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CN 내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가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콘텐츠 노블티와 크리에이터 매력성을 중심으로

        홍다현 ( Dahyun Hong ),전종우 ( Jong Woo Jun )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4

        Branded entertainment is a typical new generation of advertis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effect and creator effect of branded entertainment conducted by MCN (Multi Channel Network).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ntents novelty and attractiveness of creator to consumer evaluation. Contents novelty and creator attractiveness (social, physical, professional attractivenes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tents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sharing intentions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 Content novelty, Creator attractiveness had major effect for dependent variables, and there was interaction among content novelty and attractiveness. In other words, the higher contents novelty and creator attractiveness is, the higher the consumer evaluation i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ontents novelty and creator attractiveness influenc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is academically meaningful as the current studies regarding MCN and branded entertainment are insufficient, and it provides primary issue as it conducted study by distinguishing contents effect and creator effect. Also, it classified attractiveness to specifically induce the creator effect. The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needs of consumers in creating branded entertainment contents in actual business.

      • KCI등재후보

        한국과 몽골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옥외 정치광고 비교

        다과 ( Mygmarjav Tserendagva ),홍다현 ( Dahyun Hong ),전종우 ( Jong Woo Ju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선거 캠페인에 활용된 옥외광고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6년에 진행된 한국과 몽골의 국회의원 선거에 활용된 정치 옥외 광고물 각 100개, 총 200개를 수집하였으며 몽골은 수도인 울란바토르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은 서울/수도권,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자료를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 몽골의 선거 캠페인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형태는 현수막 형태(59%)였으며 광고 소구방식에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가 비슷하게 집행되었다. 또한 메시지유형에서는 이슈 중심의 메시지(58%)가 이미지 중심의 메시지(42%)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후보자 얼굴이 등장한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광고 디자인에서는 이미지 중심의 광고가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92%). 한국의 경우 현수막 형태(53%)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성적인 소구가 주로 사용되었다. 메시지 유형에서는 이슈 중심의 메시지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광고 디자인은 텍스트형(58%)의 디자인이 상대적으로 많아 한국과 몽골의 옥외광고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과 몽골의 정치문화에 따라 옥외광고물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향후 몽골의 정치광고 전략 변화에 대해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OOH advertising executed in parliamentary elections. Each of 100 samples are collected. Korean samples are collected from Seoul metropolitan areas and Chungnam, and Mogolian samples are collected from Ulaanbaatar, the capital city of Mongol. The results showed that Mongolian election advertising used banner styles frequently (59%); rational and emotional appeals equally; more issue-oriented messages (58%) than image-oriented messages (42%); image style creative; and smaller texts (69%). On the contrary, Korean election advertising used banner style (53%); rational appeals; issue-oriented messages; text styles design (58%). These illustrate provide clear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Mongolian advertising.

      • KCI등재

        설득지식과 전송이 유튜브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동환(DongHwan LEE),홍다현(Dahyun HONG),전종우(Jong Woo JUN) 한국정보사회학회 202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튜브 이용에 있어 유투브에 대한 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연구모델화하여 알아본 것이다. 분석 결과 설득지식은 유튜브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송은 유튜브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득지식이 전송에 미치는 영향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신뢰의 역할에서는 신뢰가 유튜브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만족도의 매개 역할을 보면 신뢰가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만족도는 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유튜브 이용에 있어 신뢰라는 차원에 있어 밀레니얼 세대들의 특성을 보여주며 유튜브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유튜버들에게도 콘텐츠 제작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의 차이 : 좋아요, 댓글쓰기, 공유, 포스팅 행동을 중심으로

