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시(黃時)간 시(詩) 연구(硏究)

        황만기 ( Man Ki Hwang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황시간에 대한 연구는 아직 학계에 소개된 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의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 그리고 시에 대한 일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황시간은 상주(현 문경) 출신의 인물로, 방村 黃喜의 7세손이다. 장수황씨가 상주 대도리에 정착한 이후 황시간에 이르러 굳건한 자리매김을 한다. 특히 그는 시에 일장을 보였는데, 당시 사람들은 우복 정경세의 부와 함께 ``黃詩鄭賦``라 병칭되었다. 또한 그는 蒼石 李埈, 愚伏 鄭經世, 沙西 全湜과 함께 商山四老로 일컬어졌다. 이 외에 교유한 인물로는 月澗 李□, 月峯 高仁繼, 泰村 高尙顔 등이 있다. 황시간은 전원적, 은일적 삶을 추구한 인물이다. 비록 67세의 만년에 벼슬길에 올라 형조정랑의 벼슬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이는 선비라면 누구나 한번 쯤 조정에 나아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펼쳐보려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지, 삶의 궁극적 목표는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삼가현감을 마지막으로 5년간의 벼슬살이를 마감하고 결국 전원의 보금자리를 찾게 된다. 이런 그의 족적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그의 시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부귀명예를 추구하지 않고 가난을 편안히 여기면서 만족할 줄 아는 安貧守道의 삶을 추적해 보았다. 둘째, 그는 역사의 최대 혼란기였던 壬亂과 丙亂을 모두 체험하였다. 이때의 애한을 사실적이며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셋째, 황시간은 벼슬에 대한 갈망이 내재된 그였기에 추천의 의한 벼슬을 마다하지 않고 벼슬길에 올랐다. 그러나 5년간의 관직생활에서의 지향점이자 목표는 고향으로의 회귀였다. 이때의 심정을 노래한 작품을 중심으로 규명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그가 전원으로 돌아온 이후에 새롭게 맛보는 흥취를 추적해 보았다. The study on Hwang Si-gan has not been reported to the academia yet. Thus, this paper introduces his life, and companionship, also a part of his poems. Hwang Si-gan was from Sangju (present Mungyeong), and was the seventh generation of Hwang Hui(黃喜), whose honored name is Bang Chon (방村). Since after Jangsu Hwang`s clan settled down in Daedor-ri, Sangju, the clan members firmly positioned at the town by the time of Hwang Si-gan. In particular, he showed his talent in writing poems, and the people in those days classed him with Jeong Gyeong-se, also known as his pen name, Ubok, as two greatest poets: Hwang had a distinguished talent in writing poems and Jeong in writing rhythm prose(黃詩鄭賦, pronounced "Hwangsi, Jeongbu"). Also, Hwang Si-gan was called a member of ``Sangsan Sano`` (商山四老, Four sages in the Mountain, Sangsan) together with Lee Jun(李埈), also known as pen name, Changseok(蒼石); Jeong Gyeong-se (鄭經世), aka Ubok(愚伏); and Jeon Sik (全湜), aka Saseo (沙西). In addition to them, he used to associate with Lee Jeon (李□), aka Wolgan(月澗); Go In-gye (高仁繼), aka Wolbong (月峯), and Go Sang-an(高尙顔), aka Taechon (泰村). Hwang Si-gan was a person who pursued pastoral and secluded life. Even though he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in his later years, at the age of 67, and promoted to Hyeongjo Jeongnang (刑曹 正郞, a section chief of the Ministry of Punishments), his career in the government post merely resulted from a scholar`s desire to join the conference in the royal court to follow his political ideals, which was usually grown from the classical scholars in those days, his government position was not the ultimate goal of his life. So, he ended his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for five years by quitting the magistrate post of Samga county in the last place, and, eventually, he returned to his home where he could enjoy his pastoral life. Based on his traces as such, this paper investigated his poems by dividing it largely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e paper traced such lifestyle as; not seeking the wealth and honors, but live at your ease even under the state of being poor knowing how to satisfy yourself, in short, Anbinsudo(安貧守道, in literal sense, satisfying with what you have and keeping focused on the righteous path) Second, he had experienced both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so then he depicted such hard life in his poems, joy and sorrow, during the years of war in a realistic and vivid manner. Third, Hwang Si-gan had a desire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so that he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following the recommendation. Meanwhile, however, the point of his public service career for five years and the goal thereof was returning home. This paper studied his works with a focus on the poems that expressed his feeling and heart in those moments. Lastly, the paper analyzed his life after returning hometown, which he was yearning for even in his dreams, through his poetic pieces

