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해지역 세계좌표 변환도면을 이용한 지적측량의 개선방안 연구

        홍성언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6 No.2

        In the field of cadastral surveying, existing regional coordinates will be converted to world coordinates by 2020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adastral surveying will be performed using the converted world coordinate map from 202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blems of cadastral surveying due to the conversion of the cadastral map of the graphical area into world coordinates. Based on this, a plan to improve cadastral surveying using a graphical area conversion map was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blems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the conversion map of the graphical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 system for investigating the types of errors in the conversion map, and that even in the world coordinate conversion environment, parcel surveying is being performed mainly using the ground surveying method. As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is,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governments and the Korea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periodic investigation system on types of errors in world coordinate conversion. In addition, a plan for investigating and improving cadastral non-coincidance in the area where the graphical area and the digital area adjacency was presented. Finally, we presented a method for producing a current status map using a parcel survey using COMPACT-GNSS and a drone survey under a world coordinate conversion environment. 지적측량 분야에서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0년까지 기존 지역좌표를 세계좌표로 변환하고 2021년부터 변환된 세계좌표 도면을 이용하여 지적측량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해지역 지적도면의 세계좌표 변환에 따른 지적측량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도해지역 변환도면을 이용한 지적측량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도해지역 세계좌표 변환도면을 이용한 지적측량의 문제점을 검토한 결과, 변환도면의 오류 유형에 관한 조사 체계가 마련되지 않고 있고, 또한 세계좌표 변환 환경에서도 지상측량 방식 위주의 일필지 측량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제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시군구와 한국토정보공사가 주체가 되어 세계 좌표 변환 오류 유형에 관한 주기적 조사 체계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해・수치인 접지역의 지적불부합지 조사 및 정비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끝으로 세계좌표 변환 환경하에서 COMPACT-GNSS에 의한 일필지 측량과 드론 측량에 의한 현황 도면 제작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적불부합지의 유형별 조사와 정리 방법 연구

        홍성언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3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attern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e current parcels-register and cadastral map, and suggesting a method to arrange the patterns by interpreting the issue of cadastral non-coincidence in a broader sense. After selecting the area of study, a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attern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we found out the duplication and omission of parcel number, and errors in area as attribute errors. The omission of parcels-register and cadastral map by errors in parcels, the duplication and gap among parcels, and the duplicated registering of the same parcel are found out as graphic errors. The space among maps, duplication, gaps, and irregular errors are found out as edge matching errors. We analyzed the causes of errors by the patterns of investigated cadastral non-coincidence, and established a plan how to align them.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detailed plans to align the each type of error with references and on site surveys. 본 연구에서는 지적불부합 문제를 보다 광의적으로 해석하여 현행 대장 및 도면상에 나타나고 있는 지적불부합지의 유형을 조사?파악하여 보고 이를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지적불부합 유형을 조사한 결과, 속성오류로서 지번 의 중복 및 누락, 면적상이 오류 등이 조사되었고, 도형부문의 오류로서 도면내 필지오류인 도면 및 대장 누락, 필지간 중복 및 공백, 동일 필지의 중복 등록 오류가 조사되었으며, 도곽접합 부분의 오류로서 도곽간 이격, 중복, 공백, 불규칙 오류 등의 조사 분류 되었다. 조사된 지적불부합지 유형에 대하여 전반적인 정비 방향을 수립함은 물론 각각의 유형에 대하여 정비 참고자료와 현지 측량을 수반할 수 있도록 하는 세부적인 정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적재조사 경계설정 실태 및 개선 방안

