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시(黃時)간 시(詩) 연구(硏究)

        황만기 ( Man Ki Hwang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황시간에 대한 연구는 아직 학계에 소개된 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의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 그리고 시에 대한 일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황시간은 상주(현 문경) 출신의 인물로, 방村 黃喜의 7세손이다. 장수황씨가 상주 대도리에 정착한 이후 황시간에 이르러 굳건한 자리매김을 한다. 특히 그는 시에 일장을 보였는데, 당시 사람들은 우복 정경세의 부와 함께 ``黃詩鄭賦``라 병칭되었다. 또한 그는 蒼石 李埈, 愚伏 鄭經世, 沙西 全湜과 함께 商山四老로 일컬어졌다. 이 외에 교유한 인물로는 月澗 李□, 月峯 高仁繼, 泰村 高尙顔 등이 있다. 황시간은 전원적, 은일적 삶을 추구한 인물이다. 비록 67세의 만년에 벼슬길에 올라 형조정랑의 벼슬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이는 선비라면 누구나 한번 쯤 조정에 나아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펼쳐보려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지, 삶의 궁극적 목표는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삼가현감을 마지막으로 5년간의 벼슬살이를 마감하고 결국 전원의 보금자리를 찾게 된다. 이런 그의 족적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그의 시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부귀명예를 추구하지 않고 가난을 편안히 여기면서 만족할 줄 아는 安貧守道의 삶을 추적해 보았다. 둘째, 그는 역사의 최대 혼란기였던 壬亂과 丙亂을 모두 체험하였다. 이때의 애한을 사실적이며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셋째, 황시간은 벼슬에 대한 갈망이 내재된 그였기에 추천의 의한 벼슬을 마다하지 않고 벼슬길에 올랐다. 그러나 5년간의 관직생활에서의 지향점이자 목표는 고향으로의 회귀였다. 이때의 심정을 노래한 작품을 중심으로 규명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그가 전원으로 돌아온 이후에 새롭게 맛보는 흥취를 추적해 보았다. The study on Hwang Si-gan has not been reported to the academia yet. Thus, this paper introduces his life, and companionship, also a part of his poems. Hwang Si-gan was from Sangju (present Mungyeong), and was the seventh generation of Hwang Hui(黃喜), whose honored name is Bang Chon (방村). Since after Jangsu Hwang`s clan settled down in Daedor-ri, Sangju, the clan members firmly positioned at the town by the time of Hwang Si-gan. In particular, he showed his talent in writing poems, and the people in those days classed him with Jeong Gyeong-se, also known as his pen name, Ubok, as two greatest poets: Hwang had a distinguished talent in writing poems and Jeong in writing rhythm prose(黃詩鄭賦, pronounced "Hwangsi, Jeongbu"). Also, Hwang Si-gan was called a member of ``Sangsan Sano`` (商山四老, Four sages in the Mountain, Sangsan) together with Lee Jun(李埈), also known as pen name, Changseok(蒼石); Jeong Gyeong-se (鄭經世), aka Ubok(愚伏); and Jeon Sik (全湜), aka Saseo (沙西). In addition to them, he used to associate with Lee Jeon (李□), aka Wolgan(月澗); Go In-gye (高仁繼), aka Wolbong (月峯), and Go Sang-an(高尙顔), aka Taechon (泰村). Hwang Si-gan was a person who pursued pastoral and secluded life. Even though he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in his later years, at the age of 67, and promoted to Hyeongjo Jeongnang (刑曹 正郞, a section chief of the Ministry of Punishments), his career in the government post merely resulted from a scholar`s desire to join the conference in the royal court to follow his political ideals, which was usually grown from the classical scholars in those days, his government position was not the ultimate goal of his life. So, he ended his career as government official for five years by quitting the magistrate post of Samga county in the last place, and, eventually, he returned to his home where he could enjoy his pastoral life. Based on his traces as such, this paper investigated his poems by dividing it largely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e paper traced such lifestyle as; not seeking the wealth and honors, but live at your ease even under the state of being poor knowing how to satisfy yourself, in short, Anbinsudo(安貧守道, in literal sense, satisfying with what you have and keeping focused on the righteous path) Second, he had experienced both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so then he depicted such hard life in his poems, joy and sorrow, during the years of war in a realistic and vivid manner. Third, Hwang Si-gan had a desire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so that he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following the recommendation. Meanwhile, however, the point of his public service career for five years and the goal thereof was returning home. This paper studied his works with a focus on the poems that expressed his feeling and heart in those moments. Lastly, the paper analyzed his life after returning hometown, which he was yearning for even in his dreams, through his poetic pieces

