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장산성 집수지의 구조와 변화양상

        황대일,정대봉,박준현,Hwang, Dae-Il,Jung, Dae-Bong,Park, Jun-Hyun 한국건축역사학회 2013 건축역사연구 Vol.22 No.4

        This paper looked into the structure of and changes in the building process of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its receiving reservoir by analyzing data from an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reservoir may be classified into a flat form, stone sheath, floor facility, wall facility, and entry and exit facility. The flat form of the Gijang mountain fortress and receiving reservoir is round. Concerning the sectional form, the wall was obliquely excavated in the trapezoid. As a stone sheath building method, it was built by undertaking a range work of oblong stone materials in a clockwise direction on a stamped soil floor. Then, it was treated with stamping using double layers of gray clay and yellowish brown clay on the floor and the wall. Also, in a space between the stamped layers on the floor, herbal plants and a straw mat were laid for waterproofing as well as to prevent sinking. As an entry and exit facility, two facilities were confirmed symmetrically in the southeast and in the northwest.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built additionally during rebuilding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The building process was reveale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8 stages. Given the structure and excavated remains, the building period is estimated to be the early to mid 7th century for the initial building, the later 9th to 11th centuries for the primary rebuilding, and the later 16th to early 17th centuries for the secondary rebuilding.

      • KCI등재

        지면식 지상건물지의 공간구성과 성격에 대한 연구 - 울산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

        황대일,최수형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8

        최근 조선시대 수혈주거지ㆍ건물지ㆍ기와ㆍ자기가마 등 생활ㆍ생산유구의 조사예가 증가되고 있다. 울산지역에서도 조선시대 생활유적과 관련된 발굴조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구릉지역 상단부에‘ㄱ’자형 또는‘ ’자형의 溝로 구획한 후 내부에 건물이 설치된 구조의 지면식 지상건물지가 복합유적으로 확인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고고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는 없다. 본고에서는 울산지역에서 조사된 조선시대 지면식 지상건물지 60기를 정리ㆍ분석하여 건물의 평면형태에 따라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류된 자료를 아궁이의 위치와 민속 자료를 비교ㆍ검토하여 건물 각 칸에 대한 공간구성(공간이용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건물지의 구조적 특징과 규모, 문헌자료를 통해 기능과 성격에 대해 추론해 보았다. 건물지의 평면형태는 1칸으로 구성된 방의 모양에 따라 一자형과 ㄱ자형으로 분류된다. 一자형은 측면 칸 수에 따라 외통형과 양통형으로 세분된다. 기둥자리는 축조형태에 따라 굴립주식과 초석식으로 분류된다. 공간구성에 있어서 외통형은 윗방ㆍ안방ㆍ 부엌, 양통형은 규방ㆍ안방ㆍ부엌ㆍ사랑방ㆍ마루ㆍ부엌방, ㄱ자형은 안방ㆍ마루ㆍ 건넌방ㆍ부엌으로 구성된다. 건물지의 구조적 특징과 공간구성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건물지에 대한 기능을 살펴보았으며, 주거용, 공공집회소, 창고 등으로 추론하였다. 건물지에서 확인된 평면형태, 기둥자리의 축조형태, 규모, 문헌자료를 통해 건물지에 대한 신분의 위치와 차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하층민의 주거형태 즉 민가의 모습으로 추정되는 지면식 지상건물지가 앞으로 고고학적인 자료가 증가된다면 건축ㆍ민속자료와 비교ㆍ검토를 통하여 건물의 구조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복원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xcavated archaeolog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production or daily life in the Joseon Dynasty, such as pit dwellings, building foundations, ceramic and porcelain kilns. This is also the case for the Ulsan area where buildings, located on the upper sections of hillsides, were found to have been built on the ground surface in plots which were divided by‘ㄱ’and‘ ’shaped ditches. However, no notable archaeolog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is material until now. This paper examined and analyzed 60 buildings, investigated in the Ulsan area, which were built on the ground surface and date to the Joseon Dynasty. Classification was also carried out according to building pla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lassified buildings were examined by comparing hearth location, as well as by using folklore data. Attempts were also made to restore building structures by looking at the architectural foundations and folklore data. The function and character of the buildings were inferred through structural features, building scale, and related records. The structure of the ground surfac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the‘ㅡ’type and ‘ㄱ’type, according to floor shape of the rooms, each of which consisted of one bay. The ‘ㅡ’type was further divided into those which could be entered from one side or both sid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bays. Pilla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standing pole(gullibju) type and foundation stone(choseok) type‘. ㅡ’type buildings entered from one side were used as the room far-off from the fireplace, the hostess's room, and the kitchen.‘ ㅡ’type buildings entered from both sides were used as the woman's living room, the hostess's room, the kitchen, the host's room, the main floor and the kitchen. ‘ㄱ’type buildings were used as the hostess's room, the main floor, the opposite room, and the kitchen. Possible functions of the buildings wer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the spatial reconstruc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y were seen to have functioned as residences, public meeting places, and storehouses. Social status was inferred through building size, floor shape, method of pillar construction, and related records. Ground surface buildings appear to have been used as housing for the lower classes, and if future excavations can produce more information, it may be possible to concretely reconstruc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uilding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architectural and folklore data.

