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우·소우 상품활용 사례 및 전개방식 분석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4 No.-

        최근 자국의 전통을 기반으로 상품화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고 있다. 4차 산업의 도래로 전통의 스토리텔링이 있는 새로운 문화소통으로 개발되어, 동종 또는 타 분야와의 협업으로 패션산업시장에서 밀접하게 융합되며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의 욕구, 즉 상품 그 자체보다는 경험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의 전반적인 구조 안에서 일본의 소우·소우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산업과 연계하고 타 분야와 적극적인 융합으로 수익창출과 상호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OSMU로의 패턴전개방식과 실제적 활용사례로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제시한 소우·소우의 성공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의 현 산업에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지속성장 가능한 브랜드 구축에 자리매김하기 위한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Recently, interest in sustainable design, which commercializes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country, is rising rapidl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y revolution, it was developed as a new cultural communication having traditional storytelling. Moreover it has been developed in the fashion industry by collaborating with fashion and many other industries and closely coming with them. In the current era,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would be consumers’ need which is improving competitiveness in the overall structure of society emphasizing the quality of experience rather than the product itself. Thus, an analysis on the strategies of sou·sou which has been achieving a mutually sustainable growth and profit generation via an active fusion with other industries and links based on the identity of traditional culture in Japan, in other words, an analysis on sou·sou’s OSMU of patterns, development methods and actual cases is called for. Through the successful case study of sou·sou that this study analyzes, it is sought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Korea to establish a brand that can actually achieve a sustainable growth by securing mor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industry.

      • KCI등재

        패션산업에서의 OSMU 발전방식의 활용 연구

        강혜승(주저자) ( Hae Seung Ka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21세기 패션산업과 IT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화는 밀접하게 융합되며 급변되고 있다. 패션산업은 사회의 전반적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다양성에 중요관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장르에서 응용되면서 고부가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최근의 경향을 보면 OSMU를 이용하여 수익창출에 주력하는 동시에 패션산업을 타영역간의 협업활동을 통한 OSMU전략 수립과 실행으로 다원화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산업에서 원천소스가 되는 텍스타일 디자인이 능동적으로 모든 라이프 스타일 제품군에 OSMU로 진행된 브랜드 4개의 전개방식과 실제적 활용사례를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표적인 브랜드 소수소우, 마리메코, 캐스키드슨, 로라애슐리의 OSMU 의 발전빙식에 의한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패션산업의 다원화에 의한 활성화 방안의 현 위치를 파악하였다. 이에 대표적인 브랜드 소우소우, 마리메코, 캐스키드슨, 로라애슐리의 OSMU의 전개방식에 의한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OSMU의 발전방식을 따라서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OSMU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속성장 가능한 패션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실질적인 필요성을 개진하고자 한다. The fashion industry of the 21st century and the digital contents based on the IT have been closely fusing and rapidly changing.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having the important viewpoint on the diversity in order to enhance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 society. And, while being applied to the diverse genres, the competitiveness has been strengthened towards creating the high added values. If we take a look at the recent tendencies, the concentration has been on the creation of the profits by using the OSMU. And, at the same time, the diversific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has been pursued through the formulation and the execution of the OSMU strategies through the cooperative activities with the other domains.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methods of the dynamic unfolding of the 4 brands with regard to which the OSMU had been proceeded with for all the lifestyle product groups in relation to the textile designs which become the original source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actual case examples of the utilizations. This study analyzes examples of representative brands such as Sou Sou, Marimekko, Cath Kidson, Laura Ashley. Also, it is intended to grasp the present position of the invigoration plans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Accordingly, the effects of the expectations of this research intends to state the actual need for settling down as a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in the diverse aspects through the successful case examples of the OSM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수입 의류 브랜드의 상품기획 프로세스 특징 비교

