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전자기록물저장시설’로서 공인전자문서센터의 업무 분석

        이경남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ether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can perform electronic records preservation work as ‘external electronic records storage facilities’. It began with addressing the current state of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And then reviewed the key concepts of archival science in archival science literature and the meaning of electronic records preservation. The results of the review pointed out that these concepts are confused depending on each designated community’s interests while the revision of the Archives Law. And finally we inspected whether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has an ability to perform the electronic records preservation work. For this, we compared and analyzed Archives Law, national archives’ standards and regulations related to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As a result, we may confirm that the current Certified Electronic Document Center did not have the capability for records management.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법 개정안의 주요 내용인 ‘외부전자기록물저장시설’의 전자기록 보존 업무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부시설로서 공인전자문서센터가 공공기록물 법제가 요구하는 수준으로기록의 보존업무를 위탁관리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유력한 외부시설로 거론되는 공전센터 제도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기록의 보존 업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주요 기록학 개념들을 정리하고, 법개정 과정에서 관련 공동체의 이해에 따라 주요 개념이혼용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전센터가 현재의 관련 규정을 기반으로 기록관리 업무를 수행할 능력이 있는지를 검토하기위해, 공공기록물법 및 표준과 공전센터 업무 준칙의 규정, 그리고 공전센터 관련 국내표준의 내용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록관리 법제가 요구하는 대부분의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공전센터가 기록관리 업무 수행 역량을 갖추지 못한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기록관리 법제를 준수하는 업무 프로세스의 정립과 인증기준 마련이 선행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진본인증 모형 연구

        이경남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59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shift to a new paradigm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was recognized. This study activel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new technologies for recordkeep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blockchain to recordkeeping and to develop a new model for recordkeeping based on it. Through a conceptual analysis of blockchain and consideration of the recordkeeping process, a blockchain model that is suitable for the authentication of records was proposed. For this the network structure, the structure of blockchain blocks, a consensus algorithm, and recordkeeping blockchain model were designed. It also predicted potential changes in digital records management when applying blockchain. It predicted change in governance aspects to implement a horizontal cooperation system among the archives.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술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해보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의 기록관리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고, 기록관리를 위한 모형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적 분석과 기록관리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기록의 진본 인증에 적합한 블록체인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과 블록의 구조, 합의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블록체인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블록체인을 기록관리에 적용함으로써 기관 간 수평적 협력체계를 구현하는 거버넌스 측면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기본 어휘의 전성현상에 기초한 어휘와 문법의 상호관계 연구

        이경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xis and grammar on the basis of possible syntactic categories and multiple meanings of a lexical item. The categorial properties of the basic vocabular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re investigated. In this process, 1,131 lexical items which can be commonly categorized as verbs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percent distribution of the lexical items which allow conversion is 63.57%. Among the recommended vocabulary (798)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especially, 364 lexical items can be used as verbs and 90.66% of these items shows conversion. Then, the lexical items that fall into only the verb category a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usage, which reveals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meaning, distribution, and context have to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categorial/subcategorial identity of a lexical item in a sentence. Also, when lexical items fall into more than one category, the lexical items with a similar frequency in their categorial uses are investigated. These words show complex diversity in terms of the meaning and grammatical properties. Consequently,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lexis and grammar and it concludes that repeated expansion of the learner's lexical knowledge of basic vocabulary is essential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본 연구는 기본어휘가 취할 수 있는 통사범주의 가능성과 의미의 다양성을 근거로 어휘와 문법의 상호관계를 강조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의 정당성을 찾기 위하여 교과부에서 고시한 초중등 영어교육과정 기본어휘들이 갖는 통사범주들 중 동사 범주를 공통적으로 갖는 어휘 1,131개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범주 전환을 허용하는 어휘들의 분포도는 63.57%로 나타났다. 초등권장어휘 798개로 범위를 좁혀 살펴보았을 때는 동사 범주로 사용될 수 있는 어휘 364개 중 90.66%에 이르는 어휘들이 전성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어휘력 신장을 위하여 전성현상에 대한 학습자들의 의식고취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기본어휘들 중 순수 동사의 용법을 살펴본 결과 문장에서 사용되는 어휘의 범주/하위범주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의미적, 통사적, 문맥적 요인을 고려하는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개 이상의 통사범주로 사용될 수 있는 어휘들 중 범주 사용빈도가 같은 어휘들의 경우에도 의미와 문법적 특성이 다양하게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EFL 학습자들의 어휘력 강화를 위한 지도에서 초급 단계에서 배우는 어휘들의 범주, 의미, 문법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용법에 관한 지식의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확대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표준 기록관리시스템 검색 기능 평가

