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

        황종남 ( Jongnam Hwang ),손창우 ( Changwoo Shon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4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지역사회 건강조사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거주 성인남녀 만 19세 이상 응답자 19,646명(여성:11,117; 남성:8,529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인식은 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하였으며, 지난 1년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경험 유무에 따라 미충족 의료 경험유무 집단을 분류하고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불만족할 경우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1.9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의료의 이유에 따라 개인적 요인과 시스템 요인으로 층화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의료이용 장애와 개인적 사유에 따른 미충족 의료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미충족 의료 개선을 위해서는 보건의료제도와 물리적 접근성의 개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and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urban dwellers in Seoul. Methods :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CHS) were utilized, and a total number of 19,646 residing in Seoul were included in the analytic model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 number of physician per 1,000 people by 25 district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was associated with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In addition,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was associated with personal reason-, and systematic reason-related unmet healthcare need. Conclusions :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s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policy development for improving social aspect of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to physical conditions.

      • KCI등재

        중ㆍ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황종남(Jongnam Hwang),권순만(Soonman Kw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령자의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가 치매 진단의 1차적 기준이 되는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2006년 고령화 연구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만 45세 이상 중ㆍ고령자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 점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활동의 유형은 김영범ㆍ이승훈(2008)의 연구에서 정의한 종교활동, 여가활동, 공공집단 활동과 연고집단 활동으로 분류하였으며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MMSE-K의 원점수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사회경제수준과 건강수준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만 45세 이상 중ㆍ고령자 전체를 분석한 결과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이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성별을 층화하여 중년 남성, 여성집단과 고령 남성, 여성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중년 남성집단에서는 여가활동이 유의하였으며 중년 여성에서는 4가지 사회활동이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고령 남성과 여성에서는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이 모두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령 여성의 공공집단 활동 참여가 인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자들의 사회활동 참여보다 고령자의 종교활동과 여가활동의 참여가 인지기능 장애와 치매예방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노인들이 건전한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과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ocial activities affects cognitive func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ocial activities and cognitive function,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Social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s religious ritual, leisure, public association and ascriptive association activities, and MMSE-K score was used to measure cognitive function.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status show that th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nd leisur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middle-aged male group helps preserve cognitive function, and leisure activity and ritual activ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in middle-aged female group. Meanwhile th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nd leisur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male and femal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various programs to support the participation of elderly population in socia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for healthy life for the elderly.

      • 캐나다 사회보장제도의 이해

        황종남(Jongnam Hwang) 한국캐나다학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Canadian Studies (APJCS) Vol.25 No.1

        Health care and the social welfare system is part of social security policies, which aim at ensuring people’s health and well-being in every country in the modern era. Despite the relatively short history of Canada, it is known that its health care system and social welfare system has been well established at both federal and provincial levels in terms of service process and coverag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anada’s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systems, respectively, and to introduce the basic schemes of these systems. In spite of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burdens, the fede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have attempted to sustain the current schemes of health care and welfare systems by expanding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and regulating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in Canada. It may be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Canada’s social security system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eeds for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health and social polic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용치료원 유무와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한국의료패널 환자경험조사를 중심으로

