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광주지역 저소득층 여자노안의 영양상태와 건강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양은주(Yang Eun Ju),방희명(Bang Hee Myung)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활 실태 및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노인의 건강과 영양상태의 상호 연관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여자 노인 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자를 연령에 따라 세 그룹 (65~74세, 75~84세, 85세 이상)으로 체위, 혈액, 영양상태 등을 비교하였으며, Nutritional Screening Initiative (NSI) 점수에 따라 NSI ≤ 3은 영양 양호군, NSI > 3은 영양 위험군으로 구분하여 영양위험정도에 따른 식생활 관련 건강요인을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79.0세이었으며, 사회 경제적 수준이 매우 낮았으며, 치아건강상태 (70.7%) 및 경제적인 이유 (76.1%)로 음식섭취가 부설하였으며 혼자 거동하기 힘든 여자 노인의 비율이 48.9%인데, 63.0%의 노인이 혼자 식사한다고 응답하여 저소득층 여자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험 요인이 영양상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본 조사 대상자가 앓고 있는 주요 질병으로는 고혈압 (42.9%), 관절염 및 신경통(33.0%), 당뇨병 (15.4%), 심 혈관계 질환 (8.8%), 소화기계 질환 (8.8%) 등의 순이었다. 전체 여자 노인의 44.6%가 비만하였으며,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중 1개 이상의 질병을 보유한 노인이 53.3%, 대사 증후군을 보유한 노인이 49.3%로서 여자 노인의 건강상태가 전반적으로 불량한 것 판단되었다. 3) 조사대상자의 평균 체중은 54.5 ㎏, 신장은 147.1 ㎝로서 한국인 영양권장량설정을 위한 체위 기준치와 비교할 때 체중은 더 많은 반면 신장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체중과 체단백질이 감소한 반면 체지방은 감소되지 않았고 체지방 비율이 40.0%, 허리둘레가 87.7 ㎝에 달하였으며, BMI가 25.1 ㎏/㎡으로 전체적으로 비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연령에 따라 혈압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 알부민을 제외하고는 혈액의 지질성분, 변역성분, 항산화 성분에서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여자 노인의 평균 수축기 혈압 143.0 ㎜Hg, 공복 혈당은 119.7 ㎎/㎗로서 노인의 중요한 건강 문제는 고혈압, 당뇨 등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TNF-α 수준이 높아 노년기 염증 반응 증가를 시사하였다. 5) 조사대상자의 영양상태는 매우 불량하였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영양섭취 실태가 더 불량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연령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NSI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영양 위험군 (NSI > 3)에 비해 영양 양호군 (NSI ≤ 3)으로 구분된 노인의 하루 3회 이상의 식사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 인지도가 더 좋고, 우울증이 적었으며 운동 실시율이 높고, 당뇨 유병률이 낮았다. 6) 영양섭취 실태와 면역, 염증반응, 항산화 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혈청의 IL-6와 TNF-α가 영양상태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 염증성 인자보다는 염증유발인자가 노인의 영양상태와 관련이 있었으며, IL-2, TAS, 공복 혈당 등이 체위와 유의적인 관계가 있어 노인의 영양상태나 체위가 염증반응을 일으켜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리적, 심리적, 사회 경제적 요인이 노인의 영양상태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고,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영양상태가 더욱 불량해지는 등의 건강상의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노년기에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소 섭취, 운동, 정상체중 유지가 중요하며 영양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줄여야 될 것이다. 특히, 노인이 양질의 식사를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노인의 영양 개선 및 건강 증진을 위해서 우리나라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상태, 체위, 질병 등에 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방법에 대한 타당성 연구가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the elderly.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Korea (≥65y, n=92). Socio-demographics, life style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dietary intakes based on 24h-recall method, anthropometric measures, and clinical biochemistry parameters were examined. Anthropometric and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wt, ht, waist, hip, body protein, body fat, abdominal fat,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protein, albumin, hemoglobin, hematocrit, fasting blood glucose, ferritin, IL-2, IL-6, TNF-α, CRP, TAS, TBAR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65-74y, 75-84y, 85y≤)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m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NSI) checklist score (ade-quate nutritional status, NSI score ≤ 3; at risk of malnutrition, NSI score>3). Mean and frequency of variables were estimated. Analysis of Variance, Tukey 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Mean BMI and body fat were 25.1 ㎏/㎡ and 40.0%, respectively. However, for over 80% of subjects, the intakes of energy, fiber, thiamin, riboflavin, niacin, folate, Ca, K, and Zn were less than the Korean DRl (EAR or AI). The subjects who had lower NSI score tended to have better health status, eat meals frequently, have less depression, and exercise regularly. The subjects who had higher NSI score tended to have tooth problems, to eat alone most of time, and to be physically unable to cook or feed. Serum IL-6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nutritional status which suggested higher tendency of inflammatory response. Serum IL-2, TAS, and glucos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dy fat (%) or abdominal fat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increasing regular exercise, maintaining normal weight are beneficial to health care of low income elderly women. (Korean J Nutr 2008; 41(1): 65~76)

