE) of 39.2%, an EVM of 4.8%, a gain of 19.0 dB, and an adjacent channel leakage power ratio of -30 dBc at an average output power of 22 dBm, while the stand-alone PA has a PAE of 8% lower at the same condition. The PA with APT mode has a PAE of 21.3%, which is an improvement of 13.4% from that of the stand-alone PA at an output power of 13 dBm.

      • KCI등재

        이단으로 구성된 CMOS 전력증폭기 설계

        배종석(Jongsuk Bae),함정현(Junghyun Ham),정혜련(Haeryun Jung),임원섭(Wonsub Lim),조수호(Sooho Jo),양영구(Youngoo Yang) 한국전자파학회 201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5 No.9

        본 논문에서는 CMOS 0.18-μm 공정을 이용하여 1.7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단으로 구성된 CMOS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합한 전력증폭기 설계를 위하여 ADS 모의실험을 통하여 전력이득, 출력 전력, 효율을 각각 28 dB, 27 dBm, 45 %로 설계를 하였다. 실제 제작된 전력증폭기의 성능은 전력 이득, 출력 전력, 효율은 각각 22.9 dB, 24.8 dBm, 41.3 %로 특성을 나타냈으며, 변조된 LTE(Long-Term Evolution) 신호에 대하여 인접 채널 누설비(ACLR)가 ?30 dBc 이하를 만족하며, 전력 이득, 출력 전력, 효율이 각각 22.6 dB, 23.1 dBm, 35.1 %의 특성을 나타냈다. This paper presents a 2-stage CMOS power amplifier for the 1.75 GHz band using a 0.18-μm CMOS process. Using ADS simulation, a power gain of 28 dB and an efficiency of 45 % at an 1dB compression point of 27 dBm were achieved. The implemented CMOS power amplifier delivered an output power of up to 24.8 dBm with a power-added efficiency of 41.3 % and a power gain of 22.9 dB. For a 16-QAM uplink LTE signal, the PA exhibited a power gain of 22.6 dB and an average output power of 23.1 dBm with a PAE of 35.1 % while meeting an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level of ?30 dBc.

      • SCIESCOPUSKCI등재

        The association of dietary quality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s with bone health status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Gyeongah Go,Zuunnast Tserendejid,Youngsook Lim,Soyeon Jung,Younghee Min,Haeryun Park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4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8 No.6

        BACKGROUND/OBJECTIVES: Osteoporosis and osteoporosis-related disease are drawing a lot of attention in Korea as one of the serious health problems. Bone health status may be influenced by the general dietary quality and dietary pattern. SUBJECTS/METHOD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quality and intake patterns and bone health status, the %RNI, NAR, DDS,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ir bone health status for 847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0 KNHANES data after eliminating those of likely changing their diet under the advice of doctors or those taking estrogen. RESULTS: Bone health became worse as dietary quality deteriorated. All NAR and %RNI value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bone health levels and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Ca sources, DDS and the food group intake patterns also confirmed the finding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dietary quality and dietary patterns were important for bone health. Nutritional education on eating foods from the five basic food groups has to be emphasized to prevent osteoporosis among older women.

