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 Learning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원의 인식

        황해익 ( Hae Ik Hwang ),최혜진 ( Hye Jin Choi ),손원경 ( Won Kyoung Son ),강신영 ( Shin Young Kang ),조은래 ( Eun Lae Cho ),김미진 ( Mi Jin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R-Learning 시스템의 도입이 유아교육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R-Learning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 6명과 유치원교사 l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분류체계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운영에는 도움이 되고 있었으나 환경구성과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이 드러났다. 둘째, 교사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일과 운영 시 역할지원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전문성 신장 측면과 일반적인 교사 역할의 업무지원에서는 의견이 나뉘고 있다. 셋째, 유아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한 결과, 흥미 면에서는 유아들이 친근감을 갖고 스스로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the R-Learn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researchers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6 kindergarten directors and 14 kindergarten teachers who implemented R-Learn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this were analyzed by a classification system, the effect of the R-Learn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as detected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however, there were generally neg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composition and managemen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R-learning were generally positive on the daily management task support, but not all the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eneral role support. The R-Learning on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on their interest and language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 KCI등재

        관계지향 유아교육을 위한 유아강점기반평가

        황해익(Hae Ik Hwang),최혜진(Hye Jin Choi),남미경(Mi Kyoung Nam),정혜영(Hye Young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지향 유아교육에서 유아교육평가를 위한 일환으로 유아강점기반평가를 소개하고 그 실행과정에 대한 전반적 안내를 함으로써 유아의 행복을 지 향하는 평가로 인식을 전환하고 실천을 강화하는 것이다. 기존 평가와 달리 유아강점 기반평가는 유아에 대한 긍정적 시각에서 약점이 아닌 강점에 초점을 맞추고, 강점을 활용한 활동을 통해 유아, 교사, 부모,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긍정적 관계 변화를 이끈다. 이 절차는 ‘강점 인식 및 발견하기’, ‘대표강점을 활용한 활동 고안 및 실시하 기’, 그리고 ‘변화 살펴보기 및 공유하기’로 구분된다. 유아교육현장에 실제로 유아강 점기반평가를 적용한 ‘예쁜이’ 사례를 살펴본 결과, 강점을 활용한 노력이 유아의 전 인발달뿐만 아니라 유아, 교사, 부모의 행복 및 서로간의 관계에 있어 긍정적 변화로 이어졌다. 이로써 유아강점기반평가의 가치 및 현장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으므로, 학문적으로 유아강점기반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이와 함께 교육현장 적용가능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안을 구안하기를 제안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overall guidance about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by changing the realization and strengthening the implementation.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unlike existing evaluation, focuses on the child’s strengths rather than weaknesses. It also leads to positive relationship change among children, teachers, par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through activities using children’s strengths. This procedure is divided into ‘-realizing and discovering strengths-’,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activities using representative strength-’, and ‘-examining and sharing the change-’.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example of ‘-sweetie-’ which actually adapted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the effort using the strengths leads not only to a child’s holistic human development but also to positive changes in happiness and relationship among the child, teacher, and parents. The value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is also confirmed. Thus, we commend conducting various studies regarding strengths-based evalu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conceiving of diverse plans for increasing its applicability to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다중체계 모델 개발 연구

        황해익(Hwang, Hae-Ik),이강훈(Lee, Kang-H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변인들 간 관계를 살펴보고 영유아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다중체계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 및 G도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영유아반 담임교사 443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중체계 모델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SPSS 21.0 & AMOS 21.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요인(원장의 멀티플라이어십)은 과정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정요인(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은 몰입요인(조직몰입과 교수몰입)을 통해 결과요인(행복플로리시)에 이르기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 중심 관점에서 영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다중체계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이는 영유아교사의 행복한 교직생활을 지원하는 정책마련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variables of young children teachers’ happiness and to develop a multi-systemic model to promote young children teachers’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esents analysis result on 443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B Metropolitan City and G Province in South Korea. In order to verify suitability and validity of multi-systemi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arried out and, SPSS 21.0 & AMOS 21.0 were used for such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ntecedents factor (multipliership of directo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cess factors (teacher efficacy and ego-resilience), and the process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roughout flow fac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eaching flow) up to consequences factor (flourishing). Based on these results, multi-systemic model for young children teachers’ happiness is developed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preparing policy supportive towards young children teachers’ happiness at work.