      • KCI등재

        안동지역 효 관련 누정과 시판에 담긴 의미

        황만기 ( Hwang¸ Man-ki ) 한국한시학회 2021 韓國漢詩硏究 Vol.29 No.-

        본고는 안동의 누정(樓亭) 가운데 효(孝)와 관련한 것과 시를 그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안동은 추로지향(鄒魯之鄕)으로 널리 알려진 유학의 본산이자 퇴계를 비롯한 수많은 인재를 배출한 인재의 고장이다. 유학자를 많이 배출한 안동에는 산과 강, 골짝과 냇가 등에 수많은 누정들이 즐비하게 산재해 있다. 이들 정자는 유상이나 학문을 목적으로 건립되기도 하였으나, 삼구정(三龜亭), 애일당(愛日堂), 백운정(白雲亭)은 효를 중심이 두고 건립된 누정이라는 점에서 일반 정자와 차별성을 지닌다. 안동의 서쪽인 풍산(豐山)에 위치한 삼구정은 아름다운 풍광보다는 어머니 예천권씨의 축수를 기원하는 효심으로 건립된 정자이다. 말하자면 효행이 서려 있는 정자인 셈이다. 삼구정에 서려 있는 효사상은 500년이 지난 지금도 시대정신의 귀감이 되어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로 하여금 다시금 효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고 있다. 안동의 북동쪽인 예안 가송리에 위치한 애일당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효를 실천한 무대이다. 평생 ‘효’라는 가치관을 최우선으로 여긴 그의 효심은 농암 후손가의 삶의 철학이자 에너지이다. 무엇보다 중국의 노래자가 70세의 나이에 어버이를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해 색동옷을 입고 춤을 추었던 고사를 직접 자신의 부모를 위해 실천한 예는 지행일치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실천의지이자 행동철학이다. 안동의 동쪽에 위치한 백운정은 당나라 적인걸과 송나라 나종언의 고사가 서려 있는 정자로, 청계(靑溪) 김진(金璡)이 부친 김예범(金禮範)의 묘소가 보이는 곳에 터를 잡고 그의 차자(次子)가 김진의 뜻을 받들어 정자를 건립하였다. 이를테면 백운정에는 효사(孝思) 정신이 깃든 셈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filial piety and poetry among the pavilions in Andong. Andong is the origin of Confucianism widely known as Churojihyang (鄒魯之鄕, the hometown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the region of competent men producing many outstanding individuals including Toegye. In Andong from which lots of Confucian scholars have come, numerous pavilions lie scattered around in its mountains, rivers, valleys and streams. Some of them were built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on or academic studies, but Samgujeong (三龜亭), Aeildang(愛日堂), and Baekwunjeong(白雲亭) are different from other pavilions in that they were built for filial duty. Samgujeong located in Pungsan (豐山) in the western area of Andong was built with the filial love of wishing for longevity of one's mother, Ye Cheon-kwon, rather than for a beautiful scenery. So to speak, it's a pavilion with filial piety.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in Samgujeong has been the example of the spirit of the times until now even after 500 years, which helps its visitors to meditate over the meanings of filial piety once again. Aeildang situated in Gasong-li, Yea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Andong is the place where Nongam Lee Hyeon-bo(聾巖 李賢輔) fulfilled filial duty. The filial love of Nongam, who made the value of 'filial piety' his priority all his life, is the life philosophy and energy of Nongam's descendants. Above all, the example of putting the ancient story that Lao Laizi of China danced in a rainbow-striped garment to make his parents happy at the age of 70 into practice for his own parents shows the will of practice and philosophy of action dis playing what the agreement of one's knowledge and actions is. Baekwunjeong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Andong is the pavilion with the old story of Di Renjie of Tang Dynasty and Luo Congyan of Song Dynasty. Cheonggye Kim Jin (靑溪 金璡) picked out the site where he could see the tomb of his father, Kim Ye-beom(金禮範), and his second son had the pavilion built following Kim Jin's will. So to speak, Baekwunjeong has the spirit of filial piety.