      • KCI등재

        조선시대 울산군(蔚山郡) 부평역(富平驛)에 대한 연구

        황대일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건축역사연구 Vol.23 No.1

        The paper analyzed the excavational data from Bupyeong-office in Ulsan county in Chosun Dynasty,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estimated at station community, and studied the durationof the community by using the excavated relics. In addition, the paper compared the excavational datawith documentary records, studied the location Bupyeong-office, and investigated the size of stationcommunity overall. Community compositions such as buildings, residential place, pits, stoves, hempkilns, cremation tombs, and farming appliances were identified. When compared to excavated relicssuch as tiles, white porcelain jars, agrayish-blue-powdered celadons, and celadon porcelains frombuilding, residance, and pits, the community existed during 14C~17C. The station location was on thewest side to the quarters for Byongmajuldosa of the Left Gyeongsangdo at King's location according tothe old maps and documentary records. It is widely expected that No, 201 foundation stone buildings atPyungsan relicⅠ was related to the station because there was a distinctions on the stone pillarwaterway and high quality of location in the size(the front 9 sections × the side 1 section) and thecommunity. According to the building's functions and duplication relations in the community, it isregarded that there were 33~40 ground buildings, 40~45 pitting buildings, storages or 15~30 otherpurpose buildings, and 5~7 public buildings around No, 210 building in Bupyeong-office town.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울산군 부평역에 대한 발굴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역촌으로 추정되는 취락의 구성을 검토하고 출토된 유물로 취락의 존속시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발굴자료를 문헌자료와 비교ㆍ검토하여 부평역의 위치를 검토하고 역촌의 규모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취락의 구성은 건물지, 주거지, 수혈, 화덕, 삼가마, 화장묘, 경작유구 등 취락에 있어서 갖추어야할 구성요소 대부분이 확인되었다. 취락의 존속시기는 건물지와 주거지, 수혈 등에서 출토된 청자, 분청사기, 백자, 기와 등의 편년으로 볼 때 14세기 후반~17세기까지 존속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역의 위치는 고지도와 문헌기록을 통해 살펴보면 慶尙左道兵馬節度使營 서쪽에 위치한 것이 분명하며, 평산유적Ⅰ의 210호 초석식건물지는 규모(정면 9칸×측면 1칸)와 취락 내에서 위치하는 입지의 우월성, 석축 배수구 등이 다른 건물지와는 분명히 차별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볼 때 驛舍와 관련된 건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역촌의 규모는 취락 내에서 건물지의 중복관계와 건물의 기능을 고려할 때 부평역촌은 210호 건물지를 중심으로 지상건물지 33~40가구, 수혈건물지 40~45가구, 창고 또는 다른 용도의 건물이 15~30동, 공공건물이 5~7동으로 구성된 규모일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대 산성 내 석축집수지의 구조와 변천