        안연숙 ( Ahn Yeon-sook ),강혜승 ( Kang Hae-se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국내패션 시장의 침체와 글로벌 시장의 확대로 인한 유통의 변화가 브랜드의 구도 변화를 가져오면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수입 및 라이선스 브랜드 사업은 패션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 브랜드 세 곳을 전개유형에 따라 선정하여 패션상품 기획 프로세스를 비교, 분석하고 장단점 및 특징적 유형을 알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상품기획은 정보 분석 개발, 디자인 확정 및 생산 진행, 판매전략 홍보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정보 분석 단계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지를 위한 본사의 이미지 관리가 중요하며 생산 진행 단계에서는 원활한 상품공급 및 반응생산 시스템 체계를 구축해야하고 홍보 단계에서는 일체화된 SI전략으로 고급화 이미지 제고가 우선시되고 있다. 브랜드별로 전개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품기획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 번째 유형은 국내실정과 글로벌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글로컬리제이션 전략이며 두 번째는 수입 브랜드의 한계점인 생산 시스템과 문화적 갈등을 본사의 효율적 기획 관리 능력으로 극복한 MD중심 시스템이며 세 번째는 감성 브랜딩과 이미지 마케팅을 통한 패션 선도 이미지를 추구하는 디자인 중심 시스템이다. 위의 분석을 통해 수입 브랜드가 감성적, 효율적 측면을 절충한 기획 시스템으로 진화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장의 정착화와 해외 진출 시 글로벌 전략의 자료의 제시를 통해 국내패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With the changes in distribution channel caused by the recessive local fashion market and the expanding global market, brand composition has changed, which again let to increased interest of the fashion industry in import and licensed-brand business by large companies. In this study, 3 import brands are selected for comparison / analysis of fashion product planning processes, with the goal of identifying strength / weakness and distinctive types of each brands. The above product planning can b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analysis development, design confirmation and production, sales strategy promotion stages. In information analysis stage, image management of the head office for the purposes of maintaining brand identity is very important and in production stage, smooth production supply and construction of production reaction system is needed and in the promotion stage, the priority is to use the integrated SI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image gentrifi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planning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ypes per brand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 type is the glocalization strategy which takes the domestic circumstances and global identity into consideration and the second is MD centered system that overcame production system and cultural conflicts, which are the limits of import brands, with efficient planning and management ability of the head office, and the third is designed focused process that strives for fashion pioneer image through sensible branding and image marketing. Via the analysis above, it is evident that the import brand has evolved into a planning system that compromises sensible, efficient aspects. This study seeks to assist the advancement of domestic fashion by suggesting data on global strategy for market settlement in global market entrance.

      • KCI등재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 연구 및 전략 개발 - 화장품 브랜드숍을 중심으로

        김지인 ( Kim Ji-in ),강혜승 ( Kang Hae-se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5 No.-

        본 연구는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에 대한 국내·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변화된 디자인 개념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통합적인 디자인 개념에 적합한 서비스스케이프의 모델을 제안하고자 했다. 해외문헌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들이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에서 제품과 관련해서는 주로 종류나 질의 관점에서만 다루어지고 있으며, 서비스 환경 속에서의 제품의 디자인적인 요소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의 연구에서는 스토어 외부환경의 디자인 요소를 거의 다루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커의 연구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서비스스케이프의 요소를 주변요소, 디자인 요소, 사회적 요소로 나누고, 디자인 요소에 제품 디자인을 추가해 베이커의 모델과 차별점을 두었다. 이어서 베이커의 분류에 따라 이를 각각 다시 기능적 요소와 미적 요소로 분류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을 적용해 화장품 브랜드숍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환경 전략을 세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각적 요소 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요소까지 화장품 브랜드숍의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요소를 기업이 전략적으로 사용한다면 스토어 아이덴테티 차별화에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first researched bibliographies on the element of servicescape and then studied on the changing concept of design, finally suggested the new model of servicescape, suitable for the integrated concept of design in modern society. Bibliographical research on overseas studies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s been focused on a variety and quality of products and has been neglected of the design element of products in service environment. Also bibliographical research on domestic studies showed design element of stores` exterior environment has been rarely investigated. The model of servicescape, which was suggested in this study, is based on Baker`s structure. In this model, the dimensions of servicescape were divided into ambient factors, design factors and social factors. They are, again, divided into exterior environment and interior environment. However, unlike Baker`s, the model of servicescape in this study has one more subdivision in design factor, that is, product design. Each subdivision, again, has broken into functional element and aesthetic element. Futhermore, applying the servicescape model drawm from this research, strategies of service environment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cosmetic brandshop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olfactory and auditory elements, as well as visual elements, can be useful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cosmetic brand shops. If a company uses all these elements strategically, it would be helpful to differentiate the store`s identity from others.

