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학교의 전환교육 실천수준

        이근용,박정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06 지적장애연구 Vol.8집 No.3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and it's implementation capacity in schools for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type of establish, district, and size of population.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is consist of total 45 items, which are 31 items related best practice for transition education, and 14 items related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greement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of schools for developmental delay is high regardless of type of establish, district and size of population. Agreement level of education in transition is higher in national schools,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and more size of population. Agreement level of cooperation in transition similar with that of education in transition. This is the reason that the necessity of transition in schools for developmental delay is requested regardless of type of establish, district and size of population. Second, application level of transition education of schools for developmental delay is common according to type of establish, district and size of population. In specific, application level of education in transition of schools for developmental delay is common than application level of cooperation in transition which are less than application level of education. application of education and cooperation in transition is higher in national schools,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and more size of population. Location of schools and type of establish have an influence on application level of cooperation in transition for developmental delay. Third, level of implementation capacity for transition is more than common. level of implementation capacity is also higher in national schools,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and more size of population. >이 연구는 정신지체 고등부 특수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전환교육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전환교육 실천수준과 실행역량 수준을 알아보고, 설립별, 지역별, 학생규모에 따라 전환교육의 동의와 실천에서, 그리고 실행역량에서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전환교육 실천사항 31문항과 실행역량 14문항 총 45문항으로 선행연구와 문헌을 참고로 구성했고, 신되도와 타당도 검사 후 사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전환교육의 동의수준은 전반적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변인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전환교육의 실천수준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천과 협력실천에서 전자의 경우, 설립별에서 국공립 정신지체학교에서 높게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후자의 경우, 협력실천에서 학생규모가 클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행역량 수준은 평균 이상을 보였으나, 변인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주제어> 전환교육, 협력, 최상의 실천사항, 정신지체 특수학교

      • KCI등재

        풍류사상이 융복합시대의 소통에 주는 함의

        이근용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2

        풍류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도 새로운 문화예술의 발생과 흐름에 관한 연구에 꾸준히 풍류를 불러내고, 풍류와 연관시켜 논의를 진행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빠뜨렸거나 다소 소홀히 다루었다고 여겨지는 풍류의 심정적 감응이나 공감, 정서적 반응이나 파급과 같은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풍류가 담고 있는 풍부한 의미 중에는 감정적 열기와 같은 기운의 흐름이나 소통과 연관시켜 볼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하리라고 보는 것이 논의의 출발점이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늘 주요 사회문제 중의 하나로 거론되는 소통의 부족이나 부재를 해결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를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 의도도 이 연구를 하게 된 배경이다. 논의는 기존의 풍류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융복합시대 소통의 특성을 정리해 본 후, 풍류사상이 우리가 사는 현 시대에 주는 몇 가지 함의를 추출하는 순서로 했다. 풍류사상은 융복합시대의 소통이 즐거움 속에서, 공동선, 어우러짐과 조화로움, 화합과 통합, 세움과 나눔 그리고 깨우침을 지향해야 함을 일깨워 준다. Researches on Korean traditional idea of ‘Poongrhu’ have been done continuously in various fields. Whenever the emergence and changing trend of new arts and various cultures have become the themes of research in Korea, ‘Poongrhu’ have been engaged and discuss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emotional part or affectus side of ‘Poongrhu’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ively.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emotional fever and communicational aspect of ‘Poongrhu’ that might have been included in the concept but not seldom treated before. Also, the expectation and intention of finding the clues to solve the problems in our society that communications among the social actors in Korea are not sufficient ar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Reviews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Poongrhu’,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s in the age of current convergence, and suggestions of several implications of ‘Poongrhu’ in this age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Poongrhu’ reminds us the communications in the age of convergence should look forward to common good, harmony, integration, sharing, and enlightenment, with pleasure.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 스트레스와 성인발달장애인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이근용,이은정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Behaviors, Parenting Stress and Challenging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58 parents were surveyed for the study at the G District’s post-secondary education center whose children ar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that addressed the parents’ current parenting attitude, coping up with parenting stress, and understanding their children’s behavior.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parents show affection towards child rearing, and 32.8% of parents are under severe stress. Both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were affected by level of disabilities. Parents think their children have an inner issues more than the outer behavior. Secondly the pain which consist in parenting stress is mutually related to parenting attitudes. When children have difficult temperaments it really affect their behavior, and when parent’s feel more pain about their children they show rejection and control of child rearing attitudes than others. Therefore, for helping behavio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nee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 cope with stress. The social supports are help parents according to their life-long, type of disabilities, level of disabilities, and stress rating.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를 분석하여 자녀의 행동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발달장애인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으로 애정적 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중 32.8%가 매우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과 양육스트레스 모두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성인발달장애인의 행동특성으로 내재화 행동특성이 외현화 행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자녀의 행동특성 간의 상관의 경우 양육스트레스 요인 중 부모가 느끼는 고통이 심할수록 양육태도는 거부적, 통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까다로운 기질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행동특성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발달장애인의 행동지원을 위해서는 성인발달장애인 부모가 긍정적 양육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생애주기, 장애유형 및 정도,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지원방법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Chitosan and Its Derivatives for Gene Delivery

        이근용 한국고분자학회 2007 Macromolecular Research Vol.15 No.3

        Non-viral vectors, including lipid- or polymer-based system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to date as a gene delivery vehicle, due to safety issues with viral vectors. Chitosan, a naturally existing cationic polymer, has shown great potential as a gene delivery carrier, as it has low immunogenicity and toxicity, excellent transcellular transport ability, and is relatively easy to chemically modify. This review summarizes and discusses the general features of chitosan and its applications as a delivery carrier of DNA and RNA.

      • KCI등재
      • KCI등재

        Design Parameters of Polymers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이근용 한국고분자학회 2005 Macromolecular Research Vol.13 No.4

        The loss or failure of an organ or tissue can occur because of accident or disease, for which tissue or organ transplantation is a generally accepted treatment. However, this approach is extremely limited due to donor shortage. Tissue engineering is a new and exciting strategy, in which patients who need a new organ or tissue are supplied with a synthetic organ or tissue. In this approach, tissues are engineer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patients own cells and a polymer scaffold. The polymer scaffold potentially mimics many roles of extracellular matrices in the body. Various polymers have been studied and utilized to date in tissue engineering approaches. However, no single polymer has been considered ideal for all types of tissues and approaches. This paper discusses the design para-meters of those polymers potentially useful in tissue re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