      • KCI등재

        창주<SUP>滄洲</SUP> 박돈복<SUP>朴敦復</SUP>의 학문과 현실인식

        황만기(黃萬起)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6

        창주滄洲 박돈복朴敦復(1584~1647)은 선조-광해군-인조조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는 어린 시절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전란을 목도하였고, 장년기에는 병자호란이라는 또 하나의 전란을 온몸으로 직면하였다. 경북 영해에서 태어나 거의 40여 년 독서와 수양으로 삶을 영위하다가 불혹不惑의 나이에 벼슬길에 나가서 관료로서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다가 이순耳順의 나이가 되어서야 다시 고향인 영해로 돌아와서 그가 추구하고자 한 은거적 삶을 완성하였다. 박돈복의 당색은 기본적으로 남인에 속한다. 그러나 택당澤堂 이식李植 등 서인계 인사들과 수계修稧하는 등 비교적 원만한 교유를 하였다. 그가 이런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당색에 치우치지 않은 정치적 중립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박돈복은 병자호란 당시 청음 김상헌과 궤를 같이하며 척화파의 노선에 있었다. 그의 정치적 노선이 훗날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지 못했고 국제적 정세에도 너무 어두웠다는 비판을 받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나 당시 박돈복이 후금과의 전쟁을 끝까지 불사한 까닭은 견위치명見危致命의 유가이념이 그의 삶을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학문적인 측면에 있어서 천인성명학에 대한 그의 입장을 읽을 수 있었고, 임금이 백성들을 다스림에 있어서 필독서로 여겨야 할 책으로 『경국대전』보다 『대학』을 더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필자의 연구를 계기로 향후 소외 인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나아가 인물 연구의 지평이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Changju(滄洲) Park Don-bok(朴敦復, 1584~1647) was a person who lived in the era of King Seonjo, Gwanghaegun, and Injo. He witnessed an unprecedented war, Imjinoeran, in his childhood, and faced another war, Byeongjahoran, with every part of his body in his middle years. He was born in Yeongjae, Gyeongbook, led his life reading books and cultivating his mind for about 40 years, started his official career in his forties, performed his du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faithfully, came back to his hometown, Yeonghae, in his sixties, and then completed the secluded life he had pursued. The basic tendency of Park Don-bok’s political party was Namin. Yet, he smoothly associated with figures in Seoin, such as Taekdang(澤堂) Lee Sik(李植), participating in Sugye(修稧) and so on. It seems that he could maintain these relationships because of his political neutrality not biased by the position of his political party. At the time of Byeongjahoran, Bak Don-bok took the line of Cheokhwa (anti-Manchu) party in the same position of Cheongeum Kim Sang-heon. His political line was criticized later that he had failed to face the reality properly, and that he had not kept up with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However, the reason why Park Don-bok was willing to fight against Ching to the end at that time seems that the Confucian ideology of Gyeonwichimyeong (sacrificing oneself when one’s nation is in crisis, 見危致命) ruled his life. In an academic aspect, his stance regarding Cheonin Seongmyeonghak could be understood, and it has been found out that he preferred 『Daehak』 to 『Gyeonggukdaejeon』 as a must-read for a king to govern people with.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the opportunity to facilitate diverse studies on marginalized figures, and furthermore, to expand the prospect of figure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삼소재 김종락의 실천적 삶과 충효열의 선양