      • KCI등재

        화재 황익재의 삶과 학문경향

        황만기 ( Hwang Man-ki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본고는 18세기 상주 지역 인물인 화재 황익재의 삶과 학문경향을 연구하였다. 황익재는 무신란(일명 이인좌의 난)에 소모사의 직책을 띠고 의병창의와 민심수습에 적극성을 띤 인물이다. 또 전라도도사, 무안현감, 순천부사 시절에는 위정자로서 빈민들을 구휼함은 물론이거니와 훌륭한 교육정책을 펼쳐 관민(官民)으로부터 공통된 칭송을 받기도 하였다. 필자는 화재의 학문경향과 태도를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화재의 학문은 상주라는 지역적인 특색으로 인하여 근기남인인 성호 이익과의 교류 뿐만 아니라, 근기남인에서 영남남인으로 전향한 이만부, 그리고 권상일 이상정 등 상주와 안동지역 영남인들과의 교류도 활발하였다. 말하자면 근기남인과 영남남인의 통섭적인 학문자세를 취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화재는 퇴계 학문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어려서부터 퇴계에 대한 존모심이 있었던 그는 『퇴계집』 탐독을 일상적인 생활로 유지하였다. 이는 귀양지에서조차 부단히 지속되어 퇴계의 시에 차운하거나 퇴계의 편지글을 인용하였다. 셋째, 화재는 점진적인 단계의 학문을 추구하였다. 엽등을 용납하지 않음은 공자의 가르침을 따른 것이고, 영과이후진(盈科而後進)은 맹자의 가르침을 수용한 것이다. 특히 정준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학업의 단계에 있어서도 『논어』 『맹자』 등 사서(四書)를 우선적으로 배워야 하며 이해가 어려운 『춘추』는 가장 나중에 배워야 한다는 점진적인 학문단계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화재는 학문을 토론함에 있어서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늘 배우는 자세로 임하였고 더군다나 나이가 적고 항렬이 낮은 족질과도 호학(好學)의 자세로 임하였다. In this paper, the life and academic tendency of Hwajae Hwang Ik-jae, a figure of Sangju region in the 18th century, were examined. Hwang Ik-jae was a person who actively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nd controlled public sentiment as a Somosa during a military coup detat(so called Lee In-jwa's political upheaval). In addition, when he was a Jeolladosa, a Mushnhyeongam, and a Suncheonbusa, he was praised from both officials and people because he not only helped the poor as a politician, but also took good educational policies. Hwajae's academic tendency was categorized into four in this paper. First, becaus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angju, Hwajae's studies were based on the exchange with Lee Man-bu who had converted from Geunginamin to Yeongnamnamin and people of Yeongnam in Sangju and Andong, such as Kwon Sang-il and Lee Sang-jeong as well as with Seongho Lee Ik, one of Geunginamin. So to speak, he assumed an integrated attitude towards studies. Second, he accepted Hawjae Toegye's study. As he had respected and missed Toegye since his childhood, he made it a daily habit to be absorbed in reading < Toegyejip >. He constantly continued it even at the place of exile, and wrote poems with the rhyming words of Toegye or quoted Toegye's letters. Third, Hwajae pursued learning of a gradual process. He didn't tolerate skipping grades in order to follow Confucius' teachings, and practiced Yeonggwaeehujin(盈科而後進) because he had accepted Mencius' teachings. Particularly, in the letter to Jeong Jun, he emphasized gradual academic stages that the Four Chinese Classics(四書) including < the Analects of Confucius > and < Mencius > need to be learned first and that < Spring and Autumn Annals >, which was difficult to understand, should be learned lastly. Hawjae always had a learning attitude regardless of social positions when discussing studies, Finally furthermore, and a love of learning to inquire of the one who was as young as his nephew at the lower position in his family tree.