        조준혁(Cho, JunHyuk),홍다현(Hong, Dahyun),전종우(Jun, JongW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6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좋아요, 댓글쓰기, 공유, 포스팅 여부에 따라 인게이지먼트의 각 차원별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별로도 특성이 다르므로 소셜미디어 전체가 아닌 플랫폼 각각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량이 많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했다. 자료 수집은 소셜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각각의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의 차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소셜미디어별로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에도 차이가 있었다. 유튜브에서는 ‘좋아요’를 클릭한 집단은 클릭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상호작용과 엔터테인먼트, 자아확인을 느끼는 정도가 높았다. 유튜브에서 ‘댓글쓰기’를 한 집단은 댓글을 쓰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확인, 상호작용, 신속성, 권한부여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유튜브에서 ‘공유’를 한 집단은 공유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 확인, 상호작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을 한 집단은 포스팅을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확인, 상호작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댓글쓰기’를 한 집단은 댓글을 쓰지 않은 집단에 비해 콘텐츠와 플랫폼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작았고 자아확인과 실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공유’를 한 집단은 공유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실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포스팅’을 한 집단은 포스팅을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콘텐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많았고 자아확인, 혁신, 권한부여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 상의 소비자 행동과 각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광고와 마케팅 분야의 실무자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ach dimension of engagement according to whether likes, comments, shares, or posts on social media. In addi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media platform are different, this study explored consumer behavior in each platform, not the whole social medi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Facebook, Instagram, and YouTube, which have a lot of social media usag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media. As a result of looking through the surve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mension of engagement for each consumer behavior.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engagement by consumer behavior by social media. On YouTube, the group who clicked ‘Like’ had a higher degree of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self-identific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click. The group that ‘commented’ on YouTube had higher self-identification, interaction, promptness, and empowerment engagement than the group that did not write a comment. Groups that ‘share’ on YouTube had a higher level of self-identif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than those that did not. In ‘Instagram’, the group that posted ‘posting’ had higher self-identif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level than the group who did not post. The group that ‘commented’ on Facebook had less negative emotions about the content and platform than the group who did not write comments, and self-identification and practical use engagement were higher. The groups that ‘share’ on Facebook had higher practical use than the groups that did not share. The group who posted on Facebook had more negative feelings about content than the group who did not post, and the engagement of self-identification, innovation, and empowerment was higher.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deep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on social media and each social media platform,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 KCI등재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가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OOH광고 인게이지먼트 모델

        전종우(Jong Woo Jun),홍다현(Dahyun Hong),조준혁(Junhyuk Cho),이대현(Daehyun Lee)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미국 타임스퀘어에 집행된 갤럭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알아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를 중심으로 광고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모델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규범은 인게이지먼트 구성 요인인 브랜드,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게이지먼트 간의 관계에서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가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 신뢰도에도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광고태도에는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는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광고 신뢰도는 태도에 제한적인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는 다른 OOH미디어의 인게이지먼트 효과에 대하여 학문적으로는 물론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effects of Samsung Galaxy advertising executed at the Time Square.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 norm and advertising trust/attitudes toward advertising. Mediating roles of engagement were other research focuses of this study. The findings showed that group norm influenced brand,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positively. Among engagement constructs, brand engagement influenced both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In addition,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directly influenced advertising trust. Media engagement also influenced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However, creative engagement did not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We also found the limited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trust and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engagement effects of OOH media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dia.

      • KCI등재

        국내 스마트사이니지 기업의 해외 전략시장 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중국, 태국, 베트남 진출전략을 중심으로

        김신엽(Kim, Shin Youp),홍다현(Hong, Dahyun),유승철(Yoo, Seung-Chul)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4