        황만기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5

        This is the study on Samsojae(三素齋) Kim Jong-rak(金宗洛)'s practical life and his enhancement of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Samsojae Kim Jong-rak was a member of a provincial noble family in Pungsan, Ahndong, in the 19th century. He was born as a descendant of Seonahndong Kim family, that is, Sangrak Kim family, and practiced Samso(三素) all his life. Samso refers to Geososan(居素山), Siksochan(食素餐), and Haengsori(行素履). Geososan(居素山) means leading a simple life, that is, living in a humble house in the clean, barren, remote countryside, developing nature,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Siksochan(食素餐) stands for having plain foods, which is having joy from eating true and simple foods gained by one’s own efforts and reading books. And Haengsori(行素履) means simple acting, in other words, leading a clean, true, plain and frugal life without greed. In addition, his practicing Paljomok all his life, which is his life philosophy and what he taught to his children, was an extraordinary aspect of an intellectual in the 19th century. He also showed unusual consciousness by promoting the behind figures who practiced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the national policy of Joseon dynasty. In addition, as an intellectual in Andong, he pointed out the problem of Samjeong, which was a ills of Andong, and it was a feature point differentiated from other intellectuals in that he was a watchdog and judge of society that suggested solutions. He tried to revive the local academic tradition, which had become weak, by encouraging the young people in the region to study with the lessons from Seoae Ryu Seong-ryong, Byeonggok Kwon-gu and others. It was the manifestation of his love of his home and his purpose of life that he had pursued all his life. Even though he was not widely known in the history of figures or even in his own region, his academic capability and differentiated consciousness are inherent everywhere in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which the traces of his life are reflect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s the denotation of area studies to be expanded. 본고는 삼소재(三素齋) 김종락(金宗洛)의 실천적 삶과 충효열의 선양에 대한 연구이다. 삼소재 김종락은 19세기 안동 풍산의 재지 사족이다. 선안동김씨, 즉 상락김씨의 후손으로 태어난 그는 평생 삼소(三素)를 실천하였다. 삼소란 거소산(居素山), 식소찬(食素餐), 행소리(行素履)를 말하는데, 거소산(居素山)은 사는데 소박하다는 뜻으로 맑고 척박한 두메의 누추한 집에서 살며 천성을 기르고 안빈낙도한다는 의미이고, 식소찬(食素餐)이란 먹는데 소박하다는 뜻으로 스스로 노력해서 얻은 참되고 담박한 음식을 먹으며 서적을 벗하는 기쁨을 얻는다는 의미이며, 행소리(行素履)는 행하는데 소박하다는 뜻으로 욕심이 없고 깨끗하며 참되고 꾸밈이 없이 검소하게 산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평생 그의 삶의 철학이자 자제들에게 교육한 팔조목에 대한 실천은 19세기 지식인의 남다른 면모였다. 또 그는 조선 왕조의 국시였던 충효열을 실천한 지역의 인물들을 선양하고자 하는 특별한 의식세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안동의 지식인으로서 안동의 병폐였던 삼정의 문제점을 예리하게 지적하였고, 그 해결방안까지 제시하는 사회의 감시자이자 재판관이었다는 점에서 여타 지식인들과 차별되는 특징점이었다. 서애 류성룡과 병곡 권구 등이 남긴 교훈을 향내의 젊은 유생들에게 학업을 권장하고 조언함으로써 쇠미해진 지역 학풍(學風)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다. 이는 그의 애향정신의 발로이자 평생 지향했던 삶의 목표였던 것이다. 비록 인물사에서나 지역에서조차도 널리 알려지지 못한 인물이긴 하나, 그의 삶의 족적이 녹아 있는 그의 문집 곳곳에는 그의 학문적 역량과 차별적 의식이 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지역학의 외연을 넓히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

