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산화단층촬영실 방사선사의 VDT증후군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임상묵,이병남,이강우,Lim Sang Mug,Lee Byeong Nam,Lee Kang Woo 대한방사선사협회 2003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29 No.1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video display terminal (VDT) syndrom and prevent the harm of VDT syndrom Materials and Methods : A questionnarie study was performed with 170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CT room

      • KCI등재후보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B)와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혼합물의 항균시너지 효과

        임상묵,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4

        Purpose :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and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B)/EGCG mixture were investigated against microbes associated with infective keratitis and its possibility as the preservative in the contact lens care solution. Methods :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Serratia marcescens, Candida albicans and Fusarium solai which are ISO required strains, were inoculated in each liquid media and then activated for 24 hours at the optimal temperature of each strain. Activated strains were incubated for 12 hours using 96-well plate on media containing 0.0000125~0.0004% of PHMB and 0.0025~0.3% of EGCG. The PHMB/EGCG mixture contain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0.00005%) of PHMB and 0.0125~0.1% of EGCG. Optical density of the culture media were measured at 600 nm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Result : The MIC of EGCG against ISO required infectious microbes were higher (100-1,500X) than that of PHMB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EGCG was low. MIC of PHMB/EGCG mixture against ISO required strains were 0.00005%/0.05% which is 25% of that of PHMB that PHMB/EGCG mixture showed higher microbial activity. Conclusion : PHMB/EGCG mixture showed synergistic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ISO required infectious microbes that could lower PHMB concentration in the multipurpose solution. The results get in this study will be cornerstone in the development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목 적: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와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혼합물의 각막염유발 균주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사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항균제로서의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규정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칸디다 알비캔스(Candida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i)를 각각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각 균주들의 적정배양온도에서 24시간동안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균주는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PHMB와 EGCG를 각각 0.0000125~0.0004%, 0.0025~0.3% 함유한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였고, PHMB/EGCG 혼합물은 PHMB 최소저해농도(MIC, 0.00005%)와 0.0125~0.1%의 EGCG가 포함되도록 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후 항균력은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한 EGCG 최소저해농도는 PHMB보다 높아(100~1,500배) 항균력은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PHMB/EGCG 혼합물의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00005%/0.05%로 PHMB 최소저해농도의 25% 수준에서도 충분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PHMB와 EGCG 혼합물은 ISO 규정 안질환 균주에 대하여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다목적용액에 사용하는 PHMB 농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 결과는 콘택트렌즈 관리용액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Polyhexamethylene biguanide의 항균시너지 효과

        임상묵,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3

        목 적 : 합성보존제 성분인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와 PHMB가 첨가된 다목적용액의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규정한 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비교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적합한 PHMB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항균력 측정을 위하여 배양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칸디다 알비캔스(Candida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i)를 각각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각 균주들의 적정 배양온도에서 24시간동안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균주는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PHMB 용액과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의 PHMB 농도가 0.0000125%~ 0.0004%인 배양액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생육억제를 나타내는 최소저해농도는 순수한 PHMB가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에 비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나 마르세센스, 칸디다 알비캔스에서 2배 높게 나타났다.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0.0002% PHMB 농도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규정한 균주에 대한 충분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결 론 :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PHMB의 농도는 순수한 PHMB 최소저해농도보다 낮지만, 용액에 포함된 다른 첨가물에 의해 항균시너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urpose : To investigate effective PHMB concentration for the contact lens care solution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ure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 and PHMB contained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required microbes. Methods : Activated for 24 hours in culture media Staphylococcus aureus (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Pseudomonas aeruginosa (PA), Serratia marcescens (SM), Candida albicans (CA) and Fusarium solani (FS) were cultured for 12 hours in the media containing PHMB and multipurpose solution contained 0.0000125%~0.0004% of PHMB respectively using 96-well plate. Optical density of the culture media was measured at 600nm to compare the antibiotic and antifungal effects. Results :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suppress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ure PHMB were twice as high as that of PHMB contained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SA and MRSA, PA, SM and CA. The PHMB concentration of 0.0002% was shown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ISO required microbes. Conclusion : The MICs of PHMB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ISO established microbes were lower than those of pure PHMB because of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 KCI등재
      • 건설사업관리 지원을 위한 토목 BIM 개념 모형 수립

        임상묵 ( Sang Muk Lim ),정근채 ( Keun Chae Jeong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2 建設技術論文集 Vol.31 No.2

