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간의 상호협력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이민홍,최재성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간의 협력정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전국에 소재한 343개소의 종합사회복지관 가운데 198개소의 사회복지관을 최종적으로 분헉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세 가지의 2차 자료르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서울시 사회복지관 평가결과자료(김영모 외 2001)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복지관평가결과자료(변재관 외 2000)는 종속변수로서의 조직효과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되었다. 또한, 최재성(2002)의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복지관 전국조사자료는 사회복지관의 기본 데이타와 상호협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로서 분석과정 에 반영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로서 사회복지간의 상호협력수준 전체평균은 5점 만점 기준 2.50점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상호협력이 미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상호협력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유의한 수준 (p 0.05)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구체적으로 상호협력수준이 5점 만점 기준 1점이 증가할때마다 조직효과성 지표로서의 사회복지관 평가결과는 우수에 해당할 기능 성이 2.19배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결국, 사회복지관간의 협력은 사회복지관의 운영에 있어서 효과성을 증진한다는 의미가 있으며, 자원의 한계가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후속연구로서 낮은 수준의 상호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을 감안하여 자발적 상호협력을 가로막는 요인에 대한 규명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民族史의 전개와 祭天 祭地 稱帝建元 그리고 以小事大

        이민홍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5 No.-

        반만년 民族史의 전개 과정에서 우리 민족은 중국 등 초강대국과 이웃하여 살면서 많은 고통을 감내해야 했다. 이를 今人과 後人에게 알려 鑑戒를 삼아 미래를 자주적 장을 열어야 한다고 인식하여, ‘以古論今’의 시각으로 본고를 작성했다. 중국은 우리 前朝들을 諸侯國이나 屬國으로 취급하여 제도적으로 온갖 장치를 가해 억압했고, 물질적으로 착취에 가까운 朝貢을 지속적으로 강요했다. 중원에 대한 조공의 역사는 단기 2365년(서기 32) 이후부터 조선조 말엽까지 수 천 년 동안 계속되었다. 중국은 고대와 중세 제후국 백성들의 신앙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철저하게 제약했다. 고대와 중세에 우리 민족의 기층 종교였던 ‘祭天’과 ‘祭地’를 그들 소위 ‘天子王朝’만이 할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워 철저하게 금지시켰는데, 당시에는 이른바 天下를 통치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사안이었던 것 같다. 제천은 冬至에 北郊, 제지는 夏至의 南郊에서 행했다. 중원의 제천 제지 의례가 들어오기 전 檀君은 ‘摩尼山’에서 제천을 했고, 부여는 ‘迎鼓’ 고구려는 ‘東盟’ 예와 진한은 ‘舞天’ 신라는 ‘日月祭’ 등으로 칭한 민족 정통 제천을 행했다. 제천은 단군조선 시대부터 행해진 민족 정통종교였다. 호한한 중원의 ‘사서’들에 단군에 관한 기록이 전혀 없다. 단군의 ‘靈異事績’은 오로지 삼국유사 에만 전한다. 역대 중원 제국주의 왕조들은 동아시아를 완벽하게 장악하기 위해, 새로운 왕이 즉위하거나 계승하면 ‘年號’를 ‘建元’하거나 ‘改元’하는 것이 관례였는데, 저들의 연호를 사용하게 하기 위해 자기들만이 할 수 있고 제후왕은 불가하다고 했다. 중원의 이 같은 압제 속에서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연호 ‘永樂’과 신라 법흥왕의 ‘建元’ 발해 고왕의 ‘天統’ 태봉국 궁왕의 ‘武泰’ 고려 태조의 ‘天授’ 고종황제의 ‘光武’ 등의 자체 紀年이 당당하게 시행되었지만, 종국에는 모두 불명예스럽게 폐기되었다. 중세에 발간된 모든 ‘문헌’과 ‘묘비’ 등에 중국 연호와 말년에 일본 연호까지 사용하는 치욕도 겪었다. 제왕 서거 후 올린 ‘廟號’의 경우도 역년이 천년에 가까운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大祖大王(國祖王)’과 신라의 ‘太宗武烈王’ 두 분밖에 없고 나머지는 전부 ‘OO王’이었다. 고려조 전반기에는 묘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몽골제국 이후 후반기에는 모두 왕으로만 칭해졌다. 조선조의 경우는 묘호 사용이 용인되었다. ‘稱帝建元’과 ‘以小事大’는 하나로 묶여 민족사의 전개에 질곡이 되어 자존과 긍지에 심각한 상처를 주었고, 지금에 와서 중원에 대한 ‘舊事大主義’와 서구의 종교와 이념에 물던 ‘新事大主義’로 분화되어 형식을 달리하여 살아남아 있다. 반만년 역사에서 칭제 기간은, 역사상 최초인 궁왕의 13년과 고종 순종의 14년을 합쳐 ‘27년’이 전부이다. 반만년 역사를 향유한 ‘國祚’에 비하면 한심한 실적이다. 칭제건원에 입각하여 ‘紀年’을 기준으로 할 때, ‘以小事大’의 역년은 약 4329년이나 되며, 이 시기 우리는 천자가 아닌 제후 왕으로 존재했다. 이제 우리는 이 같은 아픈 과거를 극복하여, 우리 나름의 칭제건원의 창출과 西紀와 병행하여, 자주기년인 ‘檀君紀元’도 다시 되살릴 때가 되었다. In the course of five thousand years of national history, Korean people have endured significant hardships while living adjacent to superpowers such as China. Based on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ing modern people and subsequent generations about these challenges and using the lessons learned to pave the way for an autonomous future, this paper is 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discussing the present situation based on the past. China treated the previous dynasties as either vassal states or subordinates, systematically suppressing them through various means and continuously extracting tributes bordering on exploitation. The history of tributes to the China persisted for thousands of years, from the Tan'gun calendar year 2365 (A.D. 32)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ancient and medieval periods, China was interested in the religious practices of the people in its vassal states and strictly regulated them. In ancient times and