        황대일 한국문화유산협회 2014 야외고고학 Vol.0 No.19

        이 글은 고대 산성 내 석축집수지의 구조와 축조공정, 단계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집수 지는 산성 내에서 계곡, 구릉 사면 또는 능선, 구릉 정상에위치하며, 계곡에 입지하는 집수지가 전체에서 가 장 높은 85%의 비율을 차지한다. 집수지 구조에 있어서 속성은 평면형태, 단면형태, 바닥시설, 규모 등으로 분류된다. 분석된 구조별 특징은 방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 바닥시설-생토면 이용,규모-500~75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장방 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바닥시설-생토면 이용, 규모-1500cm이상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원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사선형과 계단형, 바닥시설-점토 다짐, 규모-500~75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타 원형 집수지는 단면형태-직선형과 사선형, 바닥시설-생토면 이용과 점토 다짐, 규모-750~1000cm와 1000~1500cm에서 우세한 비율을 보인다. 또한 분석된 결과와 축조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양호한 발굴자료 를 통하여 축조공정은 총 8단계로 구분된다. 집수지의 변천과정은 크게 4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단계는 산성 내에서석축집수지가 축조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5세기 전반~6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2단계는 석축집수지의 축조가 구조적으로 다양하 고 넓게 확산되는 시기이며, 6세기 중반~7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3단계는 석축집수지의 평면형태-원형, 단 면형태-계단형으로 축조되는 구조가 남해안지역에 집중 분포하는 시기이며, 7세 중반~8세기 중반에해당한 다. 4단계는 석축집수지의 축조가 급격히 줄어드는 시기이며, 8세기 후반~9세기 중반에 해당한다. 변천과 정을 통해 집수지의 평면형태는 방형→장방형→원형→장방형, 단면형태는 직선형→직선형→계단형→사선 형, 바닥시설은 생토면(기반암) 이용→생토면(기반암) 이용→판석 설치→점토 다짐으로의 비율 변화를 확 인할 수 있다. 한편단계별 집수지가 분포하는 양상은 1단계는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밀집 분포하며, 2단계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으로 양분되어 나타난다. 3단계는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밀집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4단계는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This writing was prepared to figure out structure, constructing processes and stagespecificchange shape appearance on stony collecting basin in ancient mountain fortress. Collecting basin was located on valley, slope or ridge and hill top in mountain fortress, thebasin on valley 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85%) of all. Characters on structure of collecting basin are classified by plan/cross section shape,floor facilities, scale etc. Anaylzed character with different structure is as follows; Squarecollecting basin is linear in cross section shape. There’re floor facilities by using untouchedground, superior rate in the 500~750cm range on the scale. Rectangular collecting basinhas straight line type & reverse-trapezoid shape in cross section shape, floor facilitiesby using untouched ground and superior rate at more than 1500cm on the scale. Circlecollecting basin has reverse-trapezoid shape & steps in cross section shape, floor facilitiesby using rammed clay earth and superior rate in the 500~750cm range on the scale. Ovalcollecting basin has straight line type & reverse-trapezoid shape in cross section shape,floor facilities by using untouched ground & using rammed clay earth and superior at the750~1000cm & 1000~1500cm range on the scale. There’re so much adjuvant archaeologicaldata we can grasp anaylzed result and constructing processes. And so the processes aredivided into 8 steps. The change process of collecting basin is explained to divide into 4 steps. The firststep, it’s time to start constructing stony collecting basin in ancient mountain fortressfrom the beginning of the 5th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At the second stage,it’s construction structurally spread in a wide variety from the middle of the 6th to thebeginning of the 7th century. Step number three is the constructing structure that it’s circlein plan shape, steps in cross section to range focuse on the Southern coast from the middleof the 7th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fourth and last stage, the construction wasrapidly slumping from the latter of the 8th to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he changeprocess of collecting basin is as follows; The square is first, followed by the rectangle, thecircle and the rectangle in plan shape, the linear type is followed by followed, steps andreverse-trapezoid type in cross section. And it’s confirmed changing proportion of followingthe using untouched ground(bed rock), the using untouched ground(bed rock), the settingof flagged floor and the ramming clay earth in floor facilities. Meanwhile, step distribution aspect of the basin is distributed over focusing on the Central district in the 1st step, beingdivided into the Central and Southern district in the 2nd step and focusing on the Southerncoast in the 3rd step. It’s sure that the last 4th step is spread to Southern district.