      • KCI등재

        石洲 李相龍의 삶과 詩文學

        황만기(Hwang, Man-ki)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5 No.-

        본고는 석주 이상룡의 삶과 시문학에 대한 연구이다. 석주의 삶을 망명 이전과 망명 이후로 나누어서 망명이전에는 보수 유학자로서의 삶에 포커스를 맞추었고, 망명 이후는 독립투사로서의 삶에 의미를 두었다. 石洲의 시문학에 대해서는 지행합일의 실천과 繼述의 정신, 교육을 통한 지식인의 면모, 憂國丹衷의 항일민족운동, 歸去來로의 向念 등 네 가지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구한말 애국계몽기에 있어서 석주 이상룡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어려서는 族祖인 平潭 李銓에게서 가르침을 받았고, 19세인 1876년에 조부인 忘湖 李鍾泰의 명으로 퇴계 학맥의 계보를 이은 西山 金興洛에게서 학문을 익혔다. 그는 노블리스 오블리제를 실천한 민족사의 커다란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석주의 경륜은 지략가로 알려진 관중, 제갈량, 장량에 비유되었고, 절의적인 행동은 수양에서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은 백이와 송나라의 의리를 지킨 文天祥의 삶에 비유되기도 하였다. 그의 활동은 역사적 평가에 있어서 空前絶後한 영웅적 업적이고, 그의 大節은 공자가 말한 强哉矯이고 맹자가 말한 浩然之氣인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Seokju Lee Sang-ryong’s life and poetic literature. Seokju’s life was divided into before his exile and after the exile. Regarding his life before the exile, his life as a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 was focused on, and with regard to his life after the exile, the meanings of his life as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were investigated. Seokju’s poetic literature was categorized into and examined in four parts, that is, the practice of Jihaenghapil(the agreement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and spirit of succession, the aspects as an intellectual person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the patriotic anti-Japan national movement, and the focus on homecoming. It’s hard not to mention Seokju Lee Sang-ryong regarding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enment in late days of Joseon. He was born as the eldest son with two brothers, and was taught by Pyeongdam(平潭) Lee Jeon(李銓), his ancestor(族祖), in his childhood. He studied under Seosan(西山) Kim Heung-nak(金興洛), who had continued the tradition of Toegye’s academic genealogy, following the order of his grandfather, Mangho(忘湖) Lee Jong-tae(李鍾泰), at the age of 19 in 1876. He was a great hero who practiced noblesse oblige and has left a deep footprint in the national history. Seokju’s experience and knowledge have been compared to those of Gwanjung, Jegalryang, and Jangryang known as great strategic planners, and his faithful behaviors to those of Baekee who had died while digging up and eating bracken in Suyang and the life of Mun Cheon-sang(文天祥) who had been loyal to Song dynasty. His activities were heroic achievements unprecedented in historical assessment, and his great fidelity was Gangjaegyo(强哉矯) mentioned by Confucius and Hoyeonjigi(浩然之氣) mentioned by Mencius.