      • KCI등재

        상호 혼성적 디자인으로서의 융합디자인 개념

        김지인 ( Kim Ji-in ),강혜승 ( Kang Hae-seung ),노승완 ( Roe Seung-w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사회 각 분야에서 `융합`의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디자인 분야에서도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본래 디자인은 예술, 기술,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발전해 온 분야이므로 다른 분야와는 달리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융합에 대한 재해석을 필요로 한다. 이에 융합과 관련하여 역사적, 사회적, 개념적 측면에서의 고찰의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컴퓨터의 발달에 의한 인지과학분야의 형성은 학문에서의 융합적 움직임을 활발하게 했고, 정보기술의 발달에 힘입은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가 융합의 사회적 확산을 촉진하는 기반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사회의 탈경계, 탈중심, 탈장소, 혼성적 특성은 융합의 행위 및 결과물 자체 보다는 융합이 결과물이 사회·문화와의 관계에 있어 새로운 연결을 창출해낼 수 있는 잠재성 및 영향력이 융합의 개념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융합디자인의 개념을 `융합의 과정이 결과물의 특성 형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행위로서, 그 결과물은 내·외부적으로 새로운 연결 및 절합 과정을 촉진시켜 사회·문화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태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디자인`으로서 파악했다. 나아가 결과물과 사회·문화와의 상호 관계성 중심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상호 혼성적 디자인`의 개념을 제시했다. As movements of `convergence` are prevailing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nterests in convergence increases even in the field of design. Because design has been developed in close connections with art, technology and industry, however, the convergence should be reinterpreted, unlike other fields. In this current paper, the convergence are explored in terms of historical, social and conceptual aspects. This work showed that the convergence movements in academic fields was facilitated by the formation of cognitive sciences induced b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ciences, and that social diffusion of convergence movements was based on significants changes in society induced by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dvanced network system. It implies tha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crossing, decentration, displacement and hybrid, the convergence can not be interpreted only in terms of convergence itself or the outcomes of convergence. Rather, we should focus on other characteristics of converged outcomes such as potentialities and influences that convergence gives rise to new social and cultural connections.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convergence design was defined as `design activities that process of convergence is strongly influence on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s, and these have characteristic ways of potentiality which brings social and cultural changes by giving impetus to the new networking and condivergence progress.` Being focused on interactions between converged outcomes and society and culture, the concept of `Inter-hybrid design` were suggested.

      • KCI등재

        이동통신사 전용서체의 브랜드 터치포인트 분석 - KT olleh와 SK Telecom T를 중심으로 -

        이가영 ( Lee Ka Young ),강혜승 ( Kang Hae Seung ),김지인 ( Kim Ji 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제품 뿐 아니라 제품과 관련된 환경의 여러 요소에 통합적으로 디자인 규칙을 적용하여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구현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통합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통합 디자인의 효과는 데이비드 아커와 스콧 데이비스 그리고 마이클 던이 제안한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 이론에서 볼 수 있듯이 기업이 소비자와의 만나는 순간인 브랜드 터치 포인트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극대화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 모형을 기반으로 이동통신사 KT olleh와 SK Telecom T의 전용서체가 각각의 브랜드 터치포인트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고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의 첫 번째 단계인 구매 전 경험에서의 전용서체의 활용을 확장시켜야 한다. 기존 소비자뿐만 아니라 잠재 소비자도 간접적으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는 요소인 만큼 전용서체 활용의 비중을 확대시켜 소비자에게 기업의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각인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브랜드 터치포인트 휠의 두 번째 단계인 구매 경험에서의 구성요소에 전용서체의 활용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직접 구매하고 체험하는 단계인 만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전용서체를 구매 경험의 구성요소에 지속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브랜드 이미지를 명확하게 각인시켜 기존 소비자와 잠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사 터치포인트 요소에 전용서체를 활용함으로써 경쟁 기업과 차별화시켜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기업의 정체성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이미지를 통일감 있게 전달할 수 있다. 기업이 소비자와 만나는 매순간마다 전용서체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기업의 이미지와 가치를 일관성 있게 통일시키는 중요한 기업 전략이 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design which tries to increase the identity realizing effect by applying the design rule synthetically to not only products but also various elements of circumstance related with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As it can bee seen in the brand touchpoint wheel theory of David A.Aaker , Scott M. Davis and Michael Dunn, the effect of integrated design can be maximized by applying the element of the brand identity at every brand touchpoint, the moment which a corporation meets a customer.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how corporate identity typeface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KT olleh and SK Telecom T, are realized at each brand touchpoint on the basis of the brand touchpoint wheel model, and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use of corporate identity typeface during the experience before purchase which is the first step of the brand touchpoint wheel should be expanded. Because it is the element which not only existing consumers but also potential consumers can get information indirectly, it should imprint the image and identity of a corporation on consumers by expanding the proportion of application. Second, the application of corporate identity typeface for the components of purchase experience which is the second step of the brand touchpoint wheel should be intensified. Because it is the step which consumers personally purchase a product they want and experience, it should offer information to existing consumers and potential consumers and satisfy the purchase desire of consumers by clearly imprinting the brand image by continuously exposing corporate identity typeface to the components of purchase experience directly of indirectly. By using corporate identity typeface for such touchpoint eleme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it can differentiate from competitors and deliver the identity of a corporation, brand identity and image unifyingly to consumers emotionally. It can be the important corporation strategy which unifies the image and value of a corporation consistently by exposing corporate identity typeface directly or indirectly at every moment that a corporation meets a consumer.

