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도서지역 문화자원의 등재적 접근

        홍순일(Soon-Il H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9 島嶼文化 Vol.0 No.34

        이 논문은 한반도 도서지역 어로문화의 구비전승자원을 등재적 관점에서 살피되, 구비전승물에 구축된 민속문화소통장치에서 구현되는 島嶼精神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해양정서의 사적 위상을 살핀 것이다. 1) 우선 문화자원의 성격을 논의했다. 문화자원(cultural resources)은 역사적으로 지역문화가 특성화되고, 사회적으로 문화권역이 전개되었다. 따라서 ‘예술대상+예술가+예술작품+독자ㆍ청중ㆍ관객’의 관계 속에 있는, 무한성과유한성, 개인성과 사회성, 그리고 수동성과 능동성 등을 깊이있게 살펴야 한다. 또한 문화자원 자체를 橋頭堡로 할 뿐만 아니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의 등재와 문화관광을 위한 개발ㆍ보존과 기록ㆍ영상을 수단으로 할 때 지역문화가 특성화되는 據點地域과 문화권역이 전개되는 中點地域이 획득될 수 있다. 2) 다음에 지역문화가 역사적으로 특성화되는 면에서 구비전승자원에의 접근을 논의했다. 고기잡이 외에 바다와 배를, 민간적인 신앙ㆍ의례ㆍ놀이ㆍ노동의 도구[매체]와 융합시키는 도서지역민은 종합예술제의장에서 해양신격을 모심으로써 일생과 생산의 주기에 따른 의례를 거행할 뿐만 아니라 언어적 진술과 문학적 형상에 의한 미적 전유행위를 시도했다. 그 결과 대상→본질→인식→의식→현상→실천→정서와 관련된 民俗文化의 疏通裝置가 構築되고, 민속과 관련된 생명의 생태성, 적응의 자연성, 다양의 개방성, 의식의 진취성 등 島嶼精神이 具現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양문화학자는 어로문화의 구비전승자원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기초조사→정보화→활용→섬화단계로 다루되, 도서지역민의 일상생활과 문화공간을 중시하는 학제간 공동연구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그 상대적 특징과 문화권역의 전개를 파악하기 위해 대비 항목의 자료를, 행위주체자, 배경, 대상, 인식, 표현 등의 측면에서 추가하고, 이들 요소간의 통합적인 연구작업을 기획하여, 구축된 민속문화소통장치에 구현된 도서정신인 해양정서를 구명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3) 끝으로 문화권역이 사회적으로 전개되는 측면을 논의했다. 섬의 시각과 사안에 따라 서남해역, 제주해역, 동남해역, 서해해역, 동해해역 등으로 5구분한 문화권역은 서남해권, 서해권, 남해 및 제주권, 동해권 등 4구분으로 재구성되었다. 한국의 문화자원은 문명의 관점에서 해양문화를 세계담론의 거점으로 다루되, 그 자체와 연구가 학, 비교학, 미학, 운동 등의 중심에서 주체가 되기도 하고, 객체로 대상화되기도 해야 한다. 또한 현시점에서 생활상의 기능을 환기하고, 어로상의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특히 연구자의 네트워크 구축은 이러한 작업의 원동력이므로, 한국과 세계 연구자와의 협력강화를 위해 학술협정을 체결하고, 연구사업을 장기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KCI등재

