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사상의 종교성에 관하여

        황상희 ( Hwang Sang-hee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1 No.-

        주자에게 있어 理란 情意도 없고, 計度도 없으며, 造作도 없다고 했는데 퇴계는 이를 `發`ㆍ`動`으로 정의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到`라고 말하였다. 理를 이법적으로 해석할 때 `發`과 `動`은 體用論으로 가능하지만 `到`의 영역은 이법을 넘어서 주재적 理로 해석할 수 있다. 이 한반도는 고대로부터 조선시대 말기까지 上帝가 민족의 언어와 의식 속에 살아 있었다. 이 논문은 주재적 理의 표현인 理到說을 上帝와 연결해서 풀어낸 흔적이다. 上帝란 최고의 조상신이다. 퇴계는 제사를 흠향하는 鬼神에 있어서도 화롯불이 꺼졌지만 온기가 그대로 남아 있듯이 사람이 죽어서도 그 영혼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퇴계는 조상님이 실제로 살아서 제사를 흠향한다고 말한다. 제사의식의 집중이란 내 밖에 존재하고 있는 성스러운 대상이 나에게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지만 사실적인 감각으로 느낄 수 있으며 즉 두려움과 같은 것이다. 퇴계에게 있어 敬의 방법으로서 戒懼는 上帝에 대한 경건한 태도로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 집중이다. 경건한 집중은 格物의 행위와 연관된다. “나의 格物이 지극하지 못함을 두려워할 뿐이요, 理가 스스로 이르지 못할 것을 걱정할 것이 없다”는 퇴계의 말은 格物을 통해 理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단서를 심의 虛靈으로 말하고 있다. 虛靈(텅빈 실존)은 『聖學十圖』에서 「心統性情圖」 안에 下圖의 동그라미에서 本性과 氣質을 구분하는 매개이다. 本性인 仁義禮智는 위에, 氣質인 淸濁粹駁은 밑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분의 가운데에는 虛靈知覺이 자기 노릇을 하고 있다. 구분한 의도는 格物을 통해 下圖의 동그라미를 실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인식의 바탕에서 七情을 넘어서 四端에 기반한 선택의 경지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퇴계는 上帝의 실존을 느끼는 경지는 理가 없는 사물이 없고, 理가 없는 때가 없음을 알 수 있어야 가능하다고 한다. 이 理는 七情을 삼켜버리는 아득한 실존의 빈 곳에 있으며 格物은 七情을 대상으로 하여 기미를 바로 알아채는 고도한 집중을 필요로 하는 방법이다. 내가 극진히 격물하면 理는 스스로 이를 것이라는 퇴계의 말에서 극진한 종교성을 알 수 있다. Zhu Xi said that regarding Li(理), there is no affection(情意), judgement(計度) or manipulation(造作), Toegye defined it as `Bal(發)` abd `Dong(動)`, and mentioned it as `Do(到)` going one step forward. When Li(理) is interpreted according to Li theory, `Bal` and `Dong` are possible as Cheyong theory, but the area of `Do` can be interpreted as presiding Li(理) going beyond Li theory. In Korean peninsula, Sangje has been alive in the national language and consciousness from the ancient times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This thesis is the trace of connecting Lido theory as the expression of presiding Li with Sangje and figuring it out. Sangje is the highest ancestor god. As for ghosts taking offerings in an ancestral ritual, Toegye said that as if warmth still remains even after brazier`s fire goes out, a spirit remains even after a person dies. He also said that ancestors were actually alive and took the offerings of the ritual. Concentration in the ancestral rites is that a holy being that exists outside of myself is neither visible nor audible to me, but can be felt through real senses, that is, it`s like fear. To Toegye, Gyegu as the method of Gyeong is concentration of not releasing the tension as a devout attitude toward Sangje. Reverent concentration is related to the action of Gyeokmul. Toegye`s words, “I`m only afraid of that my Gyeokmul(格物) is not utmost, and there`s nothing to worry about that Li(理) couldn`t reach itself.”, mean that Lido becomes possible through Gyeokmul. He also said that its clue was Simeui Heoryeong. Heoryeong(empty existence) is the intermediation that separates nature and temperament in the circle of Hado in < Simtongseongjeongdo > of Seonghaksipdo. Ineuiyeji(仁義禮智) as the human nature is above, and Cheongtaksubak(淸濁粹駁) as human temperament is below separately. And among the division does Heoryeongjigak(虛靈知覺) play its own roles. The intention of division is to practice the circle of Hado through Gyeokmul. It`s also to show the level of choice based on Saman going beyond Chiljeong on the foundation of the perception. Toegye told that the stage of feeling the existence of Sangje is possible only when one knows that there are no objects without Li(理) and there`s no time without Li(理). Li(理) exists in the emptiness of distant existence that swallows Chiljeong, and Gyeokmul is the method targeting Chiljeong and demanding intensive concentration to notice signs right away. When I practice Gyeokmul hard, Li(理) will be accomplished by itself.

