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로서의 현대 안에서 본 한국 신종교의 여성관 -금강대도(金剛大道)를 중심으로-

        이상임 ( Sang Im Lee ),전석환 ( Suck Hwan Jun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시간적 공간을 `현대`라고 명명하는데, 그 현대라는 용어에 상응하는 사회형태는 대략 18세기 말부터 형성되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기계론적 세계상의 반영인 현대를 움직이는 추동력이 `과학주의적 기획(企劃)`이라는 뜻에서 현대의 실현과정은 `프로젝트`라는 말로 자주 표현되곤 한다. 이러한 사고 양식은 이미 르네상스 이후 F. 베이콘의 학문의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에 들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 날의 현대는 그런 목표로 제시되었던 이상(理想)은 쇠퇴하고, 오히려 그 역기능이 많은 부분에서 노정된다. 그것은 물질적 대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인간 삶의 유기체적 구성요소들을 현대세계의 발전 전개라는 미명하에 주변부에 위치시키면서, 부단하게 `타자화`시키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 있어 가장 큰 모티브는 한국 여성의 문제가 발전적 전망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주류 담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기에 그 해법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는 당위성 때문이다. 현대가 탈종교화의 특징으로 규정됨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여전히 인간 삶과 연관된 중요한 사회적 구성요소를 이룬다는 전제로, `한국여성의 사회적 지위`에서 보이는 `상대적 주체화`라는 현상에 대한 극복 대안의 제시를 시도한다. 그러한 해답찾기의 시도는 아직도 남성을 위주로 한 가족 중심의 구조와 그 안에 짙게 드리운 남존여비사상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의 문제는 총체적으로는 새로운 가족 모델의 개발 여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금강대도`를 통해 본 남녀평등사상은 `전통 안에서 현대`, `현대 안에서 전통`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의 대안적 가족문화 창조의 이념과 그 실천전략에 많은 시사를 던져 주고 있다. The temporal space where we live in is called as `the modern times,`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social form responding to the term `the modern` had began roughly speaking at the end of 18C. However, the process of realization of the modern is used to say as `project` in terms of the impulse to move the modern which reflects a picture of the mechanical world is `scientific project`. Such a thinking pattern already has been embeded in Francis Bacon`s need of the shift/change of methodical paradigm after the Renaissance. But as we know in the modern the ideal presented as the goal has been declined, on the contrary it reveals the dysfunction in many ways. However, it is not only the superficial fact of the simple contrast that the meaning of these examples implies that the danger of philosophy degraded into `the maid of science`. It means that it is continuously making `the otherness` with marginalizing the organic constituents of our human lives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material objects in the name of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world. This essay is going to examine about the viewpoint of the woman in Korean New Religion based on the problem of the otherness. The main motive of this research is that in spite of the problem of the Korean woman has a developmental prospect, since it is still treated as the private which is rather far from main discourse, it is because the justifiability of the urgency of the discussion about the solution. In spite of the modern characterized by `dereligionization`, on the premise that religion is still a important social element related with our lives, this essay tries to suggest an overcoming alternative about the phenomenon of the relative subjectification seeing from the social status of the Korean woman. Such an attempt to find out the answer to the issue which is how to confront with the male-centered family oriented structure and the idea embeded within itself that men are superior to women, seems to be depended on the development of new family model in general. The idea of equality of sexes from the viewpoint of `Kumkangdaedo` suggests many things on the idea of alternative familial culture in the future and its practical strategy in terms of having `the modern within the tradition,` `the tradition within the modern`.