      • KCI등재후보

        유아용 발달선별검사도구 개발 연구

        황해익(Hwang HaeIk),손원경(Son Won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3세부터 5세 11개월까지의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상의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발달선별검사인 ESI-R(Early Screening Inventory-Revised)에 나타난 유아의 발달경향과 적절한 기준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3세에서 5세 11개월까지의 유아 240명을 대상으로 ESI-R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집단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민감도, 정확도, 과다의뢰율과 과소의뢰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기준점을 탐색한 결과 1집단에서는 -1sd, 2집단에서는 -1.5sd, 그리고 3, 4, 5, 6집단에서는 -2sd가 ‘의뢰’판정을 내리기에 적절한 기준점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endendies and validation of the Early Screening Inventory-Revised(ESI-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children ranged from 3 years old to 5 years old and selected from 4 kindergartens and 3 day care centers in Pusan. Tes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ESI-R and DDST. The ESI-R is developmental screening instrument which is consisted of ESI-P for younger children and ESI-K for older children covering three sub-areas such as visual-motor/adaptive, language & cognition, and gross mo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in the total and sub-total score of ESI-R. Second, the Cronbach Q were .87(ESI-P) and .71(ESI-K). Inter-scorer reliability were .98(ESI-P) and .97(ESI-K). The correlations between total score and subarea were .54-9l(ESI-P) and .73-.82(ESI-K). Third, the optimal cut-off score, which were determined by sensitivity, specificity, over-referral, and under-referral, were 9(for group 1), 13(for group 2), 19(for group 3), 11(for group 4), and 17(for group 5 & 6). It is concluded that the ESI-R, with minor modifications,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developmental screening instrument.

      • KCI등재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이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 비계설정과 역동적 평가

        황해익(Hae-Ik Hwang),최혜진(Hea-Jin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Vygotsky의 사회 문화적 이론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언어의 매개와 지식의 구성주의, 고등정신기능의 내면화와 근접 발달 영역, 학습과 발달의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근접발달영역(ZPD) 개념에 기초한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비계설정과 역동적 평가의 측면에서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entral concepts of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These concepts includ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role of language in development, the internalization of higher mental function and ZPD(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interaction of learning and development. Based on these critical review, this study was also to seek for implications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Vygotsky, the social context influences learning more than attitudes and beliefs,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how and what we think. Also, social context plays a central role in development. Like Piaget, Vygotsky believed that children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cognitive construction is always socially mediated; it is influenced by present and past social interaction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Vygorsky is ZPD. The ZPD is a way of concept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ZPD is the dynamic zone of sensitivity in which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occur. The role of education is to provide children with experiences that are in their ZPDs-activities that challenge children but that can be accomplished with sensitive adult guidance. Two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dynamic assessment and scaffolding for young children. Vygotsky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ability and achievement tests as valid measures of children's "capacity to learn". In contrast to static assessment procedures, which emphasize previously acquired knowledge In terms of intelligence or achievement scores, dynamic assessment involves purposeful teaching within the testing situation. It attempts to distinguish a child's apparent level of development, as might be measured by a standardized test, from the child's potential level of development - the performance the child is capable of attaining with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e child's ZPD. To measure the breadth of the zone, dynamic assessment models use a pretest-training-retest procedure. Ferersrein's, Budoff's, and Campione and others' dynamic assessment models were reviewed and compared. Another implication of Vygorsky's theory proposed that the expert provide scaffolding whin the ZPD to enable the novice to perform at a higher level. With scaffolding the task itself is not changed, but what the learner initially does is made easier with assistance. Level of assistance would decrease as the learner takes more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of the task. Other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critiques of Vygotsky's approa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 간의 구조관계 분석

        황해익 ( Hae Ik Hwang ),강현미 ( Hyun Mi Kang ),탁정화 ( Jeong Hwa T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 낙관성, 희망, 정서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한 뒤 이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행복감을 독립변수로, 정서성을 종속변수로, 낙관성과 희망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뒤 각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90명이었다.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18.0과 PASW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유의도는 .05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정서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낙관성은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희망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복감이 삶에 미치는 적극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모형을 설정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을 증진하는 노력이 풍부한 정서성을 가질 수 있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happiness, optimism, hope and emotion affectiv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happiness to Pre-service teachers’ with mediating optimisim and hope. Data were collected from 290 Pre-service teachers in Busan and analyzed by PASW 21.0 and Amos 18.0. As a result, happin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optimism, hope and emotion affectivity. Happi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emotion affectivity,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However, Happiness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emotion affectivity,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 KCI등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연구

        황해익(Hwang, Hae-Ik),김미진(Kim, Mi-Jin),탁정화(Tak, Jeong-Hw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가 직 · 간접적으로 느끼고 경험하는 업무, 동료, 행정, 학부모. 원아 관련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직무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개인특성 및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인식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직장보육시설 보육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및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장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 61문항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은 업무 관련 요인에서 직무스트레스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부모, 원아, 행정, 동료 스트레스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자격, 결혼 유무, 자녀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보육시간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work-related stress that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occurred by tasks, colleagues, administrative works, children"s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work-related stress level by teacher’s personal traits and working conditions.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preliminary data for the way to lessen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improve the child care service quality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175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sed tools composed of 61 items in 5 domains to measure the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ask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work-related stress of child care teachers of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children’s parents, children, administrative works, and colleagues were influential in order. Work-related stress by teacher’s personal traits varies with work experience, certificate, acquisition route for the certificate, marriage status and existence of his or her own children. In addition, meaningful differences of work-related stress by working condition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child care hours and working ho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