      • KCI등재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조사

        양은주(Yang, Eun Ju)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3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92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특징과 건강, 식생활 실태를 조사하여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에 응한 결혼이주여성의 평균 연령은 31.3세, 한국에서의 평균 거주기간은 5.5년이었으며, 출신국은 베트남 56%, 중국 26%, 필리핀 12%, 기타 국가 12% 등이었다. 가장 많이 앓고 있는 질병은 소화기계 질환, 빈혈, 신경계 질환 순이었고, 만성 성인병 유병률은 낮은 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체위를 살펴보면, 현재 평균 체중은 54 kg으로서, 한국으로 이주할 때 체중과 비교하면 평균 3.8 kg 증가하였으며, BMI 25 kg/㎡ 를 기준으로 비만한 조사대상자는 17%였다.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영양적 가치, 건강, 식품에 대한 기호도 순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 37.0%, 가족 28.3%, TV 또는 라디오 27.2% 순으로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이 가장 많았다. Mini dietary assessment로 판정한 식습관점수는 5점 만점 기준에 3.45이었으며, 유제품 섭취, 단백질 섭취, 규칙적 식사, 골고루 섭취하기 등에서 점수가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동물성 지방, 튀긴 음식, 당이나 탄산음료도 적게 섭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정도를 살펴보면, 한국으로 이주 후 식습관이 많이 변했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는 33.7%였으며, 식습관 변화 내용으로는 식품섭취 증가와 관련되었으며, 특히 과일과 채소의 섭취가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거주 기간이 BMI, 허리둘레와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 있었으며, 거주 기간별로 비만, 질병 유병, 식습관 변화 정도를 살펴본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그룹이 5년 미만인 그룹에 비해 식습관이 많이 변하고 비만율이 증가하였으나 질병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거주기간과 질병 유병률이 역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이는 본 조사대상자의 한국 평균 거주기간이 비교적 짧아 한국 문화에 대한 적응단계가 이행단계와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이주 여성의 식생활 적응 및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은 결혼이주 여성 뿐 만 아니라 이들이 속하고 책임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 결혼이주 여성에 대한 장기적이고 다양한 연구와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document the dietary behaviors, dietary changes, and health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Korea. Methods: The survey included 92 female immigrants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 at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thropometric data, dietary behaviors, and dietary changes were collected. Results: Mean age of subjects was 31.3 years, and home countries of subjects were Vietnam (50.0%), China (26.0%), Philippines (12.0%), and others (12.0%). Frequently reported chronic diseases were digestive diseases (13.2%), anemia (12.1%), and neuropsychiatry disorder (8.9%). Seventeen percent of the subjects was obese (BMI ≥ 25 kg/㎡). Dietary score by Mini Dietary Assessment was 3.45 out of 5 points. Dietary scores for dairy foods, meat/fish/egg/bean intake, meal regularity, and food variety were low, and those for fried foods and high fat meat intake were also low. Thirty-three percent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changed their diet and increased their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fter immigration.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 and waist circumference. Length of residence tends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etary changes and obesity as well as inversely associated with disease prevalence.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length of residence is inversely related to disease prevalence. However, this association is thought to be due to the relatively short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and thus the transitional phase to adapting to dietary practices. As the length of residence increases, disease patterns related to obesity are subject to change. Healthy dietary behaviors and adaptation to dietary practices in Korea in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ll not only benefit individuals but also their families and social structure. Therefore, varied, long-term, and target-specific studie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highly needed.