        우탁의 지부상소 연구

        황만기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7 No.-

        In this paper, Yeokdong U Tak’s Jibusangso(持斧上疏) was examined. As you know, Toegye Lee Hwang thought highly of U Tak’s having dissseminated I-Ching widely into Korea and established Yeokdong Seowon. U Tak is also widely known as a person who reproved King Chunseong for his unethical acts while wearing white clothes and carrying an ax when he was a Gamchal Gyujeong(inspection officer) of Goryeojo. As the introduction to U Tak’s Jibusangso, his righteous acts(義行) were recorded not only in Goryeosayeoljeon but also in Kwon Geun(權近)’s Donghyeonsaryak(東賢史略), Yu Hui-chun(柳希春)’s Sokmonggu(續蒙求), Sim Gwang-se(沈光世)’s Haedongakbu(海東樂府) and others in order to honor his spirit forever. And good writers with extraordinary historical consciousness introduced them in various ways through miscellaneous writings and etc. in individual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it developed unusually in diverse ways from the existing narrative style. Seongho(星湖) Lee Yik(李瀷) made U Tak’s Jibusangso stand out in the form of Akbu poetry(樂府詩), and his disciple, unknown(無名子) Yun Gi(尹愭), through the poem of Chileonjeolgu(七言絶句), and Jeoam(著菴) Yu Han-jun(兪漢雋) specially wrote abou Jibusangso in the form of full-length Seosabu(敍事賦). It was because the author intended to give publicity to U Tak’s integrity and honest advice who carried out Jibusangso. The historical meanings of U Tak’s Jibusangso were found by Jungbong Jo Heon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and re-investigated by Myeonam Choi Ik-ye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When Jo Heon appealed to make the envoy from Japan cut before the outbreak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said that it was from U Tak’s Jibusangso. And when a commercial treaty with Japan was signed in 1876, Choi Ik-hyeon emphasized the injustice of the treaty, and in the process, he also mentioned that he came to appeal based on U Tak’s and Jo Heon’s Jibusangso. So these three figures’ appeals are now called the three Jibusangsos of Korea. 본고는 역동 우탁의 持斧上疏에 대한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퇴계 이황은 우탁이 주역을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하였다는 점을 높이 숭상하여 역동서원을 건립하였다. 우탁은 또 고려조 감찰규정으로 있을 때 충선왕의 폐륜적 행위에 흰옷 차림에 도끼를 메고 간언을 올린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우탁의 지부상소에 대한 소개는 <고려사열전>에서부터 權近의 <東賢史略>, 柳希春의 <續蒙求>, 沈光世의 <海東樂府> 등에서 그의 義行을 기록하여 그 정신을 영원히 기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남다른 역사 인식을 지닌 문장가들은 잡저 등을 통해서 개인의 문집 속에 다양한 형태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로 넘어오면 기존의 서술형 형태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이채롭게 전개되기도 하였다. 星湖 李瀷은 樂府詩 형식으로, 그의 제자인 無名子 尹愭는 七言絶句 시를 통해 우탁의 지부상소를 부각하였고, 著菴 兪漢雋은 장편의 敍事賦의 형식으로 지부상소를 특기하였다. 이는 지부상소를 결행한 우탁의 절조와 충언을 널리 알리고자 한 작자의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탁의 지부상소는 조선 중기 중봉 조헌에 의해 역사적 의미를 되찾았고, 구한말에 와서는 면암 최익현에 의해 또다시 그 의미가 재규명되었다. 조헌은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전에 일본에서 온 사신의 목을 벨 것을 청하는 소를 올리면서 우탁의 지부상소에 기인하였음을 밝혔고, 최익현은 1876년 일본과의 통상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부당함을 역설하는 과정에서 우탁과 조헌의 지부상소에 기인하여 소를 올리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세분의 상소를 우리나라 3대 지부상소라 일컫고 있다.