        ≪신안민요≫의 언어문학적 접근과 소리문화적활용 -< 지도민요 >,< 증도민요 >,< 임자도민요 >를 중심으로-

        홍순일 ( Soon Il Hong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4 No.-

        This paper maintains that Sinan inhabitants can realize vitality to head for ecology from the isle culture of the ocean, nature-oriented adaptability, diversity in pursue of openness and consciousness toward the ocean in “Sinan Folksong”, ‘Jido Folksong’, ‘Jeungdo Folksong’ and ‘Imjado Folksong’ when they make an language-cultural approach with a mind that ‘culture is a cultural resource’. In addition, the paper contends that the Sori-culture device can be established by facilitating the cultural function, such as natural ecology, geographical humanity, geological history, folk society and language literature in ‘Sinan Folksong’, thus that the value of Sori-culture can be culturologically utilized for local development. It is because Sinan Folksong is a marine culture and can enlighten the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information society, and contain future values at which 21st culture era aims. The first issue discussed is “regional-cultural distribution of ‘Sinan Folksong’”. ‘Sinan Folksong’ is a song of life sung by Sinan people in the form of oral presentation. In particular, it exists in Sinan residents and hobgoblins, Sandai and Darae, the ballad communities of Jido, female folk singers of Jeungdo, and in a shrimp boatman’s song. The second issue is ``language-cultural approach of ‘Sinan Folksong’. ‘Sinan Folksong’ which is presented by Sinan inhabitants is revealed in cultural viewpoints of language/literature as follows : ① ‘The people’s vital regional recognition’ of an otter and a hobgoblin is presented as ‘ecological Sori-culture’ in relation to narrative characters and historic heros of Sinan regions. ② Regarding the ballad communities and funeral rites in Jido regions, ‘the isles people’s adaptable regional recognition’ considering Sandai and Darae is presented as ‘Sori-culture of the nature’. ③ When it comes to a female folk singer of Jeungdo who lost her son, ‘the isles woman’s various regional recognition’ of field labors and her son’s death is displayed as ‘open Sori-culture’. ④ As for the shrimp-catching song in Imjado, ‘the isles people’s conscious regional recognition’ regarding fishery and boatman’s song is expressed as ‘progressive Sori-culture’. The third issue is “the Sori-cultural utilization of ‘Sinan Folksong’”. As for Sinan people’s folksongs, the cultural factor of nature/ecology, the cultural factor of geography/humanity, the cultural factor of archaeology/history, the cultural factor of folklore/society and the cultural factor of language/culture should be activated as cultural items ①②③④, the folk contents of th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for ‘promotion of life quality of the regional residents’. For ‘the cultural resources cultivation’, the cultural resources of nature/ecology should be preserved according to ‘nature-cultural ecology map’. For ‘informatization’, the cultural resources of geography/humanity must be utilized as the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geography-cultural humanity map’. For ‘the culture-tourist development’, Dochan-ri Jeonjangpo in Imjado should be restored and utilized according to ‘archaelogy-cultural history map’. For ‘the prototypicalization of culture’, the Sandai and Darae the compounds of generality which is presented as vitality, adaptability, diversity and consciousness and individuality which is presented as ecoloty, naturality, openness, progressiveness should be found according to ‘folklore-cultural society map’. And for ‘cultural industrialization’, the Sori-cultural devices of Jeungdo mother’s song and Imjado shrimp boatman’s song are required to be utilized by ‘language-cultural literature map’.