the Middle Ages, the foundational religions of our people, namely the “heaven worship ritual” and “mother earth worship ritual”, were strictly prohibited. This was based on the belief that only “the kingdom of a son of Heaven” could perform these rituals, which appears to have been considered a critically important issue in governance at that time. The heaven worship ritual was held in the northern outskirts(北郊) on the winter solstice and the mother earth worship ritual was held in outhern outskirts(南郊) on the summer solstice. Before the heaven worship ritual and the mother earth worship ritual were imported from the Central Plains of China, Tan'gun had held a heaven worship ritual in Manisan. Likewise, in kingdoms of subsequent eras, such as Buyeo, Goguryeo, Ye, and Jinhan, as well as Silla, the heaven worship ritual ceremonies were held according to national traditions. These cremonies we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the “Welcoming Drums (迎鼓)” in Buyeo, “Dawn (東盟)” in Goguryeo, “Dancing to Heaven (舞天)” in Ye and Jinhan, and “Memorial Service for the Sun and the Moon (日月祭)” in Silla. The Heaven-worship ritual was a traditional ethnic religion that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Tan'gun Joseon era. There is no record of Tan'gun in many Central Plains Chinese history books. The “spiritual and extraordinary achievements” of Tan'gun are only documented in Samguk 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n order to exert complete control over East Asia, former central Chinese imperial dynasties customarily “established the name of an era (建元)” or “changed the title (改元)” when a new king ascended or succeeded. They asserted that only they had the authority to perform such actions, and the kings of vassal states were not allowed to use their era names. Despite oppression by the central imperial dynasties, self-generated chronologies(紀年) were proudly implemented by various Korean kings: examples include “Yŏng-lak (永樂)” by King Gwanggaeto of Goguryeo, the “Established Prime (建元)” by King Beopheung of Silla, “Ch'ŏn-t'ong (天統)” by King Ko of Balhae, “Mu-t'ae (武泰)” by King Kung of Taebong, “Bestowed by Heaven (天授)” by King Taejo of Goryeo, and “Martial Brilliance (光武)” by Emperor Gojong. However, all of them were ultimately discredited. In the Middle Ages, Korea used the Chinese era names in all documents and gravestones, and in later years, it also suffered the disgrace of being compelled to use Japanese era names. In the case of the temple title(廟號) posted after the king's death, there were only two examples, “Tae-cho-tae-wang(大祖大王, 國祖王),” of Goguryeo and “T'ae-chong-mu-yŏl-wang(太宗武烈王)” of Silla in the many centuri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rest were designated as “king ____.” Temple titles was ere commonly used in the first half of the Goryeo Dynasty, but in the second half, after the Mongol Empire, all...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인력의 문화변화 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이민홍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ulture change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home staff. A total of 32 workers from the four nursing faciliti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addressed by the B+single case design (four times of survey),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quality of service, resident-centered care and resident-directed environment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 training programs and strategies to promote culture change in nursing hom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인력에게 문화변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으로 업무몰입, 업무만족, 전문성 인식, 서비스 질, 소진, 이직의도, 거주자중심케어 및 환경 조성 등의 긍정적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요양시설 32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12회기에 걸친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B+단일사례설계로 4차례의 효과성 지표 변화를 측정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일원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성 인식, 서비스 질, 거주자중심케어, 거주자중심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업무만족, 업무몰입, 소진, 이직의도 등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 문화변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요양인력 교육과 문화변화 실행 전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