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를 이용한 유전발현 데이타기반 암 분류를 위한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홍진혁,조성배,Hong, Jin-Hyuk,Cho, Sung-Ba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8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유전발현 데이타를 이용한 다중클래스 암 분류는 DNA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된 대규모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암의 종류를 판단한다. 수집된 유전발현 데이타에는 대상 암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분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순위기반 유전자 선택은 이진클래스를 대상으로 고안되었고 이상표식 유전자(Ideal marker gene)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중클래스 암 분류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표식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고 유전발현 수준의 분포를 직접 분석하는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발현 수준을 이산화하고 학습 데이타로부터 빈도를 계산하여 클래스 간 분별력을 측정한 후, 선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해 다중 암 분류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다수의 다중클래스 암 분류 데이타에 적용하여 기존 유전자 선택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gene expression profiles, where it determines the type of cancer by analyzing the large amount of gene expression data collected by the DNA microarray technology. Since gene expression data include many genes not related to a target cancer, it is required to select informative genes in order to obtain highly accurate classification. Conventional rank-based gene selection methods often use ideal marker genes basically devised for binary classification,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ulticlass gene selection, which does not use ideal marker genes but directl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gene expression. It measures the class-discriminability by discretizing gene expression levels into several regions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training samples for each region, and then classifies samples by using the naive Bayes classifier. We have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various representative benchmark datasets of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 KCI등재

        영화 오프닝 시퀀스에 대한 소고

        홍진혁(Hong, Jin-Hy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하나의 내러티브를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오프닝 시퀀스의 분절점을 탐구한다. 1960년대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의 한 부분이라기보다는 부속물적인 개념이었다. 이후 솔 바스(Saul Bass), 카일 쿠퍼(Kyle Cooper) 등의 활약으로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는 하나의 그래픽 디자인의 개념으로 발전한다.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해당 시퀀스를 별도의 창작물로 떼어내어 진행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기존의 오프닝 시퀀스에 대한 연구들이 전체 내러티브로부터 유리된 별개의 독립적 구조 단위로 분석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오프닝 시퀀스의 전체 내러티브에 속한 한 부분으로서의 도입부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그 개념적 정의를 고찰한다. 오프닝 시퀀스는 앞으로 전개될 전체 내러티브를 압축적으로 지시하고 반영하며 영화 매체의 고유하고 차별적인 능력을 집중적으로 발휘하는 지점이다. 중심 질문은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를 오프닝 시퀀스로 보아야 할 것인가이다. 이때 타이틀 시퀀스는 오프닝 시퀀스 안으로 포괄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실제적인 디제시스 이미지가 제시되는 시점부터이다. 즉 별도로 제작되어 본편과 표현기법이 완전히 다른 시퀀스는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제외된다. 동시에 오프닝 시퀀스가 담고 있는 에피소드는 전체 내러티브와의 연속적인 관계에 있어야 하며, 시각적 또는 내러티브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내러티브는 유기적이기 때문에 오프닝 시퀀스의 엄정한 경계를 설정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또한 끊임없이 변하는 영화의 미학은 그러한 고정된 개념정의를 허락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영화에 대한 심도 있는 사유의 장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해석을 위해서는 철저한 분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분석은 정밀한 개념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This article studies segment point of opening sequence as a beginning part of the narrative. Before 1960"s, Opening title sequence comparability simply recited pictures that included minimum level of readability text. Therefore, it was treated an adjunct rather than a part of film. Opening title sequence has developed in terms of graphic design since Saul Bass, Kyle Cooper and more designer"s showed their remarkable works. For that reason, most of the study regarding opening title sequence of film have been dealing with it as a different creative work. This articl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existing studies about opening sequence analyze it as independent structure unit which is separated from whole narrative.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s conceptual definition of opening sequence is based on identity as a introduction belongs to a part of whole narrative. Opening sequence compressively suggest and reflect entire narrative will come, and it is a focused point to show inherent and distinct ability of film. The questions is from where to where should be called opening sequence. At that time, title sequence is belongs to opening sequence. Not only to divide opening sequence by the position of title sequence but also to set the break point of opening sequence as the beginning of entire narrative. Opening sequence includes title sequ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starting point where the actual diegesis image provides. Which means the sequence that using totally different expression technique because it is produced separately from a feature, that would be excluded from opening sequence. This definition is based on premise that opening sequence is always working for entire narrative. The episode in opening sequence should be in continuos relationship with entire narrative. it should be continuos relationship narratively or should have visual continuity. It is impossible to set strict boundary of opening sequence because narrative is organic actually. Furthermore, esthetic of constantly changing film does not allow fixed conceptual definition. Nevertheless, this effort will contribute to make consider an in-depth study of film. In order to interpret, thorough analysis will come first and analysis will be started from precise concept.