      • KCI등재

        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와 사랑 감성의 사회적 교차

        홍순일(Hong Soon-il)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가거도 사람들의 민요공동체 산다이를, 구비문학의 상상력과 사회학의 문제해결력’이라는 문학 사회학의 관점에서 기억․기록을 통해 사랑 감성을 살피되, 서남해 도서지역의 사회적 교차와 그 변화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의 도서해양문화의 위상을 살핀 것이다. 첫 번째 논의한 것은 섬사람들의 구비문학과 섬의 사회학과의 만남(제2장)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기억․기록으로서 산다이문화행위를 하되, 산다이를 통해 웰빙(well-being), 힐링(Healing) 등 사회적 삶의 질 향상에 도전한다. 이 산다이문화는 역사적으로 지역문화가 특성화되고, 사회적으로 문화권역이 전개되는 것이므로, 이 산다이문화 속에 있는 ‘구술의 무한성과 인식의 유한성’, ‘의식의 개인성과 표현의 사회성’, 그리고 ‘체험의 반복이라는 수동성과 총동원된 인식이라는 능동성’ 등에서 한국적 개별성과 세계적 일반성을 주목하는 것이다. 두번째 논의한 것은 가거도 사람들의 산다이문화를 통한 사회적실천(제3장)에 관한것이다. 가거도는민요 공동체의 놀이문화와 민요의 곡명을 동시에 산다이라고 지칭되는 섬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남다른 산다이문화를 변화․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문예원리를 적용한 결과, 산다이문화를 통한 사회적 실천을 한다. 자기 마음에서 우러나서 조곤조곤 내는 소리인 <산다이>는 삶의 전면에서 느낀 바를 절실히 노래한다. 특히 <산 다이>는 남녀 사이에서 느끼는 사랑을 더 간절히 표현한다. 즉 달[月]을 통해 임의 부재 속에서 사랑을 염원하 기도 하고, 새[鳥]를 통해 부부관계에서 대장부 남자가 여자 마음을 모른다고 단정하여 한풀이하기도 한다. 그 결과, 가거도 사람들은 가거도 사람들의 시간과 공간과 삶에 대한 생각들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산다이≫에서 부르는 노래를 통해 사랑 감성을 표현하고, 민요공동체를 구축하여 사회적 실천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 논의한 것은 가거도 사람들의 구비연행과 산다이문화의 또 다른 기능(제4장)에 관한 것이다. 가거도 사람들은 산다이문화의 또 다른 길을 모색하여 삶 속에서 웰빙(well-being), 힐링(Healing) 등의 방편 (方便)으로써 산다이문화를 자리매김하고, 섬의 비전에 따라 자원화하는 길을 찾는다. 자연히 시간, 공간, 인간이 상호교섭된 가거도 소리에는 가거도를 무대로 삼아서 삶을 영위해 온 가거도 사람들의 생애사가 융합되어 있다. 즉 주로 ≪멸치잡이 노래≫를 하는 김창대 소리꾼처럼, 남성이 바다의 어로활동을 맡고, ≪산다이≫를 하는 김월자 소리꾼처럼 여성이 섬의 농경활동을 하지만, 남녀가 일생의례와 생산의례에 따라 어느 날, 신앙하는 바다의 물과 땅의 산에서 생산의 노동활동을 멈추고, 생산활동 등 생활의 풍요를 기대하며 ‘놀이를 지향하는 소리문화의 연행물’인 산다이를 하는 것이다. This study enquired into Sandai, a folksong community in Gageodo residents, with the theme of love emotion, through memory and documents from the viewpoint of sociology of literature which is the imagination of oral literature and solution of sociology; focused on the social crossing-over and change of South-western island areas; as well as social status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in the current society. The first issue discussed was the encounter between the oral literature of island residents and the sociology of islands (Chapter 2). The people of Gageodo perform Sandai culture activities as their memory and documents through which they challenge the promotion of social quality of life, such as well-being, healing, etc. This Sandai culture is a process in which a local culture is characterized, and cultural zone is developed in a social point; therefore, Korean originality and global generality receive attraction in the sense of oral finitude and cognitive infinity, cognitive individuality and expressional sociality, and the passivity of repetition of experience and activity of mobilized cognition inside Sandai cultures. The second issue was considering social practices through the Sandai cultures by Gageodo residents (Chapter 3). Gageodo is an island which is named by entertainment culture as well as folksong titles. Gageodo residents perform social practices through Sandai cultures as a result of applying literature principles at each stage in the process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different Sandai cultures. <Sandai>, a quietly reciting sound, which is born in hearts, is sung keenly in the result of life experiences. However, <Sandai> expresses love between man and woman more desperately. In short, people wish love for lovers to the moon, and a woman vents her spite against a bird, saying that a man never knows a woman's mind. In the result, Gageodo people vocalize their love emotion, establish folksong communities and achieve their social practices through songs which are sung in <Sandai> which is pervaded in the resident's thought of time, space and life. The third issue focused on oral performance of Gageodo residents and another function of Sandai cultures (Chapter 4). Gageodo residents find another way of Sandai cultures; settle Sandai cultures as a method of well-being, healing, and so on, and seek for a way of recycling according to the island's vision. In the Gageodo sori, in which time, space and human are mutually interacted in a natural way, the whole life history of Gageodo people who have sustained lives on the Gageodo was converged. Namely, like Kim, Chang Dae, a folksong singer of anchovy fishing sori, a man takes charge of fishery; and like Kim, Wol Ja, a solksong singer of Sandai, a woman takes charge of farming life; but still they keep sticking to their ordinary life and production process; and someday, they perform Sandai, 'an oral heritage of sori cultures which moves towards play', expecting the abundance of life including production activity, by stopping labors on the water of the sea and on the mountain of the land which they have set their faith on.

