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육종 양파 품종별 주요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황엄지(Eom-Ji Hwang),이유건(Yu Geon Lee),이형재(Hyoung Jae Lee),조정용(Jeong-Yong Cho),문제학(Jae-Hak Moon) 한국식품과학회 202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종 양파[황색(맵시황, 신선황, 연신황, 영보황, 영풍황), 적색(엄지나라), 연녹색(스위트그린)]와 외국 육종양파(황색, 선파워; 적색, 천주적) 간의 일반형질, 주요성분 및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페놀성 화합물과 flavonoid의 성분별 총 함량 및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flavonoid 함량에 있어 외래품종인 썬파워를 포함한 6종의 황색양파들 중 영보황이 가장 우수한 값을 보였으며, 적색품종에 있어서는 천주적이 엄지나라보다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anthocyan의 함량은 엄지나라가 천주적보다 낮았다. 반면 thiosulfate의 함량은 모든 품종들에 있어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며, pyruvic acid 함량은 황색 양파들 중 영보황과 썬파워가 동일한 정도로 가장 높았고, 적색 품종에 있어서는 엄지나라가 천주적보다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총 당함량에 있어서는 영신황이 썬파워를 제외한 모든 품종들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항산화능은 모든 평가항목에 있어 공통적으로 적색품종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환원력에 있어서는 천주적이 엄지나라보다 우수하였으나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천주적보다 엄지나라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두 품종들 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황색품종들에 있어서는 신선황과 영보황이 우수한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은 국내산 품종들이 썬파워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고,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영신황이 썬파워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국내 육성 품종인 영보황과 엄지나라의 성분학적 및 기능학적 우수성이 부분적으로 제시되어진 바, 본 연구결과가 국산 양파 품종의 우수성 홍보를 위한 유용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content of major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 onion cultivars, namely yellow domestic cultivars Meapsihwang, Sinsunhwang, Yeonsinhwang, Yeongbohwang, and Yeongpoonghwang, red domestic cultivar Eumjinara, green domestic cultivar Sweetgreen, yellow-introduced cultivar Sunpower, and red-introduced cultivar Cheonjujeok, were compared. Yeongbohwang and Cheonjujeok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mong the six yellow and two red cultivars, respectively. The red cultivars displayed the high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DRSAs and ARSAs, respectively) and reducing power (RP). Among all cultivars, Cheonjujeok and Eumjinara had the highest DRSA, while both red cultivars had similar ARSAs. Among the yellow cultivars, Sinsunhwang and Yeongbohwang showed excellent DRSAs. The RP of the domestic cultiva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introduced cultivars. Thus, the domestic cultivar Yeongbohwang exhibited excellent characteristics among the yellow cultivars, while the red cultivars Eumjinara and Cheonjujeok were similar.
단수수 시럽 제조효율 향상을 위한 착즙액 고온처리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황엄지(Eom-Ji Hwang),이영훈(Yeong-Hoon Lee),차영록(Young-Rok Cha),권다은(Da-Eun Kwon),박진천(Jin-Che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6
본 연구에서는 단수수 시럽 제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수수 착즙액을 고온처리하여 불순물 생성 정도를 확인하고, 고온처리에 따른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온처리 후 착즙액의 불순물 함량은 110°C(2시간), 120°C(30분, 1시간) 처리에서 7.0~7.5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0°C(2시간), 130°C(30분, 1시간, 2시간) 처리에서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불순물 함량이 감소하였다. 착즙액의 당도는 130°C(30분, 1시간, 2시간) 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당도가 낮아졌으며, pH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갈색도는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착즙액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fructose와 glucose 함량이 증가하였지만, sucr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종합해보면 단수수 착즙액을 120°C에서 30분~1시간 처리했을때 착즙액의 불순물 제거효율이 가장 높으며, 불순물을 제거한 착즙액을 이용하여 단수수 시럽 제조 시 품질 향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Sugar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human life. However, excessive consumption of refined sugar causes obesity and diabetes. Recently, the demand for natural sugar is increasing. In this study, extracted sweet sorghum juice was first treated at high temperature to remove impurities and produce high-quality sweet sorghum syrup,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various temperature ranges. While purifying the sweet sorghum juice at various temperatures, the quantum of impurities was observed to be highest at 120°C and decreased at 130°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gar content and pH of the sweet sorghum juice was investigated, and the pH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longer the reaction time, the higher the juice’s brownness and the higher the content of fructose and glucose. At the same time, sucrose content was reduced. Finally, the sweet sorghum juice should be treated at 120°C for 30 minutes to 1 hour to attain the highest efficiency in removing impur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weet sorghum syrup.
박유진,황엄지,유경단,우관식,You-jin Park,Eom-ji Hwang,Gyeong-dan Yu,Koan Sik Woo 한국식품영양학회 202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word bean tea available in domestic markets. Each product of sword bean tea had distinct appearance characteristics. The color, pH, brownness, and turbidity of the tea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products, with tea bags showing higher levels of brownness and turbid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hot water extraction ranged from 165.13 to 517.69 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100 g sample for pod tea, 999.36 to 2,054.74 mg GA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74.62 to 275.00 mg GAE/100 g sample for grain tea, respectively. Similar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d in terms of catechin equivalents (CE), ranged from 39.51 to 65.00 mg CE/100 g sample for pod tea, 86.57 to 253.63 mg CE/100 g sample for tea bag tea, and 32.94 to 38.63 mg CE/100 g sample for grain tea, for hot water extraction.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d tea were 95.68 to 276.19 mg TE/100 g sample and 270.87 to 804.21 mg trolox equivalents/100 g sample, respectively, for hot water ex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quality standards to ensure consistent quality of sword bean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