      • KCI등재
      • KCI등재

        尹昕의 『溪陰漫筆』 考察

        황만기(Hwang, Man-k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본고는 陶齋 尹昕이 저술한 『溪陰漫筆』에 대한 연구이다. 『계음만필』은 3권 3책의 필사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책은 윤흔의 호를 붙여서『陶齋隨筆』이라고도한다. 『溪陰漫筆』에는 서문이나 발문이 붙어 있지 않아 이 책을 집필한 시기, 편찬자의 의도, 집필과정, 서술방식, 서술 체제등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알 수 없다. 그러나『溪陰漫筆』 卷3의 마지막 기사앞의 내용이 정축년(1637)에 金慶徵의 기사를 미뤄 보건대 1637년 겨울이거나 윤흔이 임종한 해인 1638년 초반으로 추측해 볼 수가 있다. 그리고 漫筆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漫錄, 雜錄, 筆談등과 같이 筆記에 속한다. 필기는 일관된 서술체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제재 역시 정치 역사 경제 및 문화 전반, 자연현상, 인물 일화 등 온갖 영역에 미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야사, 시화, 소화 등의 구성요소를 지닌다. 해당 내용들을 권별로 분류하면 권1에 141화, 권2에 136화, 권3에 111화로 모두 388화의 주제가 실려있다. 『계음만필』이 筆記의 요소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인 면에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필기의 총화집인 『大東野乘』이나 『稗林』 등 기타총화집에는 『溪陰漫筆』의 書名조차 거론되지 않았다. 『계음만필』에 관한 소개는 서울대 규장각의 해제가 있을 뿐, 연구 논문이나 번역본은 없는 실정이다. 『계음만필』은 조선왕조의 시대상 내지는 인물, 학문, 문학, 풍속, 상례, 천문등 다양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는 수필집이다. 학문적 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16 • 7세기 사회, 정치, 문화, 역사 등에 대해서도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 매우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개인 문집 실려져 있지 않은 야사 기록 등을 통해 인물의 내면세계와 진면목까지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우리나라 필기문학의 외연을 확장함과 동시에 문학사적 지평을 넓혀 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계음만필』자체에 대한 미시적 접근에서 출발하였다. 필기전체에서『계음만필』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한국문학사에 있어서『계음만필』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자세히 조명하지 못한 것이 본고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Gyeeummanpil(溪陰漫筆)』 written by Dojae Yun Heun.『Gyeeummanpil』 consists of three volumes and three books of manuscripts and is at present owned by Kyujanggak Libr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book is also called as 『Dojaesupil(陶齋隨筆)』 following Yun Heun"s pen name.『Gyeeummanpil』 doesn"t have a preface or an epilogue, so when this book was written, what the compiler"s intention was, the writing process, its narrative style, its narrative system and others have been unknown. Yet,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half of the last story of Volume 3 of 『Gyeeummanpil』 is about Kim Gyeong-jing in the year of Jeongchuk(1637), i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winter of 1637 or the early 1638 when Yun Heun passed away. And, as the title of causery shows, it belongs to note literature with light essays, miscellaneous records, conversation by writing and etc. Its notes are not composed of a consistent narrative system, and its topics also cover all the areas including politics, history, economics, culture in general, natural phenomena, anecdotes of individuals and usually has the components of hidden histories, pictorial poems, short stories and so on. When relevant contents are categorized in each volume, Volume 1 has 141 stories, Volume 2 has 136 stories, and Volume 3 has 111 stories, therefore 388 stories in total. Even though 『Gyeeummanpil』 has not only the elements of note literature but also a rich stock of information in terms of contents, even its name was not mentioned in『Daedongyaseung(大東野乘)』 or 『Paerim(稗林)』, the whole collection of note literature of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and other ones including. As for the introduction of 『Gyeeummanpil』, there is a bibliography by Kyujanggak, SNU, but no research theses or translation. 『Gyeeummanpil』 is a collection of essays containing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the times, figures, study, literature, customs, funeral rites, astronomy and etc. of Joseon dynasty. It not only has the values as an academic material, but also is very worthy because it includes the contents about the society, politics, culture, history and etc. of the 16th and 17th centur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records. In particular, it is very useful in that this material helps investigate a person"s inner world and true qualities through unofficial recordes and others included in a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addition,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denotation of Korean note literature and simultaneously broadens the prospect of literary history. This article begins from a microscopic approach to 『Gyeeummanpil』 itself.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Gyeeummanpil』 in the whole note literature and the meanings of 『Gyeeummanpil』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re not examined closely.

      • KCI등재

        『남사록』에 나타난 청음(淸陰) 금상헌(金尙憲)의 작가의식(作家意識)

