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쌀겨, 보릿겨 처리가 부추와 토란의 생육과 수량 및 잡초방제에 미치는 영향

        류덕교(Deok-Kyo Ryu),윤영범(Young-Beom Yun),권오도(Oh-Do Kwon),신동영(Dong-Young Shin),현규환(Kyu-Hwan Hyun),이도진(Do-Jin Lee),국용인(Yong-In Kuk)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3

        본 연구는 쌀겨, 보릿겨, 태운 쌀겨 및 태운보릿겨를 부추와 토란을 파종하기 전에 시용하고 이들 작물의 생육과 수량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 4가지 겨류를 처리하고 처리 후 13, 27, 41, 57일 째 조사한 결과 부추의 초장은 보릿겨수비 처리구에서는 조사 전 기간에서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컸던 반면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겨류처리에 의한 부추 개체수에서도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처리 후 57일 째 조사한 생체중은 무처리구에 비해 4가지 겨류처리구에서 약 2배 많았다. 이들 차이가 토양 화학성분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처리 후 57일째에 토양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겨류를 처리한 토양에는 유기물과 유효인산 등이 풍부하였다. 부추 예취 후 14일에 재생한 부추의 지상부 생체중은 4가지 겨류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나 보릿겨 처리구에서만 무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4가지 겨류 처리 후 10cm 토란을 이식한 경우, 보릿겨처리구에서만 토란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량이 무처리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러나 겨류처리 후 종자를 파종 한 경우 오히려 겨류처리에 의해 토란 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겨류효과는 작물의 종류 및 이식시기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Pot 조건하에서 쌀겨 및 보릿겨 처리(2,000, 4,000kg ha-1)후 15일에 조사한 피, 바랭이, 명아주 및 까마중에 대한 잡초방제 효과는 아주 적었고, 포장조건하에서도 겨류처리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는 아주 적었다. 그러나 쌀겨를 ha당 4,000kg 처리 수준에서는 배추와 쑥갓에서 각각 62.6%와 37.2% 생육 저해가 나타났고 그 밖의 옥수수, 호박, 오이 및 부추의 경우에서는 0~19.6%의 생육저해 현상이 나타났다. 보릿겨의 경우도 배추를 제외한 작물종에서 쌀겨와 유사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rice bran, barley bran, burned rice bran, and burned barley bran on the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osum Rottler), taro (Colocasia esculenta), and weed control. When the above 4 brans were examined 13, 27, 41 and 57 days respectively after application, the plant height of Chinese chive applied with burned barley bra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treated control, whereas the other brans did not have any distinct effect on the plant height or population number of Chinese chive. However, when examined 57 day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4 brans, all the plants applied with brans showed more than twice the improvement in shoot fresh weight compared with non-treated control. A chemical analysis of soil 57 day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4 brans showed that the soils were richer in available phosphate and organic matter. Shoot fresh weight of Chinese chive at 2 weeks after cutt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arely bran treated plot than in non-treated plot. In the case of taro, only taro plots transplanted when 10 cm tall and applied with barley bran showed an improvement in growth increment of both the underground and above parts. However, when sowed seeds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4 brans, the yield of taro was reduced by the brans. Thus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brans is differ based on the amount of bran applicationas well as crops. The effect of weed control on Echinochloa crus-galli, Digitaria clliaris, Chenopodium album, and Solanum nigrum as affected by brans was very low in pot conditions. Weed efficacy of the brans was also very low in field conditions.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garland chrysanthemum was inhibited 63% and 37% by rice bran at 4,000 kg ha-1, respectively, but other crops such as maize, squash, cucumber, and Chinese chive were inhibited by 0-20%.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barley bran except for Chinese cabbage.