      • KCI등재

        영주의 선비정신 형성에 대한 고찰

        황만기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4 한국문학과 예술 Vol.49 No.-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of the scholar spirit of Yeongju, focusing on the number and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produced through seowon and seodang in Yeongju. Yeongju cultivated many scholars by the establishment of Baegun-dong Seowon, the first seowon in Korea, by Ju Se-bung. Since then, Toegye's establishment of Isan Seowon and the emergence of many Seodang have deepened the aspect of Yeongju becoming the home of scholars. After Toegye's death, the cultivation of Yeongju scholars flowed mainly to Sogo Park Seung-im. There was Geumgye, which was double-walled, but his disciples were so few that Geumgye died at a relatively early age of 47, so he did not allow time to cultivate disciples. On the other hand, Sogo produced so many disciples that 52 were included in his literary books alone, and they became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Yeongju scholars, maintaining a remarkable position in establishing Yeongju as the home of scholars in the future. As for the writers of Sogo, outstanding scholars such as Baekam Kimreuk, Samsongdang Nam Mong-oh, Hwanam, Kim Nong, Seongodang Lee Ga-rip, Manchudang Kim Guk, Mulam Kim Yong, Maepo Song Bok-gi, Anchon Bae Eung-gyeong, Yongdam Imhle, Cooking Lee Yeo-bin, Oral Kim Joong-cheong, and Dongri Kim Yunan were produced. Since then,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Yeongju is Kim Eung-jo in the 17th centur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Kim Eung-jo, a bachelor, not only achieved a great achievement in the compilation of the 『Yeongju』 like Lee Yeo-bin did, but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literary style in the Hyangchon area. In the 18th century, there are Duam (斗庵) Kim Yak-ryeon from Seokpo-ri, Isan-myeon, Yeongju. Kim Yak-ryeon is a descendant of Munjeolgong Kim Dam, the seventh generation of Baekam Kimreuk and his mother is the sixth generation of Sogo Park Seung-im. Born on the basis of the good DNA of both families, he was the best scholar in Yeongju in the 18th century and played a big role in the creation of Yeongju's scholar culture. In particular, he expressed his loyalty in creating Yeolnyeojeon with loyalty in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Crown Prince Sado. Jeong Do-jeon's pioneering spirit, Mungyeong-dong's Sarim spirit, Geumseongdaegun and Lee Bo-heum's Buddhist temple spirit, Park Seung-im and Hwang Joon-ryang's spirit of the people, the loyalty spirit of Kim Ruk and Hansan Doo, the filial piety spirit of Manchudang Kim Kook, and the virtue of Kim Yak-ryeon's loyalty and concession were the pillars that sustained the spirit of Yeongju's scholar spirit.

      • 심곡(深谷) 장제원(張悌元)의 생애(生涯)와 우국시(憂國詩) 고찰(考察)