        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land boundary decision where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completed as the case area, and suggest improvement plan based on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adastral survey,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ccomplished district (district 4) of the Cheongwon District in Cheongju City, Chungbuk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case area. Analysis on the overall performance period, land boundary confirmation status, land boundary decision type, resident benefit support, and land boundary confirm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the case a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suggests the improvement of policy that the landowner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adjustment amount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boundary to increase the actual-based land boundary decision. An extension on governmental budget support along with the necessity on decreasing the project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on time period that can be shortened per process as long as the feed backs obtain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lated to the land boundary confirmation, a method is proposed to modify the initial information about land boundary decision criteria and type when the final boundary is determined. Finally, it was proposed to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residents of the area where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order to identify improvement point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vitalize the business, and to form a consensus on the residents.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사업지구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토지경계 설정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평가해 보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재조사 경계설정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사례지역으로 충북 청주시 청원구 일원의 지적재조사사업 완료 지구(4지구)를 선정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해 지구별 지적재조사사업 전반의 사업기간, 경계확정 실태와 경계설정 유형, 주민 혜택 지원, 경계확정 관련 정보의 성과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현실경계 중심의 경계 설정 증대를 위해 경계를 확정하는 단계에서 토지소유자가 조정금 산정액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정부의 예산지원 확대와 함께 사업 공정별 단축할 수 있는 소요일수에 대한 분석이나 의견수렴을 통해 사업기간 단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경계확정 관련 성과관리에 있어서는 최종 경계가 확정되면 최초 입력된 경계설정 기준 및 유형에 관한 정보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지적재조사사업의 개선점을 발굴, 사업의 활성화, 주민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사업이 완료된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지적정보의 입체적 등록 방법 연구

        홍성언,이용익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4 No.1

        The cadastral system of our country is same as Japanese 2D-cadastral system. Recently, not only surface but ground and underground is became the developable space, so today the management of cadastre becomes more difficult to preserve each ownership of properties and to manage the nation lade efficiently. Consequently, we are in need of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for handle with whole cadastr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iciently registrating strategies and more stabile construction technique for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우리나라의 지적제도는 일본에 의해서 창설된 일본식 2차원적인 평면지적제도 이다. 그러나 최근 지표뿐만 아니라 지상과 지하까지 개발 공간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을 감안할 경우 현 지적관리 체계로는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국민의 안정적인 소유권 보호가 어렵다. 따라서 토지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3차원 지적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지적정보를 입체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임야지역 국공유지의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방안 연구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1

        우리나라는 지적의 선진화와 디지털 지적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이용상황과 실제 토지이용상황이 불부합하는 것을 바로잡아 정확한 디지털 지적정보를 구축함으로써 선진화된 국가토지 행정의 기반을 확립함은 물론 국민의 토지재산권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재조사사업의 방법은 주로 토지부분에 핵심을 두어 추진하고 있을 뿐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세계좌표 변환 방식을 적용한다는 것 외에는 별도의 세부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과 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임야지역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공유지에 대한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임야지역 국공유지에 관한 기초 현황분석과 지적재조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에 기초해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추진 방안으로서 국공유지의 사전 정비 후 경계 재설정 방안, 도해지역 성과결정 방식에 기반 한 토지․임야 경계 일치 방안, 향후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확대 추진 계획을 수립․제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is implementing a cadastral re-survey project from 2012 for the advancement of land registration and construction of a digital cadastral management system.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not only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s for advanced national land administration by constructing accurate digital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rectifying the non-coincidences between the land use state registered in cadastral records and actual land use state, but also for the stable protection of the land property rights of the public. The method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urrently being carried out merely focuses on land parts, and fails to suggest specific detailed methods for other areas, except that a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method is being applied.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an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method for public land that occupies a considerable part of forest area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provided a basic analysis of current status on the public land in forest areas and suggested a cadastral re-survey method. Based on such, this study established and suggested a re-establishment method of land boundaries after pre-organization of public land, a method of econciling land and forest land boundaries based on the method of decision-making of the cadastral surveying result in graphical map-based area, and a roadmap for expanding public land in the future, as ways to implement cadastral re-survey of public land in forest areas.