      • KCI등재

        감과육 및 껍질의 유용성분 및 가공이용에 관한 연구

        김종국,오상룡,문광덕,김준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0 No.4

        감과육과 곶감 제조시에 폐기되는 많은 양의 감껍질의 유효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감껍질은 과육부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이 크게 높았고 가용성 탄닌의 함량은 과육이 다소 높았다. 총당의 함량은 과육부의 함량이 크게 높았으며 구성당의 조성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glucose와 fructose가 각각 약 절반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sucrose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아미노산 함량은 껍질부가 과육부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유리아미노산은 과육부가 껍질부보다 오히려 높았다. 감과육의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 였으며 감껍질은 oleic acid, linoleir arid 및 palmlt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감과육분말 및 껍질분말을 이용하여 당과자를 제조하였으며 5∼10%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인정되었으며 곶감떡의 경우 감 절편(slice)제품은 10∼20% 첨가시 기호도가 향상되었으나 껍질은 기호도가 낮았다. 감과육분말을 이용하여 개발한 죽제품의 경우 과육 3%외에 쌀가루, 찹쌀가루, 옥수수전분, 탈지분유 등을 첨가하였을 때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껍질로서는 죽제품의 개발이 어려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consumption of persimmon by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of the persimmon flesh and peel. The valuable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in persimmon flesh and peel.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s in persimmon peel were higher than flesh but soluble sugar was more higher in flesh (with 71.3%) than peel (with 54.2%). Major free sugar in persimmon peel were glucose and fructose, the composition was similar to flesh. Major total amino acids in persimmon peel were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and aspartic acid. Proline, arginine, valine and alanine were relatively high in free amino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 in persimmon peel, and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more higher than flesh. Sugar cookies were processed using persimmon flesh and peel, when these powder were mixed with 5∼10% to raw materials, the preference score was increased. Steamed rice cakes with persimmon were processed using persimmon flesh and peel, when sliced-dried persimmon was mixed to 10∼20%, the preference was increased, but persimmon peel was not. The quality of gruel which processed using persimmon flesh powder improved when mixed with flesh powder of 3%, rice powder, glutinous rice powder and skimmed milk, but persimmon peel was not suitable for gruel processing.

      • KCI등재

        ‘제어모멘트자이로’의 질량불균형 보정

        이종국(Jong-Kuk Lee),송태성(Tae-Seong Song),강정민(Jeong-Min Kang),송덕기(Deok-Ki Song),권준범(Jun-Beom Kwon),서중보(Joong-Bo Seo),오화석(Hwa-Suk Oh),전동익(Dong-Ik Cheon),홍영곤(Young-Gon Hong),이준용(Jun-Yong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2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8 No.11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모멘텀 휠의 속도가 커지게 되면 질량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힘과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힘과 토크는 위성을 통해 촬영된 SAR 영상의 떨림을 유발하기 때문에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모멘텀 휠의 질량불균형(정적질량불균형과 커플질량불균형)의 보상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우선 M&S를 통해 질량불균형의 발생에 따른 질량중심점에서 발생하는 힘과 토크의 발생을 예측하였다. 두 번째로는 힘과 토크의 측정 지점을 회전 중심에서 이격하였을 때, 질량불균형에 따른 힘과 토크의 발생을 예측하였다. 세 번째로는 질량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네 번째로는 실제 구동하는 모멘텀 휠에 지정된 질량을 추가하였을 때, 힘과 토크의 변화량을 M&S와 비교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24Nm급 ‘제어모멘트자이로’를 대기모드로 구동하였을 때의 보정 전과 후의 힘과 토크 변화를 기술하였다. Raising the speed of the momentum wheel in the CMG increases the unintended force and torque caused by mass imbalance. This unintended force and torque should be minimized to get the better quality of satellite SAR image because they lead to the vibration of the output image. This paper shows the works on compensating the static imbalance and couple mass imbalance in the CMG wheel. First, the force and torque at the center of mass generated by the mass imbalance were predicted through M&S analysis. Second, the force and torque were estimated similarly through the M&S analysis when the measurement point was moved from the rotation center. Third, the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the force and torque by the mass imbalance was described. Fourth, the change of the force and torque by adding the specified mass to the momentum wheel was observed after comparing the measurements with the results of the M&S. And finally,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force and torqu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while 24Nm class CMG was running in the standby mode.

      • KCI등재

        대형 토크 제어모멘트자이로의 제어로직 설계 및 실험

        이종국(Jong-Kuk Lee),송태성(Tae-Seong Song),강정민(Jeong-Min Kang),송덕기(Deok-Ki Song),권준범(Jun-Beom Kwon),서중보(Joong-Bo Seo),오화석(Hwa-Suk Oh),전동익(Dong-Ik Cheon),박상섭(Sang-Sup Park),이준용(Jun-Yong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21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9 No.4

        본 논문에서는 제어모멘트자이로 내 짐벌과 모멘텀 휠의 제어로직에 대해 기술하였다. 우선 소모전력과 안정도(이득여유, 위상여유)를 고려하여 모멘텀 휠의 제어로직을 설계하였다. 두 번째로는 진동흡수장치의 공진과 안정도를 고려하여 짐벌의 제어로직을 설계하였다. 세 번째로는 제어 모멘트자이로에서 발생하는 힘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네 번째로는 모멘텀 휠과 짐벌의 주파수응답 및 시간응답 시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어 모멘트자이로를 통해 발생한 힘과 토크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control logic for the momentum wheel and gimbals in the CMG system. First, the design of the control logic for the momentum wheel is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and stability. Second, the design of the control logic for the gimbals considering the resonance of the vibration absorber and stability is explained. Third, the measurement configuration for the force and torque generated by the CMG is described. Fourth,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d time response test of the momentum wheel and gimbals are shown. Last, the measurements of the force and the torque generated through the CMG are explained.

