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성언,이현준 한국국토정보공사 2009 지적과 국토정보 Vol.39 No.1
Despite the high request of a serial cadastral map in the various field related with cadastre, it has not been broadly applied because of fatal problems such as a non-coincidence of map connecting. Most of all, we need to devise specific methods to minimize the non-coincidence in joining individual cadastral maps in order to optimize the utility value of it. Then, we should work out a scheme to be applied to the many industry as a cadastral market or geo-information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firstly intended to consider the present situation for construction of a serial cadastral map and secondly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r prospects of it in the cadastral marke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ways to secure the quality of a serial cadastral map. And also, we proposed a scheme for applying it in the various industry related with the cadastre. 지적 관련기관과 지리정보산업 분야에서 연속지적도의 제공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작 지적불부합 등 여러 다양한 문제로 인하여 고품질의 연속지적도를 제작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료 활용의 폭을 넓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속지적도의 이용과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개별지적도의 도곽 접합 시 나타나는 불일치 문제를 현실적으로 최소화하여 고품질의 연속지적도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의 정립과 이를 관련기관과 지리정보산업에 제공하기 위한 활용 방안의 강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연속지적도 구축과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와 함께 연속지적도의 활용을 위한 지리정보산업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찰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연속지적도의 품질을 현실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의 정립은 물론 다양한 관련기관과 지리정보산업에 제공을 위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지적정보의 입체적 등록 방법 연구
홍성언,이용익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4 No.1
The cadastral system of our country is same as Japanese 2D-cadastral system. Recently, not only surface but ground and underground is became the developable space, so today the management of cadastre becomes more difficult to preserve each ownership of properties and to manage the nation lade efficiently. Consequently, we are in need of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for handle with whole cadastr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iciently registrating strategies and more stabile construction technique for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우리나라의 지적제도는 일본에 의해서 창설된 일본식 2차원적인 평면지적제도 이다. 그러나 최근 지표뿐만 아니라 지상과 지하까지 개발 공간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을 감안할 경우 현 지적관리 체계로는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국민의 안정적인 소유권 보호가 어렵다. 따라서 토지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3차원 지적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지적정보를 입체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7 No.1
우리나라는 지적의 선진화와 디지털 지적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2012년부터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적재조사사업은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이용상황과 실제 토지이용상황이 불부합하는 것을 바로잡아 정확한 디지털 지적정보를 구축함으로써 선진화된 국가토지 행정의 기반을 확립함은 물론 국민의 토지재산권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지적재조사사업의 방법은 주로 토지부분에 핵심을 두어 추진하고 있을 뿐 기타 지역에 대해서는 세계좌표 변환 방식을 적용한다는 것 외에는 별도의 세부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적인 추진과 사업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해 임야지역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공유지에 대한 효율적인 지적재조사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임야지역 국공유지에 관한 기초 현황분석과 지적재조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에 기초해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추진 방안으로서 국공유지의 사전 정비 후 경계 재설정 방안, 도해지역 성과결정 방식에 기반 한 토지․임야 경계 일치 방안, 향후 임야 국공유지의 지적재조사 확대 추진 계획을 수립․제시하였다. The Republic of Korea is implementing a cadastral re-survey project from 2012 for the advancement of land registration and construction of a digital cadastral management system.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not only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s for advanced national land administration by constructing accurate digital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rectifying the non-coincidences between the land use state registered in cadastral records and actual land use state, but also for the stable protection of the land property rights of the public. The method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currently being carried out merely focuses on land parts, and fails to suggest specific detailed methods for other areas, except that a converting global coordinate system method is being applied.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an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method for public land that occupies a considerable part of forest area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provided a basic analysis of current status on the public land in forest areas and suggested a cadastral re-survey method. Based on such, this study established and suggested a re-establishment method of land boundaries after pre-organization of public land, a method of econciling land and forest land boundaries based on the method of decision-making of the cadastral surveying result in graphical map-based area, and a roadmap for expanding public land in the future, as ways to implement cadastral re-survey of public land in forest areas.