      • KCI등재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황대일 영남고고학회 2011 嶺南考古學 Vol.- No.59

        Study on development aspect each period fixing type from archeological analysis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So comparing location with inner structure of dwelling site that intensive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has been classified 5(A-E) type to the dwelling sites. It seems to be limitative term from 14 to 15 century that Type A has appearance in late of 14C, extinction in late of 15C. Type B had been continued long from late of 14C to first of 16C. Circle dwelling site seems to be earlier than rectangular one. Type C had been carried on from late of 14C to first of 17C. Though the both circle and rectangular were shown up in late of 14C simultaneously, Oval one seems to be later than circle and rectangular one. Type D had been changed in rectangular,circle, oval one from middle of 15C to first of 16C. Type E was come out in late of 16C. It seems to be appearance in late of 14C, extinction in first of 17C on the dwelling site to Joseon Dynasty in Gyeongnam province. It was come explosive increase during from late of 15C to first of 16C, shown to disappear gradually from late of 16C. It has been to compare Easten and Westen dwelling site in Gyeongnam province be based on 『世宗實錄地理志;The Record in the King Sejong, The Geography』. Analysis to the site location showed that percentage of facing right south to the Easten is high, facing right south and facing west get a majority to the Westen. It had been to be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composed Wall-kiln( a-type) in the Easten and Dugout-kiln( b-type), Wall-kiln( -type)in the Westen about heating cooking were installed in inner structure. It has shown that rate of rectangular one to the dwelling site in both of them is high in flat shape.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를 고고학적으로 분석하여 유형을 설정하고 각 시기별 전개양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수혈주거지의 입지와 내부구조를 비교하여 지역적인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된다. A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5세기 후반에 소멸되며, 14~15세기에만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유형으로 생각된다. B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16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원형주거지가 방형주거지보다 이른 시기에 출현한다. C유형은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7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원형과 방형주거지는 14세기 후반에 동시에 출현하지만, 타원형주거지는 원형과 방형주거지보다 늦은 16세기 전반에 출현한다. D유형은 15세기 중반에 출현하여 16세기 전반에 소멸되며, 방형, 원형, 타원형주거지 순으로 변화한다. E유형은 16세기 후반에 출현한다. 경남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14세기 후반에 출현하여 17세기 전반에 소멸하며,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에 주거지의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16세기 후반이 되면 점차 사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현재의 경남지역을『世宗實錄地理志』를 기준으로 경남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성을비교·검토하였다. 입지에 있어서 경남 동부지역은 정남향, 서부지역은 정남향과 서향이 비슷한 비율로 다수를 차지한다. 내부구조에 있어서 난방ㆍ취사시설은 경남 동부지역이 벽로(Ⅱa식), 서부지역은 수혈식 노(Ⅰb 식)와 벽로(Ⅱ식)가 전형적인 구조일 것으로 생각된다. 평면형태는 두 지역 모두 방형계(방형, 말각방형, 장방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 KCI등재