      • KCI등재
      • 2차원 물리서식처 모의를 이용한 금강수계 주요 지류에서의 어류서식처 최적유량 산정

        오국열,정상만,이주헌,서형덕,Oh,Kuk-Ryul,Jeong,Sang-Man,Lee,Joo-Heon,Seo,Hyung-Deok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최근 하천의 유지유량을 결정함에 있어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유량규모를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국내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의 어류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의 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미국에서 제시된 유지유량증분 방법론(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에 근본을 두고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able Area)-유량관계를 찾아 2차원 물리서식처 모의 모형인 River2D를 금강수계 주요지류에 적용하여 금강의 우점종인 피라미의 성장단계별 최적의 유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The results of research, which proposes the optimum flow considering the habitation environment of fishes in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have been drawn by many researchers in Korea. In this study, the relations of weighted usable area to discharge are researched. In addition, River2D, which is the simulation model of 2D physical habitats, is applied to the main tributaries of the Geum River basin on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proposed in the U.S. in order to calculate optimum flow in each growth step of fish, which are the dominant species living in the river, considering the habitat of fishes in streams.

      • KCI등재
      • KCI등재

        추출조건에 따른 우롱차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박상규,김종국,오상룡,문광덕,김준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9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9 No.4

        우롱차의 에탄올 추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농도 및 온도별로 우롱차의 품질에 미치는 유효성분들을 분석, 조사하였다. 우롱차엽의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시 80∼85℃, 50%이상의 에탄올 농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에서 유리당은 sucrose가 37.2∼55.0㎎/100g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반면에 arabinose는 3.3∼5.6㎎/100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은 furmaric acid가 0.2477∼0.7842㎎/g, citric acid가 0.2047∼0.6204㎎/g, malic acid가 0.1619∼0.4382㎎/g로 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등 15종류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proline이 0.693∼1.681㎎/g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tyrosine, glutamic acid, valine, aspartic acid 등도 다른 유리아미노산보다 많은 양을 보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탄닌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 농도에서 38.6, 38.5㎍/100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닌의 함량은 낮아져 95% 에탄올 농도에서는 24.2㎍/100g을 나타내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추출용매의 차이에도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그 함량은 12.65∼14.08㎎/g이었으며 ascorbic acid의 함량은 물과 25% 에탄올농도에서 6.95㎍/g과 6.50㎍/g을 나타냈고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scorbic acid의 함량은 낮아져서 95% 에탄올에서는 2.78㎍/g을 나타내었다. 추출용매의 농도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떫은 맛과 쓴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를 25%로 하여 추출한 우롱차의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extraction condition and quality attributes components in Oolong tea were investigated. Extraction yield was high in 80∼85℃ above 50% ethanol solution. Sucrose content most high among the free sugar ranged 37.2∼55.0 ㎎/100g, while arabinose was the least. Organic acids in ethanolic extracts were furmaric, citric and malic acid. Free amino acids were 15 kinds and contents of proline, tyrosine and glutamic acid were comparatively high. Tannin content extracted from water and 25% ethanol solution were 38.6 and 38.5 ㎍/100g, it decreased as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 Caffeine content did not changed as extraction conditions. Ascorbic acid content was 6.5 ㎍/g when extracted from 25% ethanol solution, it decreased as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 Bitter and astringent taste affected to overall preference of Oolong tea. Tea manufactured from 25% ethanol solution extracts recorded most high organoleptic score than any other extraction condition.