홍성언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3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attern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e current parcels-register and cadastral map, and suggesting a method to arrange the patterns by interpreting the issue of cadastral non-coincidence in a broader sense. After selecting the area of study, a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atterns of cadastral non-coincidence, we found out the duplication and omission of parcel number, and errors in area as attribute errors. The omission of parcels-register and cadastral map by errors in parcels, the duplication and gap among parcels, and the duplicated registering of the same parcel are found out as graphic errors. The space among maps, duplication, gaps, and irregular errors are found out as edge matching errors. We analyzed the causes of errors by the patterns of investigated cadastral non-coincidence, and established a plan how to align them.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detailed plans to align the each type of error with references and on site surveys. 본 연구에서는 지적불부합 문제를 보다 광의적으로 해석하여 현행 대장 및 도면상에 나타나고 있는 지적불부합지의 유형을 조사?파악하여 보고 이를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지적불부합 유형을 조사한 결과, 속성오류로서 지번 의 중복 및 누락, 면적상이 오류 등이 조사되었고, 도형부문의 오류로서 도면내 필지오류인 도면 및 대장 누락, 필지간 중복 및 공백, 동일 필지의 중복 등록 오류가 조사되었으며, 도곽접합 부분의 오류로서 도곽간 이격, 중복, 공백, 불규칙 오류 등의 조사 분류 되었다. 조사된 지적불부합지 유형에 대하여 전반적인 정비 방향을 수립함은 물론 각각의 유형에 대하여 정비 참고자료와 현지 측량을 수반할 수 있도록 하는 세부적인 정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홍성언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In this study, the method to improve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was sought by separating graphical cadastral areas and numerical cadastral areas. And for future efficient cadastral re-survey projects, the method to improve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 conjunction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was to presented. It is review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is needed for building the unified coordinate system of a country, is needed for establis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y globally and the standardized system, and is needed for ensuring consistency and uniformity of cadastral information supply. As the improvement method, numerical cadastral areas may be converted to the global coordinates without problem, however the need of dual result management was proposed to avoid confusion and to manage efficiently until graphical cadastral areas are completely converted to the global coordinates. In addition, for the coordinate conversion, the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method was proposed in the way that global coordinates are directly acquired for newly acquired and registered parcels and the coordinate system of existing parcels are converted by coordinate conversion. However, for accurate and stable conversion, it was proposed that preemption of accurate control points and thorough pre-test for parameter determination are required in the conversion process. For graphical cadastral areas, the step-by-step execution strategy was proposed in parallel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for improvement to global coordinates. It was proposed that firstly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conversion is performed from the areas which graphical areas are converted to numerical cadastral areas and the coordinate conversion should be performed without failure in parallel with cadastral re-survey projects for accurate and stable conversion and efficiency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s. 본 연구에서는 도해지역과 수치지역을 구분하여 지적좌표체계를 세계좌표체계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은 물론 향후 효율적인 지적재조사사업을 위해 지적재조사사업과 연계하여 지적좌표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지적좌표체계의 세계좌표체계로의 개선은 한 국가의 통일된 좌표체계 구축을 위해서 필요하고, 전 세계와 위치정보의 통일성 및 표준적인 체계 정립을 위해 필요하며, 지적정보 제공의 일관성과 통일성 확보를 위해 필요함을 검토하였다. 개선방안으로서 수치지역은 세계좌표로의 전환해도 큰 무리는 없으나 도해지역의 완전한 세계좌표변환 이전까지는 업무 혼선 및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이중적인 성과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좌표변환에 있어 새로이 취득․등록되는 필지는 세계좌표로 바로 취득하고, 기존 필지는 좌표변환 방법으로 좌표체계를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만, 정확하고 안정적인 변환을 위하여 변환과정에서 정확한 기준점의 선점작업과 파라메터 산정을 위한 사전 철저한 실험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도해지역은 세계좌표로의 개선을 위해 지적재조사사업과 병행한 단계적인 추진 전략을 제안하였다. 먼저 도해지역이 수치지역으로 전환되는 지역부터 세계좌표체계로 전환을 시행하고,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성과 세계좌표로의 정확하고 안정적인 전환을 위해 반드시 지적재조사사업과 병행하여 좌표계 전환을 추진할 것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지적정보의 입체적 등록 방법 연구
홍성언,이용익,Hong Sung-Eon,Lee Yong-I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1
우리나라의 지적제도는 일본에 의해서 창설된 일본식 2차원적인 평면지적제도 이다. 그러나 최근 지표뿐만 아니라 지상과 지하까지 개발 공간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을 감안할 경우 현 지적관리 체계로는 국토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국민의 안정적인 소유권 보호가 어렵다. 따라서 토지자원을 보다 효율적이고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3차원 지적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지적정보를 입체적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e cadastral system of our country is same as Japanese 2D-cadastral system. Recently, not only surface but ground and underground is became the developable space, so today the management of cadastre becomes more difficult to preserve each ownership of properties and to manage the nation lade efficiently. Consequently, we are in need of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for handle with whole cadastr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iciently registrating strategies and more stabile construction technique for the 3D-cadastral information system.
