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고전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이 참조의 대상에서 많은 부분 누락되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을 폭넓게 참조하면서 역사적으로 한국문학의 자기규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제화되었는지를 살폈다. 1910년대 안확과 이광수의 논의들, 1920년대에 있었던 이광수와 경성제대의 대립, 1930년대의 『삼천리』의 설문과 임화의 『신문학사』, 1950년대 초반 정병욱의 한문학=한국문학 논의, 이병기 · 백철의 『국문학전사』와 조윤제의 『한국문학사』, 1970년대 김윤식 · 김현의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진 근대성 논의, 1980년대 구비문학을 통해서 문학사를 재구성한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그리고 최근에 구체화된 북한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이중어 문학공간 등에까지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였고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했다. 한국문학은 자기규정의 역사 속에서 중층적으로 구성되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쪽으로 움직여왔다.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무의식들을 드러내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한 자기배려의 의지를 생성하는 계기였다. This article inquires how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historically have been chang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theme have mostly carried out with an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o far. Hence the substantial portion of research materials referred to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undergone left out. The methods by which the self-definition of Korean literature stipulated and thematized in historic phases are supplied herein with the ample consultations on diverse Korean modern literature references: Ahn Hwak and Lee Kwang-su's opinions in 1910s, Lee Kwang-su's confrontation with Kyou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1920s, a questionnaires of SamCheonli(三千里) in 1930s, Jung Byung-wook's controversial opinions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Korean Chinese Literature) equal to Korean literature' in early 1950s, Lee Pyoung-ki & Paek Cheol's The Whol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全史) and Cho Youn-je'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the 1970s' modernity discourses brought up by Kim Yun-sik & Kim Hyun's in their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Cho Dong-il'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通史) which was based on the oral literature studies. Furthermore, North Korean literatures, the diaspora literatures and bilingual literary sphere are engaged herein as well to reshape the historical context within my expanding process of study objects. Korean literature has constituted itself onto the multiplicity of layers in the self-stipulation-wise history and moved toward increasing the complexity both inwards and outwards in the meantime. The question or the quest on ‘What i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only uncovered its unconscious, but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beef up the will to take care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비평과 주체의 수사학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은 각자의 주제적인 관심에 따라 비평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문학적 주체의 근거를 탐색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비평가들이다. 이들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아(moi)가 아니라 비평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서 재/구성되는 주체(subject)를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삼은 최초의 비평가들이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부분은 임화 최재서 김기림이 비평적 주제를 공유하고 논의를 펼쳤던 지점들에 대한 검토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싸고 임화와 김기림이 벌였던 논의, 김기림과 최재서에 의해서 논의된 풍자문학의 의미, 최재서의 리얼리즘 논의에 대한 임화의 대응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세 사람의 비평에 등장하는 주체의 수사학 또는 구성 원리에 대한 검토이다. 최재서의 경우 전통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통일적인 주체를 꿈꾸었다. 과도기적 혼돈성으로 요약되는 현대의 위기를 통일적인 주체성의 확립을 통해서 버텨나가고자 한다. 반면에 김기림은 시대적인 변화를 움직이며 관찰하는 주관성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원칙은 비평을 시작한 1930년대부터 납북되기 이전까지 조금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원칙이었다. 임화의 경우 변증법의 정지상태를 넘어설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작품 또는 텍스트 속에서 집요하게 찾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주체는 변증법의 살아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었다. 2008년은 이들 세 사람의 비평가가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07 is th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three representative literary critics in the 1930s, Choi Jae-Seo, Im Hwa, and Kim Gi-Rim. This article reviews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examining their criticisms. Kim and Im argued with each other in the technicalism debate, and as a result, Kim reorganized the composition of poetry of totality and Im moved forward the great romanticism. Meantime, Kim and Choi met in the field of satire. While Kim perceived sarcasm as a vehicle in that it made intellectualism go forward criticism of civilization, Choi suggested a split model of the subject from the satirical literature. Finally, Choi and Im met in the sphere of realism. Choi focused on the post-delimitation of realism but Im insisted the victory of realism which Balzac managed. In conclusion, Choi suggested a forming process of the unified subject as a principle of critique, Kim maintained the flexible subjectivity, and Im intended creative criticisms which could produce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해외문학파의 문학론과 조선문학의 위상학(位相學) : 임화 이전의 이식문학론에 대하여

