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의 치과위생사 직무에 대한 인식

        황수정,배수명,유지수,한양금,Hwang, Soo-Jeong,Bae, Soo-Myoung,Yu, Ji-Su,Han, Yang-Keum 대한치과위생학회한국치위생과학회 2020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3 No.1

        Introduction: The legal duties of Korean dental hygienists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tasks. These factors cause dental hygienists to experience work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at tasks the dental hygienist expects to perform.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 on 158 prospective graduates of the 3rd-year and 4th-year course of dental hygiene.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ental hygienist's duties was prepared based on the job description of dental hygienists by the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Results: More than 84% said that all of the work in the second job description was possible as dental hygienists. subjects responded that the following items were not dental hygienists' duties: treatment plan based on medical history and dental history, treatment plan based on an intraoral and extraoral examination, treatment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eeth and periodontal examination, analysis of oral health data in community, planning of oral health promotion in community, planing of water fluoridation, reading of radiography, root planing, physical treatment on head and neck, using an ultrasonic device on head and neck, dealing with laser devices, making a temporary crown, suture and stitch-out, and intramuscular injection. Conclusions: Most graduate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s have recognized that the tasks described in the second job description are dental hygienists'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ap between expected work and legal work.

      • KCI등재

        근관치료된 상악 제1대구치의 치근단 병소: CBCT 연구

        황수정,전수진,서민석,Hwang, Soo-Jeong,Jeon, Su-Jin,Seo, Min-Seock 대한치과의사협회 202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8 No.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ghy(CBCT) scan of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first molars and investigate how second mesiobuccal (MB2) canal is treated, how the prognosis of mesiobuccal (MB) root is different compared to other roots and the prognosis factor on apical periodontitis. Methods: Subjects were endodontically treated maxillary first molars whose were collected from CBCT scans taken from January 2018 until December 2019. A total of 525 maxillary first molars were analyzed by an endodontis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MB2 canal, the qual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and the presence of apical periodontitis. The chi 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MB2 canals were found in 46.3%, of which 76.5% were not treated. The more main canal of mesiobuccal root (MB1 canal) was well filled, the more significantly MB2 canal was well filled (p<0.001). The apical periodontitis of MB root was not related to the filling quality of MB1 canal (p=0.370) and was related to the filling quality of MB2 canal (p=0.004). The apical periodontitis of MB root was related to the quality of canal filling of MB2 canal and the apical periodontitis of DB and P root.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MB2 canals were not treated. The apical periodontitis of MB root was analyzed to be related to the quality of canal filling of MB2 canal. The apical lesion of the MB roo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treatment of the MB1 canal, but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filling of MB2 canal.

      • KCI등재

        석주 권필의 <감회(感懷) 3수(首)> 연구

        황수정 ( Hwang Su-je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본고는 석주 권필의 <감회 3수>를 연구한 것이다. <감회 3수>에 나타난 진정성을 고찰하였다. 감회시(感懷詩)는 감구지회(感舊之懷)의 시로 마음에 느낀 생각과 회포(懷抱), 감상(感想) 등 지난날을 생각하며 느낌이 일어 쓴 시를 말한다. 이처럼 감회시는 보통의 느낌과 서정, 또는 제목 달기가 모호한 서정시일 경우 감회의 제목을 달기도 한다. 석주의 <감회 3수>는 시국에 대한 강한 페이소스와 지식인로서의 자세를 담았다. 석주의 감회시에서는 주로 나그네의 회포 등을 다룬 내용이 많다. 그러나 <감회 3수>는 감회에 의탁하여 시국에 대한 근심과 비판을 진솔하게 그려냈다. <감회 3수>에서 보여준 시인의 진솔한 정회(情懷)는 감회시의 진정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감회시에서는 세월의 덧없음, 인생무상, 곤궁함, 정치적 불운에 대한 회포를 읊는다. <감회 3수>에서는 시국에 대한 비애감과 냉철한 현실 인식과 풍자, 그리고 지식인의 자세와 절조를 실었다. 백성들의 고충을 눈앞에서 목도하면서, 조선의 산천과 백성에 대한 연민을 표출하였다. <감회 3수>는 세 수의 연작시로써 개인적인 정치적 불운과 침울에만 머물지 않았고, 시대에 대한 냉철한 인식과 함께 지식인으로서 절조의 자세를 담은 것이다. This study speculated on Seokju Gwon Pil’s < Gamhoi 3su >, focusing on truthfulness he intended to express in his poems. Gamhoisi means sentimental poems to express what one feels while reflecting the past. Gamhoisi is entitled as usual feelings, lyricism, and Gamhoi for lyric poems which are ambiguous to be entitled. Seokju’s < Gamhoi 3su > expresses strong pathos on the situation and attitudes as an intellectual. Most of the Seokju’s Gamhoisi dealt with criticism on reality and lonesome feeling through a traveler’s inmost thoughts. In particular, < Gamhoi 3su > honestly described anxiety and criticism about the situation depending on his feelings. We could make a guess of truthfulness of Gamhoisi through truthful feeling the poet showed in < Gamhoi 3su >. Usually, Gamhoisi expresses evanescence of time, the frailty of human life, poverty and political misportune, < Gamhoi 3su > published in pathos on the situation, stoical recognition and parody of reality, and virtuous integrity. That is, < Gamhoi 3su > has meaning in that it was intended to make us meditate on the situation and attitudes as an intellectual beyond the poet's political misfortune and depression.