      • KCI등재

        〈수궁가〉창본의 극적 갈등양상과 의미

        홍순일(Soon-Il Hong) 어문연구학회 2006 어문연구 Vol.50 No.-

        In consideration of conflictive aspects which were demonstrated in Sugoong-ga Changbon(a vocal music script) in the framework of drama,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meanings of the script. Th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along with Tobyeol-ga Shinjaehyo-bon, Sugoong-ga Kimyeonsu-changbon, and Sugoong-ga Ohjeongsuk-changbon, producing outcomes as follows: First, Kim and Oh enrich Shinjaehyo-bon"s Tobyeol-ga, adding the story in which Byuljuboo announces that the hare can not get the position, followed by sudden death in misfortune, and further, they focus on ""the hare"s identity issue"" rather than ""the hare"s environmental point"", resulting in the scenario in which the hare and Byuljuboo first face with dramatic confrontation, but settle their conflicts in the end. Second, Oh intentionally omits the passage from Shinjaehyo-bon, Kimyeonsu-changbo that the hare sobs, fabling that he did not bring his liver without knowing the dragon king"s intention, but instead, she directly links to the story in which the hare shows boldness, asking the king to disembowel him, which embosse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king, the strong and the hare, the weak. Third, Kim and Oh develop the story from Shinjaehyo-bon, inserting the phase that the hare releases Byuljuboo of whom he has made mock, by which they make a focal point of deconfrontation between the hare and the dragon king. The reason of pursuing comic spirit through confrontation and settlement is mainly originated from the scheme that the nature of Sugoong-ga Changbon changes its character into the tranquilizer to the pain of psychological conflict via the aspirin of social laughter. Fourth, Kim and Oh make adjustment of tension not by hical morality in narrational structure, but by successive generation in dramatic framework, using dramatic plot languages. Most of all, the purpose of producing the dramatic irony(In the story, the writer makes the dragon king act without recognition of his life or death.) with this adjustment i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Pansori, a narrative song, becomes changed up to the high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of the conflict structure of Sugoong-ga makes possible to prospect upcoming future from the side of soripan, a narrative song genre, open up new vistas from the viewpoint of Pansori performer, and get the present iden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pansori audience. In addition, it takes hold of its meaning in performance culture, in which it identifies historical facts in the sense of Pansori changbon.

