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학문의 현상학적 연구에서의 미학적 사유

        공병혜 성인간호학회 2003 성인간호학회지 Vol.1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s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and especially to consider the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hich may reflect works of art. Method: Based on Heidegger. Merleau-ponty and Gadamer' philosophical aesthetics, this study shows how aesthetical thought can be is applied to artistic creation and aesthetical criticism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nursing. Result: The result of aesthetical characteristics of phenomenological nursing research were as follows : 1) Poetical thought of the client's experience as the living is revealed as poetic expressions in forms of listening gazing, reflection and metaphor. 2) Literature works, painting, poetry and fiction used as sources of lived-experience help to awake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lived-experience. 3) Aesthetical evaluation of phenomenological product as art is related to the harmony as a whole, especially to the ability to do vicarious lived-experience of the ability to do vicarious lived-experience of the client. Conclusion: In order to produce creative phenomenological works in nursing research, two suggestions are made : aesthetical thought and poetic language in phenomenological reflective writing which enables researchers to transmit the essence of the lived-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칸트의 탄생철학과 부모의 의무

        공병혜 ( Kong Byung Hye )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3 No.-

        탄생철학은 이 세상에 비자의적으로 태어남이라는 탄생의 강제성과 또한 인격으로서 삶을 시작하는 자유와의 긴장 관계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주제들을 다룬다. 이러한 탄생 철학의 문제의 지평 위에서 칸트는 인격으로 태어난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이성 비판을 전개시켰다. 칸트의 탄생철학은 탄생의 기원으로서 부모의 생식과 자유로운 인격으로 태어난 자식과의 관계를 다루며, 탄생의 강제성과 인격으로서의 자유의 요청으로부터 추론된 부모의 의무와 자식의 권리를 핵심주제로 삼는다. 칸트는 탄생한 아이의 첫울음을 인격인 자신의 동의도 없이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것에 대한 항의와 분노의 표현이며, 동시에 결핍된 인간 자유에 대한 요청이라고 이해한다. 그래서 인격으로서의 자녀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의 의무란 바로 자유의 사용에 미성숙한 자녀가 가능한 성숙한 이성사용을 통해 도덕적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양육과 교육을 해야 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우선 인간학적 관점에서 전개된 칸트의 인간 탄생의 사유방식을 검토해 보고, 실천적, 법적 관점에서 기술된 부모의 의무에 대한 도덕적 논의를 전개시켜 보도록 하겠다. 거기서 탄생의 강제성에서 비롯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의무란 결국 미성숙한 인격으로 탄생한 자녀가 성숙한 세계시민이 되는 도덕적 상태에 이르게 하는 부모의 양육과 교육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Die Philosophie der Geburt geht davon aus, dass der Geborene in der Welt schon geworfen und mit dem Leben angefangen ist. Bei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ndelt es sich um die Seinsfrage der Geburt und die Spannung zwischen der Determination der Geburt und der Freiheit des Geborenen als Person, die initiative mit dem Leben beginnt. Innerhalb der Horzont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t Kant die generative Kritik der Vernunft uber die Freiheit der Person entwickelt, die als der Geborene von den Eltern unfreiwillig in die Welt gekommen ist. Dabei hat Kant die Beziehung zwischen der Elternpflicht und Kinderrecht und die Spannung zwischen Diktakt der Geburt des Kindes und der initiativen Freiheit der Person behandelt. Kant hat den ersten Schrei des Kindes als der Ausdruck von dem Mangel der Freiheit und den Wut uber die Ohnmacht seines körperlichen Zustandes verstanden, wobei das Kind gegen die unfreiwillige Geburt ohne seine Einwilligung einspricht. Aus diesen Grunden uber den Zwangcharakter der Geburt haben die Eltern eine Pflicht der Besorgung und der Erziehung gegenuber den Kindern, damit sie von den unmundigen Kindern bis zu den vernunftigen Weltburgern erwachen. Dabei mussen die Eltern die Kinder besorgen und erziehen, damit sie das Vermögen ihrer Vernunft gebrauchen und daher als ein moralicher Subjeckt bis zum moralischen Zustand erreichen können. Im meinen Aufsatz möchte ich zuerste aus der anthropologischen Perspektiv die kantische philosophie der Geburt entdecken und interpretieren und dann aus den praktisch-moralischen und rechtlichen Perspektiven die Diskussion uber die Elternpflicht und Kindrecht entwicklen.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신체의 현상학과 간호에서의 질병체험

        공병혜(Byung-Hye Kong)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0 No.-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은 이 세상과 친숙하게 소통하고 거주하는 실존적인 주체로서 몸의 지향성을 기술하고 있다. 그의 현상학은 의학적인 질병 치료의 대상으로서 객관화 된 몸에 관심을 두기보다, 질병을 체험하는 육화된 주체로서의 몸에 대해 관심을 둔다. 그의 몸의 현상학은 질병으로 인해 손상 받은 개인의 신체의 경험을 이해하고, 자신이 거주하는 익숙한 상황에 반응할 수 있는 습관적인 몸의 능력을 회복시키는 간호실천의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세계에 참여하고 거주할 수 있는 몸의 실존적 능력에 손상을 입은 환자의 몸의 체험을 이해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간호사는 환자 자신이 처한 상황에 반응할 수 있는 그의 몸의 통합적 능력을 다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지원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은 생의학적 모델에 의해 간과되어왔던 신체적 상호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돌봄의 감성적 특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몸과 접촉하는 간호사의 손은 육화 된 인격적 자아로서 환자 자신의 몸을 스스로 지각하게 하고 통합시키는 치유의 힘을 지닌다. 여기서 간호실무의 신체성은 신체적 접촉을 통해 자아로서의 몸의 능력을 재통합하는 인격적이며 감성적 돌봄의 특성을 지니는 것이다.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body described a embodied existential subject that is situated and dwells in the world. His phenomenology does not only concern with the body as an object of the medical treatment, but also as a subject of the lived experience of illness. His phenomenology can provide nursing with a richer, more adequate philosophical basis for the understanding the human experiences of illness, disability, recovery, and endurance in the face of ongoing suffering. His perspective on the embodied subject enable nurse to understand the damaged and debilitated bodily experience of patient und to provide the point of the recovery of the bodily capacity or habitual body to respond to the situation in nursing practice. This phenomenology of embodiment offers a new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skilled bodily nursing practices, which have gone unrecognized or unvalued within the dominant biomedical model. For example, even if the nurses’s hand is also knowledgeable of medical science, the patient still expects that the nurse’s hand ist primarily a healing hand, which touches not only the physical body, but also the self, the whole embodied person, This bodily personal touch may well constitute the core meaning of the healing act of nursing care, because it gives a patient reuniting with his or her body, thus making life liveable again. Then, this caring hand has the power to reunite him patically with his body, reminding his body as the self and thus making it possible for him to heal, to strengthen, to become whole subject.