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9 한국지적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land boundary decision where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s completed as the case area, and suggest improvement plan based on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adastral survey,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accomplished district (district 4) of the Cheongwon District in Cheongju City, Chungbuk Province was selected as the case area. Analysis on the overall performance period, land boundary confirmation status, land boundary decision type, resident benefit support, and land boundary confirmation related information for the case area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 suggests the improvement of policy that the landowner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adjustment amount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boundary to increase the actual-based land boundary decision. An extension on governmental budget support along with the necessity on decreasing the project period based on the analysis on time period that can be shortened per process as long as the feed backs obtain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lated to the land boundary confirmation, a method is proposed to modify the initial information about land boundary decision criteria and type when the final boundary is determined. Finally, it was proposed to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on the residents of the area where the project was completed in order to identify improvement points of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to vitalize the business, and to form a consensus on the residents. 본 연구에서는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사업지구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토지경계 설정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평가해 보고, 이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재조사 경계설정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사례지역으로 충북 청주시 청원구 일원의 지적재조사사업 완료 지구(4지구)를 선정하였다. 사례지역에 대해 지구별 지적재조사사업 전반의 사업기간, 경계확정 실태와 경계설정 유형, 주민 혜택 지원, 경계확정 관련 정보의 성과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현실경계 중심의 경계 설정 증대를 위해 경계를 확정하는 단계에서 토지소유자가 조정금 산정액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정부의 예산지원 확대와 함께 사업 공정별 단축할 수 있는 소요일수에 대한 분석이나 의견수렴을 통해 사업기간 단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경계확정 관련 성과관리에 있어서는 최종 경계가 확정되면 최초 입력된 경계설정 기준 및 유형에 관한 정보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지적재조사사업의 개선점을 발굴, 사업의 활성화, 주민 공감대 형성 등을 위해 사업이 완료된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RTK-GPS와 RTK-GPS/GLONASS에 의한 일필지 측랑의 정확도 분석
홍성언,Hong, Sung-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2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고도 19,100km 상공의 위성 정보를 이용하며 GPS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GPS만을 단독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GPS와 GLONASS를 결합하여 안정적인 수신과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TK-GPS를 이용한 일필지 좌표결정과 RTK-GPS/GLONASS 결합에 의한 일필지 좌표결정 성과를 기존 성과와 상호 비교 분석하여 봄으로써 RTK-GPS/GLONASS 측량의 지적세부측량에 적용가능성을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on 19,100km altitude supplies the location information similar method with GPS. Therefore, many researches study in combination GPS and GLONASS. This research compares with deciding coordination of one unit parcel using RTK-GPS and RTK-GPS/CLONASS. Then we examine the possibility of RTK-GPS/GLONASS for determining parcel coordinate.
KLIS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적도 전산 파일의 정확도 평가
홍성언,이현준,김윤기,Hong, Sung-Eon,Lee, Hyun-Joon,Kim, Yun-Ki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1
KLIS에 탑재된 지적도면 전산화 데이터의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지적도면의 오류에 대하여 정확한 보정작업을 거치지 않고 정규도곽으로 보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적측량업무 및 지적재조사사업에 이용을 위해서는 정확한 정확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KLIS에 탑재되어 있는 지적도 전산파일에 대하여 지역별, 축척별, 도면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면적정확도 및 위치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봄으로써 KLIS의 효율적 운영 방법 및 지적재조사사업에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KLIS 데이터는 면적정확도 및 위치정확도가 대체적으로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지적측량업무 및 지적재조사사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지적도의 보정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ven though the data of digital cadastral map, stored in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hereinafter referred to as "KLIS") has a wide variety of errors, it has been used in a cadastral surveying field without any compensating work. As a result, it has given rise to a lot of problems when we use this digital cadastral map in the cadastral surveying field. That is why we should analyse the accuracy of digital cadastral map which has been stored in the KLIS.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been intended to provide acceptable proposals with regards to present operation of KLIS o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in the future by analysing the data of digital cadastral map which is one of the layers of the KLI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both the location and area in the present KLIS datum was not satisfactory Therefore, in our own judgment, it is necessary to revise cadastral maps more accurately in order to use in the field of cadastral surveying or in carrying out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홍성언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17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관련 법률 규정과 UAV의 기술적 특성 등을 분석해 UAV의 지적측량에 적용 가능성 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된 내용을 기초로 UAV의 도입을 위한 기술적, 법․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적 부분에서는 정확도, 공간적 범위, 경제성 등을 고려해 지적세부측량에 UAV 적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적측량과 지적재조사측량에 UAV를 적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명확한 법률적 근거 확보를 위해 현행 법률에 UAV 측량을 위한 근거를 수록 하고, 세부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으로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UAV to cadastral surveying by analyzing the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cadastral surveying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UAV. Technical,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the introduction of UAV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the technical par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UAV to cadastral detail surveying has been suggested considering the accuracy, spatial range, and economical efficiency. In addition, detailed procedures and methods for applying UAV to cadastral survey and cadastral resurvey surveying are presented.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law should include the grounds for the UAV survey to ensure a clear legal basis, and detailed procedures and methods are to be enacted separ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