      • SCOPUSKCI등재

        일부 저소득층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영양소 섭취 및 관련변인 비교 연구

        임영숙(Young Suk Lim),조경자(Kyung Ja Cho),남희정(Hee Jung Nam),이경희(Kyung Hee Lee),박혜련(Haeryu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산업화되고,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과, 비교적 도시화가 더딘 지역의 농촌 노인들을 대상으로 영양섭취 및 건강관련 행동을 비교해 봄으로써 거주지역 및 사회, 환경적 변인들이 노인의 영양섭취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도시노인의 평균나이는 72.4±5.7세, 농촌노인은 71.5±8.2세로 각 군간에 나이 차이는 없었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여자노인으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간의 남녀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고 전체적으로 복지회관이나 노인정을 이용하는 노인은 남자노인보다 여자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의 도시노인의 60~64세 남녀 평균 체중은 ’92년 국민영양조사의 평균 체중값과 비슷하였고, 농촌노인의 평균체중은 60~64세에서 남녀 각각 61.0 kg±0.21, 57.9 kg±0.24으로 남자노인은 ’92년 국민영양조사의 60~64세 연령의 농촌 남자 평균체중과 비슷하였으나 여자노인의 경우는 본 조사대상자가 5.6 kg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5세이상 연령군에서는 본 조사대상 농촌 남녀별 평균체중이 각각 61.0 kg, 50.9 kg으로 ’92년 국민영양조사의 65세이상 농촌 남녀별 평균체중 각각 57.7 kg±0.24, 51.4 kg±0.25과 비교해 보면 남자노인이 3.4 kg 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여자노인은 비슷하였다. 65세이상의 도시군 남녀별 조사대상자의 평균신장은 각각 166.4cm±0.13, 153.6 cm±0.11로 ’92년도 국민영양조사의 신장값과 비슷하였다. 또한 농촌군의 경우 60~64세 및 65세이상 연령에서 ’92년도 국민영양조사와 거의 비슷하였다. 교육수준은 도시노인은 73.4%, 농촌노인은 93.8%가 무학 또는 초등학교 졸업이었으며, 중ㆍ고교졸업은 도시노인이 23.7%, 농촌노인이 5.7%, 대학이상의 학력은 각각, 도시노인이 2.9%, 농촌노인이 0.5%로 도시노인과 농촌노인간의 학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사용하는 용돈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도시노인은 농촌노인에 비해 월 20만원이상을 용돈으로 사용하는 노인이 많게 나타났다(p<0.01). 농촌노인(55.4%)이 도시노인(39.6%)에 비해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건강유지를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비율은 남녀간 차이는 없었고, 거주지역별로도 차이가 없었다. 주로 하는 운동으로는 걷기, 등산, 게이트볼, 기타로는 에어로빅, 수영, 체조교실이 있었으며, 도시노인 50.0%, 농촌노인 71.6%가 걷기를 한다고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음주 실태를 살펴보면, 농촌노인 42.1%가 음주를 자주 또는 가끔 한다고 하였으며 도시노인 15.9%보다 유의하게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의 실태에서도 농촌노인 39%가 도시노인 5.7%보다 흡연을 자주 또는 가끔 한다고 하였다(p<0.01). 또한 조사대상자의 남녀 음주실태에서는 ‘거의 술을 매일 마신다’는 습관성 음주가 남자노인은 60.8%, 여자노인은 13.7%로 남녀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흡연에서도 남자노인 40.0%, 여자노인 9.9%가 거의 매일 흡연을 한다고 하여 남녀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영양소 섭취 실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교육수준, 한달 용돈, 배우자 존재여부, 운동상태, 하루 먹는 식품 수, 건강에 대한 자신의 생각(건강에 대한 인식도 점수화), 알콜 및 흡연 여부 등 사회, 환경적 변인들이 가지는 상관성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열량,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 섭취량이 좋은 것으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경제능력이 좋을수록,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열량, 단백질, 칼슘, 인,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티아민, 나이아신의 섭취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한달 쓰는 용돈이 많을 수록 영양섭취 실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자신이 판단한 건강에 대한 인식도 점수가 좋을수록 열량, 인, 나이아신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운동은 열량,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나이아신의 섭취량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알콜과 흡연 여부는 영양소 섭취 상태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식품 섭취빈도에 대해 다른 변인들이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검토한 결과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육류군, 과일군,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의 섭취 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한달 쓰는 용돈과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는 육류군, 과일군, 채소군, 두류군,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의 섭취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한달 쓰는 용돈과 하루 섭취하는 식품의 수가 많을수록 각각의 식품군의 섭취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자주 할수록 열량, 녹색채소, 뼈째 먹는 생선, 우유군 섭취빈도가 많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음주를 하는 노인의 경우 담색채소의 섭취빈도가 적었으며, 흡연여부는 뼈째 먹는 생선 섭취빈도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나 음주 및 흡연여부는 다른 식품군의 섭취빈도와 세끼 식사의 규칙성에 상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정리해보면 저소득층 노인이라도 거주지역이 도시인 경우, 영양소 섭취 및 식품군 섭취빈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농촌지역 노인의 경우 영양소 섭취가 권장량에 부족하고 특히, 칼슘과 열량섭취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복지 차원의 영양개선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며 복지관 프로그램과 노인정을 이용한 영양교육 및 급식 프로그램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nutrients intakes, factors to influence on nutrient intake and frequency of food group intake between the two groups of elderly living in Yangcheon, Seoul (n=105) and in Yongin (n=159). The results obtained by cross-sectional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1.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gend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s. 2)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Fe, vitamin A, niacin,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elderly than those of the rural elderly (p< 0.05). 3)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energy, protein, Ca and Fe of the subjec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Korean RDAs in general and the rural elderly showed more severe deficiencies. 4) Individual nutrient intakes and food group intakes were related to the pocket money, number of different foods taken daily,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and the degree of exercise.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eds of nutrition intervention for the low-income, rural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