      • KCI등재

        어촌 심언광의 계축시 양상

        황수정 ( Hwang Su-jeong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본고는 어촌 심언광의 계축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어촌은 조선조 중기 명신이자 시인이다. 그는 840여 수가 넘는 한시를 남겨서 우리 한시사에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어촌이 남긴 22제 24수의 계축시는 관각시의 면모뿐만 아니라 관료들과의 교유, 그리고 그림에 제한 제화시로써의 의미도 탐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먼저 어촌 계축시 개관을 통해, 계축시의 의미와 그 경향을 파악하였다. 어촌의 계축시는 동시대 여타의 계축시와 마찬가지로 그의 다양한 관직 등용에 의하여 시제에서도 다방면의 계회 면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의 계축시 양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은 자신의 계축시를 통해 각 관청의 특수성과 업무의 중요성을 상세하게 부각시켰다. 이러한 시작법은 당시 계회의 규모와 함께 모임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도 일조하였다. 둘째, 어촌의 계축시를 통해 시화(詩畵)와 연계한 풍류를 살펴보았다. 시를 통해 그림에서 미처 다 표현하지 못한 속마음을 시에서 진솔하게 드러내고자 했던 바를 알 수 있었다. 셋째, 관료로서의 자부심과 기상이 강조된 작품을 볼 수 있었다. 계회와 그 모습을 담은 계회도(契會圖)에 대한 언급으로 훗날을 기약하고 있다. 관료로서의 기상을 호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일을 능숙하게 마치고 계회에서의 정회는 한결 여유로운 모습으로 담았다. 당대 계축시의 흐름 속에서 어촌 계축시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Gyechuksi by Eauchon Sim Un-Gwang, a famous government officer and poet in the middle Joseon period. He was an outstanding poet and civil servant and was thought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having written more than 840 poems. This study focuses on Gwangaksi, especially Gyechuksi, where his dignity and quality as a government officer and poet are simultaneously revealed. Twenty-four pieces of Gyechuksi including twenty-two themes can be used for investigating the aspect of An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of Gyechuksi by defining Eauchon's Gyechuksi, reveals that they were written to honor meetings of government officers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Gyehoisi. Like other Gyechuksi, Eauchon's showed the diverse aspects of Gyehoisi as he was appointed to diverse government posts. This study also identifies the composition and aspects of Gyechuksi as follows: First, Eauchon emphasized the speciality of each government office and the importance of official service in detail, including the meaning of sizes and meetings of Gyehoi at that time. Second, he spoke of poetry and painting, discovering that he intended to express through poetry what he could not express in painting. He also enjoyed true and open-minded friendship in spite of his busy service. Third, Gyechuksi emphasized his pride and animated spirit as a government officer, describing the satisfaction of the meetings and good service, but hoping for something better in the future. In identifying the aspects of Gyechuksi by Eauchon,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author and his time.