      • KCI등재

        서남해 도서지역 소리꾼의 구비연행과예술혼의 재발견

        홍순일 ( Soon Il H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이 논문은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구비연행자(口碑演行者)를 살핀 것이다. 즉 지금.여기에서 현단계 예술에 종사하는 소리꾼이 예능보유자와 후속세대의 동반성장을 도모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서남해 도서지역 구비연행자의 연행 행위를 ‘예술혼 수행’으로 파악하고, 그들의 정신을 ‘투혼’으로 보는 연행론적 관점에서, 장산도 이귀인.강부자 명인의 세계관과 예술혼을, 하의도 이홍채 명창의 그것과 대비하면서 서남해 도서지역 소리꾼의 구비연행적 특징을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고찰한 것이다. 첫 번째 논의한 것은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세계관과 예술혼(제2장)에 관한 것이다. 이홍채 명창은 태도면에서 산다이를 경험하고 소리문화를 수행하는 동시에 삶의 한을 소리로 신명풀이했다. 지식면에서 민요, 판소리 예능보유자로서 소리를 지키기 위해 힘써 배우고 가르쳤다. 그리고 기술면에서 소리문화를 수행하면서 단체를 만들거나 참여하면서 토속적인 소리로 수상(受賞)한 것이다. 두 번째 논의한 것은 장산도 이귀인.강부자 소리꾼의 세계관과 예술혼(제3장)에 관한 것이다. 이귀인.강부자 명인은 태도면에서 무속을 경험하고 민속예술을 수행하는 동시에 삶의 한을 마을굿판.놀이판으로 신명풀이했다. 지식면에서 들노래, 씻김굿 등 민속예술 예능보유자로서 민속예술을 지키기 위해 힘써 배우고 가르쳤다. 그리고 기술면에서 민속예술을 수행하면서 단체를 만들거나 참여하면서 지역의 민속예술로 상(賞)을 받은 것이다. 세 번째 논의한 것은 서남해 도서지역 소리꾼의 구비연행적 특징(제4장)에 관한 것이다. 이홍채 명창과 이귀인.강부자 명인은 태도.지식.기술면에서 같고 다른 점이 있다. 이홍채 명창은 산다이를 경험하고 소리문화를 수행하는 동시에 삶의 한을 소리로 신명풀이하면서 단체활동을 했다. 이에 비해 이귀인.강부자 명인은 무속을 경험하고 민속예술을 수행하는 동시에 삶의 한을 마을굿판.놀이판으로 신명풀이하면서 단체활동을 했다는 점에서 같다. 그러나 이홍채 명창(名唱)은 판소리, 민요 등 소리꾼으로서, 토속적인 소리를 지키기 위해 “우리 국악이 정규 교육체제와의 융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를 채록하고, 전통 국악이론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국악교육을 강조했다. 이에 비해, 이귀인.강부자 명인(名人)은 들노래, 씻김굿 등 민속예술 예능보유자로서, 지역의 민속예술을 지키기 위해 “민속예술은 기술적으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으로 느껴야 한다”고 역설하는 등 문예정신을 강조했다는 점이 다르다. This study investigated oral performers in the south-western isles regions. It inquired the oral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folk singers in the south-western isles regions, by contrasting the world-views and artistic souls of master Lee, Guiin and master Kang, Booja on Jangsan-do with those of master Lee, Hongchae on Haeui-do. It reviewed them in the critical mind that a folk singer who is working on a present art field must promote the growth of a current talent holder together with a successor, and in the performance view that an oral performer``s performances in the south-western isles reg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performance of artistic soul,`` and their spirits should be regarded as the ``fighting spirit.`` The first issue was discussed of master Lee Hongchae``s world-view and artistic soul (Chpt. 2). In aptitude, master Lee experienced Sandai, performed a Sori culture and resolved life``s deep sorrow with Sori. In knowledge, he, as a talent holder of folk song and Pansori, dedicated himself to keeping Sori. Moreover, in technique, he was awarded a prize for his folksy Sori with the performance of a Sori culture, forming and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The second issue was mentioned in regard to world-views and artistic souls of master Lee, Guiin and master Kang, Booja on Jangsan-do (Chpt. 3). Master Lee, Guiin and master Kang, Booja experienced shamanism, performed folk arts and resolved life``s deep sorrow with exorcism and play in aptitude. In knowledge, they, as talent holders of folk arts, strived to keep folk arts, such as Deul-norae (a field song), Sitkim-gut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dead person’s soul), etc. Moreover, in technique, they were awarded prizes for regional folk arts by performing fork arts and forming and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The last issue was considered as the characteristics of oral performances of folk singers in the south-western isles regions (Chpt. 4). Master Lee, Hongchae, master Lee, Guiin and master Kang, Booja have the same features as well as different ones in aptitude, knowledge and technique. Master Lee, Hongchae experienced Sandai, performed Sori cultures, and conducted group activities at the same time, resolving life``s deep sorrow with Sori. In comparison, master Lee, Guiin and Kang, Booja experienced shamanism, performed folk arts and resolved life``s deep sorrow with exorcism and play, conducting group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ree masters have issues in common in that sense. However, master Lee, Hongchae, as a folk singer of Pansori, folk song, etc., put emphasis on Gukak (Korean classical music) to keep folksy Sori by insisting, "Korean classical music must not only be converged with today``s formal educational system, but also be recorded, and educational facilities must be secured to teach traditional music theories." In comparison, master Lee, Guiin and Kang, Booja, as talent holders of folk arts, such as Deul-norae, Sitkim-gut, etc., put emphasis on literary spirit to keep folk arts in the region by asserting, "Folk arts must not be learned by techniques, but be felt by body and mind." They have different views in that sense.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남해 도서지역 초도 민요공동체 산다이의 전개와 화전놀이의 교차