        蔚山地域 朝鮮時代 竪穴住居址에 대한 小考

        황대일 영남고고학회 2010 嶺南考古學 Vol.- No.52

        최근 울산지역의 대규모 발굴조사가 증가함에 따라 구릉부나 충적지에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가 단독 또는 복합유적으로 조사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지만, 주목할 만한 연구성과는 없다. 본고에서는 울산지역에서 조사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86동을 평면 형태와 내부시설에 대해 고고학적인 형식 분류와 시기 구분을 통해 시간적인 변화와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수혈주거지의 입지는 구릉부와 충적지로 구분되며, 대부분 구릉부 사면에 입지한다. 평면 형태는 원형계와 방형계로 분류되며, 비율은 균등하게 분포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 시간적인 분포는 15C 전반~17C 전반에 해당되며, 원형계 주거지가 방형계 주거지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내부시설은 난방․ 취사시설, 주혈, 벽구 등이 확인된다. 난방․ 취사시설은 竪穴式爐址, 壁爐, 溫突施設을 갖춘 주거지로 분류된다. 주혈은 無柱穴式, 1柱式, 4柱式, 多柱式으로 분류된다. 내부시설에 대해 형식 분류를 시도하여 시간적인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으나, 시간적인 밀집형태는 파악할 수 있었지만, 형식 간의 시간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문헌에 기록된 자료와 공반된 유구,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수혈주거지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유적 내에서 분묘와 함께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는 분묘와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편년, 주거지와 분묘의 입지적 위치 등을 통해 墓幕址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적 내에서 생산유구와 함께 확인된 주거지는 임시거주지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문헌에 기록된 자료에 土室, 움집, 초막 등의 용어와 주거지 내에서 출토된 철촉, 어망추 등의 유물로 볼 때 해당 주거지의 성격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적은 하층민 집단의 생활유적(定住形 聚落)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15~16세기 울산지역 주거형식에 대한 연구

        황대일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0 No.38

        Structure and character of living in Ulsan that assessed the date from 15th to 16th century were analyzed, it is search all over character and function by dwelling style on examination written description in records and folk material on the foundation of structure. It might be classified the dwelling style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into site of pit-dwelling(mud-wall hut) and ground buildings(grass-roofed, tile-roofed house). As analyzing inside structure by dwelling style, typical style of pit-dwellings in Ulsan from 15th to 16th century was square in flat. It seemed that arrangement for heating and cooking was fireplace. It is characterized pillar placement as non-column. ground building ‘一’ shape in flat. The constructing form for pillar location seemed to be characterize pole-stand type on scale of 2 or 3 partition in front view, 1 or 2 partition in side view. Character of pit-dwelling site might be come in three varieties. The first, residence as group village for the people of the relative lower classes than who lived in grass-roofed, tile-roofed house. The second, site of hut built near a grave by correlation living and grave. The third, inferred temporary residence for hunting and fishing from settlement that was known with producing ruin, excavated remains including of iron arrowhead, fishing net sinker, etc.. It could be come in four varieties that ground building site of character and function. The first residence where was construct for general living. The second, storehouse for use of special purpose that bedroom or storeroom etc. which connected with cattle stable. The third, function of temporary storing place that took dryness etc. for a product or linked site of workshop with producing ruin of porcelain kiln etc. The fourth, site of assembly hall which was constructed for public purpose, there were differences from building of residence, storehouse on arrangement, volume, structure, location to building in village. 15~16세기에 편년되는 울산지역 주거의 구조와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구조를 바탕으로 문헌에 기록된 기사와 민속자료를 검토하여 주거형식별 기능과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5~16세기의 울산지역 주거형식은 수혈식주거지(土室)와 지상식건물지(草家, 瓦家)로 분류할 수 있다. 주거형식별 내부구조 분석을 통해 15~16세기 울산지역 수혈식주거지의 전형적인 모습은 평면형태 방형이며, 난방․취사시설은 벽로, 기둥배치는 무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지상식건물지는 평면형태 ‘一’자형이며, 정면 2~3칸×측면 1~2칸의 규모로 기둥자리 축조형태는 굴립주식의 특징을 가진 형태로 볼 수 있다. 수혈식주거지의 성격은 3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하층민의 취락으로 瓦家, 草家 보다는 상대적으로 신분이 낮은 하층민이 거주한 주거이며, 집단의 마을이 확인된다. 둘째, 주거와 분묘의 상관관계를 통한 묘막지이다. 셋째, 임시거주지로 생산유구와 함께 확인되는 취락과 어망추, 철촉 등의 출토유물을 통하여 어로행위나 사냥을 위한 임시적인 거주지이다. 지상식건물지의 기능과 성격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일반적인 주거를 목적으로 축조된 주거용이다. 둘째, 특수목적의 용도 즉, 소마구에 딸린 방이나 헛간 등의 용도로 사용된 창고이다. 셋째, 자기가마 등의 생산유구와 관련된 공방지 또는 생산된 물건의 건조 등의 임시저장소의 기능이다. 넷째, 취락 내에서 건물의 배치와 규모, 구조, 입지에 있어서 주거용이나 창고의 건물과는 차별성이 보이며, 공공의 목적으로 축조된 공공집회소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울산군 부평역촌의 구성과 배치에 관한 연구