        김동식(KIM, Dong-shik)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해외문학파는 1930년을 전후해서 문학 출판 및 저널리즘에 종사한 문학연구자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해외문학파의 성립은 1927년 『해외문학』의 발간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해외문학파는 한국 유학생으로서는 처음으로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했으며, 1920년대 중후반에 상당수의 동경유학생 중 외국문학을 대학에서 전공했다는 것은 한국유학생으로서는 처음있는 일로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해외문학파는 민족주의문학과 계급문학의 대립을 뚫고 해외문학파라는 문단적 지위를 일시적으로 차지하기는 했지만 뚜렷한 문학적 주의나 이념도 제시한 바가 없다. 다만 조선문학의 완성을 위해 해외문학을 번역해야 한다는 주장을 반복하고 변주하고 있을 따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문학파는 1930년대 문단에서 가장 뜨거운 주제 가운데 하나였다. 해외문학파의 문화사적 의의는 세계문학전집을 읽으며 문학청년으로 성장한 세대의 감수성이 뒷받침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한국문학의 참조점이 서구의 문학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새로운 위상학을 제시했다. 해외문학파는 최남선 이래의 신문학부터 카프의 문학까지 한국의 근대문학이 번역 문학이라는 점을 가시화했으며, 그들은 한국문학의 성장 동력이 외국문학의 번역과 이식에 있음을 반복적으로 주장함으로써 이식문학론의 대중적 인식을 형성했다. The Haeoe Munhak(Foreign Literature) group was established in Tokyo in 1927 with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Haeoemunhak. The Haeoe Munhak group’s central figures were Yi Ha-yoon, Jeong In-seob, Kim Jin-seob, Lee Heon-goo, and Ham Dae-hoon. These figures were among the first exchange students to major in foreign literatures at university. After 1930 the Haeoe Munhak group was active in literary publishing and journalism, and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theater by establishing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Dramatic Art. Unlike the Nationalist or Proletarian literature groups of the time, the Haeoe Munhak group put forth no political stance. However, they did consistently argue that the modern literature of Joseon must begin with the importation of foreign literatures, and that extensiv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 was therefore necessary. The Haeoe Munhak group thereby offered a new topology for Joseon Literature. While the basis for Joseon literature had previously been found in nation, humanity, individuality, emotion, art, class, and so on, the Haeoe Munhak group located the basis for Joseon literature in a process of symbolic accumulation via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 They argued that the ‘new literature’ of Joseon was formed via the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tures, and that National and Proletarian literature had been based upon poor translations of foreign literature. They believed that modern Joseon literature could only be developed through translation, accumulation, and transplantation. It is therefore interesting to note that this argument formed another context for a theory of ‘transplanted literature’ like that put forth by Im Hwa.

      • KCI등재
      • KCI등재

        민족개조와 감정의 진화 : 1920년대 이광수 문학론에 대한 예비적 고찰

        김동식 ( Kim Dong-shi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29

        진화론은 1880년대에 일본과 중국을 통해서 한국에 소개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1910년대까지 한국에서 진화론은 약육강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국제사회의 실상을 알리는 담론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해 왔다. 이광수가 진화론의 영향을 받은 것은 1915년 2차 일본 유학 이후의 일이며, 1918년에는 진화론의 영향 아래 「부활의 서광」 「신생활론」 등과 같은 주요한 논설을 발표한 바 있다. 이광수는 진화를 외부환경의 논리로 승인하기보다는 ‘진화에 대한 자기의식’을 강조한다. 진화에 대한 자기의식은 진화를 자신의 목적으로 설정하는 것과 진화를 합목적적으로 조정 및 설계해 나가는 것을 함축한다. 이와 같은 생각은 1920년대에 들어서도 지속적으로 이어진다. 「민족개조론」은 진화론에 근거하여 씌어진 논설로서, 그가 제시하는 민조개조의 과정은 변이, 재생산, 자연도태와 같은 진화의 과정을 반복한다. 진화에 대한 그의 사고는 문학론에까지 이어지는데, 특히 그는 감정의 우성과 열성을 위계적으로 구분하여 열등한 감정을 제거할 것을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진화론이 192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을 구성하는 주요한 계기였음을 고찰하였다. The evolutionary theory was introduced in Korea via Japan and China in 1880s. From the late 19 century up to 1910s, the evolutionary theory took on the role as a discourse to inform the real state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where the rule of the jungle was overwhelming. It was not until the second studying abroad in Japan(1915) that Lee Kwang-su was influenced by the evolution theory. And he published the primary editorials, such as A gleam of Resurrection and the New Life Theory. Lee emphasized ‘the self-consciousness for evolution’ rather than conformed the evolution as the external environment logics. ‘The self-consciousness for evolution’ implied both setting up the evolution as one's goal and modifying and designing it teleologically, and this idea lasted in the 1920s. National Reformation was the editorial, basically written on the evolution theory, and where the national reforms repeated the similar procedure of the evolution theory: variation, reproduction and natural selection. Meanwhile his deliberation on the evolution expanded to the literary theory, claiming that the emotions of inferioty should be removed by means of classifying the emotion. That the evolution theory served to constitute Lee's literary theory in 1920s was studied and confirmed in this es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