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요통재해 발생현황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이순자 대구보건대학 1994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14 No.-

        If one has wrfidence in backpain without bacilli, on sesulte from one's layiress and ignorance of it, and most cuned with one's positive actionity a well as natural healing power, and puts the following rules into practice, one never seems to to be suffered from backpain disturbance though one's whole life. What is to say, it is the best way for the prevention of backpain that one lives a life always keeping a straight posture precisely, in case of picking up even a piece of paper, one should makes one's body close to the knees as much as possible on the bended nees, instead of bending waist, and then stretches oneself and raises up the kness again keeping still a good posture. In shout, the preventive meascrres for backpain disturbance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Make a balanced actionity 2. Keep healty weight control 3.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backbone 4. Exercise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backbone 5.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 KCI등재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의 활동에 대한 일고찰-개성보승회를 중심으로-

        이순자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58

        이 글은 일제강점기 각 지방 고적보존회의 현황 및 활동을 정리하고, 그 가운데 개성지역을 중심으로 일제의 ‘고적조사’를 빌미로 한 약탈 사례 및 개성보승회의 활동과 개성부립박물관 설립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 활동의 한 면모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제는 식민통치의 논리를 합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식민사관을 마련하였고, 그 일환으로 유적과 유물을 활용하고자 고적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인적ㆍ재정적인 제한으로 전국적인 사업으로 확대하는 데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총독부는 고적조사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면서 이미 1910년대부터 각 지방에서 설립되었던 지방 고적보존회를 파악하였다. 당시 지방 고적보존회는 중앙의 古蹟調査事業을 보조ㆍ지원하는 현지 시행부서의 성격을 지니며, 지역의 고적을 ‘보존’한다는 명목하에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는 전국적으로 설립되어 현재까지 총 50여 개로 파악되는데, 이들 고적보존회의 성격은 지역의 역사적 고적 ‘보존’ㆍ수리, 특정 유적지 보존 관리를 위해 설립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그 외에 임진왜란과 관련된 유적지를 보존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가 포함되었다. 대개는 1910년대부터 시작하여 1930년대까지 꾸준히 설립되었으며, 단순하게 지역의 고적 문화를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지역의 유적을 관광상품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나름의 노력들을 강구하였다. 특별히 일제가 일찍부터 관심을 갖고 고적조사를 실시하였던 지역의 고적보존회는 지방박물관 설립의 모태가 되었는데, 경주ㆍ부여ㆍ평양ㆍ개성ㆍ공주가 그 대상지역이다. 이 가운데 개성지역은 고려의 古都로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던 지역으로 일찍이 일본인 도항자들에 의해 상업 및 고려자기의 약탈 등으로 주목을 받던 지역이었다. 일본인들에 의한 고분 약탈이 심해지자 그 지역의 유적과 유물을 보존코자 1912년에 개성보승회를 관민 합동으로 설립하였다. 그러나 초기에서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 못하였으며, 1930년 개성군의 부제 실시로 인하여 그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기하였고, 그 일환으로 박물관 설립까지 진행하였다. 개성부립박물관은 다른 박물관과는 달리 초기부터 조선인 관장을 두고, 박물관의 건물 또한 순조선풍의 건물로 건립함으로써 조선적인 면모를 드러내고자 노력하였으며, 진열면에서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개성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 특성과 개성박물관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입장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으며, 거기에 박물관 관장의 전문성이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재정적인 한계로 인해 조선총독부와 연계성에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유물 수집의 적극적인 활동 면에서도 미약한 점을 드러내었다. 요컨대 일제강점기 지방 고적보존회를 모체로 발전한 지역 박물관들은 식민사관의 전시공간으로서, 지역의 문화 향상과 교통ㆍ숙박 시설의 마련 등을 통한 관광명소화 작업을 함께 진행시켜나감으로써, 일제 식민통치의 ‘선전’에 역사 유적 및 유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반면, 개성지역의 경우는 일본인들에 의한 고려고분의 도굴로 인한 매장 유물의 무작위 반출 및 약탈이 빈번한 가운데 개성보승회 활동과 개성부립박물관의 설립을 통해 고분 안에 매장되었던 유 ...