      • KCI등재

        한.영 드라마에 나타난 헤지(hedges) 표현 연구

        이상임(Lee, Sang-I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드라마 대본자료에 나타나는 헤지(hedge) 개념과 특징을 밝히고, 화자들의 발화에서 무슨 목적으로 어떻게 이러한 표현을 활용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헤지의 경우에는 화용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같은 상황에서의 같은 표현이라도 언어권 별로 용인되는 정도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어의 헤지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언어권에서 헤지(hedge)가 어떠한 모습으로 수행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영어에서 실현되는 헤지(hedge)의 양상을 위한 연구 자료로 한국 드라마와 미국 드라마의 대본을 선택하여 비언어적, 어휘나 구, 문장을 이용한 헤지의 사용을 살펴본다. 자료에서 헤지를 추출하여 담화 분석 자료에서 나타난 헤지를 Grice(1975)의 격률과 관련된 헤지(hedge)로 나누어 담화 분석을 하였다. 헤지는 통상적으로 대화의 격률을 위반하기 때문에 함축이 발생한다. 미국 드라마 대본과 한국 드라마 대본을 분석한 담화 분석 자료의 구성은 질의격률, 양의격률, 관계의 격률, 태도의 격률로 나누워서 분석 해 보고 각 격률별 담화 분석을 통해 헤지의 유형과 기능을 알아본다. 헤지의 궁극적 목표는 대화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효과로부터 청자로 하여금 수용하기 쉽게 하고 청자가 그것에 반대하여도 그로 인한 상처를 완화하기 위함이다. 즉 화자는 자신의 요구 사항을 줄여 말하거나 부드럽게 전달할 수도 있고, 좀 더 공손하게 말함으로써 자신의 요구가 받아들여지게 만들 수 있게 하고 청자에게 덜 위협을 주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hedge and hedge expression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TV Drama scripts and also to analyse what purpose it is when we converse with others in daily life. In order to explain hedges,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the non-verbal, morphological-lexical, syntactic, and discourse-pragmatic level (the Gricean maxims: Quality. Quantity, Relevance, and Manner maxims). We may use hedges in order to express our feeling or make the information more acceptable to the listeners during the conversation. Hedges share their role and function with other pragmatic categories: for example, modality, mitigation, and politeness. As results, the major motives of hedges to perform were found to be a expression of judgement reservation, performative weakening and face-threatening acts are redressed with hedges on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act.

      • KCI등재
      • KCI등재

        국가(國家)와 덕(德)의 실현(實現) -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李相任 ( Lee Sang Im )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8 No.-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국가는 더 많은 물질의 획득과 소비의 기회를 제공하여 국가 구성원들을 만족시키려는데 급급해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국가경영에 있어서 정치는 윤리와의 균형을 잃고 모든 것은 경제논리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가는 그 구성원들의 물질적 측면뿐만 아니라, 의식적이고 정신적 측면까지 배려해야 하며, 그 구성원들이 자신을 인간답게 실현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그 최종 목표를 다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 각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사상가들 중의 하나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에서 나타나는 국가 안에서의 덕 실현의 문제를 다룬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 각각에 있어서 표현은 조금 다르지만, 그 전제는 ‘국가는 도덕적 제도이며, 국가의 통치자는 도덕적 지도자이어야 한다’는 주장을 함축한다. 그리고 그러한 주장은 현대정치의 형식화된 이념을 도덕 실천적 이념으로 작동케 하는 단초로 이해된다.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전개된다. 무엇보다 먼저 국가의 본질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가 개념에 대한 일반적 이해는 본 논문의 주제를 벗어나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에 있어서의 국가개념 이해에 그 범위를 한정한다. 두 번째는 국가 안에서 윤리와 정치의 관계를 고찰한다.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 모두에게 있어 국가는 인간의 덕 실현의 장이다. 이런 과정에서 정치와 윤리는 뗄 수 없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는 각각 다른 인간관 때문에 양자에서 나타나는 정치와 윤리의 정위관계는 상이하다. 본 장에서는 이러한 상이한 관계를 비교 논의한다. 마지막 장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맹자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윤리와 정치의 관계구조 때문에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국가 안에서의 덕 실현의 문제를 비교의 차원에서 논의한다. It seems that in a modern society the management of a nation is only focused on the economic growth, and as a result the politics often loses a bal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ethics. However, it seems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a nation is to take good care of the mental aspect of the people as well as the material aspect. Thus a nation should be a place to realize themselves for it's members. From this perspective Mencius and Aristotle will be of good models who perspectively represent the thoughts of the East and the West. It is because both of Aristotle and Mencius is similar to claim that a nation is a moral institute and a leader of the government should be moral, despite the difference of their thoughts. In this essay the meaning of a nation in Aristotle and Mencius is discussed as a place for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achieve their virtues. Thus the relation between the politics and the ethics is inseparable in a nation. However, due to their difference of the viewpoint of human beings the priority between politics and ethics becomes different in each of their thoughts. Finally it will be shown that the method of achieving the virtue will be distinct owing to their difference of the priority.

      • KCI등재

        ‘판단의 한 과정’의 측면에서 본 주역의 ‘기미’