      • KCI등재

        장르로서의 예술영화

        홍진혁(Hong, Jin Hyuk)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8 No.-

        본 연구는 흔히 사용하는 ‘예술영화’라는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장르가 여러 영화를 특정한 관습과 특징으로 묶어 구분하는 것처럼 예술영화도 하나의 무리를 구성하는 공통된 특징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예술영화가 장르라는 주장을 하기 전에 먼저 장르영화와 영화장르를 구분해야 한다. 모든 영화는 어떤 장르에 속한다. 그러나 모든 영화가 장르영화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형식적, 주제적인 특징이 오랜 시간 순환하고 변주하여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이러한 관습들을 특징으로 하는 영화는 장르영화가 된다. 예술영화를 장르라고 주장하는 것은 이것이 장르영화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영화도 웨스턴이나 뮤지컬처럼 일련의 영화들로 구분될 수 있는 하나의 영화장르임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도로서의 예술영화이다. 이것은 1960년대 국제영화제의 정치학을 살펴보는 일이다. 1900년대 초 필름다르(Film d"art)로부터 출발한 예술영화 개념은 1960년대 국제영화제라는 제도를 통해서 보다 확고하게 구축되었다. 이는 오늘날 예술영화를 정의하는데 있어 간과해서는 안될 가장 중요한 지점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예술영화 제작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할리우드의 지배력이 약화된 상황에서 등장했는데 여기서 국제영화제는 헐리우드에 대항하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자리 잡게 된다. 이를 통해 예술영화는 주로 할리우드와의 대조적인 특징들을 전시하는 것으로 차별화를 시도하면서 본격적으로 장르화 되었다. What is Art cinema? Can we define it? If someone say that Art cinema is genre, is this proper? If so, Does it have something in common in style or convention? This study is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I treat art cinema is a genre such as western, musical, screwball comedy. But It looks like there are any common ground among each other. Because The genre formation of art cinema started since the mid-1960s, by Film festivals. Film festivals emerged at a moment when the European film industries were in no posotion to stand up to the Hollywood film industry. What they did was sidestep the system by offering their European films a chance to receive some prestigious exposure outside of the commercial chain of distribution companies and exhibition venues. Art Cinema i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small domestic market for national european films, since art films are shown at film festivals and on international distribution and exhibition circuits dedicated to them. It is also the cinema that most national European goverments have been prepared to subsidize. Art cinema defines itself explicitly against the classic narrative mode. Especially against the cause-effect linkage of events. These linkages become looser, more tenuous in the art cinema. It means that art cinema motivates its narratives by two principles : realism and authorial expressivity. A realism affects the film"s spatial and temporal construction, but the art cinema"s realism encompasses a spectrum of possibilities. and the art cinema foregrounds the author as a structure in the film"s system.

      • KCI등재

        〈사랑은 비를 타고〉의 자기반영성을 활용한 교육심리학의 메타인지 개념 교수법 연구

        홍진혁(Hong, Jin Hyuk),김지훈(Kim, Ji Ho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0

        This study is int ended to suggest that analyzing and explaining a film can be used in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by relating the metacognition concept in learning to the self-reflexivity of Singin’ In The Rain. In other words, while teaching film analysis in film subjects, study the metacognition concept among the concepts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study the educational method that explains the mechanism of learning by cinematic representation again. The self-reflexivity of the film is emphasized when it is changing its contents reflecting what the film"s representation indicate. Behind the scenes of representation is the perception of how the essence of reality shown by film images such as the Hollywood star system, the cinematic quality of sound as an independent element of image, the reality of the genre, the convention of romantic comedy, and the scene of the contemporary Hollywood film industry is refracted through the medium, film. This discussion is ultimately aimed at providing an insight into the wide range of film education phenomena by bridging between film studies and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traditions.

      • KCI등재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를 이용한 유전발현 데이타기반 암 분류를 위한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홍진혁(Jin-Hyuk Hong),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7·8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유전발현 데이타를 이용한 다중클래스 암 분류는 DNA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된 대규모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암의 종류를 판단한다. 수집된 유전발현 데이타에는 대상 암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분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순위기반 유전자 선택은 이진클래스를 대상으로 고안되었고 이상표식 유전자(Ideal marker gene)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중클래스 암 분류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표식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고 유전발현 수준의 분포를 직접 분석하는 순위기반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발현 수준을 이산화하고 학습데이타로부터 빈도를 계산하여 클래스 간 분별력을 측정한 후, 선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해 다중 암 분류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다수의 다중클래스 암 분류 데이타에 적용하여 기존 유전자 선택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gene expression profiles, where it determines the type of cancer by analyzing the large amount of gene expression data collected by the DNA microarray technology. Since gene expression data include many genes not related to a target cancer, it is required to select informative genes in order to obtain highly accurate classification. Conventional rank-based gene selection methods often use ideal marker genes basically devised for binary classification,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ulticlass gene selection, which does not use ideal marker genes but directl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gene expression. It measures the class-discriminability by discretizing gene expression levels into several regions and analysing the frequency of training samples for each region, and then classifies samples by using the naive Bayes classifier. We have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various representative benchmark datasets of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 KCI등재후보

        유현목<춘몽>의 서사화법(narration)과 성적소구(sex appeal) 표현 스타일 분석

        홍진혁(Hong, Jin Hy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씨네포럼 Vol.0 No.17