        오종묵 ( Oh Jongmuk ),황종남 ( Hwang Jongna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환자 중심 의료 체계에서 환자는 더 이상 의사의 일방적 지시를 받는 존재가 아닌상호협력적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중심의료 체계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인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진료과정에서 환자가 경험하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료패널조사 2017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용치료원이 있는 집단과 비교하여 상용치료원이 없는 집단은 의사와의 대화 시간이 부족했으며(OR=1.65; p<.01), 의사의 설명을 쉽게 이해하지 못하였고(OR=1.51; p<.01), 궁금증이나 걱정스러운 점을 말할 기회가 부족했으며(OR=1.73;p<.01), 치료 결정에 본인의 의견이 반영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OR=1.32;p=0.00). 이러한 결과는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료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진료환경에 대한 제도적 보장이 필요하며, 상용치료원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치료 결정 과정에서 환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주요한 수단으로써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a patient-centered-care system, patients no longer simply follow the instructions of physicians, but should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m in a cooperative man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usual source of care, one of the factors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a patient-centered-care system, actually affects the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in terms of patient experience. Data from the 2017 KHPS were used,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factors. The study found that groups without a usual source of care did not spend sufficient time talking to physicians (OR = 1.65; p < .01), had a hard time understanding the physician’s explanations (OR = 1.51; p < .01), lacked the opportunity to ask questions or express concerns (OR = 1.73; p < .01), and had insufficient respect for their own opinion on the treatment decision (OR = 1.32; p=0.00).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of a usual source of care for patients to better ensure sufficient treatment time so as to improve patients’ experience in physician-patient communication, as the usual source of care should be considered the major means to increase patient participation in effective communica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손창우(Shon, Changwoo),이승재(Lee, Seungjae),황종남(Hwang, Jongnam)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착을 위한 동 단위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찾동 2단계(’16. 7. 1 ~ ’17. 6. 30) 사업에 참여한 17개 자치구 만 65세, 만 70세 노인 중 1,000명을 자치구별 비례할당 및 임의 추출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의 경우, 개인 및 자치구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서비스 미충족을 높이는 개인적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고소득, 독거 및 노인가구), 건강수준(복합만성질환, 건강문해력, 우울), 찾동 경험(간호사 1회 방문, 적은 서 비스 제공시간 및 낮은 이해도), 사회신뢰(낮은 정부신뢰)로 나타났으며, 자치구 요인으로는 사업 시행기간이 짧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서비스 미충족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효율성 제고를 위 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관리 서비스 수혜 대상을 현재의 65세 및 70세 노인 전수 방문에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또는 건강 취약가구로 사업의 초점대상을 좁혀서, 제한된 예산 속에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둘째, 방문 대상 연령을 만 65세에서 만 66세로 전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사업과 결과를 공유하여, 사업의 효율성이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찾동 사업은 시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국민건강관리를 행정동 단위로 낮추어 국민들이 체감도를 높이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연구가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needs of Seoul’s newly implemented outreach community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in Seoul. A multi-level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s from 1,000 individuals aged 65 and 70 in 17 districts, where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ocioeconomic status (higher income and living alone), health status (having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nd depression, lower health literacy), limited experience of the outreach community services, and low government trust at the individual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community outreach services. In addition, shorter participation period of the outreach services and financial independency at the district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servic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focusing on vulnerable groups such as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and worse health status. In addition,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may need to target individuals aged 66 to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services through utilizing results of life-cycle health checkup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입원적합성심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경험

        신소연 ( Shin Soyoun ),조윤민 ( Cho Yoon-min ),윤난희 ( Yoon Nan-he ),황서은 ( Hwang Seo Eun ),황종남 ( Hwang Jongnam ),최정원 ( Choi Jung Won ),김잔디 ( Kim Jandi ),허종호 ( Heo Jongho ),이선구 ( Lee Sun G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2

        2016년, 구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이하 입적심) 제도가 신설되고 비자의입원 절차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입적심의 목표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증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참여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나아갈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전국 5개 국립정신병원에서 입적심과 관련된 총 27명의 전문의, 법조인, 정신건강전문요원, 가족, 당사자, 조사원, 정신질환자를 심층 면담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4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입적심 제도는 부당한 비자의입원 및 강압 이송행위에 대한 안전장치를 마련하여 인권을 향상시켰지만, 대면조사보다 서류심사가 주를 이루고 의사결정지원이 미흡하여 자기결정권이 제한된다는 한계를 드러냈다. 추후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대면조사와 절차보조사업을 확충하고, 의료기관과 지역사회서비스를 연결하는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Act” into the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in 2016 led to the tightening of procedure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mittee for Review as to Legitimacy of Admission” (hereinafter “Admission Review Committee”).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achieved its goal to promote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stakeholder experiences. The evaluation is based on interviews with a total of 27 subcommittee members from all the five national psychiatric hospitals which have an Admission Review Committee in place. Those interviewed were psychiatrists, lawyers,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investigators.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and 16 themes emerged from the thematic analysis. Our study shows that the Admission Review Committee has promoted human rights by functioning as a minimum safeguard to prevent unjust involuntary hospitalization and forced transfer to psychiatric hospitals. However, insufficient procedural assistance has limi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 committee heavily relied on paper review rather than the face-to-face investigation with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For a better supportive committee for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we suggest that the committee adopt the face-to-face review process, procedural assistance services, and a governance system closely connecting medical facilities with loca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