        이상임(Lee, Sang-Im)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인간 삶의 실존은 항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는 과정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주역』 역시 “역을 지은 자는 우환이 있었을 것이다.”1)라고 말한 것에서도 그런 사실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역은 개인 또는 사회나 국가가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떻게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어떻게 행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주역』 에서는 영원히 벗어날 수 없는 절대적인 불행이나 영원히 지속적인 행복이란 없다. 비록 위험한 상황에 빠져있을지라도 벗어날 길이 있고 행복도 지나치면 불행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주역에서 보는 인간은 항상 자신의 외적 상황과 내적 상황을 파악하여 스스로 변화해 나가야 한다. 말하자면 탁월한 선택을 통해 어떤 순간에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인간은 길하게도 될 수 있고 흉하게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역』 에서는 문제해결 방법으로서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그에 따르는 결단력 있는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주역』 에서 ‘기미’는 이러한 판단과 결단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소개된다. 기미라는 용어의 일차적 의미는 일이 구체적으로 완전히 드러나기전 어떤 사태의 미미한 조짐이다. 따라서 기미를 본다는 것은 아직 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앞으로의 상황 전개에 따른 길흉을 예측함으로써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미의 의미에 붙여『주역』에서 점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즉 “모든 일에는 반드시 그 조짐이 있다. 그것은 어떠한 일이 발생하는 것이 결코 우연이 아니라는 뜻이다. 조짐을 보고 앞으로 발생할 일을 아는 것이 점이고 그 일에 대비하고자 하는 것(避凶趨吉)이 점을 치는 목적이다.”2)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주역 에서 기미를 아는 것이 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건이 되며, 실제로 일련의 판단 과정 중의 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선언적으로 전제한다. 그러한 전제에 기초해서 이 글에서는 첫째는 『주역』에 나타난 기미의 총체적 의미를 설명하는 가운데 그 의의를 고찰하고(II), 둘째는 『주역』의 구조이해를 통해 기미 파악의 근거를 살펴보고 (III), 셋째로 기미를 파악할 수 있는 전제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IV), 넷째로는 기미의 파악 후 그것이 어떻게 판단의 한 과정으로 연결되면서, 실천으로 연결되는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V). It appears that the origin of I Ching comes from the issue of what kind of decision should one make in danger. It seems pivotal to grasp the springs(ji) of things to judge the situation in I Ching. In fact, knowing the spring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serial processes of decision making. The springs are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So he who knows these springs, predicts the future and makes a decision can be called sprit-like, since he have achieved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penetrating heaven, earth, and man.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is grounded on the structure of I Ching. It is because I Ching contains the forms and principles of heaven, earth, and man. It means that the whole universe are the organic unity and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a human being as a part of the whole can know what I Ching reveals. However, knowing the springs of things requires morally good character. Since the whole direction of I Ching is pointing toward achieving morality, in order to catch the slight beginnings of movement that I Ching indicates requires moral character. In this point I Ching is similar to Aristotle. Aristotle argues that happiness comes from the virtuous activity and in oder to act virtuously one needs both the moral virtue as well as the intellectual virtue, especially philosophical wisdom. It is because the moral virtue is guiding the direction and the intellectual virtue finds out the way. Thus morally good character becomes a key point. Only a morally upright man can see the springs of things, and act accordingly without waiting for (the delay of) a single day. It is because he is firm as a rock and do what is right without calculating his interest at all. He knows what is the really good for him. It seems that here I Ching provides the solution for the gap between knowing and acting, that is, people knows what is right but still not willing to do it. I Ching provides the reason why we should act right.

      • KCI등재
      • KCI등재

        타자를 향한 연민에 대하여

        이상임 ( Sang Im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9 No.-

        장자와 루소는 인간은 사회 속에서 고통스럽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통의 원인은 문명화된 사회 속의 모든 인위적인 제도 규범 때문이며, 특히 이런 인위적인 소산물에 의해 끊임없이 조장되는 욕망추구는 인간의 본성을 잃게 하고 자기 자신에게도 낯선 사람이 되어버리는 자기소외를 초래하게 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문명과 사회를 벗어날 수 없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장자와 루소는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여 살았지만 무엇보다 사회 안에서 타자를 향한 연민을 가질 것을 역설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감대를 형성하는 듯이 보인다. 즉 타자와 나는 상호의존적 상호평등적인 자유로운 존재이고 상호 존중되어야 하는 존재라는 인식이 문명과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장자와 루소가 말하는 사회와 인간의 갈등관계에서 생기는 고통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로는 첫 번째에 논의된 내용을 전제로 장자와 루소가 말하는 사회 속의 인간의 고통의 원인에 대해 고찰해본다. 셋째로는 그러한 고통의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에 대해 고찰해본다. 즉 루소는 사회 속에서 타자에 대한 연민을 가질 것을 명시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반면 장자는 간접적으로 타자에 대한 연민을 호소하고 있다. 마지막 장은 이상에서 논의한 문제들을 비교의 틀로 삼아 양자의 관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Chuangtzu and Rousseau diagnose that human beings are suffering in society. And the reason of the suffering is all of artificial institutions and norms in civilized society, especially human beings lose their nature and become alienated to themselves due to the pursuit of desire which is continuously aggravated by these artificial products. Nevertheless man cannot escape from the civilization and society. Then what man can do? As an answer to this question, although their time and space are different, Chuangtzu and Rousseau could seem to agree that man should have a pity toward others in society. That is, it reminds us that the realization that the other and I are all interdependent and coequal free beings and should have mutual respect, is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from civilization and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first, it will be examined how man is suffering from the conflict in a society in Chuangtzu and Rousseau. Secondly, based on the previous examination, it will be explored what is the reason of the suffering of human beings in a society. Then the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which is, pity will be discussed. Finally, their thoughts will be analyzed and compared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 KCI등재