        황만기 ( Man Ki Hwang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6

        본 논문은 남사록에 기록된 몇 가지 특징점을 토대로 김상헌의 작가의식을 도출 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김상헌은 1601년 32세의 나이로 제주도 안무어사로 차출되었다. 제주 토착민이었던 길운절이 모반을 꾀하려다가 스스로 자수를 해왔기에 이에 대한 진상조사와 함께 두려움에 떨고 있는 제주도민을 위무하고 군왕의 덕음이 이곳까지 미치고 있음을 전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도성을 떠나 복명할 때까지의 6개월간의 여정을 기록한 것이 남사록이다. 본고에서는 남사록에 기록된 제주도의 세 가지 특징점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이들 기록에서 나타난 김상헌의 작가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男兒選好의 시대적 통념이론이 적용되지 않는 女兒選好의 기이한 현상을 기록하여 제주도에서 자행되는 공납폐단의 현실을 고발하려는 社會意識이 깔려 있다. 둘째, 백두산을 제외한 우리나라 최고봉인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에 대한 사실적 기록을 통해 誇張이나 浪漫 따위는 전혀 용납되지 않는 김상헌의 實錄意識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셋째, 제주도의 자랑거리인 모흥혈에 대한 神異性을 기록함으로 인해 제주도는 한낱 섬나라가 아니라, 유구한 역사를 지닌 우수한 민족임을 자각케 하는 김상헌의 歷史意識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기록들을 통해서 남사록은 단순한 기행록의 성격을 넘어선 김상헌의 철저한 작가의식의 소산물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iscover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based on the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recorded in the Namsarok. Kim Sang-heon was deployed to Jeju Island at his age of 32 in order to serve the temporary official mission. For Gil Un-jeol, who was a native of Jeju Island, surrendered himself to the local authority of commandery amid plot manipulations against the state, he was to undertake the fact-finding mission on the incident, while quieting the inhabitants in Jeju Island, and also to impart the fact that the voice and rule of the King were exercising a great influence on the island and the people as well. He made records of daily proceedings for six months, from his departure of the capital city until the time of making the final report of his mission. This journal was dubbed "Namsarok."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aimed to investigate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that appeared in those records with a focus on the three distinctive features of Jeju Island described in Namsarok. First, recording such an outlandish phenomenon as `A no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of the society where a universally accepted idea of the time such as, `A notion of preferring a daughter to a son` was not applied, underlie the writer`s social consciousness to accuse the reality of evil practices of taxes and public imposts that perpetrated on Jeju Island at those days. Second, through factual records of the crater lake, Baengnokdam, on top of Mt. Halla, the highest peak in the Korean peninsula, except Mt. Baekdu, the writer, Kim Sang-heon, exhibits his spiritual stance in making records of true historical events, having never admitted any exaggerations or romantic elaborations. Third, by recording the divinity of Moheunghyeol (legendary holes where three divine men emerged from; currently called Samseonghyeol), which is the proud of Jeju Island, Kim Sang-heon reveal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at makes the readers aware of the facts that Jeju is not merely an island, but the people living in there are superior having resplendent history from time immemorial. Through these record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 that Namsarok is an outcom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Kim Sang-heon, that goes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e account of his trip to Jeju Island.