        홍순일 ( Soon Il H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멸치잡이와 관련된 남해 도서지역(島嶼地域) 초도(草島)의 구비전승물을, ‘민요공동체 산다이의 전개와 화전(花煎)놀이의 교차’라는 관점에서 살피되, 해양정서(海洋情緖)인 ‘개방적 다양성’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그것이 지닌 도서해양문화사적 위상을 검토한 것이다. 완도~고흥~남해권에 속하면서, 해양문화의 기점(起點)이 되는 거문도, 육지문화의 통로(通路)가 되는 남해도 등의 남해 도서지역 멸치어장권에서, 초도 사람들의 구비전승물에 대한 문화적 조건은 ‘손죽도는 화전놀이, 초도는 뱃노래’로 간주되는 ‘개방적 다양문화’이고, 초도 사람들의 구비전승행위는 구비전승물의 개별성이 강조되고 지역의 일반성이 구현되는 것이다. 남해 도서지역 초도의 구비전승물에서 ‘다양성’은 생명성, 적응성, 의식성과 함께 한국인의 ‘대상-인식-표현과 관련된 민속문화의 소통장치’로 구축되어 다른 해역과 같이 도서정신(島嶼精神)으로 구현되는 일반적 특성이 있다. 이에 비해 ‘개방성’은 생태성, 자연성, 진취성과 함께 남해인의 ‘대상-인식-표현과 관련된 민속문화의 소통장치’로 구축되어 남해 해역에서만 도서정신으로 구현되는 개별적 특성이 있다. 남해 도서지역 초도 사람들은 다양·개방의 놀이면에서 풍어제(豊漁祭)를 시가무(詩歌舞)로 푸는 행위를 통해 놀이의 결절점(結節點)을 만든다. 초도 사람들이 하는 산다이 방식의 화전놀이는 ‘여럿이 모여서 소리하고 노’는 산다이의 언어적 진술로, 산다이의 소통과 민요의 연행에 의해서 추동되고 있다. 살핀 자료에 한정해서 볼 때 초도 사람들은 삶의 정황이 표현된 소리를 통해 해양정서인 개방적 다양성을 구현한다. 즉 시간(세월)의 외로움을 부각시키기 위해 공간(섬)의 사물을 최대한 활용하여 보조한다. 따라서 남해 도서지역 초도의 구비전승물은 해양문화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 oral heritage of Chodo in the island regions of the South Sea in relation to anchovy fish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of Sandai, a folksong community, and the crossover of Hwajeonnori,`` at the same time the study focused on the marital emotion of ``open diversity,`` and reviewed its marine cultural status in the modern society. Belonging to Wando-Goheung-Namhae regions, the Chodo islanders`` cultural condition in the oral heritages is that ``Sonjookdo is featured by Hwajeonnori, and Chodo is by fisherman``s song,`` and the islanders`` oral performances have been emphasized by their individuality and realized by local generality in the anchovy fishing ground of the island regions of the South Sea. In the oral heritages of Chodo within the South Sea island regions, ``diversity`` is established as ``a communication device of folksong culture in relation to object-essential thinking strategy-recognition-consciousness-phenomenic expression strategy-action-emotion, along with vitality, adaptability and consciousness``; and it has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realized as island spirits same as other sea areas. In comparison, ``openness`` is established as ``a communication device of folksong culture in relation to object-essential thinking strategy-recognition -consciousness-phenomenic expression strategy-action-emotion, along with ecological property, naturality and progressiveness of the South Sea islanders,`` and it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realized as island spirits only in the South Sea regions. The Chodo people in the South Sea islands regions create a play node through performances that materialize a ritual for a big catch of fish as poem, song and dance among various and open play genres. A Sandai-typed Hwajeonnori which is performed by Chodo islanders is a Sandai``s linguistic statement that is ``realized by gathering, singing and playing together,`` and is driven by Sandai``s communication and folksong performances. In the reviewed study, Chodo islanders realize open diversity, which is a marital emotion, through Sori which is expressed by their life aspects. In short, they fully support space (island) things in order to highlight their loneliness in times (years). Therefore, the oral heritages in Chodo of the South Sea island regions has their original values in the marital cultural history in consideration of this reason.