        황만기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4 退溪學 Vol.22 No.-

        이 논문은 심곡 장제원의 우국시를 연구한 것이다. 심곡은 인동현 출신으로 임진왜란의 참상을 직접 목격한 인물이다. 심곡은 아직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으나, 서애 류성룡·학봉 김성일·인재 최현·동리 김 윤안·우복 정 경세·경암 노경임 등과 교유할 정도로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다. 장제원의 문집인 『深谷集』에는 165수의 시가 실려져 있다. 여기에는 수창시나 차운시 등 교유시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몇편의 감흥시, 경물시. 4편의 만시 등이 있다. 또한 심곡시에는 그가 임란을 체험하면서 국가의 안위를 염려하는 우국시가 많이 담겨져 있다. 본고에서는 심곡이 전란을 극복하는 과정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는 그의 우국시에 주안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비분강개의 울분을 담고 있다. 거센 불길도 언젠가는 꺼지고 세차게 흐르는 물결도 반드시 마를 날이 있듯이 비록 지금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백성 들 이 아우성을 지르고 있지만, 언젠가는 전쟁이 종식되어 편안히 살 수 있는 날이 회복될 것이라는 그의 비분강개한 심리 상태를 직서하고 있다. 둘째, 그의 시에는 애민의식과 우국충정이 배어있다. 심곡은 칼이나 활을 다루는 무인이 아닌 책 속에 파묻혀 지내는 서생에 불과하다. 시인은 총칼을 들고 전쟁터로 달려 나갈 수 있는 위치에 있지 못하다. 그렇지만 국토산하가 적의 발굽에 짓밟히고 백성들이 날마다 추위와 배고픔에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목도한 그의 애민의식은 시로 승화되어 나타나기에 이른다. 이런 그의 마음은 진홀어사와 방백에게 올린 편지에서 구체적으로 확인 된다. 여기에는 백성들을 구휼하는 세부적인 계획까지 자세하게 언급되어있어, 그의 치밀하고 철저한 마음자세를 읽을 수가 있다. 셋째, 전란의 슬픔과 이별의 정한을 표현하고 있다. 招論使 김 성일이 인동현의 整齊將에 심곡을 差定하여 인동현의 병사를 모으라는 명을 내림에 심곡은 그의 三從姪 張乃範과 함께 인동현의 정제장이 되어 인동현 일대의 의병장을 모아 왜적에 대항하였다. 이런 그의 의기는 자신들의 향토를 수호해야 한다는 생존욕구와 국가가 위난에 처해 있을 때 수수방관하지 않는다는 선비의 기상에서 연유하는 것이다. 형과 이별해야만 애절한 슬픔과 난리 중에 부모님의 생신과 기일을 맞았을 때, 눈물만 하염없이 흘릴 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처지를 비통해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심곡의 우국시에는 난후의 애한을 핍진하게 담아내고 있다. 난 후에 심곡은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가 처음 목도한 것은, 살던 집은 허물어져 나무들만 빽빽하였고 언제나 오가던 길은 무너지고 끊어져 잡초만 무성하였다. 심곡은 또 황폐해진 부모의 무덤에서 치유할 수 없는 전쟁의 쓰라린 상처를 어루만진다.

      • KCI등재

        대계 이주정의 생애와 학문 경향

        황만기 온지학회 2020 溫知論叢 Vol.0 No.64

        This paper is to examine Daegye(大溪) Lee Ju-jeong(李周禎)’s family, life, social intercourse and academic inclination. Lee Ju-jeong’s friend, Gwonbang, said, ‘He had no scholar to compete in the world and was never under two different instructions.’ In addition, Jeong Jong-ro, who was a great scholar student under Daesan, sent letters several times, asking him to participate in such matters as HosoLiupyeon(胡書類編) and SangByunjeolYak(常變節約) to discuss. This is all the result of Lee Ju-jeong’s pursuit of good learning. Lee Ju-jeong went to Daesan Lee Sang-jeong at the age of 27 and learned Daehakjanggu(大學章句). In the process of learning, he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every letter rather than just ran over them. Especially, with regard to Namdang Han Won-jin’s theory on dissent of person’s and animal’s character(人物性異論), th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a person and a thing, in the analysis into the preface of Daehak(大學), he took the opposite stance. Moreover, regarding <Simmuchulipseol>, he had the same opinion as former scholars, but as for Hogok Ryu Beom-hyu’s Aknyeomgeunchak(惡念根着), he thought differently. In addition, his logic of excluding Buddhis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his academic roots. This paper did not cover the characteristics of Lee Ju-jeong’s poetry yet. The research scope in regard with this issue will be expanded with further studies. 본고는 대계 이주정의 가계와 생애, 교유관계 그리고 그의 학문 경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주정의 외우(畏友)인 학림(鶴林) 권방(權訪)은 ‘세상에 대적할 만한 선비가 없었고, 영원히 두 문하를 출입하지 않았네.’라고 하였다. 대산 문하의 대학자였던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는 여러 차례 편지를 보내 호서류편(湖書類編)과 상변절약(常變節約) 등의 일에 참여하여 토론하기를 청하기도 하였다. 이는 모두 이주정의 훌륭한 학문에 대한 추중(推重)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이주정은 그의 나이 27세에 대산 이상정에게 나아가 대학장구를 배웠다. 배우는 과정에서 구절 하나에 글자 하나에 대해서 그냥 지나치지 않고 끝까지 그 의미를 규명하려 하였다. 특히 남당 한원진이 대학의 서문을 분석함에 있어서 사람과 사물의 성질이 다르다는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에 대해서는 반대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또 <심무출입설>에 대해서는 선현들과 같은 생각을 지녔으나, 호곡 류범휴가 말한 악념근착(惡念根着)에 대해서는 다른 견해를 지니고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불교에 대한 배척은 그의 학문적 근원에서 비롯되었다. 본고는 이주정의 시문학에 대한 특징점에 대해서는 미처 다루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른 지면을 통해 연구의 폭을 넓혀갈 예정이다.