        공공 및 상업 전 분야에서 디지털사이니지는 4차산업혁명 정보기술의 융합을 통해 ‘스마트사이니지’로 혁신 중이다. 세계 선진국들은 이미 스마트사이니지가 미래 유망 사업임을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사이니지 관련 기술 및 콘텐츠, 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은 세계 스마트사이니지 산업을 선도할 역량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아쉽게도, 국내 스마트사이니지 기업 대부분이 기술과 인력 인프라가 취약한 중소업체로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사이니지 기업이 진출을 선호하는 전략시장인 중국, 태국, 베트남의 스마트사이니지 기술 수준을 국내와 비교하여 탐색하였으며 스마트사이니지 전문기업 대표와 임원을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방법(AHP)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해외진출 애로사항 및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를 도출했다. 분석결과, 해외 진출 애로사항의 상대적 중요도는 해외진출 관련 정보, 현지 네트워크/교류, 비즈니스모델 개발, 해외 근무 인적자원, 기초 자본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 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는 신기술 개발지원, 비즈니스모델 개발지원, 투자유치 지원, 해외관련 정보제공, 스마트사이니지 전문인력 양성, 해외 근무 채용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광고 미디어 수출과 관련한 정책방향을 탐색한 연구로 후속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영역에 관련해 참고할만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또, 기업들에는 스마트사이니지의 중국, 태국, 베트남 진출과 관련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는 동시에 정부에게는 해외 진출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방향 제시를 통해 국내 디지털 옥외광고의 기술적 기반이 될 수 있는 스마트사이니지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실용적 함의를 지닌다. Digital signage is innovating as a "smart signage" with the convergence of broadcast-communication, the proliferation of high-speed internet, and personalized smart devices represented by 5G technology. The leading countries of digital signage media recognize that smart signage, a collection of the cutting edge IT technologies, is a promising business area, and are responding very proactively. Korea is also actively developing smart signage related technologies, contents, and services and has sufficient capabilities to lead the global smart signage market. However, most of the domestic smart signage compan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entering overseas markets a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ith weak infra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hrough analysis of the Chinese, Thai, and Vietnamese markets, which are the countries where Korean smart signage companies prefer to enter, and the analysis of the survey collected from the leaders of smart signage companies. Specifically, a questionnaire, including a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was conducted for executives of smart signage specialized companies considering overseas expansion to derive demands for related difficultie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iculties in entering overseas was in the order of information related to overseas entry, local network/exchange, business model development, overseas human resources, and essential capital. The demand for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overseas expansion was in the order of new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business model development support, investment attraction support, overseas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smart signage professional workforce, and employment support overseas.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ies to advance into China, Thailand, and Vietnam market, and ha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smart signage industry by proposing government support policy directions for overseas expansion.

      • KCI등재

        정치성향과 글로벌성이 앱솔루트의 촛불집회 광고에 미치는 영향

        전종우(Jong Woo Jun),이동환(Dongwhan Lee),홍다현(Dahyun 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1

        이 연구는 스웨덴의 글로벌 브랜드 앱솔루트가 2016년 12월 10일에 국내에 집행한 페이스북 광고, “ABSOLUT KOREA" 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글로벌 브랜드가 타국의 정치적인 상황을 소재로 한 광고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소비자의 정치성향, 브랜드의 글로벌성, 자문화 중심주의, 광고적합도, 브랜드친숙도 등이 광고 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글로벌성이 높고 자문화중심주의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광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광고적합도와 브랜드친숙도도 소비자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동시에 수용자의 정치성향의 경우, 촛불집회 참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대체적으로 진보성향 사람들은 앱솔루트 광고를 긍정적으로 이해한 반면, 촛불집회에 직접 참석할 수준의 관여도를 보이는 수용자들은 오히려 촛불집회를 광고의 소재로 이용한 것을 “상업주의”라 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글로벌 기업이 타 국가의 정치적인 상황을 광고의 소재로 이용할 경우, 현지의 소비자 특성과 광고 메시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This study explores effects of ABSOLUT KOREA advertising that is executed in Korea. Using political propensity, brand globalness, consumer ethnocentrism, advertising congruence, and brand familiarity a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s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attitudes toward th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a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brand globalness, consumer ethnocentrism, and advertising congruence influenced all dependent variables, and brand familiarity influenced attitudes toward the brand and purchase intentions. However, the effect of political propensity was not found on consumer attitudes. Only participation in the candle rally negative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implication of political issue advertising, and also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to global mark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