        이경남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In order to actively use of records and information in current digital record management systems, we have to check whether a system is designed to fully support the user of records and whether the good use of the system is being.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the use of the search func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RMS) for public agencies, and evaluated th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use of the search function, it surveyed records managers of public agencies using the RMS. The result showed that records managers unsatisfied with the usability and the search performance of the RMS. To evaluate the search function, it identified the functional requirement of the system and develops a checklist that can be used for evaluation. Two assessments were conducted. Firstly, as pre-evaluation, it assess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RMS according to the checklist as an inspection chart using document examination method. Secondly, it assess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using a survey of records managers of public agencies that use the RMS. Assessment results show the improvement of the basic features that are essential to the system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search function is required to improve user-friendliness for the user. For the advance of RMS,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for improvement of the search functions, the build of continuous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and the user education. 현재의 전자기록관리체계에서 기록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기록의 이용을 충분히 지원하도록 설계되고 활용되고 있는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검색 기능 활용 현황 분석 및 기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검색 기능 활용 현황 조사를 위해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검색 빈도가 낮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의 사용 편의에 대한 불만과 검색 성능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검색 기능 평가를 위해 먼저, 기록관리시스템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요건을 정의하여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를 평가 기준으로 활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체크리스트와 비교하여 현재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이 구현한 정도를 문서상으로 확인한 연구자의 체크리스트 사전 점검 평가와 두 번째,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본적인 기능요건임에도 불구하고 구현되지 않은 기능들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었고, 특히 이용자 편의성 관련한 기능개선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검색 기능에 대한 기능개선 뿐만 아니라 표준 기록관리시스템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관리 체계의 구축, 이용자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한 보존메타데이터 요소 분석

        이경남 한국기록학회 2006 기록학연구 Vol.0 No.14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the information on the whole processes of management from the time of creation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should be captured and managed together. Such information is supported by preservation metadata thus the implementation of preservation metadata is important for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maintaining the record-ness. Preservation metadata is the information that supports the process of digital preservation and functions th maintain long-term viability, renderability, understandability, authenticity and identity of digital resources. Preservation metadata should be developed apply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OAIS) to have international interoperability for exchange and reuse. Initial international preservation metadata schemas were developed standardizing the OAIS Reference Model. But the preservation metadata schema of Victorian Electronic Records Strategy(VERS) and recently published Data Dictionary of PREMIS Working Group were developed in advanced typ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ramework. Those were advanced th practical ones from conceptual one. Comparing these two cases, proposed the elements of integral preservation metadata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This thesis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has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elements of preservation metadata by setting the past discussions related to preservation metadata in order and proposing integral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for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1.1.1.1.1.1.1.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서는 전자기록의 생성 당시부터 관리의 전 과정에 이르는 정보가 획득되어 기록과 함께 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는 보존 메타데이터에 의해 지원되므로 전자기록이 기록의 속성을 유지하며 보존되기 위해서 보존 메타데이터의 도입은 중요하다. 1.1.1.1.1.1.2. 보존 메타데이터는 디지털 보존 과정을 지원하는 정보로서 디지털 자원의 장기간 유지가능성, 재연가능성, 이해가능성, 진본성, 무결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보존 메타데이터는 교환과 이용을 위해 국제적인 상호운용성을 지니도록 국제 표준 OAIS 참조모형을 준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초기의 국제적인 보존 메타데이터 스키마들은 OAIS 참조모형을 준용하여 개발되었다. 1.1.1.1.1.1.3. 그러나 VERS의 보존 메타데이터 스키마와 최근에 발표된 PREMIS 실무 그룹의 Data Dictionary는 기존의 틀과는 다른 진전된 형태로 개발되었다. 개념적인 것에서 보다 실무적인 것으로의 진전을 이루었다. 이 두 사례를 비교하여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요소를 중심으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였다. 1.1.1.1.1.1.4. 본고에서는 보존 메타데이터와 관련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전자기록의 장기적 보존을 위한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 개발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