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Paralog Specificity Determines Subcellular Distribution, Action Mechanism, and Anticancer Activity of TRAP1 Inhibitors

        Park, Hye-Kyung,Jeong, Hanbin,Ko, Eunhwa,Lee, Geumwoo,Lee, Ji-Eun,Lee, Sang Kwang,Lee, An-Jung,Im, Jin Young,Hu, Sung,Kim, Seong Heon,Lee, Ji Hoon,Lee, Changwook,Kang, Soosung,Kang, Byoung Heo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7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60 No.17

        <P>Although Hsp90 inhibitors can inhibit multiple tumorigenic pathways in cancer cells, their anticancer activity has been disappointingly modest. However, by forcing Hsp90 inhibitors into the mitochondria with mitochondrial delivery vehicles, they were converted into potent drugs targeting the mitochondrial Hsp90 paralog TRAP1. Here, to improve mitochondrial drug accumulation without using the mitochondrial delivery vehicle, we increased freely available drug concentrations in the cytoplasm by reducing the binding of the drugs to the abundant cytoplasmic Hsp90. After analyzing X-ray cocrystal structures, the purine ring of the Hsp90 inhibitor 2 (BIIB021) was modified to pyrazolopyrimidine scaffolds. One pyrazolopyrimidine, 12b (DN401), bound better to TRAP1 than to Hsp90, inactivated the mitochondrial TRAP1 in vivo, and it exhibited potent anticancer activity. Therefore, the rationale and feasible guidelines for developing 12b can potentially be exploited to design a potent TRAP1 inhibitor.</P>

      • 혈액배양검사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 적용 및 평가

        김은화(Eunhwa Kim),이미자(Mija Lee),조혜림(Hyerim Cho),이진영(Jinyeong Lee),양재숙(Jaesook Yang),송정은(Jeongeun Song),신은혜(Eunhye Shin),문영애(Yeongae Moon),정진아(Jina Jung),이은숙(Eunsook Lee),황정화(Jeonghwa Hwang),김명숙(Myungsoo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2014 근거와 간호 Vol.2 No.1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blood cultur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n nurse’s knowledge, cognition, practice and false positive rates. Methods: Research instrument was developed to assess knowledge, cognition, practice of nurses regarding blood culture by investigators. It consists of 26 questions and verified validity. One hundred-two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uideline using SPSS 21.0. Results: After educating this guideline, nurse’s knowledge, cognition and practice of nurse significantly improved before education. The relations of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nd cognition, practice and knowledge, practice and cogn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lse positive rate was decreased (pre-education 1.5%, post education 1%). Conclusion: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blood culture may improve the nurse’s knowledge and nursing practice to decrease false positive rate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evidence-base practice in nursing as well as decline medical cost.

      • KCI등재

        대학생 중도탈락 연구동향과 과제: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이은화(Lee, EunHwa),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대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도에서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을 조사하여 총 7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논문을 대상으로 먼 저 전반적인 연구동향(발표연도, 학술지 및 학술지 분야,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과 연구 대상(중도탈락자,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 중도탈락 의도자, 대학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 중 도탈락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나타나, 2011년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학 분야에 게재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경우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분석 결과, 실제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많은 편이 아니었고, 재학생(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 내용 분석 결과, 중도탈락자 대상의 연구는 중도탈락 경험이 있는 자를 상으로 중도탈락의 직접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았고, 중도탈락자와 중도탈락 의도자(재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려는 연구가 많았다. 그리고 중도탈락 의도자 대상의 연구에서는 중도탈락 의도의 원 인을 주제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대학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제공하는 공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대학기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 연구 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college dropouts in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I collected 71 academic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19. First, the trend of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journals field, research subject and method, and research theme. Second, the research theme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 such as t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and he dropout, the students’ dropouts and the university/college institu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been growing since 2011 and the most published articles were found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there were more article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mpared to articles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the research on the students with dropout intention were much more than the actual dropout students. Fourth, the studies regarding college dropouts were largely an attempt to find the direct causes of the dropouts. There were many studi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ose who were the dropout and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 The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auses of the students’ dropout intentions. Finally, most of the studies on university institutions tried to identify factors that university could affect the dropout.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o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이버불링 가상체험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요구 및 방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은화(Lee, Eunhwa),김경애(Kim, Kyoung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사이버불링 가상체험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교육이해관계자들의 요구 및 방향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방법은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한 FGI와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기법이다. 구체적 연구문제는 사이버불링 가상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육의 대상과 시기, 교육내용 구성, 그리고 활용도 등에 관한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별 인식에서 교육프로그램의 대상은 모든 학생이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교육 시기에 대한 조사에서 전문가 집단과 학생집단은 중학생 시기여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으나 교사와 학부모 집단은 그 보다 이른 시기인 초등고학년 시기여야 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인식은 집단별로 모두 높았으나 학부모와 교사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집단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교육 내용구성의 중요도에 대한 요구에서 집단별 차이는 학생집단이 다른 내용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행동영역에 관한 요구를 높게 느끼고 있었고, 학부모는 결정과 행동영역에서, 그리고 교사는 공감영역에서 내용구성의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내용 구성에 대한 요구별 교육프로그램 활용도에서 학생의 경우 교육 프로그램 내용구성 중요도에서 생각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경우 가상체험 교육프로그램 활용도가 높았고, 교사의 경우 행동영역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경우 교육프로그램의 활용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불링 가상체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and possible direction of educational stakeholders to develop a virtual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anti-cyberbullying. FGI for professional groups and survey research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 groups in Busan were accomplishe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all study subjects were clearly perceived as being the‘total students as the subj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age at which it was considered to most appropriate to participate in the Virtual Anti-Cyberbullying program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age groups, middle school and upper level elementary school; 2) the needs of application were highly perceived for all groups, however, the students themselves appeared to be relatively skeptical; 3) the needs of precise educational content itself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each group; 4) the application needs of such an educational program,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the content needs was predicted differently as well.