      • $^{18}F$-FDG PET/CT검사에서 지연영상을 이용한 갑상선 우연종 감별의 유용성 평가

        이현국,양승오,송기덕,송치옥,이기흔,Lee, Hyun-Kuk,Yang, Seoung-Oh,Song, Gi-Deok,Song, Chi-Ock,Lee, Gi-He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8 핵의학 기술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8}F$-FDG PET/CT검사 시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병변의 악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위양성으로 판독되어지는 양성종양이나 염증질환과 악성 종양의 감별이 가능한 검사법으로 지연영상(Delay scan)을 적용하고 결과 값(SUV)의 기준안을 마련하며 이 연구에서 제시되는 검사법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 1월부터 2008년 4월까지 E대학병원에 내원하여 $^{18}F$-FDG PET/CT를 시행한 환자 8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같은 연구기간 중에 갑상선의 원발암으로 $^{18}F$-FDG PET/CT을 실시한 1명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799명이 연구대상이었으며 $^{18}F$-FDG PET/CT검사를 실시한 이유는 기존에 암이 증명되어 예후 관찰로 검사하거나 암이 의심되는 경우가 696명, 건강 검진 목적으로 실시한 경우가 103명이었다. $^{18}F$-FDG PET/CT영상 촬영은 SIEMENS사에서 만든 Biograph-Duo에서 시행하였으며, $^{18}F$-FDG PET/CT 정상영상(1 hr)을 취득한 후 갑상선 이상섭취가 있고 SUV 2.0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1시간 후에 갑상선부위를 1 bed 지연영상을 촬영하였고, 한 bed에 2분 동안 영상을 얻었다. 갑상선 이상섭취가 있고 SUV 2.0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상섭취가 있는 부위의 1시간 영상과 2시간 지연영상의 SUVmax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18}F$-FDG PET/CT 검사 시 우연히 갑상선에 $^{18}F$-FDG 섭취를 보인 환자 중 갑상선 우연종(Thyroid incidentaloma)이 5명으로 0.63%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성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을 나타냈다. 그리고 우연히 갑상선에 $^{18}F$-FDG섭취가 있는 경우 먼저 갑상선부위의 2시간 지연검사를 통해 $SUV_{max}$의 변화치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양성 혹은 악성여부를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고 판독의 오류도 줄일 수 있다. 발견된 갑상선 우연종(Thyroid incidentaloma)의 경우 1) 국소부위의 갑상선병변 SUVmax가 5.0 이상이고, 2) $^{18}F$-FDG PET/CT 정상검사(1 hr)와 지연검사(2 hr)의 갑상선병변 $SUV_{max}$차이가 $1.0{\pm}0.5$인 경우 Malignant를 의심하고 조직학적 확진을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추후 PET이나 CT를 이용한 면밀한 영상검사로 추적 관찰하는 것이 병변의 진단을 위한 합리적인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degree of malignancy of incident thyroid lesion found in $^{18}F$-FDG PET/CT findings an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we applicate the Delay Scan Method that differentiate a false positive benign tumor, inflammation and malignancy, as well as make the criteria of SUV.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grade study was conducted of 800 patients who were admitted in E hospital to receive $^{18}F$-FDG PET/CT examination. One patient who was diagnosed as primary thyroid cancer and received $^{18}F$-FDG PET/CT examination was excluded. The number of final patients of this study was 799, the reasons of $^{18}F$-FDG PET/CT examination of these patients were follow-up of old cancer or suspicious tumorous lesion in 696 and disease screening in 103. $^{18}F$-FDG PET/CT image photographing was taken in Biograph-Duo made by SIEMENS, after taking normal $^{18}F$-FDG PET/CT image (1 hr) and then 1 hr later we took the thyroid 1 bed-delayed image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18}F$-FDG uptake and above 2.0 SUV for 2 minutes every 1 bed. For the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thyroid uptake and above 2.0 SUV, 1 hr later, we took a 1 bed-delayed image and then mad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easured $SUV_{max}$ of 1 hr-abnormal uptake image and that of 2 hr-delayed image. Results and Conclusion: In this $^{18}F$-FDG PET/CT study among the patients who showed incidental $^{18}F$-FDG thyroidal uptake the number of thyroid incidentaloma was 5 (0.63%), all of then showed benign findings. And in the case of incidental $^{18}F$-FDG uptake in thyroid, $SUV_{max}$ variance obtained from 2 hr delayed image can be a indirect criteria in differentiating benign tumor from malignancy and decrease finding error. In the cases found thyroid incidentaloma when 1) $SUV_{max}$ of focal thyroid lesion is above 5.0 and 2) $SUV_{max}$ variance between normal $^{18}F$-FDG PET/CT exam and 2 hr delayed is $1.0{\pm}0.5$, they are suspected as malignancy and confirming biopsy is to be followed. Otherwise, I also think that distinct follow-up PET or CT image study is a reasonable diagnostic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