      • KCI등재

        인간의 고통과 예술의 역할

        공병혜(Byung Hye, Ko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4

        예술은 인간 고통에 대한 해석을 통해 고통을 치유하는 문화적 양식으로 존재해 왔다. 이러한 고통을 해석하는 세계인식방식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인간 삶에 윤리적 · 치유적 영향력을 지니는 예술의 역할을 쇼펜하우어의 예술철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의 철학의 핵심주제는 궁극적으로 해소될 수 없는 인간 삶의 본질인 고통과, 그것의 근원인 의지에 대한 탐구이다. 그래서 그의 형이상학적 과제는 인간 삶의 존재론적 고통의 근원이며 우주전체를 관통하는 삶의 맹목적인 충동인 의지에 대한 자기 통찰에 있으며, 이 과제를 예술이 넘겨받고 있다. 그러나 예술을 통한 세계의 본질에 대한 통찰은 자신의 고유한 육체를 매개로 하여 표상의 세계에 얽매인 인간의 이기적인 성향으로부터 벗어나, 동정심에 의한 세계와 타자와의 연대적 감정을 통해 도덕적 삶에로 나아가게 한다. 예술이 지니는 형이상학적 세계인식과 이것이 인간의 실천적 삶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집착에서 벗어나 윤리적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치유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쇼펜하우어에게 예술은 영원한 행복을 약속하지 못하며, 금욕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해방시켜주는 해탈의 경지에 이르게 하지도 못한다. 그러나 예술의 역할은 단순히 삶의 고통에 대한 순간적인 위로나 혹은 도피나 휴식을 하게 하는 차원을 넘어서 고통의 원인인 자기집착에서 벗어나 세계의 근원인 같은 의지를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예술은 세계의 근원을 향해 심정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며, 동시에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여 덕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인간의 교양과 취미

        공병혜 ( Byung Hye K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18세기 유럽의 인문주의 전통에서 교양의 핵심을 이룬 취미는 예술이나 아름다움에 한정된 미학적 개념이라기보다는 공동체의 실천적 지혜와 관련하여 시민사회의 윤리적 연대성을 형성하는 사회적 덕목으로 이해되어져 왔다, 이러한 취미는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인류의 역사 속에서 인간의 자연적 기질을 도야하여 인간성을 고양시키는 문화적 역할을 한다, 또한 아렌트의 칸트 미학에 대한 해석은 취미가 공동체를 살아가는 개별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세계시민의 교양으로서의 소통능력임을 보여준다, 이것은 개인의 사적 편견이나 관심에서 벗어나 세계시민의 관점을 향해 확장된 반성적 사유방식으로 인간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생각과 감정을 서로 교류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교적 능력이다. 특히 정치적인 폭넓은 사유와 연결된 상상력이 지닌 반성적 활동은 실천적 지혜가 뿌리내린 공동 세계 속에서`` 타인과 세계 공유하기``를 통해 자유로운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듯 오늘날 참된 취미는 역사적으로 전승된 보편적인 공통체적 감각이라는 의미를 보존하며 아름다움과 예술이란 미학적 영역을 넘어서 인간성 실현을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육성이라는 교양의 의미를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다. Der Geschmack wurde als Zentralbegriff der Bildung des 18. Jahrhunders in der humanistischen Tradition in Europa entwickelt. Sein Begriff wurde nicht auf den aesthetischen Bereich des Schoenen und der Kunst begrenzt, sondern als dem sozialen Tugend im Bezug auf die praktische Weisheit in der Gemeinschaft verstanden, die die ethischen Solidaritaet in der buergerischen Gesellschaft bildet. In der Kritik der Urteilskraft Kants hat der Geschmack als ``sensus communis`` eine Rolle der Kultuvierung der menschlischen Natur spielt, die die Menschheit zum moralischen Zweck erhebt. Besonders zeigt Arendt durch ihre Kants Interpretation, dass der Geschmack als eine erweiterte Denkungsart fuer die Bildung des Bewusstsein der Weltbuergerschaft notwendig ist. Er spielt durch Einbildungskraft frei von den privatien Interessen und Vorurteilen, erhebt dem Menschen zum Bewusstsein der Weltbuergerschaft aufgrund der Idee der Menschheit. Foglich bewahrt der wahre Geschmack den geschichtlich gelieferten allgemeinen gemeinschaftlichen Sinn und dient zur weltbuergerlichen Bildung in der Pluralitaet der Gesellschaft, wobei die Menschen sich frei kommunizieren und einstimmig sein koenn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