        황대일,Hwang, Dae-Il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건축역사연구 Vol.23 No.1

        The paper analyzed the excavational data from Bupyeong-office in Ulsan county in Chosun Dynast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estimated at station community, and studied the duration of the community by using the excavated relics. In addition, the paper compared the excavational data with documentary records, studied the location Bupyeong-office, and investigated the size of station community overall. Community compositions such as buildings, residential place, pits, stoves, hemp kilns, cremation tombs, and farming appliances were identified. When compared to excavated relics such as tiles, white porcelain jars, agrayish-blue-powdered celadons, and celadon porcelains from building, residance, and pits, the community existed during 14C~17C. The station location was on the west side to the quarters for Byongmajuldosa of the Left Gyeongsangdo at King's location according to the old maps and documentary records. It is widely expected that No, 201 foundation stone buildings at Pyungsan relic I was related to the station because there was a distinctions on the stone pillar waterway and high quality of location in the size(the front 9 sections ${\times}$ the side 1 section) and the community. According to the building's functions and duplication relations in the community, it is regarded that there were 33~40 ground buildings, 40~45 pitting buildings, storages or 15~30 other purpose buildings, and 5~7 public buildings around No, 210 building in Bupyeong-office town.

      • KCI등재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에 나타난 수혈주거지 변화에 대한 고찰

        황대일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7 No.-

        The dwelling sites in the Joseon Dynasty is not confirmed the regularity of stone rows and column holes in the walls tha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Its area was around 15㎡, and it ha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facilities installed around a fireplace on the wall.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size, and structure, the dwellings within the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Ulsan area correspond to the housing type of the lowest clas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residential change process in large-scale settlement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area was that the number of dwellings in each village increased rapidly in the 16th century, as the number of dwellings began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From the 17th century, it was decreased sharply, and by the 18th century, not only villages but also dwellings were almost absent. The factors of residential chang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building site in the residential area after the 17th century. Second, the center of the village was characterized by moving from the hills to the plain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social, economic activities. Third, the population was decreased rapidly due to the two great wars that occurr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dwellings within the village was also decreased sharply. Lastly, it is thought that set-up and withdrawal of the station with inns led to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the station area, affecting the change of residence in the village.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앞 시기인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에서 나타나는 벽석렬과 주혈의 규칙성이 확인되지 않으며, 면적이 15㎡ 전후로 벽로 중심의 시설이 설치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이처럼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 내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는 문헌기록과 면적, 구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때 최하층민의 주거형태에 해당한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의 분포는 소규모, 중소규모, 대규모 취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규모 취락은 주요 교통로 또는 역원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지리적으로 모두 태화강 북쪽에 위치하며, 취락 주변에 소규모 취락과 중소규모 취락이 함께 분포하는 양상이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대규모 취락에서 수혈주거지 시기별 변화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15세기 중반부터 수혈주거지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16세기에는 취락마다 수혈주거지의 수량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17세기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면서 18세기가 되면 취락 내에서 거의 수혈주거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시기별 변화의 요인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주거형태의 변화로 17세기 이후 수혈주거지에서 지상건물지로의 변화이다. 둘째, 입지의 변화로 농업기술과 사회ㆍ경제활동의 발달로 인해 취락의 중심이 구릉에서 평지로 이동하였다. 셋째, 인구변화로, 16~17세기에 발생한 양란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원인이 작용하여 취락 내 수혈주거지의 개체 수 또한 급격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촌의 설치와 정비, 해체가 역촌의 형성과 소멸로 연결되어 취락 내 수혈주거지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