      • KCI등재

        성별에 따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관련요인

        황상희(Sang-Hee Hwang) 대한치과교정학회 201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성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원 수면 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 후 치과에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촬영을 한 118명의 성인 환자들 중에서 남성 80명과 여성 38명을 각각 수면무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10을 기준으로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단순 코콜이군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군의 비만도가 더 높았고, 여성의 경우는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 사이의 비만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쇄성 수면무호흡군의 평균 연령이 더 높았다. 또한, 남성에서는 연구개의 두께(SPW), 혀 길이(tongue length) 항목이 AHI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여성에서는 하악 하연과 설골 간의 거리(MP-Hyoid)만이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시 남녀 성별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gender-wise analysis of the related cephalometric factors affecting Korea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ethods: We examined 118 adults who had visited the Sleep Disorder Clinic Center i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and evaluated them by using polysomnography (PSG) and lateral cephalogram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male simple snorers, male OSA patients, female simple snorers, and female OSA patients) according to AHI (apnea-hypopnea index) and sex. Results: The position of the hyoid bone in the female OSA group was inferior to that in the female simple snorer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ongue length and soft palate width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the severity of AHI in male OSA patients. However, inferior position of the hyoid was a significant determinant only in women. Conclusions: From a cephalometric point of view, OSA in male and female adult patients may be characterized by different pathogeneses. In particular, in female OSA patients, they might be managed by individualized treatments such as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 addition to conventional treatment.

      • KCI등재

        통일방안을 위한 퇴계의 리도설과 북한의 주체사상 비교 연구

        황상희 ( Hwang Sang-hee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북한의 주체사상은 다른 공산권 국가들과 다른 체제적 모습을 띄고 있다. 이러한 양상을 오래된 유교적 풍습에서 찾자면 중국과 베트남을 예로 들 수 있겠지만 인본주의나 자발성에 대한 강조는 이 두 나라와도 다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유교라는 시선으로 북한을 바라봐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반도는 유교를 4세기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유교로 발전시킨다. 예컨대 주자와 퇴계의 차이가 그렇다. 주자는 리(理, 진리)를 정의도 없고, 헤아림도 없고, 조작도 없다고 했는데, 퇴계는 ‘발현하고(發)’·‘움직이고 (動)’로 정의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이르른다(到)’라고 말하였다. 조선유교에서 리(理)는 원리적이기 보다는 주재적인 리(理)를 강조하였다. 조선유교의 집대성자인 퇴계의 사상으로 주체사상을 해석해 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조선의 유교적 토양이기에 동학이 형성되었듯이 주체사상도 조선의 토양에 바탕 한다. 조선은 한마디로 도덕사회라고 할 수 있다.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는 바로 이러한 조선의 문화를 그대로 철학으로 계승시킨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만을 다뤄 퇴계사상과 비교해보고 합일점을 찾아 ‘사람의 통일’ 기반을 만들고자 한다. In North Korea’s Juche ideology, communism has been selected based on Marxism. Yet, North Korea has a system different from other communist countries. When this aspect is found from old Confucian customs, China and Vietnam can be taken as examples, but the emphasis on humanism or spontaneity is different from these two countries, too. It is because it’s possible only when understanding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of Joseon. Korea accepted Confucianism in the 4th century and developed it as independent Confucianism. The differences between Chu-tzu and Toegye can be an example. While Chu-tzu regarded Li(理, truth) as without a definition, understanding or manipulation, Toegye defined it as something ‘manifesting(發)’ and ‘moving(動)’, and furthermore, said it ‘to reach(到)’. In Confucianism of Joseon, Li(理) presiding rather than fundamental was emphasized. That’s why Juche ideology is interpreted through the ideas of Toegye, the figure who made a synthesis of Joseon’s Confucianism. When it’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both Kim Il-seong’s father and Hwang Jang-yeop’s father were teachers in Seodang, it can be understood wher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is from.

