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유동수,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lan workbench space configuration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at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present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most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al Arts laboratory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chose equipment in areas related to practice.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City and their demand of workbench space reallocation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was analyzed. For the survey, 30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were sampled as the primary sampling unit through stage sampling, and teachers at the schools were sampled as the secondary sampling unit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th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e most adequate workbench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is of the four‐person square type. It is because four‐person groups are preferred to six‐person ones due to the reduced size of class. Second, the conventional‐type laboratory is adequate for a single practice activity because it provides a broad field of view for supervising the students. Workbench space relocation for practice activities adopts six‐person workbenches. Third, the group‐type laboratory is effective for safety guidance because of its short traffic line. As a sink is installed on a four‐person workbench, the room allows various practice activities. Fourth, with the combined‐type laboratory, students can have practice activities by group simultaneously. As a sink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workbench, students’ traffic line is long and the field of view is narrow, but this type allows the simultaneous performance of practice activities by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 for future research. As the scope of survey in this study was limited to teach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 nationwide survey on space reallocation is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구성을 구안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 실습실의 실태 조사와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실습 관련 영역의 설비를 선정 하였다. 그리고 인천시내 초등학교에서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실과 실습실 작업대 공간 구성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형 실과 실습실은 일반적인 6인용 작업대의 배치에 개수대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며, 학생을 관찰하기 위한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둠형 실과 실습실에는 4인용 작업대를 배치하고, 개수대를 내부에 설치하여 기술 실습과 가정 실습의 수업을 모두 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작업대와 개수대의 일체형을 설치하여 학생의 동선이 짧아 안전지도에 효과적이다. 셋째, 절충형 실과 실습실에는 개별형과 모둠형의 특징을 고려하여 4인용 정방형 작업대를 배치하였고 개수대는 작업대와 분리하여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가 줄어드는 현실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는 4인용 직사각형이다. 학급의 인원이 줄어들면서 예전의 6인 모둠 보다는 4인 모둠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을 관찰하기 위한 시야가 확보되어 단일 실습활동을 하기에 적절한 작업대 공간 구성은 개별형 실과 실습실이다. 실습 활동을 위한 작업대 공간 배치는 6인용 작업대를 배치한다. 셋째, 학생들의 이동 동선이 짧아 안전지도에 효과적인 작업대 공간 구성은 모둠형 실과 실습실이다. 여기에는 4인용 작업대 내부에 개수대가 설치되어 한 장소에서 다양한 실습을 할 수 있다. 넷째, 실습을 동시에 모둠별로 할 수 있는 작업대 공간 구성은 절충형 실과 실습실이다. 개수대를 작업대와 분리 설치함에 따라 학생들의 동선이 길고, 시야확보가 좋지 않지만, 실습을 동시에 모둠별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생체 이식형 무선에너지 전송 시스템 개발

        유동수,이준하,서희돈,이상학,Yoo Dong-Soo,Lee Joon-Ha,Seo Hee-Don,Lee Sang-Hag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3

        생체에 이식되는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무선에너지 전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체내에 이식된 장치에 경피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경피적으로 결합된 트랜스포머의 권선간의 거리는 인간의 피부 두께를 고려하여 약 10$\~$20 mm이다. 본 연구에서는 Class-E 공진증폭기를 사용하여 높은 효율을 얻고자 하였다. 최대 전류는 각 주파수에서 50 mA 이상의 전류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500 kHz, 1 MHz 및 4 MHz의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As a part of implantable device in body, a transcutaneous energy transmiss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t would be desirable to tansfer electrical energy to implantable devices transcutaneously. The distance between transcutaneous transformer windings are approximately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human's skin, nominally between 10$\~$20 mm. Class-E resonant amplifier is used to drive a primary coil for high efficiency. Maximum current is above 50 mA at any frequency. The developed system shows that the circuit operates correctly at each frequency; 500 kHz, 1 MHz and 4 MHz.

      • KCI등재후보

        cacGMS: 특성평가 정보기반 식물 유전자원 군집 알고리즘

        유동수,강만정,노나영,허온숙 한국육종학회 2022 한국육종학회지 Vol.54 No.1

        Plant germplasm is a part of living genetic resources, including seeds and plant materials, such as roots, leaves, and stems, and should be conserved and managed to maintain ecological biodiversity and to consistently generate the product and supply food crops. Plant germplasm can be categorized based on various genetic traits such as race, and clustering based on similar genetic traits is an efficient method for managing large numbers of germplasms. Therefore, we developed an algorithm, termed cacGMS (Clustering Analysis for Categorical genetic traits of germplasms in Genebank Management System), using categorical variables which statistically differentiate the datatype of genetic traits such as seed-coat color, seed shape, and flower color. Briefly, using Newman’s modularity method, cacGMS combines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 using the Ward2 method and representative-based algorithms such as K-medoids, and it regroups all germplasms using germplasm core sets. We tested cacGMS using 2,378 pepper germplasms with 46 different categorical genetic traits, and it exhibit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hierarchical and K-medoids algorithms for the average distance among clusters (0.4534) and entropy (1.2672). Moreover, cacGM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threshold (from 15 to 30) for genetic traits than other algorithms and provided similar results in a test run using tomato germplasm. From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cacGMS will be a useful tool for managing each group with numerous plant germplasms and facilitate the analysis of other studies, such as analysis of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lustered germplasms and of correlations among germplasms in a particular clu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