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activities of each local conservation society of historical remains, investigate the exploitations around Gaeseong at the excuse of “examination of historical remains” by Japan, and review the activities of Gaeseong Boseunghoi and the founding of Gaeseong Burip Museum(개성부립박물관), trying to understand what kind of activities the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engaged in during the Japanese rule.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created a colonial view on history to make the logic of colonial rule legitimate and started to investigate Chosun’s historical remains to utilize its relics and artifacts. However, the personnel and financial restrictions made it difficult to expand the campaign nationwide. Beginning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mains in full scale in the 1910s,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launched an examination of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which were founded to supplement and support the central government’s project of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as local execution agencies and to “conserve” local historical remains. During the Japanese rule,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were set up all over the nation totaling 50 in number. Most of them aimed to ‘conserve’ and repair historical remains of the local areas and monitor certain relics. The remaining few were established to conserve the relics related to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ir foundation continued from the 1910s to the 1930s with the goals of conserving the historical remains and culture of each region and further making local relics tourist destinations. The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areas, which the Japanese rulers had special interest in and made active investigations into, became the matrix for local museums. Those areas include Gyeongju(경주), Buyeo(부여), Pyeongyang(평양), Gaeseong(개성), and Gongju(공주). As an old city of Goryeo, Gaeseong was rich in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nd received Japanese visitors’ concentrated attention to exploit its commercial venues and Goryeo china. In the midst of the severe rampage of ancient tombs in the city by the Japanese,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general public collaborated and set up Gaeseong Boseunghoi in 1912 to conserve the area’s relics and artifacts. In the early days, the association could not do active activitie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1930 when Gaeseong-gun became Gaeseong-bu, however, its activities were put on the track till they founded a museum. Gaeseong Burip Museum, unlike other museums, had a Chosun curator from the beginning and a Chosun-style building to reflect Chosun aspects in every detail. Such characteristics were especially well demonstrated in its display. It’s all due to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s different position toward Gaeseong with its particular local features and the museum. In addition, the curator’s professionalism played a role, as well. However, it’s never free from the ties with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because of financial situations and was not active in collecting artifacts. Local museums that developed from local conservation societies of historical remains during the Japanese rule served as the display space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at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tried to disseminate. They were developed along with tourism projects through enhanced local culture and improved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 Japan tried to make active use of Chosun’s historical relics and artifacts for its colonial “propaganda.” In Gaeseong, the Japanese were ferocious with their relentless smuggling and exploitation of ancient Goryeo tombs. Thus the citizens made efforts to display the remains from the tombs at the modern museum through the activities of Gaeseong Boseunghoi and Gaeseong Burip Museum. In the process, of course,...

