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제, 자연 그리고 제도 및 문화

        홍훈(Hoon Hong),Hoon Hong 한국경제연구원 2002 제도연구시리즈 Vol.-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notion of the natural in mainstream economics and suggests some alternatives. Mainstream economics is embedded in the notion of the natural with the following features: 1) that human beings are, by nature, self-interested, 2) that economic activities carried out by self-interested humans bring about beneficial and natural consequences in the market, 3) that an economy is constrained by various natural factors, 4) that economics are close to natural sciences in terms of objects and methods. Due to this notion of the natural, mainstream economists tend to exaggerate self-interest of individuals and sustainability of pure market economies. Marx, Hayek, and old institutionalists offer alternatives to this mainstream notion. All these thinkers are convinced that human beings and economic systems are evolving in interaction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they reconstruct the notion of the natural so as to allow for institutions, rules and culture.

      • KCI등재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변화와 한국학계의 수용(1960-2006년)

        홍훈(Hong Ho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07 사회경제평론 Vol.- No.29 (1)

          이 논문은 신고전학파의 최근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학계의 수용 정도를 진단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일반균형에 의존하는 신고전학파의 특징은 이론에서 합리적 개인과 시장기구로, 방법론에서 개체주의와 반증주의로, 사회철학에서 자연 상태와 최소한의 정부로 규정된다. 최근 신고전학파는 선호나 기술 등 외생변수들을 내생화하고, 여타 학문의 대상들을 자신의 영역으로 흡수하고 있다. 무엇보다 행동경제학 등이 새로 생겨나 인간의 합리성과 이에 근거한 기대효용이론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반균형 분석과 게임이론을 관통하는 기대효용이론과 달리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행위에 있어 무의식적인 과정과 감성을 강조하고, 판단이나 의사결정이 준거점이나 문맥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학계는 이런 변동을 별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This paper purports to review recent breakthroughs in neoclassical economics and to examine whether they are properly accommodated into the Korean academia. General equilibrium system which, up to the seventies, had been the hardcore of neoclassical economics is characterized by: agents" rationality and price mechanism;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critical rationalism; doctrines of the state of nature and the minimal state. In recent decades, neoclassical economics turned around to endeavor to endogenize parameters such as preference or technology which used to be taken as exogenous. Moreover, expanding its domain, it has invaded into other disciplines. Most strikingly, behavioral economics which was born nearby the neoclassical tradition casts serious doubts on the expected utility model. This model which is based on the postulate of perfect rationality runs through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and game theory. Contrary to the claims of this model, behavioral economists put emphasis on the roles of automatic processes and affections in decision-making. More to the point, they argue that choices are sensitively dependent upon references and contexts. It is regrettable that Korean neoclassical economics lags so behind its American counterpart that almost none of the forementioned changes has been transmitted into the academia.

      • KCI등재

        <자본론>: 신고전학파 경제학 비판의 기반

        홍훈(Hong Ho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2

        이 글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비판하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이려고 노력했다. 우선 『자본론』이 지닌 특징들 중에서 범주나 개념에 대한 중시는 시장, 가격, 화폐, 자본, 이윤 등에 관해 가벼운 정의에 만족하는 신고전학파에 대한 비판의 근거이다. 또한 『자본론』에서처럼 신고전학파에서도 출발점이나 가정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로 반사성, 완전성, 비대칭성을 재해석했다. 나아가 신고전학파의 개념에 대한 변증법적인 해석의 예로 대체와 보완, 유사품 선택에서 소득제약의 안과 밖, 이기심과 이타심 등에서 A와 nonA의 공존을 보이려고 시도했다. 끝으로 전체성과 사회성이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주장했다. This paper purported to demonstrate that Das Kapital provides us with a basis for a critique of neoclassical economics (NC). For this purpose, it, first, argued that its emphasis on categories and concepts offers us a criterion by which to criticize NC’s shallow definitions as regards market, price, money, capital, profit. Second, it reinterpreted some of NC’s unexplained assumptions in order to highlight the relevance of realistic assumptions for NC. Third, in an effort to rejuvenate dialectical logic, it endeavored to show possible combinations of A and nonA within NC such as: substitutability and complementarity; contradictory roles of income constraint on choices; selfregarding and otherregarding behaviors. Finally, it made the point that individuals are embedded in the total and the social rather than the total and the social are superimposed on individuals.

      • KCI등재

        행동경제학의 부존자원효과의 진정한 원인은무엇인가?