      • KCI등재

        재배지역별 단삼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비교

        양은주(Eun Ju Yang),선유경(Yoo Kyung Seon),서예슬(Ye-Seul Seo),신보연(Bo Yeo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8

        재배지역에 따른 단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를 위하여 고창, 영양, 장흥 지역의 국내산 단삼 3종과 중국산 단삼에 대한 일반성분,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을 시행하여 단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항염증 활성 평가와 salvianolic acid B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삼의 일반성분은 재배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영양 단삼이 가장 높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창 단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재배지역별 단삼의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영양 단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B. cereus에 대한 지역별 단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영양단삼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지역별 단삼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저해율을 비교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중국산 단삼이 34% 저해율로 가장 높았으나, 75%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고창 단삼이 68% 저해율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재배지역별 단삼 추출물에서 주요 성분인 salvianolic acid 함량을 비교한 결과 영양 단삼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SMB) from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Gochang, Yeongyang, Jangheung, and China). Proximat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measured.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region, proximate composition of SMB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Yeongyang SMB and Gochang SMB, respectively. We prepared hot water and 75% ethanol extracts of SMB from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and also investigated the biological effects of extracts on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xtracts of Yeongyang SMB were the most effective at scavenging DPPH and ABTS free radicals, and hot water extract showed better scavenging activity than 75% ethanol extract. We observed that extracts of Yeongyang SMB exhibited the be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and 75% ethanol extract showed better antibacterial activity than water extract.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MB extracts from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were investigated through evaluation of their inhibitory effects on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lipopolysaccharides-induced RAW 264.7 cells. At 50 μg/mL, extract of China SMB showed the highest NO inhibitory activity of 34% among water extracts, and extract of Gochang SMB showed the highest NO inhibitory activity of 68% among 75% ethanol extracts. Salvianolic acid B level was the highest in extract of Yeongyang SMB with values of 110.59 mg/g for water extract and 111.93 mg/g for 75% ethanol extract.

      • KCI등재

        Listeria monocytogenes에 의해 HL-60 cell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규명

        양은주(Eun-Ju Yang),김동현(Dong-Hyun Kim),장정현(Jeong-Hyun Ch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치료제가 한정적이고 그 또한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최근 암세포 형성 억제에 세균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약제보다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 monocytogenes에서 분비되는 물질(LmSup)과 세균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물질(LmE)을 추출하여 HL-60 세포에 처리한 다음 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세포 생존율 및 세포고사를 확인하여 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지 파악한 다음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세포주기의 변화 및 ROS 생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LmSup와 LmE가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 세포인 HL-60의 세포고사를 유도하고, sub G0/G1기 증가로 세포주기를 비정상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세포고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ROS가 관여함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LmSup 또는 LmE의 구체적인 항암효과 및 기전 분석을 통해 난치병인 APL의 치료 방법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 is a cancer of the blood and bone marrow. Although all-trans retionic acid (ATRA) is the agents for ALP therapy, there are various side effects. For overcome this problem, we nee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agents for APL. A number of bacteria produce various virulence factors with cytotoxic effects on human cancer cells. To understand the anti-cancer effect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APL, we examined alteration of the cell viability,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of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 HL-60 cells. The cell supernatant (LmSup) and the extract of L. monocytogenes (LmE) inhibit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of HL-60 cells. These cytotoxic effect of LmSup and LmE mediated by modulation of cell cycle and ROS produ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leased or included bacterial molecules from L. monocytogenes have a cytotoxicity in HL-60 cells. Therefore, LmSup and LmE may be used as the potential targe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induced by HL-60 cells.

      • KCI등재

        간호학 전공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과 외로움

        양은주(Eun-Ju Yang),김계하(Kye-H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전공 성인학습자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외로움을 알아보는 것이다. 횡단적 조사연구가 실시되었다. G시에 소재한 4개 4년제 대학에서 110명의 대상자가 선정되었다. 일반적 특성, 대학생활 적응 척도, UCLA 외로움 척도를 포함한 구조적 설문지가 연구도구로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가 사용되었다.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44.8점이었고, 외로움 정도는 40.3점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대상자가 인식하는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로움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과 외로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외로움이 클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낮았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국내 대학들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성인학습자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외로움과 같은 심리적 상태에 관심을 가져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loneliness of non-traditional adult learners with nursing major.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one hundred and ten participants from selected universities in G cit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a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and a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was a study instrument.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was 44.8, while the score for loneliness was found to be 40.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perceived health status. Loneli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loneliness.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loneliness, the low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universitie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loneliness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non-traditional adult learners with varied backgrounds to college.