        최근 토목 분야의 건설 프로젝트가 대영화, 복잡화, 되면서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의 업무 난이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에 몇몇 선진적인 프로젝트에서는 CM 업무의 지원을 위해 건설정보모델링기법(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의 도입을 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의 6대 서비스 분야인 프로젝트관리, 원가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프로젝트행정 및 계약관리, 안전관리 관점에서 BIM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분석함으로써, 토목 분야 BIM을 통해 CM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과 데이이터베이스를 정의함으로써, 건설사업관리 지원을 위한 BIM 개념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목 BIM 개념 모형이 구현되어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된다면, CM 업무가 보다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level of difficulty fo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M) becomes higher and higher, since construction projects become larger and more complicated. Therefore, some advanced projects start to introduc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supporting CM services. In this paper, we survey BIM based projects from CM service viewpoints, such as Project Management, Cost Management, Time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Project and Contract Administration,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n, we analyze problems and drawbacks of BIM and draw Improvement method for them, Base on the results from the case studies, we set up a conceptual BIM for be performed more systematically and easily if the proposed conceptual model will be implemented an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area of civil engineering.

      • KCI등재

        한국잔디에 대한 Prohexadione-calcium의 생장 억제 효과

        임상묵(Sang Muk Lim),최봉수(Bong Su Choi),우선희(Sun Hee Woo),이철원(Chul Won Lee) 韓國雜草學會 2011 Weed&Turfgrass Science Vol.31 No.2

        본 연구는 예초 직후에 prohexadione-calcium을 처리하여 잔디의 생장 실태를 조사하였다.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이나 골프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한국잔디의 예초 직후 prohexadione-calcium의 농도를 달리하여 엽면 처리한 결과 무처리와 비교하여 잎의 생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rohexadione-calcium의 1회 처리로도 그 효과가 처리후 50일까지 잎의 생장이 46~50%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엽폭도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무처리에 비하여 좁아졌다. prohexadione-calcium 처리후 건물중의 변화를 보면 처리후 2주후부터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건물중이 작았으며 처리 40일까지도 건물중의 증가가 무처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엽색도는 prohexadione-calcium의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s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as affected by prohexadione-calcium foliar application for the effective labour saving and cost down management in the lawn yard, field and golf course etc. The leaf growth of zoysiagrass treated with prohexadione-calcium one day after mowing was significantly slow compared to the untreated plot. And the effect was continued up to 50 days. The growth inhibition rate at the treated plot was 46 to 50% compared to untreated plot and the leaf widths treated with prohexadione-calcium were narrower than control plot. The change of leaf dry weight 10 days after prohexadione-calcium treated was significantly shown less speedy than untrated plot and the results were continued up to 40 days after application. The SPAD values of the leaf colour were increased in the treated plots and continued for 40 days more.

      • KCI등재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Polyhexamethylene biguanide의 항균시너지 효과

        임상묵,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12 대한시과학회지 Vol.14 No.3

        목적: 합성보존제 성분인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와 PHMB가 첨가된 다목적용액의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규정한 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비교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적합한PHMB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항균력 측정을 위하여 배양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 마르세센스(Serratia marcescens), 칸디다 알비캔스(Candida albicans), 푸사리움 솔라니(Fusarium solai)를 각각의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각 균주들의 적정 배양온도에서 24시간동안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균주는 96-well plate를 사용하여 PHMB 용액과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의 PHMB 농도가 0.0000125%~0.0004%인 배양액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생육억제를 나타내는 최소저해농도는 순수한 PHMB가 PHMB를 첨가한 다목적용액에 비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나 마르세센스, 칸디다 알비캔스에서 2배 높게 나타났다.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0.0002% PHMB 농도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규정한 균주에 대한 충분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결론: 다목적용액에 포함된PHMB의 농도는 순수한 PHMB 최소저해농도보다 낮지만, 용액에 포함된 다른 첨가물에 의해 항균시너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investigate effective PHMB concentration for the contact lens care solution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ure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 and PHMB contained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required microbes. Methods: Activated for 24 hours in culture media Staphylococcus aureus (S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Pseudomonas aeruginosa (PA), Serratia marcescens (SM), Candida albicans (CA) and Fusarium solani (FS) were cultured for 12 hours in the media containing PHMB and multipurpose solution contained 0.0000125%~0.0004% of PHMB respectively using 96-well plate. Optical density of the culture media was measured at 600nm to compare the antibiotic and antifungal effects. Result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suppress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ure PHMB were twice as high as that of PHMB contained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SA and MRSA, PA, SM and CA. The PHMB concentration of 0.0002% was shown effec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ISO required microbes. Conclusion: The MICs of PHMB in multipurpose solution against ISO established microbes were lower than those of pure PHMB because of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