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스키마 변화를 위한 실험 환경

        홍은지,유석인(Eunji Hong),Suk I. Yoo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3 No.2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의 장점인 코드 재사용과 계승은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게 클래스를 공유하게 한다. 클래스의 코드는 그 정확성이 검증된 상태에서 사용되지 않는다며,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 원인을 발견하기도 어려울 뿐더러 복구하기 힘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기존의 스키마 변화 관리체제는 변화된 클래스 정의를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된 클래스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어렵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의 다중 사용자 개발 환경을 위한 새로운 스키마 변화 관리 체제를 제시한다. 본 체제는 사용자가 클래스를 수정한 후 코드가 안정화된 후에 비로소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 끼칠 수 있도록 허용해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클래스 수정자가 클래스를 수정하고 검증하는 동안에도 해당 클래스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클래스와 그 인스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euse and inheritance which are merits of the object-oriented databases make programs share classes. If the code for a class is used without verification, it is possible to cause errors. It is hard to detect such errors and to correct them. This paper introduces a schema evolution mechanism which provides an experimental environment and reduces a possibility of being shared of error-prone classes. We allow the user to postpone reflecting the effect of the class modification in applications until the class is mature, so errors are minimized. In addition, we allow other users to use the class and its instances as its unmodified definition while he/she modifies and tests the class.

      • 임신을 원하는 부부의 자연스러운 임신 준비 과정을 위한 IoT 서비스 컨셉 제안

        홍은지(Eunji Hong),김희연(Heeyeon Kim),권혜진(Hyejin Kweon),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현대 사회에서 아이를 갖는 일은 자연스럽고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의 비율이 늘어나 과거집안에만 있던 여성보다 맞벌이 여성의 가정 내 거주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부부의 바쁜 직장생활과 불임 문제로 인하여 아이 갖는 일이 쉽지만은 않은 현실이다. 문제 없는 부부도 있겠지만, 임신을 위해 큰 노력을 들이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 현상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본 IoT 서비스 컨셉은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부부들 중 배란일 계산과 커뮤니케이션 등에 문제를 겪고 있으며 자연 임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배란 테스트기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길일을 계산하고 침실조명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길일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 컨셉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론과 사전 인터뷰 조사를 통해 도출된 서비스 컨셉 및 서비스 구성요소 (디바이스 및 데이터 관리)를 소개하고 서비스 이용 시나리오를 본 논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Having a child is not a natural or easy chore in the modern society. Particularly the proportion of couples working together has increased, that the working women nowadays stay less at home than the housewives in the past. Busy work life and infertility problems make couples harder to get pregnant. Some couples may not have any problem regarding fertility issue, however it is easy to see currently that many couples put a big effort for pregnancy. This IoT service concept is for the couple who are planning a pregnancy, especially striving for a natural pregnancy, where calculating the ovulation date and communication are huge hurdl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vice concept for transmitting love day information in a natural way for the user in a manner of controlling the bedroom lighting color, based on carculating the day using the data detected through the ovulation tester. This research will introduce the service concept and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 (device and data management) that have been derived through the theory and preinterviews, and propose service usage scenarios.

      • KCI등재

        스마트홈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의인화 효과

        홍은지(Eunji Hong),조광수(Kwangsu Cho),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2 No.1

        이 연구는 인간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들을 스마트 홈 맥락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에 적용하여, 의인화의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이 사용자 감성 경험과 향후 이용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인터랙션의 음성-채팅 유형은 친밀도, 호감도, 향후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인화 수준이 높고,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 대화형 에이전트를 더 친밀하고 호감이 가며 향후에도 계속해서 이용하고 싶은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관계없이, 채팅에 비해 음성 인터랙션이 심리적 저항감이 낮았다. 향후 이용 의도에 대해서 의인화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채팅 인터랙션은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음성 인터랙션의 경우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 대화형 스마트홈 에이전트는 의인화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가 되어야 사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Applying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human nature to the conversational agent in the smart home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and interaction type on the emotional user experiences and future use inten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study showed that the high-low condition of anthropomorphism and the voice-chatting interaction type have impacts on the perceived closeness, likability, and future use intention. That is, people evaluate the conversational agent as more close, likable, and useful when they perceive more human nature components and when in the voice interaction mode. Psychological resistance was lower in the voice than in the chatting mode regardless of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an interaction effect of anthropomorphism and interaction type on the future use intention: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existed only in the voice interaction mode.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 conversational agent with the voice recognition interface should be designed with the higher level of human nature components for the continuous use.

      • KCI등재SCOPUS

        [기술논문] 경량 단조 피스톤 기술 개발

        홍은지(Eunji Hong),강희삼(Heesam K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7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5 No.1

        This forged piston is proposed with a lighter weight and higher durability than a gravity casting piston for gasoline engines. However, a forged piston is very difficult to develop and mass-produce due to lack of basic technologies such as design, material and forging technique. First, we benchmarked existing forged pistons according to database design parameters. Second, we evaluated two solidification processes, continuous casting and spray forming, to produce heat-resistant alloy billets for forging. The spray forming process gives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at all temperatures, particularly at elevated temperatures except when poor formability is present. We used DEFORM simulation to determine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 with billet from spray forming and successfully commercialized it with LF Sonata HEV.