      • KCI등재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 자부심을 지닌 유아특수교사로의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

        이순자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iscover the adaptation proces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ing to teaching culture by investigating their professional experiences. In order to do this,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collected data: research journals, collected copies of relevant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ither work at a special class in public kindergartens, or at a private/public special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4 concepts, 35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Second, the paradigm model “being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consists of a) phenomena, b) causal conditions, c) the context, d) intervening conditions, e) strategic actions/interactions, and f) the consequences. Phenomena include “teaching students,” “roles and difficultie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roles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parents,” and “the teacher’s sense of isolation from teacher communication.” Causal conditions include “lack of the solid foundation for the profession and support in isolation.”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 “the support and recognition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takeholders,” “one’s belief in educatio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the degree of one’s understanding of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 Strategic actions and interactions include “establishing one’s foothold by carrying out their responsibilities,” “actively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as well as maintaining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ing the role of priming water while strengthening and showing one’s expertise.” Consequences include “pursuing to settle down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confidence.” Third, the adaptation process is analyzed into the following four phrases: the beginning phrase of “becoming a teach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cond phrase of “performing roles and encountering difficulties,” the third phrase of “learning how to survive,” and the last phrase of “exploring ways to improve.” This study gains its meaning through studying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aptation process; it help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ir teaching life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생활 경험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이들의 교직문화 적응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의 방법을 기반으로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공·사립 특수학교 등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 11명에 대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료로부터 94개의 개념과 35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로 살아가기’의 패러다임 모델은 1)중심현상, 2)인과조건, 3)맥락, 4)중재조건, 5)행위/상호작용 전략, 6)결과로 구성되었다. 중심현상은 ‘유아지도’, ‘통합교육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의 역할과 어려움, 그리고 ‘조직 내 교사의 소외감/위축됨’ 을 포함하고, 인과조건은 ‘유아특수교사직의 기틀 부족과 나 홀로 구조’이다. 맥락은 조직의 풍토, 일반교원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이며, 중재조건은 ‘유아특수교육 관련 당사자의 이해와 인정, 지지 여부’, ‘교육에 대한 자신의 신념’, ‘행·재정적인 지원 여부’, ‘유아특수교사직에 대한 자신의 이해도’가 포함된다. 행위/상호작용 전략은 ‘책무성 다하여 나의 입지 다지기’, ‘원만한 인간관계 맺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다지고 드러내며 마중물 역할 해 내기’가 포함된다. 결과는 ‘자부심 갖고 원만한 정착을 향해 나아가기’가 포함된다. 셋째,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 과정은 4단계인 ‘유아특수교사로 살기’ 시작의 단계, ‘역할 수행과 어려움’의 단계, ‘살아남는 방법 터득’의 단계, ‘개선방안 탐색’의 단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문화 적응과정과 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교직생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 전문성 신장의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4차산업혁명기술을 통한 그린뉴딜의 법정책적 함의 연구 - 융합법적인 연구의 기초와 토대를 위하여 -

