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천식 환자에서 게임을 통한 천식 교육법의 유용성

        홍예슬 ( Ye Seul Hong ),전유훈 ( You Hoon Jeon ),양현종 ( Hyeon Jong Yang ),편복양 ( Bok Yang Pyun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9 천식 및 알레르기 Vol.29 No.4

        Background: Education for understanding the disease itself is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asthma.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repeated education for the asthmatic children through various games. Method: A 15 school-aged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asthma who participated in the Soonchunhyang asthma camp were enrolled. We compared each score of the test which consisted of 4 components of asthma (triggers, preventions, treatments and courses). The first test was performed without any education. Thereafter, the second, third and fourth tests were conducted repeatedly with various games.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first test was 11.93±5.20. Meanwhile, the scores of the repeated tests showed gradual improvement; the score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tests were 15.64±4.77, 18.06±2.96 and 18.6±2.47. The score of the second test showed improvement as compared to that of the first test (P<0.01). The score of the third test compared also showed improvement as compared to the second test (P=0.03). Conclusion: The interesting games as a tool for the education of asthma could be helpful in not only understanding the disease itself but also improving the compliance of patient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9;29:262-268)

      • KCI등재후보

        국내 포털사이트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사용성 평가 연구 : 네이버 N드라이브와 다음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홍예슬(Hong Ye Seul),강서연(Kang Seo Youn),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국내 포털사이트(Portal Site)의 선두주자인 네이버와 다음에서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N드라이브와 다음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집중 분석하여 이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 번째,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개념 창출의 유래를 찾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Cloud Computing System)에 대한 분석을하고 두 번째, 정성적 평가를 위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했다. 이 때 사용성 평가는 총 7개의 태스크(Task)를 중심으로 인터뷰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정확하고 공정한 분석 결과를 위해 각 태스크를 네이버 N드라이브와 다음 클라우드 두 사이트에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피실험자들의 효과적인 실험 결과 도출을 위해 시간과 에러(Error)를 기록하고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사용하여 경험 바탕의 씽크 얼라우드(Think-Aloud)를 위해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용성 평가로 네이버 N드라이브와 다음 클라우드에서 제공하고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바로가기 아이콘이나 직접가기 경유노선을 명확히 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다. 둘째,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이용률이 높은 파일 업로드(Upload)와 다운로드(Download) 서비스의 UI(User Interface)개선과 사용방법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일반 이동 저장 장치와의 차별성을 둔 폴더공유 서비스의 특화와 서비스를 위해 모호한 권한 설정명시를 명확히 한다. 넷째, 각 포털사이트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파일 정렬 기능을 확고하게 하고 UI개선을 통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돕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cloud storage services of two front-running web portals, Naver NDrive, and Daum Cloud. We will also mak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ir user experience(UX)To achieve ccurate results, we first gathered information of the cloud computing system and the origin of cloud storage. Then we performed 7-task in-depth interviews of both web portals' cloud storage services on a certain user group. We recorded the interviewees' eye movement with an eye-tracker device, times per task, and trial and error. For fair evaluation, interviewees were told to do the same tasks for both sites. The interviewees were also told to answer a survey afterwards to collect further opinions after experiencing both cloud storage services. After analyzing results of this user experience test, we propose the following. First, the web portals should have prominent shortcut links on their main page that lead to the cloud storage for easier access. Second, the user interface(UI) architecture of frequently used functions like file upload and download should be improved. Third, folder-sharing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differentiate cloud storages from personal storage devices or desktop. Fourth, because files and folders continue to accumulate in these storage spaces, it is essential to have better file rearranging user interface.

      • KCI등재

        급성 입인두 감염 후에 발열과 경부 강직을 주소로 내원한 Lemierre 증후군 1례

        이예나 ( Yena Lee ),홍예슬 ( Ye-seul Hong ),김성수 ( Sung Soo Kim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2

        Lemierre 증후군은 급성 입인두 감염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이차적인 혈전 정맥염과 여러 장기를 침범하는 전이성 색전이 특징이다. 1940년대 이후 항생제가 도입되면서 “잊혀진” 질환이었지만, 영상의학 검사가 발달하면서 Lemierre 증후군의 보고가 많아지고 있다. 건강한 16세 남자 환자가 입인두 감염 후에 5일간 지속된 발열과 경부 강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입원 초기에는 뇌수막염에준하여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추후 경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오른쪽 속목정맥 안의 혈전이 발견되어Lemierre 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입원 2일째 갑자기 복시를 호소하였으나 곧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그 외 전이성 색전에 의한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총 3주간의 항생제 치료 후 정맥 내 혈전이 소실된 것을 경부 초음파로 확인하고 치료를 종료하였다. Lemierre syndrome is a rare disease involving multiple organs affected by septic emboli following oropharyngeal infec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penicillin in the 1940s, it became a "forgotten" disease.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image modalities including neck computed tomography (CT) scan, the number of published reports of Lemierre syndrome and diagnosi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1990s. In this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Lemierre syndrome, following oropharyngeal infection in a 16-year-old patient, who manifested with persistent fever and neck stiffness. Neck ultrasonography confirmed thrombus formation in the right internal jugular vein without definite evidence of septic emboli to other organs. After the three-week-long antibiotics therapy was completed, the thrombus in the right internal jugular vein finally disappear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