      • SCOPUSKCI등재
      • 홈 IoT 환경의 조건부 자동실행모드(IFTTT) UI 사용성에 대한 연구

        홍은지(Eunji Hong),최준호(Junho Choi)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IoT 서비스의 큰 의의 중 하나는 자동화에 있다. 하지만 자동화는 정도를 조절 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자동화 될 기능을 설정하는 조건부 자동 실행 모드의 필요성은 간과될 수 없다. 하지만 이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는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과정상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사용하지 못하거나 중도에 포기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이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G U+에서 출시된 IoT@Home 서비스를 중심으로 홈 IoT 환경에서의 조건부 자동실행 모드(IFTTT) UI 에 대한 사용성 평가 항목을 제안한다. 또한 연구자가 IoT@Home 서비스의 UI 를 기준으로 몇 가지 요소를 수정한 UI 개선안을 비교 평가 한다. 두 가지 UI 의 비교 평가결과를 통해 평가 항목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UI 상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ne of the great significance of the IoT services are automated.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utomation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the need for conditional automation mode to set a function that the necessity of user can not be overlooked. However, the process, it is necessary that you set one by one, If a user has felt the difficulty of the process, it may be give up or not in use. Thus, the user can easily simple way,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use that function. In this study, we provide an evaluation item of the usability of the conditional automation mode(IFTTT) UI in the home IoT environment based on the service of LG, IoT@Home.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UI of IoT@Home, to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UI improvement plan that has been changed a number of factors. Through the comparison evaluation results of the two UI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and to suggest way to improve the UI.

      • KCI등재
      • KCI등재

        문항배열순서와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홍은지(Eun Ji Hong),성태제(Tae Je S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문항의 배열순서가 다른 검사유형과 피험자의 성별이 피험자 능력추정의 정확성과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76명을 계열과 성별, 사전능력을 고려한 3개의 균등집단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A형), 어려운 문항에서 쉬운 문항으로 배열된 유형(B형),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 다시 쉬운 문항에서 어려운 문항으로 나선형으로 배열된 유형(C형)의 수학 성취도 검사를 각 집단에 한 유형씩 시행하였다. 또한 각 검사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피험자들의 시험불안을 측정하고자, 수학 성취도 검사 전후로 시험불안 검사를 시행하였다. 문항반응이론으로 피험자들의 능력모수와 그에 따른 추정오차를 추정하였다.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능력모수 추정오차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 그리고 B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 의한 추정오차가 가장 낮았고, C형, B형의 순으로 높아졌다. 피험자들의 사전 시험불안을 통제한 교정 시험불안이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유형에 따른 교정 시험불안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 따른 차이나 검사유형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Scheffe 검정 결과 A형과 B형, A형과 C형에 대비가 유의하였다. A형에서 교정시험불안이 가장 낮았고, C형 그리고 B형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시험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과 능력모수 추정오차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이 있었다. 이로써 문항의 배열순서로 검사 도중에 발생하는 시험불안이 능력모수를 추정하는 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검사수행 시의 피험자의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피험자 능력추정을 신뢰롭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tem order and gender influence the accuracy of estimation for ability parameters and test anxiety. This study targeted 176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quivalent groups. The achievement test on math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test starting with easy questions and becoming progressively more difficult(Type A); the test starting with difficult questions and proceeding to easier questions(Type B); and the repetition of Type A in order(Type C). Three types of test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est anxiety was also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were verified through 2-way ANOVA. The only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standard errors of the ability estimates were lowest in Type A. These values were high in Type B or Type C. Second, the effect of the item order and gender on calibrated test anxiety through 2-way ANCOVA. Also, only the main effect of item order was significant. The calibrated test anxiety was lowest in Type A.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librated test anxiety and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d ability. In conclusion, Type A reduced test anxiety and increased the accuracy of measuring ability more than the other two types of test.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the practical guideline of producing accurate test. Furthermore, researchers related to item, order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 test need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 KCI등재

        조작 방식에 따른 음성과 소리 피드백의 할당 방법

        홍은지(Eun-ji Hong),황해정(Hae-jeong Hwang),강연아(Youn-ah Kang)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1 No.2

        가전제품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스크린 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역시 사운드, 음성,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배정하는 원칙이나 기준이 없어 각 브랜드, 기기 별로 임의로 배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음성 명령을 통해 조작할 때와 버튼으로 조작할 때 가전제품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의 방식으로 음성, 소리 중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 방식(음성 인식, 버튼), 피드백 방식(음성 안내, 소리)의 조합으로 구성 된 총 4가지(2x2) 셀을 갖는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조합에 따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사용성, 만족도, 선호도, 적합도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하는 것이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버튼으로 조작 했을 때는 피드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작 방식, 피드백 방식의 조합이 가전에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식의 주효과가 검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소리(earcons)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버튼을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음성 안내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또한 가전에 어떠한 조작 방법이나 피드백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법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ways to interact with digital appliances are becoming more diverse. Users can control appliances using a remote control and a touch-screen, and appliances can send users feedback through various ways such as sound, voice, and visual signal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how to define which output method to use for providing feedback according to the user’ input method. In this study, we designed an experimental study that seeks to identify how to appropriately match the output method – voice and sound – based on the user input – voice and button. We made four types of interaction with two kinds input methods and two kinds of output methods. For the four interaction types, we compared the usability, perceived satisfaction, preference and suitability. Results reveals that the output method affects the ease of use and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input method. The voice input method with sound feedback was evaluated more satisfying than with the voice feedback. However, the keying input method with voice feedback was evaluated more satisfying than with sound feedback. The keying input method was more dependent on the output method than the voice input method. We also found that the feedback method of appliances determines the perceived appropriateness of the inte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