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 장애인의 기본적 심리욕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오아라 ( Ah Ra Oh ),김상두 ( Sang Doo Kim ),조창옥 ( Chang Ok Cho ),구교만 ( Kyo Man Ko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신체활동을 통하여 자기결정요소인 기본적 심리 욕구의 어떠한 하위 요인이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5개 지역에 소재한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 219명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의 내용은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기본적 심리욕구, 심리적 웰빙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Ver. 13.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수집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였고,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심리적 웰빙의 다차원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변인간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고 기본적 심리욕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과 유능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과 유능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자율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본적 심리욕구의 유능성 요인과 자율성 요인이 심리적 웰빙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psychological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mpacted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articipants were 219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in 5 local areas. The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y information and the question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need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 Ver. 13.0 Window Program (α=.05), the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First,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happines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compet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utonomy in psychological needs impacted on self-actualization in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study concluded that autonomy and competence in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 on flow in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이미지 척도의 요인구조 재평가 및 장애편견과의 관계: 지체장애와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오아라 ( Ah-ra Oh ),서은철 ( Eun-chul Se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이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이미지 척도가 장애유형별로 적용했을 때, 요인구조가 동일한지 재평가 하고 장애인스포츠 이미지와 장애편견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84명 대상으로 지체장애스포츠 이미지와 지적장애스포츠 이미지, 장애편견을 측정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장애유형별 스포츠이미지와 장애편견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으로 관계를 추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 및 지적장애 대상 스포츠이미지의 평행선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장애인스포츠 이미지의 5요인모형은 4요인모형으로 수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스포츠이미지와 지적장애스포츠 이미지 모두에서 매력, 활동유희성을 지각할수록 장애편견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소함을 지각할수록 장애편견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valuate the factor structure when the disability sports image scale was applied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sports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For this purpose, 584 subjects were measured for physical disability sports image,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In order to evalu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parallel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ility sport image and disability prejudice was estimated by the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PA and EFA results of the sports image of the physical disabilit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the 5 factor model of the physical disabilities `s sports image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y should be revised to the 4 factor model. Second, disability prejudice decreased with the perception of attraction and playfulness in bo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image. Also, the more the perceived unfamiliarity, the more the disability prejudice was increased.

      • KCI등재

        특수체육 관련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아라(Ah Ra Oh),이제홍(Je Hong Lee),엄진종(Jin Jong Eo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46

        This research was studied about how teenagers` attitude are changed after watch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TV documentary programs regarding developmental disorders and physical disorders. To study differences of each group, matching to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desig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whole attitude difference regarding people with disabled according to class participant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that watched physical disorders sports TV documentary programs. Second, in emotion for people with disable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group of developmental physical TV documentary programs. Third, the thought regarding people with disabled had differences from both groups of developmental disorders and physical disorders TV documentary programss. Fourth,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regarding attitude for people with disabled in group of physical disorder sports TV documentary programs.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타이틀스폰서십에 의한 기업이미지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오아라 ( Ah 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타이틀스폰서십 참여를 인지하고 있는 집단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집단이 이벤트 개최기업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 차이를 나타내고, 이는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충청권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학생들 420명에게 SK텔레콤배 휠체어농구대회의 스폰서십 참여에 대한 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집단 144명과 비인지집단 253명을 선정하였다. 장애인스포츠 스폰서십 참여 인지집단과 비인지집단의 해당 기업에 대한 이미지에 따른 차이와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측정모형의 검증, 다집단 구조모형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인스포츠 타이틀스폰서십 참여 인지 집단은 기업이미지의 성장성과 우수성이 브랜드태도와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인지 집단은 기업이미지의 성장성만이 브랜드태도와 정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장애인 스포츠 타이틀스폰서십 참여로 파생된 기업 이미지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는 두 집단 모두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ttributes of corporate image which was generated by through participating in disability sport event title sponsorship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Data were collecte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420 college students who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adapted physical education major in and non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ng, and 397 questionnaires except 13 insincere questionaries were finally applied to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Win Ver, 12.0 and AMOS 16.0. First, The results dedicated that two factors of corporate image: excellency and growth impact positively on consumers` brand attitude. Secondly brand attitude influenced from corporate image positively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sion.

      • KCI등재

        대학생들의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브랜드 지식, 브랜드 태도, 방문의사의 인과관계 분석

        오아라 ( Ah-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7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현재 대학생들이 평창동계패럴림픽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관심이 있는지 분석하고, 평창동계패럴림픽의 브랜드 지식, 브랜드 태도, 방문의사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은 550명의 대학생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과 판단표본추출법(judgemental sampling)으로 표집 하였다. 설문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실시하였고 총 529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실태조사 결과를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창동계패럴림픽 개최 인지 여부에서는 개최되는 것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가 67.5%로 나타났고, 개최 인지 경로로는 `언론보도`가 69.0%로 가장 높았다. 평창동계패럴림픽 방문의사에서는 87.1%가 `방문할 의사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방문의사가 없는 가장 큰 이유는 `거리가 멀어서`라고 응답하였다. 방문 의사가 있는 12.9% 중 방문하고 싶은 이유 중 가장 큰 요인은 `관람이 재미있을 것 같아서`로 나타났다. 현재 평창동계패럴림픽의 부족사항으로는 62.2%가 홍보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평창동계패럴림픽의 브랜드 지식의 하위요인인 브랜드 인지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이미지는 하위요인 중 대중적 이미지와 감각적 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는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current undergraduates were interested in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brand knowledge has on the brand attitude and visiting inten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550 undergraduates sampl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judgemental sampling. A total of 52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status research results was conduc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67.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know that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hold in 2018, and 69.0%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know that it holds through media, which is the highest in the way of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event. For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87.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 not intend to visit. The biggest reason was `the distance is far`. Among the 12.9% who are willing to visit,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visit is `Visiting seems to be interesting`. At present, 62.2%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are lack of publicity. Second, brand recognition, which is a sub-factor of brand knowledge of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does not affect brand attitude. Among the sub-factors of brand image, public image and sensational image influenced br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brand attitude affects visiting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