      • KCI등재

        성남 장문보의 삶과 목민의식

        황만기(Hwang, Man-Ki)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본고는 16세기 안동의 호걸로 일컬어진 화산삼걸(花山三傑)의 한 사람인 성남(星南) 장문보(張文輔, 1516~1566)의 삶과 목민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화산은 안동의고호이다. 화산삼걸에대한최초의 언급은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로부터 비롯되었다. 김응조는 성남(星南) 장문보(張文輔), 귀촌(龜村) 류경심(柳景深, 1516∼1571), 동호(東湖) 변영청(邊永淸, 1516~1580)을 화산의 세호걸스런인물로 규정하여이들의 인물됨을부각하였다. 이 세 사람은 모두 병자생(1516) 동갑내기로 서로 인척간에 있다. 말하자면 장문보와 류경심은 사돈지간이고 장문보와 변영청은 동서지간이다. 이들은 관료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학문과 교육 등을 통하여 향촌사회를 이끌어 간 선도적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 화산삼걸은 영가삼걸(永嘉三傑) 혹은 안동삼걸(安東三傑)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하였다. 장문보는 풍기 군수와 진주목사를 역임하면서 목민관으로서의 선정과 치적을 쌓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특히 그가 경상도사(慶尙都事)의 임무를 수행하면서 남긴 『남주일록(南州日錄)』은 그의 목민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벼슬살이 하면서 기록한 사환일기(仕宦日記)에 속한다. 그리고 관청이 아닌 개인이 기록한 것이므로 개인일기에 속하며, 중앙에서의 사환이 아닌 지방에서의 사환이기에 지방일기의 성격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지방관인 경상도사로의 활동상과 16세기 중반의 사회상을 이해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남주일록』이 현존하는 일기류 저작 1,600여종 가운데 그 시기가 많이 앞선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Philosophy of Governance as a governor of Seongnam(星南) Jang Mun-bo(張文輔, 1516~1566), one of Hwasansamgeol(three heroes of Hwasan, 花山三傑) called as heores of Ahndong in the 16th century, was examined. Hwasan is an old name of Ahndong. The first mention about Hwasansamgeol was from Haksa(鶴沙) Kim Eung-jo(金應祖). Kim Eung-jo considered Seongnam(星南) Jang Mun-bo(張文輔), Gwichon(龜村) Ryu Gyeong-sim(柳景深, 1516∼1571), and Dongho(東湖) Byeon Yeong-cheong (邊永淸, 1516~1580) as three heroic figures in Hwasan, and highlighted their measure. All these three men were at the same age having been born in the year of Byeongja(1516), and were relatives. So to speak, Jang Mun-bo and Ryu Gyeong-sim became related by marriage, and Jang Mun-bo and Byeon Yeong-cheong were brothers-in-law. They not only played a role as government officials, but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guiding the rural community society through study, education and others. Hwasansamgeol were also called Yeonggasamgeol(永嘉三傑) or Ahndongsamgeol(安東三傑). Even though Jang Mun-bo ruled well and left a legacy of achievements as a governor while successively serving as Gunsu of Punggi and Moksa of Jinju,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im. In particular, 〈Namjuilrok(南州日錄)〉 that he left during his duty on Gyeongsangdosa(慶尙都事) has a very important historical value as a material through which his sense of enlightenment of people can be examined, and it falls into the category of Sahwanilgi(exile diary, 仕宦日記) that he wrote during his life as an official. It is also what was recorded by an individual, not by the government office, so it belongs to a personal journal, and it also has the nature of a local diary because he was not a clerk of the central government but of the local one. Accordingly, it helps a lot understand his activities as a local officer, Gyeongsangdosa, and the society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has great values and meanings in that 〈Namjuilrok〉 preceded about 1,600 other existing journal type of writings by a wide margin.

      • KCI등재

        權寔의 隨槎日錄 考察

        황만기(Hwang, Man-ki)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4 No.-

        본고는 19세기의 近畿南人 蓂生 權寔의 隨槎日錄 에 대한 연구이다. 수사일록 은 權寔이 1829년에 正使 柳相祚가 進賀兼冬至使의 임무를 띠고 사행을 갈 때 伴倘의 자격으로 따라간 기록이다. 수사일록 은 아직까지 저자가 누군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연행록 전반에 있어서 수사일록 이 가지는 巨視的 접근보다는 수사일록 자체에 주안 점을 두어 微視的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고찰하였다. 수사일록 에는 연행의 여정 및 경로가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당일 여정 뒷부분에 시를 삽입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수사일록 에 나타난 특징 점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남인으로서의 연행이다. 권식은 같은 남인이라는 同黨의식을 발판으로 柳相祚에게 끊임없는 청탁을 통해 사행단의 대열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의식은 그의 시를 통해서 정황이 포착된다. 둘째, 여행과정에서 수창한 游荷 趙秉龜, 芝園 趙秀三, 그리고 正使 柳相祚의 아우인 柳徽祚의 수창시를 통해 그들의 교유를 살펴보았다. 셋째, 실증적 글쓰기이다. 이는 특별한 장소나 사건, 건물 등에 대한 저자의 관찰력과 통찰력이 돋보이는 면모이다. 소릉하의 지리적 위치, 장례문화에 대한 조선과 청의 차이점, 청의 선박의 구조와 특징들에 대해 실증적인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다. 본고는 수사일록 자체에 대한 미시적 접근에서 출발하였다. 19세기 연행록 전체에서 수사일록 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한국문학사에 있어서 수사일록 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서 자세히 조명하지 못한 것이 본고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19세기 연행록 전체를 연구해야만 가능한 일이므로 아직까지 필자의 역량이 이 수준에 와 있지 못하다. 그러므로 거시적 측면에서의 수사일록 이 가지는 의의와 특징점에 대한 논의는 차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This paper examines Myeongsaeng Kwon Sik's Susailrok , a Namin in the vicinity of the capital area in 19th century. Kwon Sik's Susailrok is the record of the trip that he had as a bandang following a leading ambassador, Yu Sang-jo, with the duty of jinha gyeom dongjisa in 1829. As the writer of Susailrok hasn't been found out exactly, in this paper, Susailrok was investigated in a microscopic way focusing on itself rather than in a macroscopic way in the context of whole record of the ambassador's journey Yeonhangrok in this paper. In Susailrok , the itinerary and route of the journey were recorded in detail, and a poem was also included following the itinerary of a day. The characteristics of Susailrok were studied in three categories. First, the envoy trip as a Namin. Kwon Sik could join the envoy group through incessant requests to Ryu Sang-jo on the ground of the awareness of the same party as Namin. This attitude and situation are detected in his poems. Second,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Yuha Jo Byeong-gu, Jiwon Jo Su-sam, and Ryu Hwi-jo, the envoy Ryu Sang-jo's brother through their Soochang poems during the trip. Third, empirical writing. It makes the author's observation and insight about particular places, events, buildings and son on look better. It pursues empirical writing about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Soreungha, the differences in the funeral culture between Joseon and Ching, and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vessels of Ching. This paper began from a microscopic approach toward Susailrok itself. The limits of this paper are that the importance of Susailrok in the whole Yeonhaengroks of the 19th century, and its mean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re not examined enough. This is possible only when the whole Yeonhaengroks in the 19th century are studied, and this writer's competence hasn't reached this level yet. Therefore,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Susailrok in terms of poetry are to be studied later.