      • KCI등재

        <소쇄원사십팔영(瀟灑園四十八詠)> 정(靜)과 동(動)의 감성

        황수정 ( Su Jeong Hw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본고는 河西 金麟厚의 <소쇄원 48영>에 대한 연구이다. <소쇄원 48영>에 드러난 靜的 감성과 動的 감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감성은 시인의 풍부한 심미적 경험에 의한 대상의 인식과 그 대상에 대한 심미적 판단이다. 이를 靜的인 요소와 動的인 요소로 구분하여 시적 감성을 논하였다. 김인후는 도학, 절의, 문장의 三絶로 일컬어지는 도학자이며 시인이다. 또한 不事二君 절의의 표상이다. 김인후는 소쇄원의 축조자인 양산보와 사돈 간으로 소쇄원 내 다양한 교류의 장을 만들었다. 따라서 <소쇄원 48영>은 김인후의 소쇄원에 대한 애정도는 물론이고, 시적 감성과 내적 성찰이 두루 표출된 작품이라고 하겠다. 이에 대한 요약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쇄원 48영>의 靜的 감성 발현은 경물 완상의 여유와 자아 투영의 성찰로 드러났다. 여기에는 사계절에 대한 미감을 읊은 것이라든가, 매·난·국·죽 등 사군자에 대한 시상, 그리고 기타 초목에 대한 노래가 있다. 사물을 보는 시각이 긍정적이면서 맑고 청징하였다. 또한 경물에 자아를 투영시켜서 감정 이입을 통해 자신의 내면적 성찰을 노출한 작품들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경물에 대한 깊은 인식과 자아에 대한 성찰로 도학자인 하서가 침잠한 자연에 대한 내성적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소쇄원 48영>의 動的 감성 발현은 계류의 유동성과 원림 속 여흥의 멋으로 이루어졌다. 계곡을 따라 흐르는 맑은 물과 시원한 경치와 어우러진 문화 교류의 장면이 독특하였다. 展流, 通流, 透流, 激湍, 瀉瀑 등 다양한 물의 흐름을 묘사하였다. 이를 통해 계류의 유동성과 미감 그리고 참 근원에 대한 사유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별서 정원의 특징인 사람들과의 교류 면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선비가 원림 속에서 누릴 수 있는 여흥의 멋을 발현시켰다. 이러한 활동적인 감성은 사람들 간의 화해와 교류, 그리고 소통의 즐거움으로 구가되었다. This study speculates on the <Soswaewon48poems> by Haseo Kim In-Who, focusing on the sense of stillness and sense of dynamic represented by it. Kim In-Who, as a Taoistic scholar and poet, is considered one of outstanding masters of Taoism, constancy, and writing as well as being a symbol of fidelity to his king. He was a relative by marriage with Yang San-Bo, the founder of Soswaewon, and built a field of diverse exchanges in Soswaewon. Therefore, the <Soswaewon48poems> showed his affection for Soswaewon, poetic sensibility, and inner speculation and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se of stillness in <Soswaewon48poems> was expressed through speculation on seasonal scenery and self-projection. Here, he described the aesthetic sense of the four seasons through poetical imagination of Four Gracious Plants and songs on other plants. He had a clear and innocent view of things. Also, he projected his ego into the seasonal scenery to reveal his inner speculation. It was his intense perception and introspective expression of nature that Haseo was engaged in as a taoic scholar. Second, the sense of dynamic in the <Soswaewon48poems> is expressed through the fluidity of the mountain streams and the taste of elegance in the forest. The scene of cultural exchanges harmonizing with clear water and scenery was unique. It explained the diverse flows of water such as Jenryu, Tongryu, Turyu, Gyokdan and Sapok, and shows the reasons for dynamism, aestheticism, and the true origin of water flow. Also, it showed aspects of friendly exchanges with people as a characteristic of a private garden, and the taste of entertainment in the forest. Such active sentiment was sung through reconcili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 KCI등재후보