      • KCI등재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봉정사 공간 향유 양상

        황만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4 No.-

        In this paper, the age, background, and meanings of the creation of poet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poems related to Bongjeong Temple in documents, and through those literary works, Through these verses, Bongjeong Temple was actively used as a Confucian spac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the temple. Bongjeong Temple is known as an old temple built by Neuingin(能仁), a monk of Silla. Its Geukrakjeon and Daewoongjeon show so valuable spatial art that their unique architectural aspects have been acknowledged and they have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In addition, the surrounding plantation including Bongjeong Temple has been recognized to have special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a temple, which has led to the achievement of thei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this way, Bongjeong Temple is a place with tradition and aesthetic values of Buddhist culture. The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Ntellectuals used the temple space as a Confucian space. In particular, since Toegye, a leader of the East who compiled Confucianism in Joseon, visited here in the 16th century, The symbolism grew bigger and bigger. Accordingly, Bongjeong Temple was widely used not only for reading books and giving lecture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printing culture by publishing a special edition of 『Toegyejip』 and issuing 『Beonamjip』 and 『Seonsanjip』, etc. Especially, the functions of Changamjeongsa(蒼巖精舍), which was founded by the lead of Kim Si-chim, Ryu Won-ji, Lee Yi-song and others, became enhanced as a space to cherish the memory for the deceased and as a pilgrimage course. As such, Buddhist temple, which is a place of Buddhist performance, ritual, and discipline, was enjoyed by the local nobility and clan in such a way as Ganghak, Munjip publication, elegance. 본고는 문헌에 실린 봉정사 관련 시문들을 중심으로 시문이 창작된 연대와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들 시문을 통해 봉정사가 사찰이 갖는 기본적 기능 이외에 유교적 공간으로도 적극적으로 활용된 점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봉정사는 신라 시대의 승려인 能仁이 창건한 고찰로 알려져 있다. 극락전과 대웅전은 독특한 건축 양상을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될 만큼 매우 가치적인 공간예술이다. 또 봉정사를 포함한 주변 원림은 사찰이 지닌 특수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렇듯 봉정사는 불교 문화로서의 전통성과 심미성을 지닌 공간이다. 그런데 조선 중기에 접어들면서 지식인들이 사찰 공간을 유교 공간으로 활용하였고 특히 조선의 유학을 집대성한 퇴계가 16세에 이곳을 찾은 이후로는 그 상징성이 더욱더 커갔다. 그리하여 봉정사는 독서와 강학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퇴계집』을 중간하는가 하면 『번암집』과 『서산집』을 간행하는 등 인쇄문화의 꽃을 피웠다. 특히 김시침·류원지·이이송 등이 주도하여 창건한 蒼巖精舍는 추념의 공간이자 성지순례 코스로서의 그 기능이 강화되었다. 이렇듯 불교적 수행·의례·강학의 공간인 사찰이, 지역 사대부와 사족에게 강학·문집 간행·풍류 등의 방식으로 향유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