      • KCI등재

        대한민국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단 단복의 변천과 디자인 분석

        김건임 ( Gun-im Kim ),강혜승 ( Hae-seung Ka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본 연구는 역대 올림픽에 출전했던 대한민국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단들이 착용한 단복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단복의 디자인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단 단복을 1948년부터 2012년까지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을 4회씩 나눠 4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48년~1960년으로 볼 수 있는 1시기에는 짙은 컬러의 상의와 옅은 색의 하의가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1964년~1976년으로 볼 수 있는 2시기는 대표적으로 컬러의 변화가 보여 지며 초기 2회는 짙은 색 상의에 옅은 색 하의였다가 후기 2회는 상·하의가 같은 색으로 디자인 되었다. 셋째, 1984년~1996년의 3시기에는 초기 2회는 스카이블루 재킷과 화이트 컬러의 하의가, 후기 2회는 화이트 재킷에 화이트 하의가 착용되었다. 마지막으로, 4시기인 2000년~2012년 시기는 단복 대표 컬러로 네이비 컬러와 화이트 컬러가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후속 연구 및 국가대표 선수단 단복 디자이너에게 여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미흡했던 국가대표 선수단 단복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reviewed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olympic team uniforms and analysed how the design changed accordingly. The 4 periods, including 4 Olympic Games each, which are held every 4 years, between 1948 and 2012 were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1948 to 1960, the uniform was characterized with a dark colored top and light colored bottom. Secondly, during the second period between 1964 to 1976, the uniform color changed. It was a dark colored top with light colored bottom for first 2 olympics, but the same color top and bottom for last 2 olympics. Thirdly, during the third period between 1984 to 1996, it had a sky blue jacket and white colored bottoms for first 2 olympics and a white jacket and white bottom for last 2. Lastly, during the forth period between 2000 to 2012, navy and white color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olympic team uniform designers, and could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national team uniforms which was an area lacking sufficient information.

      • KCI등재

        VMD 구성요소에 따른 백화점 영캐주얼 매장에 관한 연구 - 롯데, 신세계, 현대백화점 중심으로 -

        정회연 ( Jung Hoe-youn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국내 3대 백화점 영캐주얼 매장의 VMD구성요소를 분석한다. 구성요소를 공간적 요소, 진열적요소, 연출적 요소, 서비스 요소로 구분하고 이에 의한 구성 요소를 통해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첫째, 공간적 요소는 동선에서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롯데백화점은 가장 전통적인 미로식과 바둑판식, 신세계백화점은 선호도가 높은 S자형, 현대백화점은 고객의 매장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변형 S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진열적 요소에는 조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롯데백화점은 고조도로 상품에 대한 집중도를 높였으며, 현대백화점은 매장의 고급화 전략으로 저조도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연출적 요소에서는 신세계백화점이 합리적 공간의 사용으로 활용도가 높았으며,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이 유도 포인트를 이용하여 고객 견인을 시도하고 있었다. 넷째, 서비스 요소에는 신세계백화점이 고객층을 배려한 서비스 공간과 휴게 공간이 색과 소재를 강조한 복합 공간으로 구성되었고, 현대백화점은 자연친화적 공간을 구성하여 가장 고객의 편의를 고려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발적 구매 결정에 효과적인 시설 편의가 강조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visual merchandising elements of the Top 3 department stores of South Korea. The elements of visual merchandising consist of spatial, display, presentation, and service element.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and identify these elements in each department sto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regards to the spatial element, the most noticeable difference was in the stores` layouts. In order to lengthen the time of stay of the customers, Hyundai Department Store differentiated its materials. In addition, environmentally friendly columns were emphasized. Each department store had distinct layouts. Lotte Department Store had the most traditional maze and chessboard layout, while Shinsegae Department Store had the widely preferred S-shape layout, and Hyundai Department had a modified S-shaped layout which took customers` variability into consideration. Second, in respect to the display ele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lighting among the department stores. Lotte Department Store had high level lighting which spotlighted the products while Hyundai Department Store applied low level lighting to add sophistication to their display. Third, in regards to the presentation element, Shinsegae Department Store made excellent use of space while Lotte and Hyundai Department Store emphasized customer traction by utilizing many inducement devices. Fourth, in respect to the service element, Shinsegae Department Store had service areas for customer convenience and its rest zones composed of a complex space which emphasized color and material whereas, Hyundai Department Store has shown that it deeply considers its customers` convenience by constructing an environmental friendly space and emphasizes effective facility convenience in voluntary purchase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