        홍훈 ( Hoon Hong ),강석일 ( Seo Kil Kang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이 논문은 행동경제학의 부존자원효과에 대한 기존논의를 재구성해 이것의진정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존자원효과에대한 기존연구들을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에 대한 고전적인 개념에 비추어재구성하고 심리학계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또한 기존교환실험의 보완과 함께 표준이론, 행동이론, 그리고 재구성한 논리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true cause of the endowment effect in behavioral economics by recasting its existing arguments. To do so, first we re-examined the preceded researches in perspective of the classical concepts on use value and exchange value and also referred the studies in Psychology. Next, with revising the usual exchange experiments did we cover the discussion between the standard theory, behavioral theory and re-organized theory about the endowment effect and its cause.

      • KCI등재

        베버의 『유교와 도교』: 한국경제사회에 주는 함의

        홍훈 ( Hoon Hong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4 延世經濟硏究 Vol.21 No.2

        이 글은 『유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동양에 대한 베버의 생각을 정리한 후, 이로부터 한국의 경제사회를 규명하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유럽은 개인과 인격화된 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삼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윤리체계를 획득해, 이로부터 합리적이고 추상적이며 일관된 정치, 화폐, 법률을 구축하고, 인간관계를 이에 복속시켰다. 이에 비해 농경과 유교를 중심으로 하는 중국은 개인과 신의 관계에 근거한 추상적이고 일관된 사회체계를 지니지 않아서 정치, 화폐, 법률에 있어서도 추상적인 체계를 얻지 못했다. 유교교육·과거시험·관료주의가 이를 대신했으며 혈연적인 인간관계가 지배적이었다. 이에 근거해 한국사회의 특징으로 관치경제, 관계의존적인 자본주의, 입시교육, 학벌 등을 지적할 수 있다. 또한 학벌은 관료사회의 과거시험과 혈연이나 가족중심주의의 결합으로 파악할 수있다. 나아가 동양사회의 특징으로 지적된 인간관계를 생산성과 행복이라는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In interpreting Weber’s The Religion of China ( Konfuzianismus und Taoismus) this paper takes note of some of its implications for the explication of the Korean socioeconomic system. The Western society derived a generally applicable socio-ethical system from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a personalized God. On this basis, it established rational, abstract, impersonal, generally consistent systems (political, monetary, and legal) under which human relations are subdued. By contrast, due to her dependence on agriculture and Confucianism, China was lacking in such an ethical system and other kinds of impersonal systems, Instead, it relied on Confucian education, examinations for officials and personal relations among humans. The interpretation highlights bureaucracy, relationality,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school ties, as major features of Korea. As an extension, it can be argued that reliance on human relations, combined with emphasis on entrance examination, gives rise to a specific type of school ties.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human relations which Weber attributed to East Asia is to be refra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nt resurgence of social capital and the economics of social relations, both of which allegedly enhance productivity as well as welfare and happines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Common Sense and Economic Knowledge

        Hoon Hong(홍훈)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마르크스와 케인스에서 경제학 지식과 상식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마르크스는 상식이 지식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라고 생각했다. 그에게서 과학적인 탐구는 상식에서 출발해, 기본 범주들을 구축하고, 이런 범주들과 상식적인 생각들을 연결시키면서 종결된다. 결과적으로 상식은 재구성되어 지식이나 이념 중 어느 하나로 편입된다. 이에 비해 케인스에서 상식은 이론이나 이념의 일부로 완전히 편입되지 않는다. 케인스의 견해로 상식은 나름대로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경제이론이 제시하는 의문이나 그것의 함의에 대한 점검장치로 기능한다.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와 케인스 모두 경제이론이 상식으로부터 동떨어져 존재한다거나 상식과 완전히 일치한다는 생각을 거부했다. 또한 가치형태나 통례라는 개념에서 드러나듯이 이들은 경제학자의 인식과 경제주체의 의식에 층위를 두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이들은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나 프리드먼의 실증주의 방법론과 구분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assign proper places to common sense and scientific knowledge in Marx’s and Keynes’ systems. Marx conceives common sense both as the starting-point and as the end?point of knowledge. For him, scientific investigation starts from common sense, constructs basic categories, and ends up with forging links between the categories and common sense notions. As a result, common sense is reconstructed and subsumed as part of either knowledge or ideology. In Keynes’ works, common sense is not entirely subsumed as part of theory or ideology. On his view, common sense, due to its autonomy, serves as checks on economic theory as regards its questions and its implications. Despite these differences, Marx and Keynes share the view that economic theory is neither disembedded from, nor conflated with, common sense and that cognition on the part of theorists and consciousness of agents are interlinked but layered, as illustrated in their concepts of value forms and convention. By these commonalities, Marx’s and Keynes’ positions are distinguished from analytic philosophy and from Friedman’s ‘as if’ methodology in partic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