        운곡 원천석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

        황수정(Su-jeong Hwang)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본고는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운곡은 여말선초 학자이자 시인이다. 그의 시 중에서 시인의 오감을 활용하여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시각과 청각, 그리고 미각의 멋을 담은 작품을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곡이 꽃에 대하여 읊은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꽃은 시인의 시선에서 감각적인 심상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재이다. 운곡도 그의 많은 작품 중에서 시제(詩題)에 꽃 관련 작품이 11題13首이다. 운곡은 주로 관조적인 자세로 달밤에 꽃을 대하는 표현은 맑으면서도 깨끗한 청징(淸澄)의 미로 형상화되었다. 둘째, 운곡 시 중에서 새와 벌레 소리에 집중한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작은 풀벌레 소리에서부터 닭 울음소리, 꾀꼬리 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중심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운곡 시의 소리는 시인의 수심과 근심을 승화시키는 차분한 정취로 묘사되었다. 셋째, 운곡 시의 먹고 마시는 맛에 대한 다양한 표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의 시제에 먹고 마시는 음식을 소재로 한 작품은 모두 33題46首이다. 음식을 통해 교류와 소통, 공감과 화합의 멋을 표출하고 있다. 더불어 맛에 대한 표현으로만 머물지 않고 시각과 후각에 대한 감각을 복합적으로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sensible configuration in Ungok Won Chon-Seok’s Poetry. Ungok is a scholar and poet of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try where his five senses were sensibly represented. In particular, those with elegant tastes of vision, auditory sense, and palate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oems that represented flowers. Flowers are a material of poetry that can most clearly show sensible images. Of lots of poems Ungok wrote, there were 13 poems with 11 themes on flowers. His meditative expression on flowers in moonlit nights was very refined. Secon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ms that expressed the sound of birds and insects. From tiny grass bugs sound, cock crowing to bird’s eye sound, his poems configured diverse materials. Such sound was calmly depicted in his poetry so that agony and depression he felt could be transcended. Third, this study examined diverse expressions on tastes such as eating and drinking. There are a total of 46 verses with 33 themes on food eating and drinking. The poems expressed tastes of sympathy, communication, exchanges and reconciliation through food beyond the expressions on tastes by mixing senses of vision with smell.

      • KCI등재

        석주 권필 제화시(題畵詩)의 형상화 방식

        황수정 ( Hwang Su-je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0

        본고는 석주 권필의 제화시를 고찰한 것이다. 권필은 척당불기(倜?不羈)의 삶을 살았던 시인이다. 세상에 대한 비판적 안목과 치열한 시정신을 발휘하였다. 지금까지 그의 시문(詩文)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의 제화시는 다른 시에 비하여 크게 조명 되지 않았다. 제화시는 그림과의 융합을 통해 화의(畵意)와 시정(詩情)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문학의 미적 형상화로 미감의 집약을 이룬다. 이로써 본고를 통해 권필 제화 시의 미감을 규명하면서 제화시의 형상화 방식을 논하였다. 먼저 권필 제화시를 구성적 측면에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시제(詩題)를 주로 영화(詠畵)와 제화(題畵) 등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시제에 주로 인물명을 제시하였다. 이는 작품의 연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또한 제화시에 절구, 율시, 고체시 등 다양한 시체를 구사하였다. 이러한 권필 제화시의 형상화 방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외지의(象外之意)의 전아(典雅)한 미감을 갖추었다. 즉 권필은 그림의 형상(形象) 너머의 뜻을 간파하고 창출하였다. 그러면서 시 속에 선비적인 풍류를 표출하였다. 그의 정신세계에 있어 구속됨이 없는 여유로움은 시에 있어 여유와 위트를 담게 하였다. 이처럼 그림 밖의 뜻을 재창출하면서 전아한 멋을 담은 작품을 남겼다. 때로는 문인의 풍류적인 태도를 읊었으며, 때로는 유가적 자세를 올곧게 그려내면서 전아한 미감을 표출하였다. 둘째, 시중유화(詩中有畵)의 기려(綺麗)한 미감이 드러났다. 시정과 화의가 합일을 이루면서 기려의 미감을 담았다. 그림의 색감과 시의 색감이 어우러지기도 하고 감각적 표현으로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그림에는 미처 담지 못하는 세찬 물소리, 지저귀는 새소리뿐만 아니라, 가까이에서 부는 듯한 바람에 대한 촉감까지 표현하였다. 즉 화가가 지면에 표현한 그림을 권필은 최대한 감각적으로 입체화하였다. 마치 수놓은 비단과 같은 기려의 미감을 드러냈다. 셋째, 이형사신(以形寫神)의 청기(淸奇)한 면모를 표출하였다. 그림의 형상으로써 작가의 정신을 담고자 하였다. 그 속에 청기의 미감을 실었다. 맑은 밤, 찬 밤하늘의 달빛은 밝음과 깨달음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는 시어 속에 이러한 명징(明澄)한 경지를 담아냈다. 시는 끝났지만 그 명료함은 계속 이어지는 듯하였다. 깨끗하면서도 명료함을 갖춘 청기의 미를 담아냈다. This study speculated on Jehwasi by Seokjoo Gwon Pil. He criticized society through sharp poetic spiri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his poetry. However, much focus has not been given to his Jehwasi.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esthetics and embodiment in his Jehwasi. In his Jehwasi, poetry merged in paintings to create poetic meaning and emotion, and aesthetic sense was integrated through aesthetic imageri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Jehwasi in terms of composition, there are 8 titles and 21 poems. He did not cling to titles of paintings and dealt with what he felt actively. He showed friendship through the titles of some poems. Also he used diverse poetic styles such as quatrain, regulated and free verses in Jehwasi. The embodiment in his Jehwasi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kjoo saw through the deep meaning of painting beyond images and expressed scholarly elegance in his poetry. He was able to represent wit and leisure in his poetry as he was mentally relaxed. Thus he created meaning beyond painting and wrote poetry with elegance. He sometimes expressed elegant attitude as a literary person in Jehwasi and sometimes elegant aesthetics while describing Confucian attitude honestly. Second, in his poetry, verses were integrated with paintings and beautiful aesthetics was revealed. Thus, colors of paintings and poetry were mixed to create movement through sensible expression. Wind`s feel, powerful sound of flowing water and songs of birds which are not able to be expressed in paintings were expressed. That is, he sensibly embodied the paintings which were expressed on the ground by painters. The state that there are paintings in poetry was achieved. Third, through imageries of paintings, he showed his spiritual world. Such aesthetics was expressed as refreshing energy. Clean night and bright moonlight in cold night sky symbolize enlightenment. The poetic words in his poetry created clear and fine state. It seems that its clarity continued though poetry ended. The poetry has aesthetics with clear and concentrated energy.