      • KCI등재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은화(Lee, EunHwa),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탈북대학생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여 향후 탈북대학생 관련 연구를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와 국회도서관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2019년 3월 한달 동안 2003년부터 2019년 3월까지 발표된 탈북대학생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검색어는 탈북대학생,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 ‘새터민 대학생’, ‘북한이탈 대학생’으로 투입하였다. 이 결과 총 44편의 논문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의 준거는 연도별 연구동향, 게재 학술지, 연구 대상자의 호칭,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주제이다. 연구주제는 4개의 대주제 즉, 대학적응, 사회적응, 언어/영어학습, 남북한 비교로 구분되었고, 하위요인으로 총 10개의 소주제가 구분되었다. 분석 결과, 2013년을 기점으로 현재까지 연도별 발표논문 수는 증가하고 있었으며, 총 37개의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었고, 교육학 분야의 학술지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탈북대학생이라는 명칭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문제 2의 연구주제 분석의 결과, 대학적응과 관련된 논문이 52.2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사회적응, 언어/영어학습, 남북한 비교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44 academic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using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earch service. First, the trend of research was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journals field, naming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 Second, the research theme was analyzed according to university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language/English learning, and comparis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been growing since 2013. There were more articl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mpared to articles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ir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 52.27% of the papers were related to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Compared with papers on North Korean defectors,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o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are very small. It is necessary to study on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in arious ways and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programs that can directly help them adapt to college and social adaptation.

      • 보육현장에서의 창의성 발달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발전방안

        김다영 ( Dayoung Kim ),이아현 ( Ahyeon Lee ),이민정 ( Minjoung Lee ),오현미 ( Hyunmi Oh ),허재윤 ( Jaeyun Heo ),오혜선 ( Hyeseon Oh ),이은화 ( Eunhwa Lee ),성민경 ( Minkyung Sung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20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과 메이커 교육 활용에 대한 보육현장의 인식과 실태,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이론 전문가인 아동학과 석박사과정 대학원생들과 보육현장 전문가인 원장 등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현장에서 창의성의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창의성을 살펴볼 때, 창의적 결과물 뿐 아니라 창의적 발상과 시도까지도 창의성의 개념에 포함시켜 판단해야 한다. 둘째, 보육현장에서 창의성 발달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의 적용 실태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보육현장에서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나, 실제 메이커 교육과 유사한 수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현장의 교사들은 메이커 교육을 위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창의성을 발달시킬 방법은 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더불어 허용적 수업분위기의 형성이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영유아의 창의성 발달을 위해 메이커 교육을 도입하려면, 원장과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고, 다각적으로 아동의 능력을 측정할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육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가 힘을 합쳐, 보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보육현장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보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고찰함으로써 이를 위해 보육 이론전문가와 보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합하여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모두 반영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후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 창의성 계발과 관련된 교육 및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recognize and improve on-site awareness of the use of maker-education and for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 childcare theory specialist of the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and a field expert of the principal of nurse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show creativity on the ground if they embrace a variety of creativity. Also, children who show creativity as a result are judged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intelligence. Second,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at the childcare site, but teachers had a burden for creativity education. Third, there was a very low level of awareness of maker education at the childcare site, but classes similar to the actual maker education were taking place. However, teachers in the field had difficulty in using digital devices for maker education. Fourth, the way to develop the creativity of infants in child care sites is to form an acceptable class atmosphere, along with a clear perception of the creativity of teachers. Fifth, in order to introduce maker education for the creativ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t the childcare site, education for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director and the teacher should be preceded, and an evaluation method should be prepared to measure children's abilities in various ways. Lastly, if childcare theory specialists and field specialists work together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 examples for application in childcare sites, it will be very helpful for childcare site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creativity development centered on fiel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