      • 인공지능 기술의 지적측량 업무에 활용 방향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eld of application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related data among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work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to the intellectual work that can support the intellectual cadastral work efficiently. To this end, the analysis of the areas that need to be applied to the cadastral surveying work of AI technology showed that the decision making of surveying result in graphical cadastral surveying and the scientific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required in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we analyzed the status of digital data accumulation and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nce 2005, MOS has been inputting and managing cadastral surveys and results data. In the cadastral resurveying work, all data related to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have been entered and managed in newjijuk system since 2012. The application of surveying result decision in graphical cadastral surveying suggested the direction of each decision method along with the prediction of the surveying result decision type. In the applica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ing work, the use of AI technology was proposed to designate project districts, establish boundaries, and calculate reconciliation funds using accumulated project district data, aerial image, building data, and surveying data.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적측량 업무 중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분야와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지적측량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의 지적업무에 활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술의 지적측량 업무에 적용이 필요한 분야를 분석한 결과, 도해지적측량에서의 성과결정 부분과 지적재조사측량 업무에서 과학적인 의사결정이 필요한 공정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기술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 및 관리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2005년부터 지적측량현장지원시스템(MOS)에 도해지역의 지적측량 및 성과결정과 관련 데이터를 입력관리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측량 업무에 있어서는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사업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바른땅시스템에 입력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해지적측량 성과결정 업무에 활용은 성과결정 유형의 예측과 함께 각각의 성과결정 방법이 예측되어야 하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지적재조사측량 업무의 활용에 있어서는 현재 축적되어 있는 사업지구 지정 데이터, 항공사진영상, 건축물데이터, 현황측량데이터 등을 이용해 실시계획 및 사업지구 지정부분, 경계의 설정 및 확정 부분, 면적의 증감에 따른 조정금 산정 부분에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분석하고, 예측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U-지적을 위한 지적도 압축방법 연구

        홍성언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3

        In this study, we should suggest the compression method for compressing and transmitting the cadastral map data on U-Cadastral System efficiently. For this object, we considered the features of a cadastral map and then selected the BytePacking method; one of various loss-less compression method. Also,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method, such as terms of compression rate, time, lose rate, and accuracy.As a result, in case of using BytePacking method, the volumn of data compressed is less, at least 45%, than the origin data. In accuracy, the RMSE between the boundary points of the origin and compressed data is only 0.00036m. Therefore, this method would be adopted to the U-Cadastral System sufficiently. 본 연구에서는 향후 U-지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지적도 데이터를 압축·전송할 수 있는 압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압축방법은 지적도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손실 압축방법 방법 중 BytePacking 압축 방법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원시데이터와 압축시간, 압축률 및 복원정확도, 질의처리 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연구결과, BytePacking 방법을 적용하여 압축할 경우, 데이터의 용량을 대략 절반정도(45%)로 줄일 수 있고, 복원정확도 역시 원시데이터의 경계점 좌표와 비교시 RMSE가 0.00036m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U-지적 환경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드론 라이다를 이용한 임야 경계선 추출 연구

        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24 한국지적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드론 라이다를 이용해 임야지역의 경계선을 실험적으로 추출해보고, 이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한 후 지적측량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을 선정하고, 드론 라이다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해 임야 경계선을 추출하고, 총 20점의 검증점을 추출해 기존 임야도 경계선과 정확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X좌표의 RMSE는 ±0.911m, Y좌표의 RMSE는 ±1.498m, 연결오차의 RMSE는 ±1.753m로 산출되었다. 이는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차 범위 이내(축척 1/6,000)의 성과로 임야지역 경계 설정에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다 데이터는 수목의 영향 없이 지면의 능선이나 계곡 등의 경계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출이 가능하여 향후 임야지역 경계 설정에 많은 활용성이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xperimentally extract the boundary of a forest area using drone LiDAR, analyze its accuracy, and suggest its applicability to cadastral surveying.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area was selected and drone LiDAR data was constructed. We extracted the forest boundary using the constructed LiDAR data, extracted a total of 20 verification point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accuracy with the existing forest map bound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MSE in the X coordinate was calculated as ±0.911m, the RMSE in the Y coordinate was ±1.498m, and the connection error was ±1.753m. This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setting boundaries of forest areas as a result of being within the error range (scale 1/6,000) stipulated in the current law. LiDAR data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extract boundaries such as ridges and valleys on the ground without the influence of trees, so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setting boundaries of forest areas in the future.