        만 4세 유아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시간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

        이상임(Lee, Sang-Im),한종화(Han, J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놀이에 나타난 수학적 경험을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여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 4일부터 2018년 2월 23일까지 푸른반 유아 21명의 오전과 오후 실내자유 선택활동 시간 놀이를 관찰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만 4세 유아의 수학적 경험은 ‘수학 개념을 구성하는 수학적 경험’과 ‘수학 과정 기술을 적용하는 수학적 경험’의 두 범주로 분석되었다. 유아는 놀이 속에서 만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숫자로 기록하고 표로 정리하고, 길이를 측정하며, 다음에 무엇이 올지 예측해 보고, 물감 놀이 속에서 대칭 개념을 찾아내었다. 이와 같이 놀이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경험은 유아의 수학 개념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하기, 연계하기, 표상하기의 수학 과정 기술을 적용하여 수학 개념과 사고를 확장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놀이가 유아에게 의미 있는 수학적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따라서 유아수학교육을 위해 놀이의 가치가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4-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ir mathematical experience during their pla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bserved morning and afternoon indoor free choice activity time of 21 four-year-old- children in Fuleunban from December 4, 2017 to February 23, 2018. The collected data suggest that four-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was composed of ‘mathematical experience which constructs mathematical concept’ and ‘mathematical experience which applies mathematical processes skill’. Children recorded numbers, drew charts, measured lengths, predicted what would come next, and found the concept of symmetry with watercolor play to solve the problem encountered in their play. As shown above,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 encountered during their free choice activity time played a role of constructing their mathematical concept. Also, such experience helped to expand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thinking by applying mathematical process skills, such as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reasoning, and represent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play provides meaningful mathematical experience for children that the value of play must be treated more importantly for children’s mathematical education.

      • KCI등재

        벗에 대한 고찰 - 『논어』와 『아함경』을 중심으로

        이상임(Lee Sang-Im)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논어』와 『아함경』 안에서 벗과의 관계는 인간의 기본적 윤리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벗과의 관계는 생래적이 아닌 선택적 관계이지만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는데 아마도 가장 필수적인 관계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인간은 공동체 안에서 자신을 완성해나가며 또한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과 공동체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는 벗이 부각되고 좋은 벗을 사귄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는다. 흥미로운 것은 공자와 세존 모두 자기만 같지 못한 사람을 벗 삼는 것에 대해 경계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주장은 공자와 세존이 강조하는 ‘인’과 ‘자비’에 반하는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첫째로 자연적인 귀추라는 것, 그리고 둘째로 악으로 향할 수 있는 인간의 경향성에 대한 경고라는 점에서 중요한 관점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In Confucianism and early Buddhism the relation between friend and friend is defined as one of the foundational ethical relations. Even 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is not what is given but can choose, the relationship is considered perhaps as the most necessary thing in communal life. Because human beings affect their community as well as they accomplish themselves within their commun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keeping good company is brought out, who takes a role of the bridge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communit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both of Confucius and Buddha warns making a friend who is not as good as oneself. This kind of claim seems against benevolence and compassion which Confucius and Buddha emphasize. However, it can be concluded as the important point from the perspective that first, it is the a natural consequence and second, it is a warning against the possibility of human inclination toward evil.

      • KCI등재

        사람 치주인대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와 니코틴으로 유도된 iNOS와 COX-2 발현에 NFATc의 관여

        이상임 ( Sang Im Lee ),유지수 ( Ji Su Yu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6

        Although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 (NFAT) plays a key role in inflammation,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mechanism of action in periodontitis are still unknow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FAT on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activ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plus nicotine stimulat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PDLC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was evaluated using Griess reagent and an enzyme immunoassay,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NFAT proteins was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LPS plus nicotine synergistically induced the production of NO and PGE2 and in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OS, COX-2 and NFAT. Treatment with an NFAT inhibitor blocked the LPS plus nicotine-stimulated NO and PGE2 release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Our data suggest that the LPS plus nicotine-induced inflammatory effects on hPDLCs may act through a novel mechanism involving the action of NFAT. Thus, NFAT may provide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associated with smoking and dental pla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