      • KCI등재

        여자노인의 영양상태 평가 및 건강관리를 위한 Nutritional Risk Index (NRI) 비교 분석

        양은주(Yang Eun Ju)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3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can identify health status and morbidity. However, development of Nutritional Risk Index (NRI) remains limited for elderly because of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physiological mechanism of elder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develop Nutritional Risk Index for Korean elderly Women (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 Based on literature review, factors for NRI were identified and indices were assessed by a cross-sectional survey. The survey involved Korean elderly women (≥ 60, n = 94) in Gwangju area, and socio-demographics, lifestyle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dietary intakes based on 24h- recall, anthropometric measures (wt, ht, BMI, waist, hip, WHR, body protein, body fat, abdominal fat,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clinical biochemistry parameter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protein, albumin, prealbumin, hemoglobin, hematocrit, fasting blood glucose, HbA1c, ferritin, Zn, Ca, Na, K, Vit E, Vit B₁₂, folate, C-reactive protein) were examined relation to nutritional risk index.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es, three NRIs were categorized (NRI Ⅰ, NRI Ⅱ, NRI Ⅲ) and used for further analysis. NRI Ⅰ was related to having metabolic syndrome, NRI Ⅱ was related to serum albumin and body weight, and NRI Ⅲ was related to food habit and health concerns. Abdominal fat (%) of elderly was correlated with each NRIs. NRI Ⅱ was correlated with nutritional deficiency and higher tendency of inflammatory response, and NRI Ⅲ was correlated with nutritional status which tend to be lower on aging (protein, folate, Vit B₁₂). NRI can serve as a useful tools in assessing health risk and nutritional status. Some modification of items in NRI and validity study are need to apply to Korean elderly.

      • KCI등재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의 분리 및 특성

        양은주 ( Eun Ju Yang ),마승진 ( Seung Jin Ma ),장해춘 ( Hae Choon Cha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201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0 No.1

        Antifungal compounds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were purified using SPE, preparative HPLC, and reverse phase-HPLC. Antifungal compounds from B. polyfermenticus CJ6 were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8, B, C) using preparative HPLC. LC/MS analysis of antifungal peaks suggested that B. polyfermenticus CJ6 produces lipopeptides; two kinds of iturin A (C14, C15), three kinds of surfactins (C13, C14, C15), four kinds of fengycin A (C14, C15, C16, C17) and two kinds fengycin B (C16, C17). The antifungal activity of fraction 8, which was presumed as inturin A, was found to be stable after the pH, heat or proteolytic enzyme treatment, but it was unstable at 50-70oC for 24 hr. The antifungal activity of fraction B, which presumed as surfactins and fengycin A, was found to be stable after the heat treatment, but it was unstable in the pH 3.0 and after the protease (type I) or α-chymotrypsin treatment. The antifungal activity of fraction C, which was presumed as fengycin A and B, was found to be stable in the pH 3.0-9.0 range and the heat treatment, but it was unstable with the treatment of protease (type I).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purified peaks 8-1 and 8-2 were Asx, Tyr, Gln, Pro, and Ser in a molar ratio of 3:1:1:1:1, which showed the same amino acid composition as ituri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antifungal compounds from B. polyfermenticus CJ6 most likely belonged to iturin A as well as surfactins and fengycins. As lipopeptides are known to act in a synergistic manner, the antifungal compounds from B. polyfermenticus CJ6 might have potential uses in biotechnology and biopharmaceutical applications.

      • KCI등재

        지속적으로 AST가 증가된 무증상 환자에서 Macro-AST의 검출

        양은주 ( Eun Ju Yang ),임성수 ( Sung Soo Lim ),신경섭 ( Kyeong Seob Shi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1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3 No.2

        Macro-AST의 존재로 인해 AST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경우 진단 및 치료에 많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간, 횡문근, 심장근육 등과 같은 기관에 어떤 증상도 없이 지속적으로 AST만 증가한 환자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다양한 검사를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AST의 증가 원인을 밝히지 못하였지만 polyethylene glycol (PEG) 침전법을 통해 macro-AST가 AST의 증가 원인임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간편한 PEG 법에 의한 macro-AST의 조기 검출은 진단에서 혼란이나 불필요한 추가 검사 또는 침습적인 검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ersistent increase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due to the presence of a macro-AST can confuse diagnostic or therapeutic decisions in many clinical situa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and persistent AST-elevation without any clinical sign of dysfunction in organs such as the liver, skeletal muscle, cardiac muscle, etc. Despite various investigations, no definite cause for the elevation of AST could be found. With the help of polyethylene glycol (PEG) precipitation, we showed that macro-AST formation was responsible for the elevation of the AST titer in this case. Early recognition of macro-AST by PEG precipitation can prevent diagnostic confusion and unnecessary and even invasive tests. Copyright Ⓒ 2021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