      • SCOPUSKCI등재

        방사선치료 중 오심 및 구토에 대한 그라니세트론의 효과

        홍성언,강진오,Hong, Seong-Eon,Kang, Jin-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Vol.17 No.2

        Purpose : Granisetron is a potent, the most selective 5-HT3 receptor antagonist and is reported to b effective in treatment of radiation-induced emesis. The antiemetic efficacy and safety of oral granisteron was evaluated in patients with receiving highly emetogenic treatment by conventional fractionated ir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ith various cancer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irradiation were accrued into the present study. The intensity of nausea was evaluated on first 24 hours and on day-7 by patie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as followings; a) none; b) present but no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ild): c) interference with normal daily life (moderate): and d) bedridden because of nausea (severe). Non or mild stat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The efficacy of antiemetic treatment was graded as follows; a) complete response; no vomiting, no worse than mild nausea and receive no rescue antiemetic therapy over the 24h period, b) major response; either one episode of vomiting or moderate/severe nausea or had received rescue medication over 24h period, or any combination of these, c) minor response; two to four episodes of vomiting over the 24h period, regardless of nausea and rescue medication, d) failure; more than four medication. The score of the most symptom was recorded and the total score over 24 hours was summarized. The complete or major response was considered to indicate successful treatment. Results : A total of 10 patient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and all were assessable for efficacy analysis. Total nausea control was achieved in 90$\%$ (9/10:none=60$\%$ plus mild=30$\%$) of total patients after 7 days. The control of vomiting by granisteron was noted in seven patients (70$\%$) of complete response and three (30$\%$) of major response with a hundred-percent successful treatment over 7 days. The minor response or treatment failure were not observed.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or toxicities from granisetron were recorded in patient receiving granisetron.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granisetron is a highly effective antiemetic agent in controlling radiotherapy-induced nausea or vomiting with a minimal toxicity profile.

      • 드론 라이다를 이용한 지적측량 방법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3 No.2

        현재 지적측량 분야에서 드론 측량을 이용함에 있어 중심투영, 수동형센서 방식, 저고도 촬영 등에 의한 문제 발생으로 토지 및 임야지역에서의 적용에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 및 임야지역에서 기존 드론을 이용한 지적측량의 한계성을 검토해 보고, 이를 토대로 드론 라이다 기술을 이용한 지적측량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토지경계 설정, 건축물 등록, 임야경계 설정 등에 드론 측량의 이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계성을 도출한 후 드론 라이다 측량 활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드론 라이다를 이용한 지적측량 방법은 토지와 임야지역을 구분해 제시하였다. 토지지역은 라이다 측량 자료를 이용한 건물 밀집 지역에서의 블록 경계선의 추출이나 하천 지형의 경계선 추출 등의 선행 사례를 고찰해 드론 라이다 측량의 경계설정에 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야지역은 실제 드론 라이다 관측 자료를 이용해 경계설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드론 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임야지역의 경계설정 기준에 따라 충분히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형을 정확히 참고할 수 있는 드론 영상과 라이다 자료를 활용하여 임야지역의 경계설정에 활용할 경우 많은 효율성이 기대된다. Currently, in using drone surveying in the field of cadastral surveying, it is suggest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ication in land and forest areas due to problems caused by central projection, passive sensor method, and low-altitude shooting.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existing drone surveying in land and forest area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a cadastral survey method using drone LiDAR technology was proposed.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use of drone surveying for land boundary demarcation, building registration, and boundary demarcation was examined, and the limitations were drawn, and then the necessity of using drone LiDAR surveying was suggested. The cadastral survey method using drone LiDAR was presented by dividing land and forest areas. In the land area, a method of use for boundary demarcation of drone LiDAR surveying was proposed by considering precedent cases such as extraction of block boundaries in a dense building area using LiDAR survey data or extraction of boundary lines of river topograph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boundary demarcation experiment using the actual drone LiDAR observation data for the forest area, it was found that the boundary can be sufficiently set according to the boundary setting criteria(rule) of the forest area using the drone LiDAR data. Therefore, a lot of efficiency is expected when using drone images and lidar data that can accurately refer to the topography for boundary demarcation of forest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