        이순자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가천법학 Vol.15 No.2

        환경개선에 대한 국제법적인 의무가 우리 정부에도 부과되어 있는데, 환경개선에 대한 한계의 원인과 진상을 규명하면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인공지능기술 등 4차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것의 가능성과 효과성에 대하여 그동안 미진하였던 새로운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동 안 입법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하는 것은 환경법분야에서도 쉽지 않았고 미진한 점들이 많았다. 입법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전개될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환경법정책에 분석적이며 조화로운 나침반을 제공해 줄 실익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기술이 사회를 변화시켜가고 있다. 이는 인류가 그동안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이 효과를 크게 보지 못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새로운 학문과 정책상의 관점이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인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등은 물론이고 최근의 파리협정 (Paris Agreement) 등 국제적인 노력을 많이 기울여 왔다. 그러나 환경 정책을 강화하는 것은 화석연료를 사용한 경제개발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모순된 전제를 극복할 수 없었기에 우리 정부는 선뜻 국제법적인 환경정 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족한 인간의 힘으로 일일이 기후변화의 원인들을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분석과 조치를 취하기에는 한계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의 새로운 패러 다임으로서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기술과 환경을 연결하는 학제간의 융 합법적인 기초작업을 그린뉴딜정책을 위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그린뉴딜이 4차산업혁명기술과 환경정책을 연결 하고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과 허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그린뉴딜이 기존의 환경정책들의 단순한 집합이나 나열에 지나지 않고, 새로운 내용과 성질의 진테제로서의 환경법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유럽과 미국 등의 그린딜을 비교하면서 확인하였다. 세 번째, 그린뉴딜이 4차산업혁명기술과 기존의 환경법정책을 결합하여 새로운 진테제로서의 법정책적 내용으로서 그린뉴딜이라는 목표가 분명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법령의 목적을 조정하고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개별법을 통해 고찰하 였다. 네 번째, 특히 한국의 그린뉴딜이 실패하지 않고 기존의 환경정책 과 달리 의도한 성과를 확보하고 공정하고 정의로운 사회로 이행할 수 있 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존의 법령에 그린뉴딜의 정책을 반영한 입법정책적 인 제언을 함으로써 법정책적인 함의를 밝혔다. 이는 한국형 그린뉴딜에 대한 입법적 과제와 입법 현황 평가를 다양한 분야들에 걸쳐서 실시해 본 결론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감축에 대한 직접적인 감축을 위한 대응성 과제, 탄소감축을 위해 생산과 소비 및 에너지의 구조변화를 위한 적응성 과제,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후변화정책에의 직업과 참여 확대, 한국형 그린뉴딜에서 장애조항들의 제거 및 규제완화, 4차산업혁명기술을 통한 기후변화정책이 가능하도록 교육의 확대 강화, 4차산업혁명을 통한 기후 변화정책에의 성과의 배분과 포용 등의 분야들이다. 결론적으로 한국형 그린뉴딜에 대한 제언으로서 한국형 그린뉴딜의 목 적 규정 수정과 교육목표ㆍ원칙 추가, 한국형 그린뉴딜을 촉진할 대응성 규정의 마련과 보완, 한국형 그린뉴딜을 촉진할 적응성 규정의 마련과 보 완, 한국형 그린뉴딜에서 정의로운 대전환을 위한 구체적 입법의 마련 등 이 요구된다. I have studie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Green New Deal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s an effective means to overcome the limi -tation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le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obliged to environmental duty under international law. Basic research about this area was not enough. It was not easy to do basic research on legislative policy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law, and there were many incomplete legist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practical benefits to provide an analytical and harmonious compass for detailed and specific environmental law policie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basic research on legislative policy with Green New Deal.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changing society. This is causing a new academic and poli-cy perspective to be raised around the world recently that it can give new hope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humankind's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Humankind has made a lot of international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such as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the Kyoto Protocol, as well as the recent Paris Agreement. However, as the contradictory premise that strengthening environmental policy would go against economic development using fossil fuels could not be overcome, the Korean government could not readily implemen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in earnest. In addition, there were many limitations in monitoring the causes of climate change 24 hours a day with insufficient human power and analyzing and taking measures regardless of lo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new paradigm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basic work of interdisciplinary conjunction law that connect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environment is carried out for the Green New Deal policy. To this end, first, I have discussed the possibility and permissibility of connecting and graft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policy with the Green New Deal. Second, it was discussed while comparing Green Deal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ether the Green New Deal was just a simple set or list of existing environmental policies, or whether it could be evaluated as an environmental law policy with new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he Green New Deal combine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the existing environmental law policy to examine what purpose and what tasks should be performed as a legal and policy content as a new truism. Fourth, in particular, legislative policy proposals while discussing what tasks to keep in mind in order for Korea's Green New Deal to not fail, to secure the intended results unlike existing environmental policies, and to transition to a fair and just society. By doing so, the legal and policy implications with the Green New Deal were discussed.

      • 情報管理와 專門職 論理

        李淳子 韓國文獻情報學會 1992 圖書館學 Vol.22 No.1

        Librarians long ago proclaimed themselves professionals. Until recently, however, librarian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gave very little thought to professional ethics, which have come to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all areas in modern society. They have been stimulated to consider their specific domain within an ethical context now. Professional norms express obligations which include prescribing standards, principles of responsibilities, and rules of duties. Professional codes attempt to formulate the norms of professional ethics and are the basis for disciplinary measures of various kinds. This paper discusses profession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librarianship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code of professional ethics. The codes of ethics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the Library Association, and of the Japanese Library Association have been reviewed and compared. The arguments on the enforcibility of the professional codes of ethics, therefore, on their effectiveness have been discussed. Author concludes that, despite some doubts on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ethics code expressed by a number of scholars, a code of ethics is very much required in the information professions. Properly disseminated, a code would enhance the status and standing of the profession by demonstrating concerns for the maintenance of the highest possible level of standards of professional services. It would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raising consciousness of the clients by communicating the value of the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