      • KCI등재후보

        맥크론 다이얼(McCarron-Dial)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비교

        황상희(Sang-Hui Hwang),유은영(Eun-Young Yoo),정민예(Min-Ye Jung),이충휘(Chung-Hw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표준점수와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직업수준 표준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으로 진단 받은 남녀 총 127명(정신지체인 87명, 전반적 발달장애인 40명)에게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발달장애인이 정신지체인보다 직업수준 표준점수가 높았고,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도 높았다. 둘째,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에서 지능지수는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 직업수준 표준접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신지체체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 감각요인, 운동요인 순이고, 전반적 발달장애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 접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에 영향을 마치는 변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직업 및 직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of the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MDS) in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MR) and adul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and to ascertai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o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Eighty seven adults with MR and forty adults with PDD were evaluated with M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re higher in adults with PDD than MR. Second. In adults with l\1R and PDD. intelligence quotient(I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nd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Third.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M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nd the second most significant one was sensory factor. The least significant variable was motor facto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in adults with PDD. The abov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l\1R and PDD, and different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s o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those significant variables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for the intervention of adults with MR and PD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황상희(Hwang, Sang-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소진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 성과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작업치료 업무를 수행하 고 있는 작업치료사 138명이었고, 2011년 10월 13일부터 11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은 평균 2.12(범위: 0-6),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2.64(범위: 1-4)이 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56(범위: 1-5)이었다. 둘째,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1일 치료시간, 토요 근무, 적성, 종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전문직 자아개념은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작업치료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 수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종교였다. 따라서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작업치료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작업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als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n thei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38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erform occupational therapy. From October 13th till November 2nd, 2011,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mean score of burn-out was 2.12(range: 0-6), and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ere 2.64(range: 1-4) and 3.56(range: 1-5).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hours per day, duty to work on Saturdays, aptitude and religion. Third,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Fourth, chief variables affecting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reli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occupational therapists’ burn-out and improve the services of their occupational therapy qualitatively by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self-concept.

      • KCI등재

        <효자전>을 통해 본 종교감정 연구

        황상희(Hwang, Sang-hee)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이 논문은 <효자전>이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자기파괴적 효행’으로 읽힐 수 있지만 그 시대상황에서 생각해보면 종교감정으로 봐야함을 드러내기 위한 연구이다. 오늘날 감정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되고 있다. 감정연구에서 한국은 독보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다. 세계사에 유래없이 긴 문신이 다스린 왕조를 가지고 있으며 또 조선시대 400년 동안 사단칠정논쟁이란 감정논쟁을 벌인 곳이기 때문이다. 종교라는 개념의 형성사에 있어서 한국에서는 일제 강점기에 법률적 식민통치 개념으로 들여와서 해방 이후까지 계속 그러한 개념 틀 속에서 지내왔다. 때문에 조선시대 종교성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조선에서는 불효를 법으로 다스리는 법이 있었고, 사단에서 인에 해당하는 감정인 효가 가장 중요한 실천윤리였다. 그리고 이 효의 감정에 있어서는 모든 범위에 한계를 두지 않고 인정해주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다. <효자전>의 대부분 내용은 부모를 잃은 실컷 슬퍼하는 행위를 인정해 줬다. 그리고 상까지 내리는 사회적 분위기가 있었다. 이 연구는 오늘날 사회적 문제인 자살의 문제가 어찌보면 우리가 당연히 가지고 있었던 감정의 왜곡에서 일어났다고 밝히기 위함이다. <효자전>이 오늘날 제대로 받아들여진다면 모두의 감정을 소중히 여기는 사회적 분위가 형성될 수 있음을 것이다. In this thesis, it was examiend that even though <Hyojajeon> can be read as ‘self-destructive behavior’ from a contemporary viewpoint, it needs to be interpreted as a religious emotion taking the times and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Nowadays, studies on emotions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all over the world. Korea holds an unchallenged position in the studies on emotions. Because Korea had dynasties ruled by cilvil servants for a long time, which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history, and the argument over emotions, the Sadanchiljeong argument, continued for 400 years in Joseon Dynasty. In terms of religion, it’s not easy to understand the religious sentiment of Joseon because the term of religion was introduced as a concept of legal coloniz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was limited in the conceptual frame even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Joseon had laws to punish undutifulness to one s parents, and filial duty, the emotion corresponding to In(benevolence) of Sadan, was the most important practical ethics. And regarding this emotion of filial duty, there was the social atmosphere of recognizing it without any limitations in all scopes. In <Hyojajeon>, almost all the contents were about the recognition of expressing the sadness of losing one’s mother as much as one wanted.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those acts of expressing it were even awarded with a prize.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because today’s social problem of suicide is occurring probably due to the distortion of emotions we naturally have, if <Hyojajeon> can be understood properly today, it will help establish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everyone’s emotions are respected.