        본 연구는 유현목의 <춘몽>(1965)과 타케치 테츠지(武智.二) <백일몽>(1964)의 스타일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당시 지배적인 제작양식을 기반으로 한 스타일적인 차이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신형식주의 영화연구자인 데이비드 보드웰의 내레이션 이론을 바탕으로 일본영화 <백일몽>(Daydream)을 리메이크한 한국영화 <춘몽>(The Empty Dream)이 유현목의 손을 거쳐 원작영화의 ‘어떤 장면’을 ‘어떻게 다르게 표현하였는지’가 본 연구에서 던지는 가장 중심된 질문이다. 유현목은 당시 이 영화를 리메이크 하자는 제작자의 제안을 두고 ‘원작은 거의 포르노에 가까운 영화’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유현목은 원작의 외설적인 표현들을 실험적인 몽타주 형식을 통해 비유적으로 표현했고, 그러면서도 대중성을 획득하기 위해 관객이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내적 규범을 비교적 명확히 제시해 놓았다. 유현목의 <춘몽>의 스타일은 갑자기 삽입되는 이미지들을 통해 치과(현실)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은유적인 덧붙임을 실행하는 것으로 기능한다. 그와 달리 <백일몽>은 현실에서 불가능한 상황을 몽환적 세계로 옮겨와, 더욱 직접적인 외설장면 묘사를 시도하는 것으로 자신의 내레이션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각국의 영화제작양식의 차이와 감독의 영화적 표현 스타일의 차이 그리고 관객 수용의 문화적인 차이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 narration mode and style of The Empty Dream (Chun-mong). The narration is the process whereby the film"s plot and style interact in the course of cueing and channeling the spectator"s construction of the story. Narration includes stylistic processes. By including style within narration, we can analyze stylistic departures from the mode of production or dominant style in the 1960s in korean film industry. The Empty Dream constructs montage to attenuate original film"s suggestive images and omit some shots at the end of film narrative. That shots of the original film Daydream function as an indicator to make character"s dreams real event. these difference was affected by censorship and culture gap between the two country. Such an approach to viewing films can allow us to look further into a film, renewing its ability to intrigue us by its strangeness or difference. These films show some difference film style between Korean Film Industry and Japanese Film Industry in the 1960s.

      • KCI등재

        산업분류와 만성질환 유무와의 관계

        홍진혁 ( Jin Hyuk Hong ),유기봉 ( Ki Bong Yoo ),김선호 ( Sun Ho Kim ),김충우 ( Chung Woo Kim ),노진원 ( Jin Won Noh ) 한국병원경영학회 2016 병원경영학회지 Vol.21 No.4

        Purposes: The industry has specialized and fragmented than in the past. As a factor of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primary industry decreased and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secondary and third industry continuously increased. In modern times, incidence of chronic disease is increasing according to industrial develop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Clark`s industrial classification. Methodology: Data were derived from the 2012 Korea Health Panel. The sample was made up of 7,132 adult participants aged 20 or over selected Korea Health Panel by probability sampling from Kore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in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Findings: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were gender,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member, education level, insurance type, disability, BMI, and industrial classification. Female, elderly, divorced(including bereavement, missing and separation), one-person households,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medical aid, disability, obese and primary industry were confirmed chronic disease increases.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finds that primary industry`s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 was higher than secondary and third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nagement and effort of the worker who engaged in the primary industry. Policy development is required to address inequality or popularization of the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by conducting a study to define the working conditions and socio-economic factors between industry.

      • KCI등재

        연상호 <사이비>의 내레이션 분석

        홍진혁(Hong, Jin Hy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형식은 내용을 어떻게 전달하는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형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상호의 애니메이션 <사이비>의 내레이션 전략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분석은 연상호의 전작들 <돼지의 왕>과 단편 <창>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독특한 영역을 차지할 기대주라는 상찬과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불편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함께 했다. 충격적이라는 말은 종종 불편하다는 것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는 연상호의 작품들이 그려낸 현실이 우리에게는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관객이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순간은 바로 자신을 타자로 접촉하는 순간이다. 이는 자신을 타자로 성찰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장편으로 데뷔한지 불과 5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연상호의 애니메이션을 다룬 연구가 그리 많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연상호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적으로 내용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계급투쟁 우상화의 문제, 괴물성의 전이 등으로 의미를 설명한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플롯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와 같은 텍스트의 내러티브 기법에 초점을 맞춘다. 즉 관객을 불편하게 만들면서 성찰적 자리를 제공하는 연상호 애니메이션의 힘이 바로 내러티브 형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오프닝 시퀀스, 이분법적인 갈등 구조, 그리고 플래시백으로 요약된다. 연상호의 애니메이션들은 공통적으로 인물간의 이분법적인 구도위에서 내러티브를 진행해 나간다. 이는 오프닝 시퀀스에서 관객을 특정한 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이는 단순히 인물의 성격이나 배경을 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만이 아니라 관객으로 하여금 인물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후 클라이맥스에 이르러서는 플래시백을 통해 관객에게 인식의 전환을 제공하면서 텍스트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연상호의 애니메이션들은 선과 악, 진실과 거짓과 같은 흑백논리로는 포획될 수 없는 현실 세계의 부조리한 영역을 관객의 내러티브 이해과정에서 드러내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