      • KCI등재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홍순일 ( Soon Il H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공간을 확장해 나가는 관점에서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삶과 소리를 살피되, 소통을 통해 문화행위하며, 교차ㆍ협력을 통해 구비연행자와 교류해 나가는 면에 초점을 두는 동시에 현사회에서 그것이 지닌 구비전승사적 위상을 검토한 것이다.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을 지리적 교차의 시각으로 보고, 인간의 행위인 문화를 사회적소통의 방법으로 살피되, 생애사를 통해 이홍채 소리꾼의 소리에 접근한 것이다. 토박이인 이홍채는 웅곡마을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 등 소리문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막내아들 등 자녀들의 지원 속에서 맺힌 한을 푸는 소리문화행위를 수행했고, 경운기 사고와 암을 이긴 구비연행자이다. 웅곡마을에서 가족과 농사일을 하던 국악동아리회원 이홍채는 하의도에서 또래와그냥 노는 일(산다이)을 통해, 신안군에서 신안문화원의 하의도 천사섬민요합창단 활동을 담당하는 일을 통해, 목포시 유달(김연예)국악원교습소에서 이홍채가 한마음고법회원과 소리하는 일을 통해, 전남에서 하의도사람들의 토속민요를 가지고 남도문화제에 출전하는 일을 통해 소리문화를 수행해 나갔다. 이홍채는 교차적 공간을 확장하는 문화행위를 통해 구비연행자들과 협력ㆍ교류의길을 찾았다. 산다이에서 토속민요를 지속시키고, 신안문화원 활동과 남도문화제 출전에서 토속민요를 전파시켰다. 그리고 목포지역에서 자신의 소리역량을 발전시켰다. 그결과 이홍채는 민요와 판소리를 하는 소리꾼들과 예능을 교류했다. 소리 제자도 길렀다. 그리고 자신의 소리경쟁력을 제고했다. 이러한 문화행위를 하면서 ≪신안민요≫와 판소리의 외연적 기능을 확장시켰다. 동시에 진정한 구비연행자의 진면모를 갖추어 나갔다. This study set the bottom line for investigating the life and sori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of Haui-do in viewpoint of expanding spaces; paralleling withdoing culture activit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focusing on exchanging with oral performers via crossing and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its oral-transitional status in the modern society. The study made its approach at Lee’s sori through his biography by not only viewing the ‘space’ as the perspective of geographical intersection in a cognitive dimension, but also watching culture which is a human activity as a way of communication. Lee, native of Haui-do is an oral performer who overcame a cultivator accident and cancer and who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which ease deep-rooted grudge of people by supports of his children including the youngest in the event of sori culture activities, such as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while he was doing farm work at Woonggok village. Lee, a member of Gookak society who had been doing farm works with his family at Woonggok village performed sori-culture activities through just playing (Sandai) with is friends of Haui-do; through doing his job as a member of Chonsa-seom Lolk Song Chorus at Shinan Culture Center at Shinan province; via singing with members of Hanmaeum Gobup-heo at Yudal(Kim Yeon Ye) Gookakwon Academy in Mokpo city; an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with folk song of Haui-do residents in Jeola province. Lee found a way of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oral performers through culture activities which expand cross-sectional spaces. He also continued folk songs in Sandai, and expanded folk songs through doing activities at Shinan Culture Center and participating in the Namdo Culture Festival. In addition, he improved his sori capability. As a result, he exchanged his artistic talent with folk singers who sing folk songs and Pansori. He also trained his disciple, and enhanced his sori competitiveness. Through these culture acitivies, he expaned external functions of ≪Shin-an Folk Song≫ and Pansori. At the same time, he kept building up his original character as an oral performer.

      • CLT 경량 복합 바닥재 성능 평가

        홍순일 ( Soon-il Hong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오늘날 전세계의 도시화율은 55%이며 2050년에는 6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도심재생과 같이 끊임없는 콘크리트 건물의 신축 또는 증축, 개축 등이 필요한 상황에서 건설산업의 주류 재료인 콘크리트를 대신하여 구조용 공학목재를 이용한다면 도시개발과 성장에 필연적인 탄소배출을 감축할 뿐 아니라 고정화 시킴으로써 친환경 도시를 건설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층재들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 3층 이상 직교 적층시킨 cross-laminated timber (이하 CLT)를 이용한 건축물은 동일층의 콘크리트 건축물과 비교하여 1/5 가량 자중을 줄일 수 있어 공기 단축 및 건축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CLT를 바닥 슬라브로 사용했을 경우 구조적인 측면과 내화 문제 및 처짐과 진동에 따른 층간 소음 등을 이유로 충분한 두께로 설계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닥 슬라브의 두께 증가는 설비공간이 줄어들거나 층고가 낮아지는 등의 또다른 문제들을 야기한다. 목재와 콘크리트를 복합화한 Timber-concrete composite(이하 TCC)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기존 콘크리트 바닥 구조의 총 중량 대비 자중 저감 및 시공성 개선, 친환경 건축 재료 사용 측면을 고려한 CLT-콘크리트 복합 바닥재의 성능 향상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복합 바닥재의 주요 재료들인 CLT와 콘크리트 간 합성 방법 그리고 탄소섬유 보강재 부착을 통한 복합 바닥재의 휨 성능 개선 및 경량화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세부적으로는 첫째, 탄소섬유와 CLT 간 접착성능 조건, 둘째, 습식 공법이 복합 바닥재의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셋째, 주요 재료들 간 전단 연결 방법에 따른 접합 성능, 넷째, 탄소섬유 보강 비율에 따른 복합 바닥재의 휨 성능 등이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