      • KCI등재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시작양상(詩作樣相) 연구(硏究) -시식(詩式)을 중심으로-

        황만기 ( Man Ki Hwang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본고는 松巖 權好文의 漢詩創作樣相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四深, 六迷, 六對, 八對, 疊字格, 禁題體 등의 詩式을 통하여 設意와 綴辭가 원만한 시를 지으려 부단히 노력하였다. 木齋 洪汝河는 송암의 시가 浩瀁하다고 평하였다. 浩瀁이란 막힘없이 자유자재로 시를 짓는다는 뜻이다. 이는 퇴계에서도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으로, 송암은 시문학적인 방면에서 스승의 의발을 전수받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 권호문은 본격적인 시론을 전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의 문집에는 그가 시를 어떻게 지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고스란히 묻어나 있다. 권호문은 처사적 문인이자, 시인이다. 그동안 권호문의 처사문인에 대한 인식은 다각도로 조명되어 왔고, 누구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시인으로서의 권호문에 대한 관심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권호문에 대한 연구는 <독락팔곡>과 <한거십팔곡> 등 주로 국문시가에 편중되어 왔다. 이에 비해 한시 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에 놓여 있다. 2016년 국역 『송암집』 완간을 계기로 권호문 한시의 진면목을 찾고자 하는 폭넓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리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Songam Kwon Ho-mun``s writing of Chinese poetry. He made constant efforts to write poems through the poem writing methods, such as sasim(四深), yukmi(六迷), yukdae(六對), paldae (八對), cheopjagyeok(疊字格), and geumjeche(禁題體), in particular the poems whose seoleui(設意) and cheolsa(綴辭) were satisfactory. Mokjae Hong Yeo-ha commented that Songam``s poems were hoyang(浩瀁). It means writing poems quite freely. This is the characteristic found in Toegye``s poems, too, and it seems like that Songam intended to succeed his teacher``s mantle in terms of poetry. Kwon Ho-mun didn``t develop his criticism of poems in earnest. Yet, his books reveal his thoughts about how to write poems as they were. Kwon Ho-mun was a writer as a retired scholar, and at the same time, a poet. His recognition as a retired scholar writer has been studied from various angles, and is being sympathized by anyone. However, the interest in Kwon Ho-mun as a poet has been insufficient. Researches on Kwon Ho-mun have been focused mainly on his Korean poetry including Dokrakpalgok and Hangeosippalgok. Compared to which, the studies on his Chinese poetry have been few. Based on 2016 gugyeok Songamjip publishing, I hope widely interest and active research which find to True face of Kwon Ho-mun(權好文)``s Chinese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