      • KCI등재

        지역사회 아동의 Korean-Age and Stage Questionnaire 타당도와 효용성 연구

        이성아(Lee, Seong-A),황상희(Hwang, Sang-Hu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지연 선별검사 중 부모-보고형 검사인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의 타당도와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에서 연구대상은 선별검사에 동의한 229명 아동의 부모들과 유전적 질환 혹은 선천적 발달 지연이 보고되지 않은 3~5세 아동들이었다. 연구결과 K-ASQ 는 민감도 0.41%, 특이도 0.76%, 과다의뢰율 0.14%, 과소의뢰율 0.21%이였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은 지연 발달에서는 K-ASQ 0.70%, 정상발달 예측율은 K-ASQ 0.77%로 나타났다. K-ASQ의 타당도는 정상아동을 정상으로 선별하는 특이도가 민감도보다 높았으며, 지연발달과 정상발달 예측율에서도 K-ASQ는 70% 이상으로 임상에서 아동 발달 선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Korean-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K-ASQ) as a screening tool for detecting developmental delay of preschool child in community. Informed consents from parents of 229 children were received for the process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229 parents and the children of three to five years old who did not have reported genetic diseases or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 of this study, validity were calculated for the K-ASQ sensitivity 0.41%, specificity 0.76%, hyper-referral 0.14%, hypo-referral 0.21%. Predictive value of delayed development were K-ASQ 0.70% and that of normal development were K-ASQ 0.77%. K-ASQ can be feasibly used in the setting of health clinic and be the highly predictive criteria for delayed development and normal development.

      • KCI등재

        가정폭력노출아동의 사진활동작업 경험

        강희숙 ( Hee Sook Kang ),황상희 ( Sang Hui Hwang ),진관훈 ( Gwan Hun Jin ),문영주 ( Young Joo Mo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

        본 연구는 사진활동작업 개입을 통해 쉼터에 거주한 가정폭력노출아동에 대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A시 쉼터에 거주한 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11월까지 프로그램 진행과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100개의 의미 있는 진술, 23개의 의미 구성, 10개의 주제와 5개의 주제묶음으로 도출되었으며, 그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낯선 곳에서 둥지 틀기>, <떠올리기조차 두려운 아빠, 그래도 보고 싶은 아빠>, <과거의 행복했던 순간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 <엄마는 언제나 나의 수호천사>, <나의 꿈, 나의 희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는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거주 아동에 대한 스트레스관리에 중점을 두고, 자녀동반가족에 대한 가족상담의 체계화와 추가적인 경제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intervention of photographic activity with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using Col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were corrected from 5 children living at shelter from October to November, 200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er participants` statement, 100 meaningful statements, 23 meaning units, 10 themes, and 5 theme clusters were elicited. 5 theme clusters were <sheltering in a strange place>, <dreadful father ever to reflect yet to miss>, <I wish I could return to my happy time in my life>, <mother is guarding angel of mine forever>, <my dream and my hope>. Social welfare`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necessity of stress management of children living at shelter, family counselling and extra-economy support of families with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