      • KCI등재

        부산지역 호흡기감염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아데노바이러스와 보카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분석

        황수정(Su-Jeong Hwang),김남호(Nam-Ho Kim),박동주(Dong-Ju Park),구평태(Pyung-Tae Ku),이미옥(Mi-Ok Lee),진성현(Sung-Hyun Jin)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3

        부산지역 급성호흡기감염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여 아데노바이러스 및 보카바이러스의 특징적인 임상증상 및 유행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230명의 환자에서 총 1,485건(46.0%)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이 중 아데노바이러스 257건(8.0%), 보카바이러스 68건(2.1%)을 확인하였다. 성별 발생양상은 남자가 여자보다 아데노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감염증에 취약하였으며, 모두 1~5세 연령군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여 영․유아의 주요 감염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임상증상으로 아데노바이러스는 발열, 두통이 보카바이러스는 천명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아형분석결과, 아데노바이러스는 1~6, 8형의 혈청형을 확인하였고 기존 분리주와 97%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연도별 유행 혈청형은 2011년 아데노바이러스 1형, 2012년 3형과 4형, 2013년에는 3형이 우점적으로 유행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3형의 경우, 대유행을 유발하는 아형으로 보인다. 보카바이러스는 모두 1형으로 나타났다. Adenovirus (ADV) and human bocavirus (hBoV) cause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and are often associated with increased rates of hospitalization and death, particularl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molecular phylogeny of ADV and hBoV isolated in Busan, from January 2011 to November 2013. In total, 3,230 specimens (throat swab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with influenza-like illnesses and 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Multiplex real-time RT-PCR was performed to detect eight respiratory viru〔rhinovirus, adenoviru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human coronavirus, human metapneumovirus, human bocavirus, parainfluenza virus and influenza virus〕and detected 1,485(46.0%) cases. Among 1,485 positive specimens, 257(8.0%) cases were ADV and 68(2.1%) cases of hBoV. A significant clinical feature of ADV is fever and headache whereas hBoV is wheezing. Serotypic distributions of isolated ADV and hBoV were analyzed by sequencing of hexon and VP1/VP2 gene, respectively. ADV was identified seven different serotypes(1~6, 8), revealing a high similarity among the isolates (>97%). The predominant types of ADV were type 1 in 2011, type 3 and 4 in 2012, type 3 in 2013, respectively. ADV type 3 was major causative type during outbreaks in 2013. All of the hBoV was identified as hBoV type 1. Apoptosis;cyanate;end-stage renal disease;glioma cell;nervous complic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