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자의 주도적 행동 예측 변수 탐색

        홍소정,주재홍,양병채 한국경영공학회 2024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employee proactive behavior by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employee proactive behavior. Methods The data utiliz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second and third waves of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omprising 5,588 observations. Using the random forest technique, a machine learning method, 101 organizational-related variables were applied to the research model to predict proactive behavior. Results We developed the predictive model for employee proactive behavior, which has 74.30% accuracy in model performance.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top 30 important variables, we analyzed the primary variables predicting employee proactive behavior by comparing the key characteristic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managing proactive talents and behaviors, which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om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were discussed.

      •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 :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부서의 전략적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

        홍소정,심명정,이윤수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지향 기업문화(혁신지향 기업문화, 과업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와 HR부서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에 수집된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8을 적용하여 응답자 10,0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절변수인 HR부서의 역할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커뮤니케이션의 정(+)적 관계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의 부(-)적 관계를 모두 촉진시켰다. 또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은 외부지향 기업문화와 직무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외부지향 기업문화가 커뮤니케이션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HR부서의 전략적 파트너 역할이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업문화와 조직 구성원의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전략적 파트너로서 HR부서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업무 자율성과 조직목표 인식이 업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및 재택근무 만족도의 조절효과

        홍소정,김한슬,이윤수 한국경영공학회 2022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ing system and work from h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organizational goals, and job stress. Methods We utilized 4,133 data from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2021)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Results We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ing syst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goals, and job stress, but satisfaction with work from home on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goals and job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KCI등재

        신노년의 취업 기대감 변화 연구: 주관적 인식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홍소정 한국경영공학회 2023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new elderly's changing employment expectations over time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LCGA). Methods In this study,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from the 6th (2016) to the 8th (2020) period,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EIS), were analyzed using a longitudinal growth mixture model for unemployed individuals aged 50 to 80. Results The employment expectations of unemployed new elderly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1)Decreasing expectation, (2)Maintaining high expectation, (3)Maintaining low expectation, and (4)Increasing expectation. This study found that subjective social stratum perception and subjective expectations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latent class classification, and that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elderly job policy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근로자의 심리적 무관심 변화 유형과 영향 요인 검증

        홍소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근로자가 인식하고 있는 조직에 대한 심리적 무관심의 변화 궤적을 검증하고, 이에 따라 식별되는 잠재집단의특성과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Ⅱ차 WAVE 1~3차년도 자료의 20세 이상 근로자 2,377명을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심리적 무관심 변화에 따라 총 3개 집단(심리적 만족감 유지형, 심리적 만족감 증가형, 심리적 만족감 감소형)으로 분류하였고, 근로자의 불공정성 인식과 조직문화 중 위계 지향 문화가 각 집단에속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근로자의 심리적 무관심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에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trajectory of psychological indifference perceived by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dentification of latent groups and group classification.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II Wave 1 to 3,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nalyzed, involving 2,377 workers aged 20 and above.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ree groups based on the changes in psychological indifference: (1) maintaining psychological indifference, (2) increasing psychological indifference, and (3) decreasing psychological indifference.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nfairness and hierarchica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each group.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o alleviate members' psychological indiffer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장인의 삶의 만족 기대감 변화의 영향 요인 검증

        홍소정,김예서,주홍주,엄희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4 産業關係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바이러스 발병을 기점으로 직장인의 삶의 만족 기대감 변화 양상에 개인차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의유의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 20차(2017)부터 24차(2021) 자료에서 20세 이상 64세 이하의임금 근로자 10,334명(20차 기준)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무조건모형 중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인의 삶의 만족 기대감은 2019년까지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이후 더욱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조건 모형에 적용한 개인특성 및 조직특성, 생활만족 요인 중 초기에는 직업 훈련 경험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정(+)적으로 유의했고,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이후 직장인의 삶의 만족 기대감 변화에는 가족 관계 만족도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삶의 만족 기대감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에 따른 개인과 조직, 지역 단위에서 전략적으로 인적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of working adult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virus outbreak,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factors that can predict these changes. We analyzed data from 10,334 wage workers aged 20 to 64, drawn from the 20th (2017) to 24th (2021) rounds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iecewise latent growth model had the best fit among the unconditional models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of employees had been declining until 2019, and the downward slope became even steeper after 2019.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factors applied in the conditional models, all variables except for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significance in the initial value. For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after the COVID-19 outbreak, onl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strategic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uman resource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regional levels based on factors that can predic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expectations of working adults.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학령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분석

        홍소정,양승지,김시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 of overall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ildren (third to fifth grades),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s by categorized potential groups.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10th data(2017) to the 12th data(2019)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latent growth model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happiness average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ecreased as the grade went up.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supervision and peer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happiness of children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children's overall happiness was divided into four latent profiles: "Happiness-up", "Family Happiness-down", "Family Happiness-up", and "Happiness-down". Fourth, the results of ANOVA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 showed that children's satisfaction with life, self-awareness, and adaptation to school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verall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uggested.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초등 3학년~5학년)의 전반적 행복감의 변화 궤적을 분석하고, 전반적 행복감의 변화 양상에 따른 잠재집단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조사'의 10차년도(2017년)~12차년도(2019년)의 3시점 자료를 사용하였다. 잠재성장모형과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평균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감독과 또래애착은 초등학교 3학년 시기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 변화에 따라 ‘행복감-상’, ‘가족행복감-하락’, ‘가족행복감-상승’, ‘행복감-하’ 총 4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넷째, 잠재프로파일별 아동의 삶의 만족도, 자아인식, 학교 적응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 증진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진로 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연구: 고등학교 유형별 다집단 잠재 성장 모형 분석 적용

        홍소정(洪笑正),이윤수(李潤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 변화 양상 및 그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일반고와 특성화고 간 집단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육 정책 연구소에서 수집한 부산 교육 종단 연구(BELS) 1차 년도(2016년)~5차 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1차 년도 중학교 1학년 응답자 3,000명이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진로 성숙도는 중학교 시기 감소하다가 고등학교 입학 후 증가하는 비선형 성장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진로 성숙도의 초기 값은 비슷했으나 일반고 진학자가 특성화고 진학자에 비해 진로 성숙도의 감소폭과 고등학교 입학 후 증가폭이 더 컸다.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 성숙도 초기 값의 경우 일반고 학생은 진로 체험 활동과 자유학기제 도움 정도가, 특성화고 학생은 자유 학기제 도움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진로 성숙도 변화의 경우 일반고 학생은 주제 선택 활동이, 특성화고 학생은 교육과정 내 자유 학기 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진로 성숙도의 초기 값이 높을수록 일반고와 특성화고 모두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나 진로 성숙도의 변화율은 특성화고에 한해서만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jectory in career matur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ir causes and results, and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We utilized data consisting of 3,000 respon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from the 1st year (2016) to the 5th year (2020) of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BELS) collected by the Education Policy Research Institute of th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maturity showed a non-linear growth that decreased during middle school and increased after entering high school. In detail,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was similar, but the decrease and increase of career maturity were greater for those who entered conventional high schools than those who entered vocational high schools. We also analyzed the effect of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related variables on this non-linear growth and the effect of such growth on self-esteem. Implica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